KR20100067614A - 압출기 장치 - Google Patents

압출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614A
KR20100067614A KR1020090120904A KR20090120904A KR20100067614A KR 20100067614 A KR20100067614 A KR 20100067614A KR 1020090120904 A KR1020090120904 A KR 1020090120904A KR 20090120904 A KR20090120904 A KR 20090120904A KR 20100067614 A KR20100067614 A KR 2010006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r
screw
gear pump
gea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피셔
Original Assignee
파우엠이-아체트 엑스트루지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엠이-아체트 엑스트루지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파우엠이-아체트 엑스트루지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6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04C11/005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of dissimilar working principle
    • F04C11/0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of dissimilar working principle having complementary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6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pumps, e.g. piston pumps
    • B29C48/37Gea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87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using a screw extruder and a gea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05Intermeshing co-rota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1Intermeshing counter-rota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625Screws characterised by the ratio of the threaded length of the screw to its outside diameter [L/D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2/1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2/1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similar tooth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40Properties
    • F04C2210/44Viscosity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의 화합물, 특히 플라스틱 용융물 또는 천연 혹은 인조 고무 혼합물용 나사 압출기를 포함하는 압출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사 압출기는 기어 펌프에 결합된 출구 연결부를 포함하고 압출기 나사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출구 연결부(22)는 압출기 나사(12)의 측면 위에서 인접하게 배열되고 탈착식 커버 또는 리드(24)는 압출기 나사(12)의 전면에 배열된다.
압출기 나사, 나사 압출기, 나선 코일, 기어 펌프, 용적형 컨베이어, 기어 휠, 전이 영역, 점성 화합물

Description

압출기 장치{EXTRUDER ARRANG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압출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압출기 장치는 오랜 기간 동안 공지되어 왔으며, 이 압출기 장치의 도움으로 고무 혼합물 또는 플라스틱 용융물들과 같은 점성의 화합물들이 압출될 수 있다. DE 31 33 647 C2호 또는 DE 38 33 777 C2호가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언급된 참조문헌에서 기어 펌프는 이중 나사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의 축방향 연장선(extension)의 출구 연결부에 배열되며, 상기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은 서로 맞물리며 일정한 공급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십 년간 제기되어 왔던 문제점에 의하면,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의 연결이 끊어질 때만 오직 실질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이 나사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에 존재한다. 이 경우,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의 연결 나사들은 느슨하여 하며, 압출기 또는 기어 펌프 중 하나는 접혀져 있어야 한다(folded away). 두 구성요소 모두, 즉 압출기와 기어 펌프 둘 다, 구동되는 컨베이어 유닛(driven conveyor unit)들로서, 이들은 각각 개별 진동을 유발시켜 이에 따라 탈착식 연결부(detachable connection)를 단순하게 설치하지 못하게 한다.
반면, 이물질 및/또는 플러깅(plugg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출기/기어 펌프 조합이 셧 다운 되거나 또는 중단되었을 때, 그리고 기본적으로 압출되어야 하는 재료가 변경되는 매 번, 상기 압출기/기어 펌프 조합은 매번 빈 채로 작동(run empty)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용적형 컨베이어(volumetric conveyor)의 명백한 이점들에도 불구하고, 출력부 쪽(output-sided) 용적형 컨베이어 장치가 없는 이중 나사 압출기들이 일부분 사용된다.
또한, 기어 펌프 대신에 용적형 컨베이어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왔다. DE 10 2005 050 619 A1호에 공지된 해결사항 또는 접근법이 예로서 제공된다.
