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851A -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851A
KR20100066851A KR1020080125340A KR20080125340A KR20100066851A KR 20100066851 A KR20100066851 A KR 20100066851A KR 1020080125340 A KR1020080125340 A KR 1020080125340A KR 20080125340 A KR20080125340 A KR 20080125340A KR 20100066851 A KR20100066851 A KR 20100066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light
double
sub
light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755B1 (ko
Inventor
최종철
박영진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755B1/ko
Priority to US12/634,239 priority patent/US8471877B2/en
Publication of KR2010006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02B26/08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the reflecting means being moved or deform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Abstract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매체에 복수의 광빔을 주사하는 광주사 유닛이 주사되는 광빔들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한다.

Description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caparable of compensating for color registration error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color registration error}
본 발명은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드럼 표면에 광주사 유닛을 이용하여 광빔을 주사(scanning)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상한 뒤,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현상화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현상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하고, 전사된 현상화상을 그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현재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주사 유닛은 스핀들 모터로 구동되는 다각형 미러(polygon mirror)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다각형 미러의 속도 한계를 극복하고, 고속 대응시 발생되는 스핀들 모터의 소음을 제거하고, 광주사 유닛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스핀들 모터 및 다각형 미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구물이 요구 되고 있다. 멤스(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구조물을 이용한 광주사 유닛은 양방향 주사 및 고속 주사가 가능하고, 반도체 공정에 의해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다각형 미러를 사용하는 광주사 유닛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다. 특히, 컬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광빔을 주사하는 광주사 유닛이 요구되는바, 멤스 타입의 양면 미러 스캐너는 양면 미러를 회전 진동시켜 복수의 광빔을 동시에 주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주사 유닛의 양면 미러 스캐너로 회전 진동하는 양면 미러를 채용한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진동하는 양면 미러 스캐너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빔을 주사하는 광주사 유닛; 상기 복수의 광빔으로 복수의 단색 화상들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감광 매체; 및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이 중첩되게 전사되어 컬러 화상이 형성되는 전사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 매체에 전사되는 복수의 단색 화상의 주사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한다.
상기 광주사 유닛은, 각 감광 매체별로 부주사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스폿들이 맺히는 적어도 2개씩 마련된 발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각 감광 매체별로 출사되는 발광원을 변경할 수 있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감광 매체별로 적어도 2개씩 마련된 발광원은 복수의 발광점이 단일 소자 내에 집적된 멀티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각 감광 매체별로 적어도 2개씩 마련된 발광원은, 적어도 2개의 단일빔 발광 소자;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일빔 발광 소자에서 출사되는 광빔들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진행하도록 광경로를 합성시키는 광경로 합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주사 유닛은, 각 단색 화상별로 하나씩 마련된 발광원을 구비한 광원 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복수의 광빔들의 각 광경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광빔들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할 수 있는 광경로 가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가변 소자는, 반사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사되는 광빔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하는 가동 반사 소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광경로 가변 소자는, 굴절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경유하는 광빔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하는 가동 굴절 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가동 굴절 소자는, 콜리메이션 렌즈, 실린드리컬 렌즈 및 아크-사인 세타 렌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주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상기 스폿들로 이루는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는 사인 진동하는 멤스 미러 스캐너일 수 있다.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는 동일 평면상에서 강성 결합되어 일체로 구동되는 복수의 양면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1 미러면에 입사되는 광빔의 주사 개시 시점과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2 미러면에 입사되는 광빔의 주사 개시 시점 사이에는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진동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 간격을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1 미러면에서 반사되는 광빔이 주사되는 감광 매체와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2 미러면에서 반사되는 광빔이 주사되는 감광 매체는, 상기 전사 매체의 주행속도를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상기 양면 미러 스캐 너의 진동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차를 갖는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주사 유닛은 4개의 광빔을 주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은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화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회전진동하는 양면 미러 스캐너를 통해 복수의 광빔을 복수의 감광 매체에 각각 주사하여 복수의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잠상을 복수의 단색 화상으로 현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을 전사 매체에 중첩되게 전사시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 매체에 전사되는 복수의 단색 화상의 주사 방향이 어긋날 때, 복수의 단색 화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전사 매체에 전사되는 복수의 단색 화상의 주사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주사 유닛(100),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 복수의 현상 유닛(400), 중간 전사 벨트(500), 및 정착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0)은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주사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는 컬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4개의 색상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광주사 유닛(100)은 흑색(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주사한다.