게다가, 용적형 컨베이어 장치로서 유성 기어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이미 제안되어 왔다. 이는 DE 101 54 860 A1호를 참조하라. 이 해결사항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출원 사건들의 경우에서 전이 영역을 세척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펌프를 압출기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압출기 장치는 오랜 기간 동안 공지되어 왔으며, 이 압출기 장치의 도움으로 고무 혼합물 또는 플라스틱 용융물들과 같은 점성의 화합물들이 압출될 수 있다. DE 31 33 647 C2호 또는 DE 38 33 777 C2호가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언급된 참조문헌에서 기어 펌프는 이중 나사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의 축방향 연장선(extension)의 출구 연결부에 배열되며, 상기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은 서로 맞물리며 일정한 공급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십 년간 제기되어 왔던 문제점에 의하면,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의 연결이 끊어질 때만 오직 실질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이 나사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에 존재한다. 이 경우,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의 연결 나사들은 느슨하여 하며, 압출기 또는 기어 펌프 중 하나는 접혀져 있어야 한다(folded away). 두 구성요소 모두, 즉 압출기와 기어 펌프 둘 다, 구동되는 컨베이어 유닛(driven conveyor unit)들로서, 이들은 각각 개별 진동을 유발시켜 이에 따라 탈착식 연결부(detachable connection)를 단순하게 설치하지 못하게 한다.
반면, 이물질 및/또는 플러깅(plugg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출기/기어 펌프 조합이 셧 다운 되거나 또는 중단되었을 때, 그리고 기본적으로 압출되어야 하는 재료가 변경되는 매 번, 상기 압출기/기어 펌프 조합은 매번 빈 채로 작동(run empty)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용적형 컨베이어(volumetric conveyor)의 명백한 이점들에도 불구하고, 출력부 쪽(output-sided) 용적형 컨베이어 장치가 없는 이중 나사 압출기들이 일부분 사용된다.
또한, 기어 펌프 대신에 용적형 컨베이어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왔다. DE 10 2005 050 619 A1호에 공지된 해결사항 또는 접근법이 예로서 제공된다.
게다가, 용적형 컨베이어 장치로서 유성 기어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이미 제안되어 왔다. 이는 DE 101 54 860 A1호를 참조하라. 이 해결사항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출원 사건들의 경우에서 전이 영역을 세척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펌프를 압출기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압출기 장치(extruder arrangement)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적형 컨베이어의 이점들을 활용하여 최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청구항 제 18항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상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각각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18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그 외 추가적인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펌프는 상기 기어 펌프 장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나사 압출기(screw extruder)의 모든 압출기 나사(extruder screw)들에 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완전히 반경 방향으로 상기 압출 기 나사들의 외부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기어 펌프는 서로 맞물리며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나사 압출기의 압출기 나사들 위에서 바로 인접하는 2개의 기어 휠(gear wheel)들로 구성된다. 이 장치에서 펌프와 압출기 사이에 존재하는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 되며 현저하게 작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저하게 작으며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전이 영역이 구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수한 자가-세척이 가능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이 영역에 존재하며 이로 인해 꽤 작은 부피를 가진 시스템은, 펌프와 압출기가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필요한 일반적인 세척 단계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필요 없게 될 수 있도록,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에 의해 상응하는 점성에서 다소 드래그된다(quasi dragged).
본 발명에 따르면, 현저하게 작은 전이 영역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결과, 특히 압출기 나사와 기어 펌프가 삼각형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낮은 재료 손실이 야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펌프를 간단하게 채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압출기/기어 펌프 조합이 부드럽고 평범하게 시동(starting-up)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은 전이 영역이 채워질 때까지, 압출기는 기어 펌프를 채우기 위해 감소된 압력 하에서 그리고 감소된 온도 하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 압출기의 출구 연결부(outlet connection)는 횡방향으로 즉 압출기 나사들 또는 압출기 나사의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출구 연결부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에 바로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 나사 압출기의 전면에 플랜지-장착된(flange-mounted) 커버 또는 리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이 영역의 세척은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전이 영역은 전면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커버 또는 리드를 개방함으로써, 전이 영역은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노출된다. 압출기가 서서히 작동된다면, 그 위치에 존재하는 나머지 재료는 커버 또는 리드의 개구를 통해 전면에서 밀려 배출된다. 또한 이는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의 톱니 플랭크(tooth flank)들의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으로 작은 마찰저항에 대해 기어 펌프의 헬리컬 기어링(helically geared) 기어 휠들로 성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또는 리드가 스타트-업 밸브(start-up valve)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압출기 장치가 시동될 때 커버 또는 리드가 개방된다. 압출기가 이송하여 이송된 화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공정이 안정 상태에 도달하는 즉시, 안정적인 공정과 함께 이송단계(conveying)가 바로 시작하도록 커버 또는 리드가 밀폐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커버 또는 리드는 예시된 구체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횡단 개구(transverse opening)를 가진 스터드(stud)도 또한 커버 또는 리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커버 또는 리드 혹은 스타트-업 밸브가 각각 개방되어야 할 때, 스타트-업 밸브 혹은 커버 또는 리드가 각각 밀폐되며 화합물을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게 하거나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위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스터드가 회전된 다(tunred).
그 외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밀폐 요소(closing element), 예를 들어, 2개의 위치 즉 구속해제 위치(release position)와 밀폐 위치(closing position)를 가능하게 해 주는 슬라이드(slide) 또는 그 외 다른 임의의 작동가능 요소(actuatable element)도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나사 압출기(double screw extruder) 장치가 선택되는 경우, 유사한 방식으로 신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특히, 기어 휠들과 압출기 나사들이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지는 경우, 전이 영역은 실질적으로 마름모 형태가 되며 확대된다. 이렇게 확대되는 것을 상쇄하기 위하여, 기어 휠들에 대한 압출기 나사들의 작은 오프셋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전이 영역은 다소 평평하게 되고(quasi flattened) 그 용적에 대해 감소된다. 대안으로, 커버 또는 리드로부터 개별적으로 플랜지-장착되고, 흐름이 강화되는 방식으로(flow-enhancing manner) 전이 영역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오로지 그 위치에 잔류하는 나머지 재료를 감소하도록 제공되는 인서트 바디(insert body)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출기를 비운 후에 상기 인서트 바디는 재빨리 제거되며 커버 또는 리드가 개방되고 난 뒤 압출기는 전이 영역을 세척하기 위해 서서히 시동된다(started up).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에 어떠한 기계적 분리(mechanical separation)도 필요없는 것이 추가적으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자인은 현저히 단순하게 되며, 압출기 하우징과 기어 펌프 하우징 사이의 금속 연결부(metallic connection)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어 펌프와 압출기가 다소 자동적으 로 항상 동일한 온도를 가지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보장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커버 또는 리드의 도움으로, 압출기 나사들의 유지와 작동, 예를 들어 실질적인 또는 부드러운 작동 검사가 단순화되며, 이는 압출기 나사들이 부드럽게 작동될 때 커버 또는 리드가 개방된 채로 압출기의 작동 동안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축방향에서 가시적으로 검사함으로써 탐지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상기 압출기 나사들을 상기 압출기 나사들의 전방 단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압출기 나사들의 전면 위에 출구 연결부를 가지는 일반적인 압출기 나사들 경우보다 덜 복잡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출기 나사들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것도 쉽게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압출기 나사들 또는 압출기 나사 및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이 서로에 대해 조밀하게 채워지도록(packed) 제공된다. 기본적으로, 서로에 대한 회전속도율의 가변 설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서만, 심지어 압출기 나사와 기어 펌프 사이의 기어 휠 맞물림(gear wheel engagement)과 트랜스미션(transmission)도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커버 또는 리드는 기계적으로 또는 유압적으로 작동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데, 압출기 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한 면에 힌지(hinge)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적절한 스터드(stud)들도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커버 또는 리드는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개방되고 밀폐될 수 있다. 검사하기 위하여, 압출기의 출구 연결부가 연장되는 전이 영역을 포함하는 압출기 나사 장치의 전체적인 전면이 커버 또는 리드에 의해 덮히는 것이 특 히 바람직하다 할지라도, 변경된 구체예에서, 커버 또는 리드의 도움으로 단지 전이 영역을 덮는 것도 가능하며 그리고 나머지 전면부와 나머지 압출기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해결사항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중 나사 압출기들과 원뿔형 이중 나사 압출기 둘 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나사 압출기의 경우에서, 두 압출기 나사들의 축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향해 횡단하는 방식으로 수렴한다(converge).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 나사들의 축들에 의해 펼쳐지는(spanned) 평면은 출구 연결부의 평면을 향해 약간 경사지며 이와 동시에 기어 펌프의 기어 휠들의 축들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의 출구 연결부는 압출기 나사 또는 압출기 나사들의 전방 영역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압출기 나사들에 의해 이송된 재료는, 압출기 나사들의 전면이 밀폐될 때, 상기 압출기 나사들의 측면 위에서 배출되거나 또는 빠져나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와 기어 펌프 사이에 어떠한 기계적 분리(mechanical separation)도 필요없는 것이 추가적으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자인은 현저히 단순하게 되며, 압출기 하우징과 기어 펌프 하우징 사이의 금속 연결부(metallic connection)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어 펌프와 압출기가 다소 자동적으 로 항상 동일한 온도를 가지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보장된다.