상기 광주사 유닛(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면 미러 스캐너(도 5의 150)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주사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맺히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 D1, D2, D3을 조절할 수 있다.
양면 미러 스캐너(150)를 이용하여 편향 주사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광빔(L1, L2)이 주사되는 방향과, 제3 및 제4 광빔(L3, L4)가 주사되는 방향이 상이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주사 방향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의해 지그재그한 주사 방향에 따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color registration error)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자체의 공차와 조립 오차에 의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중에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주사 유닛(100)에서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게 된다.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의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은 감광 매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외주면은 광주사 유닛(100)에서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결상되는 피주사면에 해당된다. 감광 매체로서, 벨트 형태의 감광 벨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참조번호 301은 대전 롤러를 나타낸다. 대전 롤러(301)는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현상 유닛(400)은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 각각에 마련되며, 흑색(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한다.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는 광주사 유닛(100)에 의하여 정전 잠상이 형성된 후,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400)에 의해 현상되어 각각 흑색(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화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500)는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형성된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전사시키는 전사 매체의 일례이다. 전사 매체로서 드럼 타입이 적용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 벨트(500)는 궤도를 따라 일정 속도로 주행하며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순차적으로 전사받은 후, 이를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킨다. 참조 번호 505는 전사 롤러를 나타낸다. 토너 화상은 전사 롤러(505)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전사 롤러(505)와 중간 전사 벨트(500) 사이로 이송되는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로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착 유닛(6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에 정착됨으로써 화상 형성이 완료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광주사 유닛(100)의 부주사 단면에서 본 구성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광주사 유닛(100)의 주주사 단면에서 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피주사면(300a,300b)은 각각 제2 및 제3 감광 드럼(300Y, 300M)의 외주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편의상 광경로를 접는 미러(도 2의 193)는 무시하고, 제1 양면 미러(도 5의 152)에 의해 편향되는 제1 및 제4 광빔(L1, L4)의 광경로에 놓인 광학계만을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광주사 유닛(100)은 광원부(110), 주사전 광학계(pre-scan optical system), 양면 미러 스캐너(150), 주사후 광학계(post-scan optical system)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10)는 흑색(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각각 방출하는 제1 내지 제4 광원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110)는,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맺히는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 D1, D2, D3을 조절하기 위하여, 최초 설정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광경로 외에도 주주사 방향으로 이격된 또다른 제1 내지 제4 광빔(도 5의 L1´, L2´, L3´, L4´)의 광경로를 선 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광원부(110)는,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도 2의 300K, 300Y, 300M, 300C)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광원으로서 2개의 발광점을 단일 소자에 집적한 멀티빔 발광 소자를 채용한다. 이러한 멀티빔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활성층이 복수개 마련된 멀티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일 수 있다. 도 4는 제1 감광 드럼(300K)에 대응되는 제1 광원(110a)과 상기 제1 광원(110A)에서 발광점 위치를 바꿈에 따라 달라지는 방출되는 광빔(L1,L1´)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발광점의 배열위치는, 제1 광원(110a)의 각 발광점에서 방출되는 광빔(L1,L1´)이 피주사면(도 3의 300a)에 맺히는 스폿의 위치가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정해진다. 또한, 발광점의 배열 간격은, 각 발광점에서 방출되는 광빔(L1,L1´)이 피주사면(300a)에 맺히는 스폿들의 간격이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이 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여기서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면 미러 스캐너의 일 주기 진동하는 동안 주사되는 광빔에 의해 피주사면(300a)에 형성되는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의미한다. 상기 광원부(110)의 제1 광원(110a)은 동작 중에 2개의 발광점 중 어느 한 발광점에서만 광을 방출하며, 발광점을 바꿈으로써 주사되는 광빔(L1,L1´)의 피주사면(도 3의 300a)에 맺히는 스폿의 위치가 부주사 방향으로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 이동하게 된다. 