도 1에 예시된 압출기 장치(10)의 구체예는 공지된 방식으로 하우징(14) 내에서 지지되는 압출기 나사(12)를 포함한다. 도 1은 압출기 나사(12)와 하우징(14)의 전방 부분 즉 출력부 쪽 부분(output-sided part)을 나타내며 도 1은 추가적으로 압출기 나사의 나선 코일(16)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펌프(18)는 반경 방향으로 압출기 나사 나선 코일(16)의 외부에, 하지만 상기 나선 코일에 바로 인접하게 제공되는데, 이 기어 펌프는 기어 휠(20)들을 포함하며 이 기어 휠들 중 하나가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기어 휠(20)은 압출기 나사(1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압출기 장치의 출구 연결부(22)가 압출기 나사(16)들의 측면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또는 리드(24)가 압출기 나사(12)들의 전면 위에 배열된다. 상기 커버 또는 리드(24)는 하우징(14) 위에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 커버 또는 리드는 소량만큼 압출기 나사(16)들을 돌출하며 따라서 출구 연결부(22)를 돌출하고 이에 따라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전이 영역(26)을 적어도 대부분 덮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전이 영역의 경우에서, 커버 또는 리드(24)는 전이 영역에 비해 기어 펌프의 방향으로 좀 더 확대된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기 나사(16)의 도움으로 이송된 재료는 압출기 나사의 전방 단부의 측면 상에서 압출기 나사(16) 영역으로 배출되며 출구 연결부(22)를 통해 압출기 나사를 빠져나간다. 그 후 이 재료는 기어 펌프(18)의 형태로 구현되는 용적형 컨베이어의 영역에 도달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기어 휠들로 구성되는 기어 펌프(18)는 점성의 화합물을 출구 노즐(30)로 이송하는데, 예컨대 압출기 헤드(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출구 노즐에 연결될 수 있다.
전이 영역, 즉 도 1에서 대략 출구 연결부(22)의 영역을 세척하기 위하여 커버 또는 리드(24)는 탈착가능하다. 그러면, 커버 또는 리드가 제거될 때 압출기는 낮은 회전속도에서 작동되며 전이 영역으로부터 나머지 재료는 커버 또는 리드(24)의 도움으로 통상 밀폐되는 개방 오리피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이송된다.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20)들의 톱니가 축방향으로 또는 헬리컬 기어링(helical gearing)의 경우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필요 시에, 상기 이송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적절한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저압 따라서 저온의 상태 하에서 기어 펌프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커버 또는 리드(24)의 개방으로 인해 압출기 나사(12)들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압출기 나사(16)가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20)들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배열된 것을 예시한다. 압출기 나사(16)는 이중으로 배열된 기어 휠(20)들에 인접하여 가까이 배열된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전이 영역은 이중으로 배열된 기어 휠(20)들 사이에서 연장되는데, 상기 전이 영역은 인접한 부분들의 반경에 상응하는 횡방향의 오목 표면들을 포함한다. 압출기가 비워지게 작동될 때 전이 영역도 비워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출기 나사들의 마찰은 상기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까지 요구되었던 압출기와 기어 펌프용 하우징을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해, 도 2에서 하우징(14)은 일체형으로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변경된 구체예를 예시한다. 그에 따라 이 압출기 장치는 2개의 압출기 나사(12)들을 가진 이중 나사 압출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출기 나사들은 기어 휠(20)들의 측면 위에서 연장되며, 도 2에 따른 구체예에 비해 실질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상기 4개의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이 영역(26)은 크기에 있어서 현저하게 크다. 도 1에 따른 커버 또는 리드가 예시된 구체예에서 전이 영역(26)을 돌출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서 전이 영역(26)도 또한 빈 채로 작동될 수 있다.