제2 내지 제4 감광 드럼(300Y, 300M, 300C)에 대응되는 제2 내지 제4 광원도 제1 광원(110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발광점이 2개인 멀티빔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채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점이 3개 이상인 멀티빔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점의 배열 간격은, 피주사면(300a)에 맺히는 스폿들의 간격이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보다 조밀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광빔(L1, L2)과, 제3 및 제4 광빔(L3, L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주사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과 상기 제3 및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사이에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진동 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차를 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군의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의 에러의 보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사전 광학계는 상기 광원부(110)와 양면 미러 스캐너(150) 사이의 각 광경로마다 배치된 콜리메이션 렌즈(collimation lens)(120)와, 실린드리컬 렌즈(cylindrical lens)(130)를 구비한다.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120)는 광원부(110)에서 방출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평행광으로 만들어주는 집속렌즈이다. 상기 실린드리컬 렌즈(130)는 부주사 방향으로만 소정의 파워를 가지는 왜상 렌즈(anamorphic lens)로서, 광원부(110)에서 방출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양면 미러 스캐너(150)에 부주사방향으로 집속시킨다. 주사전 광학계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제1 및 제2 미러면(152a, 153a)(도 5의 152b, 153b)에 주주사방 향으로 길고 부주사방향으로 짧은 단면 형상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편향에 의한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수차의 보정을 용이하게 하고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제1 및 제2 미러면(152a, 153a)(152b, 153b)의 크기를 줄여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양면 미러 스캐너(150)는 사인 진동하는 양면 미러를 구비한 멤스 구조물이다. 이러한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양면 미러 스캐너(150)는 양면 미러부(151), 영구 자석부(155), 한 쌍의 스프링부(156), 한 쌍의 고정단(157), 요크(158) 및 요크(158)를 둘러싼 코일(159)을 포함한다.
상기 양면 미러부(151)는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와,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를 강성 결합하는 연결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156)는 양면 미러부(151)와 한 쌍의 고정단(157)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양면 미러부(151)를 양단에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단(157)은 상기 스프링부(156)를 지지한다. 영구 자석부(155) 및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요크(158) 및 요크(158)를 둘러싼 코일(159)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양면 미러부(15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일례이다. 상기 요크(158)와 코일(159)은, 상기 영구자석부(155)의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양면 미러부(151)에 주기적인 전자기적 구동력을 준다. 상기 양면 미러부(151)는 주기적인 전자기력과 스프링부(1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공진되어 C축을 중심으로 사인 진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양면 미러 스캐너(150)는,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의 양면을 이용하여 양방향 주사를 하므로,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주사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즉,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제1 양면 미러(152)의 제1 미러면(152a)과 제2 양면 미러(153)의 제1 미러면(153a)에 입사되는 제1 및 제2 광빔(L1, L2)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주사된다. 마찬가지로,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제1 양면 미러(152)의 제2 미러면(152b)과 제2 양면 미러(153)의 제1 미러면(153b) 에 입사되는 제3 및 제4 광빔(L3, L4)도 서로 같은 방향으로 주사된다. 그러나, 제1 미러면(152a, 153a)과 제2 미러면( 152b, 153b)은 서로 이면의 관계에 있으므로, 제1 및 제2 광빔(L1, L2)과 제3 및 제4 광빔(L3, L4)은 그 주사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주사는 주기적 양상을 지니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주사 방향은 위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광빔(L1, L2)은 서로 동일 위상(in-phase)으로 주사되고, 제3 및 제4 광빔(L3, L4)도 서로 동일 위상으로 주사되나, 제1 및 제2 광빔(L1, L2)의 주사(scanning)와 제3 및 제4 광빔(L3, L4)의 주사에는 180도의 위상차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의 양면을 이용하여 양방향 주사를 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양면 미러 스캐너(150)는, 멤스(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소형의 멤스 구조물의 일례로서, 광주사 유닛(도 1의 100)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가 일체로 구동되는 양면 미러 스캐너(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는 서로 독립된 멤스 구조물로 이루어져 별개로 독립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2개의 양면 미러(152, 153)를 구비한 양면 미러 스캐너(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주사하고자 하는 광빔의 개수에 대응하여 양면 미러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에 평행하게 입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경사입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양면 미러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주사할 수도 있다.
주사후 광학계는 광원부(110)와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 사이에 배치되는 공통 결상렌즈부(170) 및 개별 결상렌즈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번호 193는 광경로를 접는 미러를 나타낸다. 상기 공통 결상렌즈부(170)는 제1 및 제2 공통 결상렌즈(171, 17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통 결상렌즈(171)는 제1 및 제2 광빔(L1, L2)에 대해 공통되며, 상기 제2 공통 결상렌즈(172)는 제3 및 제4 광빔(L3, L4)에 대해 공통된다. 제1 및 제2 양면 미러(152, 153)는 인접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공통 결상렌즈(171, 172)는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공통 결상렌즈부(170)를 이용함으로써, 광학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광주사 유닛(100)도 소형화할 수 있다. 개별 결상렌즈부(180)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각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개별 결상렌즈(181, 182, 183, 184)를 포함한다.
주사후 광학계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수렴 기능을 갖는다. 나아가,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은 양면 미러 스캐너(150)에 사인 진동에 의해 편향되어 주사 속도가 사인 곡선을 그리는바, 주사후 광학계는 아크사인(acrsinusoidal) 보상 기능을 가져,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등속으로 결상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주사후 광학계는 각 광경로마다 2개의 결상렌즈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각 광경로마다 1개의 결상렌즈가 배치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결상렌즈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공통의 결상렌즈없이 각 광경로마다 개별적인 결상렌즈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부(110), 주사전 광학계, 양면 미러 스캐너(150) 및 주사후 광학계는 하우징(190)내에서 미러들(193)에 의해 적절히 배치된다. 상기 미러들(193)에 의하여 광경로가 접어지더라도, 양면 미러 스캐너(150)에 의한 주사 방향은 변하지 아니하므로, 제1 광빔의 주사와 및 제2 군의 광빔의 주사 사이의 위상차는 그대로 유지된다. 하우징(190)에는 창(window)(191)이 마련되어,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출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사전 광학계 및 주사후 광학계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의 보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1), (2), (3), (4)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동시에 주사될 때 도 5에 도시된 양면 미러 스캐너에 의해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궤적을 도시한다. 또한, 도 6의 (5)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형성된 단색 화상들을 중첩시킬 때 발생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여준다.
도 6의 (1), (2), (3), (4)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광빔(L1, L2)은 동일 위상을 가지고 주사되고, 제3 및 제4 광빔(L3, L4)은 제1 및 제2 광빔(L1, L2)이 주사되는 위상과 180도 차이가 나는 위상을 가지고 주사됨을 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 미러 스캐너(150)를 이용하여 양 방향에서 주사하기 때문이다.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서로 다른 위상으로 주사됨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500)에 중첩된 단색 화상들은 서로 어긋나게 중첩되어, 도 6의 (5)에서 실선이 서로 지그재그로 어긋나 있듯이,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광원부(도 2의 110)의 주사 개시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해결한다.
도 7은 광주사 유닛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4 광원의 노광 타이밍을 도시하며, 도 8은 이에 따라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보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에서 (A), (B), (C), (D)는 각각 제1 내지 제4 광원의 노광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흑색(K)의 단색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500)에 중첩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간 전사 벨트(500)가 주행함에 따라,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흑색(K) 순으로 단색 화상이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서 중간 전사 벨트(500)로 전사된다. 광원부(도 2의 110)는, 제4 광원, 제3 광원, 제2 광원, 제1 광원 순으로 노광을 개시한다. 이때, 제3 및 제4 광빔(L3, L4)이 동일 위상으로 주사되므로, 제3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2와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1은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진동주기의 배수의 시간 간격을 둔다. 마찬가지로, 제1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4와 제2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3은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진동주기의 배수의 시간 간격을 둔다. 한편, 제2 및 제3 광빔(L2, L3)은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주사되므로, 제2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3과 제3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2는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진동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 간격을 갖도록 한다.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서 중간 전사 벨트(500)으로 단색 화상들이 전사되는 위치들의 간격 D1´, D2´, D3´은, 제1 내지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 T1, T2, T3 및 T4과 중간 전사 벨트(500)의 주행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조절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보정된 것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제1 및 제2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제3 및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보다 양면 미러 스캐너(150)의 진동주기의 반주기만큼 지연시킨 경우이다. 다른 예로 제3 및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제1 및 제2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보다 양면 미러 스캐 너(150)의 진동주기의 반주기만큼 지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조절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보정하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자체의 공차와 조립 오차에 의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중에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러한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해결하여 왔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양면 미러에 의한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조정하였으므로, 광원의 주사 개시 시점을 재차 조절하여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기 곤란하다. 