변경된 구체예에서, 각각의 압출기 나사들은 도 3에 따른 원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출구 직경보다 더 큰 입구 직경을 가진다. 이 해결사항은 큰 개구를 채우기에 유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조절하게 한다. 컨베이어 나사들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컨베이어 나사들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 둘 다 가능하다. 출력부 쪽에서 즉 대략 도 3에 도시된 영역에서, 이러한 종류의 압출기 나사들은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20)들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도 있는 현저하게 작은 직경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출기 장치(10)의 변경된 한 구체예를 예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코일(16)들을 가진 압출기 나사(12)는 기어 펌프(18)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도 4는 서로 맞물린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20)들을 도시하며 출구 노즐(30)의 디자인을 추가적으로 예시한다.
이에 비해, 도 5는 기어 펌프(18)가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예시한다. 전이 영역은 도 5에 도시된 압출기 나사(12)가 도 5에 따른 도면에서 기어 휠(20)을 중첩하도록 기어 휠(20)들 사이에서/위로 연장된다. 커버 또는 리드(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와 전이 영역은 도면 평면 뒤에 제공되는데, 이 커버 또는 리드는 제거되는 경우 전이 영역을 외부로부터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 구체예에서, 압출기 나사(12)는 뭉특한 단부와 상기 압출기 나사의 전면을 가지며, 이 전면은 기어 펌프의 일부분으로서 예시된 구체예에서 하우징(14)의 한 부분에 의해 덮힌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 나사(12)는 일종의 하우징(14) 챔버 내에 수용될 수 있는데, 이는 기어 펌프의 기어 휠(20)들과 압출기 나사 사이에 접촉 또는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이해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추가적인 구체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도면들에서도,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7의 구체예는 구체적인 수력학적 장착부(explicit hydrodynamic mounting)를 포함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이를 위해, 이송된 용적(volume)의 일부 분은 채널(40)에서, 실질적으로는 출구 연결부(22) 앞에서 즉 이 위치의 업스트림에서, 압출기 나사(16)의 재료 흐름(material flow)을 분기시킨다(branch off). 그 위치에서 짧은 채널을 사용함에 따라 실린더 간극(cylinder gap)이 기어 휠(20)의 베어링 핀(42)을 둘러싸게 된다.
상응하는 채널(44)은 출구 연결부(22)로부터 좀 더 다운스트림에 제공되며 실린더 간극은 동일한 기어 휠(20)의 반대편 베어링 핀(46)을 둘러싸게 된다. 이와 같이 분기된 누출 용적 흐름(leakage volume flow)의 도움으로 기어 휠(20)을 수력학적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지지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압출기 나사(12)의 전면 위에 리턴 컨베이어 장치(return conveying device, 50)를 실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리턴 컨베이어 장치(50)의 도움으로, 심지어 커버 또는 리드가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오직 부분적으로만 제공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재료가 컨베이어 나사(16)의 전면에 남아있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더욱이, 기어 펌프(18)를 위한 유입 또는 공급 효율성도 개선되어야 한다.
도 7에 따라 예시된 구체예에서, 압출기 나사(16)는 압출기 나사 핀(52)의 도움으로 연신된다. 압출기 나사 핀(52)은 압출기 나사 나선 코일(16)에 비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카운터 헬릭스(counter helix) 또는 나선 코일(54)을 지지하거나 혹은 수용한다. 압출기 나사 핀(52)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압출기 나사(12)와 함께 개별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사실에 따라, 압출기 나사 나선 코일(16)의 이송 효과(conveying effect)에 비한 이송 효과 즉 전이 영역으로의 재료 공급 및 따라서 기어 펌프(18)로의 재료 공급을 증가시키는 리턴 컨베이언스(return conveyance)가 발생한다.