이에, 광주사 유닛(100)에서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의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9의 (1), (2) 및 (4)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의 (3)의 점선은 공차나 변형으로 인하여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 만큼 주사 라인이 이동되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110)에서 발광점을 바꿈으로써,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이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맺히는 스폿을 부주사 방향으로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 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 9의 (3)의 실선과 같이 공차나 변형으로 인하여 이동된 주사 라인들을 정상 위치로 다시 옮겨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양면 미러에 의한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먼저 보정하고 이후에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추가적으로 보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양면 미러에 의한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먼저 보정하는 것을 필수적으로 전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시에 발생될 수도 있으나,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중에 발생되는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는, 통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검출방법을 통해 검출될 수 있으며, 검출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는 본 실시예에서 제안된 구성 및 방법에 따라 보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는 제어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800)는 호스트 컴퓨터(700)로부터 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 광주사 유닛(10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인터페이스부(I/F)(810), 화상신호 처리부(820), 광주사 제어부(840)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검출부(860)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I/F)(810)는 호스트 컴퓨터(700)로부터 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 화상신호 처리부(820)에 전달한다.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820)는 입력받은 화상신호를 각 색상별 로 분리한다. 상기 광주사 제어부(840)는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광주사 유닛(100)의 광원부(도 2의 110)을 출력을 변조하고 현상 및 전사 과정을 제어한다. 이때, 광주사 제어부(840)는 양면 미러로 인한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광원부(110)의 주사 개시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공차나 변형 등으로 말미암아 중간 전사 벨트(500)에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가 발생되게 되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검출부(860)에서 이를 검출한다.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의 검출은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검출부(860)가 중간 전사 벨트(500)에 발생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검출하게 되면, 광주사 제어부(840)는 광원부(도 1의 110)의 광원에 발광점을 변경함으로써 광주사 유닛(100)에서 방출되는 광빔들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게 된다.
도 11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되는 광주사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광주사 유닛은 각 감광 매체별로 2개의 단일빔 발광소자를 마련한다. 본 실시예의 광주사 유닛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과 비교할 때, 광원부(111)가 각 단색 화상별로 멀티빔 발광소자 대신에 단일빔 발광소자를 2개씩 채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차이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111)의 각 광원은, 제1 및 제2 단일빔 발광소자(111a,111b), 제1 및 제2 콜리메이팅 렌즈(121a,121b), 및 광경로 합성 소 자(140)을 포함한다. 도 11은 광주사 유닛의 광원부(111) 중 제1 광원만을 도시하며, 이하 제1 광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광경로 합성 소자(140)에서 합성된 제1 광빔(L1,L1´)의 광경로는, 제1 광빔(L1,L1´)이 피주사면(도 3의 300a)에 맺히는 스폿들의 간격이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이 될 수 있도록 이격된다. 제1 및 제2 단일빔 발광소자(111a,111b)를 교체함으로써, 피주사면(300a)에 맺히는 스폿은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되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경로 합성 소자(140)는 예를 들어, 편광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일 수 있다. 편광빔 스플리터를 광경로 합성 소자(140)로 채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단일빔 발광소자(111a,111b)는 서로 다른 편광의 광빔(L1,L1´)을 방출할 수 있다. 광경로 합성 소자(140)의 다른 예로 하프미러를 채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각 단일빔 발광소자(111a,111b)별로 콜리메이팅 렌즈(121a,121b)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콜리메이팅 렌즈는 광경로 합성 소자(140)에 의해 합성된 광경로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111)는 각 감광 매체별로 2개의 단일빔 발광소자가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각 감광 매체별로 3개 이상의 단일빔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되는 광주사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주사 유닛(101)은 광원부(미도시), 주사전 광학계(미도시), 양면 미러 스캐너(150), 주사후 광학계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주사 유닛(101)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과 비교할 때,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맺히는 스폿들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각 단색화상별로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대신에, 광주사 유닛(101) 내의 광경로상에 마련된 가동 반사 미러(movable mirror)(195)를 이용한다.
광원부는 흑색(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을 방출하는 것으로, 통상의 광원들이 채용될 수 있다. 주사전 광학계 및 양면 미러 스캐너(150)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주사후 광학계에 속하는 공통 결상렌즈부(170) 및 개별 결상렌즈부(180) 역시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가동 반사 미러(195)는 반사 미러(196)와 이를 구동하는 미러 구동부(197)를 포함한다. 반사 미러(196)에서의 반사 각도가 변경되게 되면,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에 주사되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광경로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의 가동 반사 미러(195)는 제1 내지 제4 광빔(L1, L2, L3, L4)의 반사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맺히는 스폿들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가동 반사 미러(195)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감광 드럼(300K, 300Y, 300M, 300C)의 피주사면에 맺히는 스폿들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컬러 레지 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가동 반사 미러(195)가 주사후 광학계 내에 배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부와 양면 미러 스캐너(150) 사이의 주사전 광학계 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가동 반사 미러(195)는 경유하는 광빔의 광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는 광경로 가변 소자의 일례이다. 또 다른 굴절 광학 소자의 예로, 가동 굴절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가동 굴절 소자로, 주사전 광학계의 콜리메이션 렌즈나 실린드리컬 렌즈, 또는 주사후 광학계의 결상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굴절 렌즈에 렌즈 구동부를 부착시켜, 굴절 렌즈들의 굴절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경유하는 광빔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된 광주사 유닛의 부주사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된 광주사 유닛의 주주사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광주사 유닛에 채용되는 광원부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2의 광주사 유닛에 채용되는 양면 미러 스캐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양면 미러 스캐너에 의해 4개의 피주사면에 형성되는 광빔의 궤적을 도시한다.
도 7은 광주사 유닛의 4개의 광원의 주사 개시 타이밍을 도시한다.
도 8은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상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공차나 변형에 의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상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2의 광주사 유닛에 채용되는 광원부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1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된 광주사 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광주사 유닛 110, 111...광원부
120...콜리메이팅 렌즈 130...실린드리컬 렌즈
150...양면 미러 스캐너 152, 153...양면 미러
170, 180...결상 렌즈 193, 196...반사 미러
190...하우징 195...가동 미러 소자
300a, 300b...피주사면 300K, 300Y, 300M, 300C...감광 드럼
400...현상 유닛 500...중간 전사 벨트
505...전사 롤러 600...정착 유닛
L1, L2, L3, L4...광빔 D1, D2, D3...광빔 간의 간격
P...인쇄 매체

Claims (21)

  1. 회전진동하는 양면 미러 스캐너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빔을 주사하는 광주사 유닛;
    상기 복수의 광빔으로 복수의 단색 화상들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감광 매체; 및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이 중첩되게 전사되어 컬러 화상이 형성되는 전사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 매체에 전사되는 복수의 단색 화상의 주사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 유닛은,
    각 감광 매체별로 부주사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스폿들이 맺히는 적어도 2개씩 마련된 발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각 감광 매체별로 출사되는 발광원을 변경할 수 있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광 매체별로 적어도 2개씩 마련된 발광원은 복수의 발광점이 단일 소자 내에 집적된 멀티빔 발광 소자인 화상 형성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광 매체별로 적어도 2개씩 마련된 발광원은,
    적어도 2개의 단일빔 발광 소자;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일빔 발광 소자에서 출사되는 광빔들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진행하도록 광경로를 합성시키는 광경로 합성 소자;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 유닛은,
    각 단색 화상별로 하나씩 마련된 발광원을 구비한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복수의 광빔들의 각 광경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광빔들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할 수 있는 광경로 가변 소자;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가변 소자는, 반사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사되는 광빔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하는 가동 반사 소자인 화상 형성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가변 소자는, 굴절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경유하는 광빔의 광경로를 부주사방향으로 이격된 광경로로 변경하는 가동 굴절 소자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굴절 소자는, 콜리메이션 렌즈, 실린드리컬 렌즈 및 아크-사인 세타 렌즈 중 어느 하나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상기 스폿들로 이루는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 단위로 조절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는 사인 진동하는 멤스 미러 스캐너인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는 동일 평면상에서 강성 결합되어 일체로 구동되는 복수의 양면 미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1 미러면에 입사되는 광빔의 주사 개시 시점과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2 미러면에 입사되는 광빔의 주사 개시 시점 사이에는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진동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차가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1 미러면에서 반사되는 광빔이 주사되는 감광 매체와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2 미러면에서 반사되는 광빔이 주사되는 감광 매체는, 상기 전사 매체의 주행속도를 기준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진동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차를 갖는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 유닛은 4개의 광빔을 주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은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화상인 것을 화상 형성 장치.