예시된 대표 구체예에서, 카운터 나선 코일(54)은 커버 또는 리드(24) 내의 각각의 리세스(56)에서 압출기 나사 핀(52)과 함께 형성된다. 이 장치 대신 하우징(14)의 고정된 전면에 상기 장치를 구현하는 것도 또한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8에 따른 구체예도 리턴 컨베이언스(return conveyance)에 의해 그리고 기어 휠(20)들을 수력학적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지지함으로써 특징 지어진다. 이 구체예에서, 리턴 컨베이어 채널(60)은 하우징(14)의 전방 표면 내에 혹은 커버 또는 리드(24) 내에 형성된다. 이 리턴 컨베이어 채널은 고정식(stationary) 즉 하우징 혹은 커버 또는 리드에 고정된다. 전달 압출기(transfer extruder)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리턴 컨베이어 채널은 압출기 나사 나선 코일(16)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압출기 나사 핀(52)은 압출기 나사(16)의 코어에 대해 커버 또는 리드(24)로 갈수록 감소되는 직경을 가진 실린더 형태로 연장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 채널(40 및 44)들의 도움으로, 기어 펌프(18)를 부유 방식으로 지지하거나(floating support) 또는 장착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채널(44)은 리턴 컨베이어 장치(50)의 단부면 위에 배열된다.
도 8에 비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신규한 구체예를 약간 변경한 제 5 구체예를 예시한다. 이 해결사항에서, 압출기 나사 핀(52)은 확대되는데 이는 즉 도 8에 따른 구체예에 비해 압출기 나사 핀의 직경이 압출기 나사(12)의 코어 직경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우에서, 리턴 컨베이어 채널(60)은 리턴 컨베이어 장치(50)를 형성하기 위해 압출기 나사(12)의 나사 나선 코일(16)의 연장선(extension)을 따라 연장된다.
이 디자인의 도움으로, 실질적으로 일종의 수력학적 장착부 또는 지지부로서 압출기 나사 핀(52)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점성의 화합물의 리턴 이송(return trasport)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세부사항 및 특징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러 대표 구체예들의 설명들로부터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제 1 구체예의 세부사항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체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변경된 구체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압출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라인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제 3 구체예의 세부사항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제 4 구체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 장치의 제 5 구체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9)

  1. 점성의 화합물, 특히 플라스틱 용융물 혹은 천연 또는 인조 고무 혼합물용 나사 압출기를 포함하는 압출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사 압출기는 나사 압출기의 출구 연결부에서 기어 펌프에 결합되고 압출기 나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나사 압출기 출구 연결부(22)는 압출기 나사(12)의 측면 위에서 인접하게 배열되는 압출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밀폐 요소, 특히 탈착식 커버 또는 리드(24)가 압출기 나사(12)의 전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기어 펌프(18)는 서로 맞물린 기어 휠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휠들은 평행하게, 특히 압출기 나사(12)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들을 가지며, 상기 기어 펌프는 특히 서로 맞물린 2개의 기어 휠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 펌프(18)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서로 맞물린 2개의 기어 휠(20)들을 포함하고, 압출기 나사(12)는 반경 방향으로 2개의 기어 휠들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 휠(20)들과 압출기 나사(12)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들의 축들과 압출기 나사(12)들의 축 또는 축들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기는 이중 나사 압출기로서 형성되고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들에 인접한 면 위에 가까이 장착되며, 이중 나사 압출기 나사들의 2개의 축들은 압출기 축 평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펼쳐지고(span),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들의 축들은 기어 펌프 축 평면에 펼쳐지며, 이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압출기 나사(12)들은 이 나사의 직경이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 도록 테이퍼지며, 압출기 나사(12)들의 축들은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출구 연결부(22)는 압출기와 기어 펌프(18) 사이의 전이 영역(26) 내로 연장되며,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들에 대한 압출기 나사(12)들 또는 압출기 나사(12)의 오프셋으로 인해, 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이 영역(26)을 채우는 인서트 바디(insert body)로 인해, 상기 전이 영역(26)은 용적에 있어서 마름모 또는 삼각형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 펌프(18)의 기어 휠들은 압출기 나사들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전면을 가로질러, 이에 따라 압출기 나사의 다운스트림 사분면(quarter)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압출기는 압출기 하우징(14)을 포함하며, 기어 펌프(18)는 기어 펌프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14)들은 나사고정 없이(unscrewed manner) 서로 연결되며 특히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이 하우징들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사실로 인해 서로 열적으로 균등하게 연결되는(thermally equally connected)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압출기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40, 44)들은 압출기 나사(12) 또는 압출기 나사(12)들의 전방 영역의 측면 상에서 분기되며(branch off), 상기 채널(40, 44)들은 기어 휠 펌프(18)의 기어 샤프트를 수력학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장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출기 장치는 압출기 나사(12)들의 전면 상에서 리턴 컨베이어 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또는 리드(24)는 나사 압출기의 전면을 덮으며 특히 나사 압출기의 전면을 완전하게 덮으며 압출기 하우징(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또는 리드(24)는 기어 펌프(18) 및/또는 나사 압출기의 하우징(14)에 유압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또는 리드(24)를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커버 또는 리드(24)는 나사 압출기와 기어 펌프(18) 사이의 전이 영역(26)을 구속해제(release) 하거나 또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또는 리드(24)는 압출기/기어 펌프 조합의 스타트-업 밸브를 대체하며, 상기 스타트-업 밸브는 압출기 장치를 시동(starting-up)하기 위해 개방할 수 있으며 공정이 안정 상태에 있을 때 밀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18. 둘 다 점성의 화합물을 이송하는 기어 펌프와 나사 압출기를 포함하는 압출기 장치 작동 방법에 있어서,
    기어 펌프(18)는 나사 압출기의 압출기 나사(12)의 축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나사 압출기가 이중 나사 압출기로서 제공되는 경우 압출기 나사의 축들에 의해 펼쳐지는 평면에 대해 평행한 축들을 가진 2개의 기어 휠들을 포함하며, 나사 압출기와 기어 펌프(18) 사이의 전이 영역을 세척하는 단계는 나사 압출기의 전면에 부착된 커버 또는 리드(24)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되고, 압출기 장치(10)를 비우기 위하여 화합물은 압출기 나사(12)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버 또는 리드(24)에 의해 구속해제되는 개구를 통해 제거되거나 또는 배출되는 압출기 장치 작동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기어 펌프(18)는 저압 및 저온 상태 하에서 압출기로부터 횡방향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장치 작동 방법.
KR1020090120904A 2008-12-11 2009-12-08 압출기 장치 KR20100067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1327A DE102008061327A1 (de) 2008-12-11 2008-12-11 Extruderanordnung
DE102008061327.4 2008-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614A true KR20100067614A (ko) 2010-06-21

Family

ID=4206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904A KR20100067614A (ko) 2008-12-11 2009-12-08 압출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76527A1 (ko)
EP (1) EP2199059A3 (ko)
JP (1) JP2010137574A (ko)
KR (1) KR20100067614A (ko)
BR (1) BRPI0905134A2 (ko)
DE (1) DE102008061327A1 (ko)
TW (1) TW201036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6073A1 (en) * 2014-08-18 2016-02-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3d printer
IT202000017503A1 (it) * 2020-07-17 2022-01-17 Fimic S R L Modulo pompa a vite per estrusione materie plastiche
CN112524020B (zh) * 2020-12-28 2024-03-19 合肥皖液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大排量高压齿轮泵
CN114734611A (zh) * 2022-04-22 2022-07-12 王远芳 一种用于线缆填充绳生产的防堵塞双螺杆挤出机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5470A (en) * 1924-05-12 1926-08-10 Edgar H Johnson Extruding machine
US2692405A (en) * 1949-06-30 1954-10-26 American Viscose Corp Melt spinning apparatus
US4137023A (en) * 1975-09-03 1979-01-30 Union Carbide Corporation Low energy recovery compounding and fabricating apparatus for plastic materials
DE2924318C2 (de) * 1979-06-15 1984-07-19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Zweistufige Schneckenstrangpreßvorrichtung für thermoplastische Formmassen, insbesondere für pulverförmige Kunststoffe
DE3133647A1 (de) 1981-08-26 1983-03-17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plastischen formmassen"