  16. 회전진동하는 양면 미러 스캐너를 통해 복수의 광빔을 복수의 감광 매체에 각각 주사하여 복수의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잠상을 복수의 단색 화상으로 현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을 전사 매체에 중첩되게 전사시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 매체에 전사되는 복수의 단색 화상의 주사 방향이 어긋날 때, 복수의 단색 화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전사 매체에 전사되는 복수의 단색 화상의 주사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는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감광 매체별로 적어도 2개의 발광원을 마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원을 교체함으로써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는 화상 형성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감광 매체와 이에 대응되는 광원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학 소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학 소자를 움직임으로써, 경유하는 광빔의 광경로를 부주사 방향으로 변경시켜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는 화상 형성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 매체에 맺히는 광빔의 스폿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을, 상기 스폿들로 이루는 주사 라인들의 부주사 방향의 일 주기 간격의 1/2 단위로 조절하는 화상 형성 방법.
  20.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양 방향 주사에 의해 발생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제1 미러면을 이용하여 주사되는 광빔의 주사 개시 시점과 상기 제1 미러면의 이면인 제2 미러면을 이용하여 주사되는 광빔의 주사 개시 시점 사이에 상기 양면 미러 스캐너의 진동주기의 반주기 홀수배의 시간차를 주는 화상 형성 방법.
  21.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색 화상은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화상인 것을 화상 형성 방법.
KR1020080125340A 2008-12-10 2008-12-10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KR10147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40A KR101474755B1 (ko) 2008-12-10 2008-12-10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US12/634,239 US8471877B2 (en) 2008-12-10 2009-12-09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rrecting color registration e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40A KR101474755B1 (ko) 2008-12-10 2008-12-10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51A true KR20100066851A (ko) 2010-06-18
KR101474755B1 KR101474755B1 (ko) 2014-12-19

Family

ID=4223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340A KR101474755B1 (ko) 2008-12-10 2008-12-10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71877B2 (ko)
KR (1) KR101474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901A (ja) * 2013-07-25 2015-02-05 船井電機株式会社 レーザ走査装置
JP6349883B2 (ja) * 2014-03-31 2018-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形成条件の調整方法、および、形成条件の調整プログラム
JP6369241B2 (ja) * 2014-09-05 2018-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反射型センサ
JP6525089B2 (ja) * 2018-06-05 2019-06-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形成条件の調整方法、および、形成条件の調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7748A (en) * 1987-05-06 1988-11-29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Synchronous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H11227252A (ja) * 1998-02-19 1999-08-2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57008B1 (en) * 1999-09-29 2004-06-29 Spectrum San Diego, Inc. Video surveillance system
JP4689284B2 (ja) * 2005-01-21 2011-05-25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2980A1 (en) 2010-06-10
KR101474755B1 (ko) 2014-12-19
US8471877B2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896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68683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091342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65051B1 (ko) 광주사유닛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H103048A (ja) 多色画像形成装置の光走査装置
KR101474755B1 (ko)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보정 방법
JP4470396B2 (ja) 光ビーム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91422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3068812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29745B1 (ko)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보정된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JP2001311898A (ja) 光ビーム走査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3182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8697A (ja) 光走査装置及び光ビーム検出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1688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5712709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37200A (ja) 画像形成装置
JP500039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63931A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163868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087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70798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5181714A (ja) 偏向走査装置
JP5849598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40670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92577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