DE3336179C2 (de) * 1983-10-05 1986-11-20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Einrichtung zum Herstellen von aufgeschäum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US4642040A (en) * 1985-08-23 1987-02-10 Normag Corporation Extruder drivingly connected to gear pump
GB8604673D0 (en) * 1986-02-25 1986-04-03 Shaw Co Manchester Ltd Francis Treating viscous material
US4744669A (en) * 1986-10-23 1988-05-17 Baker Perkins, Inc. Mixing and extruding apparatus and methods
DE3833777A1 (de) 1987-10-08 1989-05-03 Barmag Barmer Maschf Hochgeschwindigkeitsextrusion mit der extruder-zahnradpumpe-kombination
US5267847A (en) * 1990-12-24 1993-12-07 Bridgestone Corporation Compact precision extrusion system
DE4115246C1 (ko) * 1991-05-10 1992-05-14 Paul Troester Maschinenfabrik, 3000 Hannover, De
DE4126390A1 (de) * 1991-08-09 1993-02-11 Werner & Pfleiderer Misch- und aufbereitungsvorrichtung mit austragspumpe
JP2999689B2 (ja) * 1995-06-19 2000-01-1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混練押出機
DE19652952A1 (de) * 1996-12-19 1998-06-25 Hoechst Trespaphan Gmbh Kompensator zum Ausgleich der durch Temperatureinflüsse hervorgerufenen Längenänderungen
JPH11268033A (ja) * 1998-03-24 1999-10-05 Japan Steel Works Ltd:The 2軸混練押出機
JP3963042B2 (ja) * 1998-05-27 2007-08-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混練機及び連続混練機のロータ
AU3176700A (en) * 1999-03-11 2000-09-28 A-Z Formen Und Maschinenbau Gmbh Single rotor extruders
DE10113949A1 (de) * 2001-03-22 2002-09-26 Krupp Elastomertechnik Gmbh Vorrichtung zum Sieben von Kautschuk
DE10134701B4 (de) * 2001-07-10 2007-08-23 Berstorf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Kautschukmischungen
DE10154860A1 (de) * 2001-11-08 2003-05-22 Az Formen & Maschbau Gmbh Extruderanordnung
EP1352729A1 (en) * 2002-04-08 2003-10-15 COLMEC S.p.A. Screw extruder with discharge pump
DE10234228B4 (de) * 2002-07-27 2008-05-15 Kraussmaffei Berstorff Gmbh Anfahrventil für einen Extruder, insbesondere einen Zweischneckenextruder
DE10348985B3 (de) * 2003-10-22 2005-05-19 Berstorff Gmbh Zahnradpumpe
DE102005050619A1 (de) 2005-10-21 2007-04-26 Vmi-Az Extrusion Gmbh Fördervorrichtung für eine Rohmasse
US20070109911A1 (en) * 2005-11-16 2007-05-17 Neubauer Anthony C High speed and direct driven rotating equipment for polyolefin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9059A3 (de) 2010-09-22
EP2199059A2 (de) 2010-06-23
TW201036796A (en) 2010-10-16
JP2010137574A (ja) 2010-06-24
US20100176527A1 (en) 2010-07-15
BRPI0905134A2 (pt) 2011-03-15
DE102008061327A1 (de)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7614A (ko) 압출기 장치
US9162411B2 (en) Screw separator
JP2612490B2 (ja) ソーセージ等の製造装置
RU2272178C2 (ru) Шнеков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и/или кусков материала
CA2360285C (en) Device for filtering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CN104690998B (zh) 立式榨油机
US9205619B2 (en) Multiple-screw extruder
EP3538342A1 (fr) Ensemble d'extrusion volumetrique pour melanges d'elastomeres
CZ298865B6 (cs) Usporádání šnekového extrudéru a zubových cerpadel pro vysoce viskózní média
CN114180804A (zh) 一种污水处理系统用污泥处理方法
JPH05126060A (ja) 歯車ポンプ
JP4610564B2 (ja) 歯車ポンプ
US201501828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ickening liquid substrate containing solid material
JP4010571B2 (ja) 中心軸を有する遠心分離機
CA2500411C (en) Extruder/gear pump assembly
JP2007508965A5 (ko)
KR100956631B1 (ko) 밀폐식 상하수관
WO2020032168A1 (ja) ポンプ及び、ギヤ装置の潤滑構造
US6547972B1 (en) Centrifuge with ejector for solids
JP7373416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
KR930008563Y1 (ko) 떡제조기의 반죽물 누출방지장치
CN220185745U (zh) 一种双头螺纹电机蜗杆
CN219013316U (zh) 一种精细化研磨泵润滑机构
CN216111249U (zh) 一种具有轴承齿轮润滑冷却的双螺杆泵
JP2012200677A (ja) 混練装置および排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