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275A - 인력추진보트 - Google Patents

인력추진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275A
KR20100062275A KR1020080120821A KR20080120821A KR20100062275A KR 20100062275 A KR20100062275 A KR 20100062275A KR 1020080120821 A KR1020080120821 A KR 1020080120821A KR 20080120821 A KR20080120821 A KR 20080120821A KR 20100062275 A KR20100062275 A KR 2010006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be
hull
crank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420B1 (ko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주)버드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버드나루 filed Critical (주)버드나루
Priority to KR102008012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4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3/00Land vehicles, waterborne vessels, or aircraft, adapted or modified to travel on air cushions
    • B60V3/06Waterbor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2Movable thwarts; Foot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1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hand levers, cranks, pedals, or the like, e.g. water cycles, boats propelled by boat-mounted pedal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추진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와 같이 사용자가 다리 힘으로 페달을 돌리고 그 동력을 수중의 프로펠러로 전달함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친환경 수상레저스포츠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인력이 입력되는 페달로부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까지의 동력전달 구조를 최소화 및 단순화함에 따라 동력의 손실이 최소화됨으로써 인력만을 사용하여 장시간 장거리를 이동하는 수상스포츠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 두 개의 부력체를 최소한의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하여 병렬로 연결한 쌍동선의 기본형태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수상 주행이 가능하다.
보트 프레임 구조물의 기본 형상은 왕(王)자형 또는 공(工)자형으로서, 각 연결부위에서 다소간의 유동을 허용하게 되어 수면의 출렁임에 유연하게 반응 및 구조물의 파손을 회피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수중의 키를 손쉽게 핸들링할 수 있기 때문에 조향성이 뛰어나다.
페달, 보트, 인력, 부력체, 프로펠러, 키

Description

인력추진보트{Human Powered Boat}
본 발명은 인력추진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와 같이 사용자가 다리 힘으로 페달을 돌리고 그 동력을 수중의 프로펠러로 전달함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친환경 수상레저스포츠 장비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US 4474502 (Mohamed Daoud) 1984. 10. 2
[문헌 2] US 5081947 (Wesley G. Holden) 1992. 1. 21
[문헌 3] US 5413066 (William R. Spencer) 1995. 5. 9
[문헌 4] US 5460551 (Jeffrey W. Beres) 1995. 10. 24
[문헌 5] US 6135835 (David Lekhtman) 2000. 10. 24
종래기술을 검토한 결과 동력의 크기와 양이 제한되는 인력운송수단의 설계에 있어 핵심은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스포츠 활동중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또한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정비유지 소요를 줄이고, 사용자로 하여금 비스듬히 누운 자세로 핸들을 이용하게 손쉽게 조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스포츠 활동에 따른 피로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인력이 입력되는 페달로부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까지의 동력전달 구조를 최소화 및 단순화하며, 두 개의 부력체를 최소한의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하여 병렬로 연결한 쌍동선의 기본형태를 따른다. 이때 프레임 구조물의 기본 형상은 왕(王)자형 또는 공(工)자형이다.
또한 비스듬히 누운 자세의 의자를 제공하고, 이러한 자세로 핸들을 조작하여 방향전환이 가능토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부력을 발생시켜 선체를 수면 위로 띄우는, 적어도 좌우 폭보다 전후방 길이가 더 긴, 좌우 각 한 개의 부력체;와 상기 두 개의 부력체가 서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좌우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가로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세 개의 가로튜브는 앞쪽에서부터 전방튜브, 중앙튜브 그리고 후방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튜브와 상기 중앙튜브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추진장치;및 상기 중앙튜브와 상기 후방튜브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의자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튜브와 상기 중앙튜브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튜브;와 사용자가 밟아 회전시키도록 상기 세로튜브에 장치된 페달;과 상기 페달과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와 상기 세로튜브의 크랭크 위치에서 수직 하향으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중에서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로부터 상기 프로펠러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조립체는,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 의자;와 상기 중앙튜브와 상기 후방튜브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의자레일;과 상기 의자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레일 위에서 의자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동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페달추진보트는 조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향수단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조향에 적합한 형태의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핸들;과 수면 아래에 서 물의 흐름을 변경함으로써 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키(rudder);와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상기 키에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조향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하우징을 중앙에 두고 상기 키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데, 프로펠러와 키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제작되어도 주행특성은 변화하지만 주행에는 무리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각 가로튜브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방향의 프레임 구조물을 단일화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기술에서의 세 개 이상의 가로튜브 중 중앙튜브를 제거하고 전방튜브와 후방튜브 단 두 개만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인력만을 사용하여 장시간 장거리를 이동하는 수상스포츠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인 수상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최소화된 왕(王)자형 또는 공(工)자형의 프레임 구조는 각 연결부위에서 다소간의 유동을 허용함으로써 수면의 출렁임에 유연하게 반응 및 구조물의 파손을 회피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수중의 키를 손쉽게 핸들링할 수 있기 때문에 조향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의 상세한 특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에 보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인력만을 사용하여 수중의 프로펠러를 돌려 추진하는 선박에 있어서, 부력을 발생시켜 선체를 수면 위로 띄우는, 적어도 좌우 폭보다 전후방 길이가 더 긴, 좌우 각 한 개의 부력체(11, 11a)와 상기 두 개의 부력체가 서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좌우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가로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세 개의 가로튜브는 앞쪽에서부터 전방튜브(91), 중앙튜브(92) 그리고 후방튜브(93)로 구성된다.
이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프레임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추진장치(21)가 상기 전방튜브(91)와 상기 중앙튜브(92)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의자조립체(31)는 상기 중앙튜브(92)와 상기 후방튜브(93)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선체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성은 왕(王)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왕(王)자형의 프레임 구조는 중앙튜브(92)를 중심으로 한 부력체(11, 11a)의 굽힘이나 또는 선체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각 가로튜브의 비틀림 각도가 서로 다소의 편차를 갖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수면의 출렁임에 유연하게 반응하여 거친 파도에서 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위에서 상기 추진장치(21)는 상기 전방튜브(91)와 상기 중앙튜브(92)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튜브(22)와 사용자가 밟아 회전시키도록 상기 세로튜브(22)에 장치된 페달(23, 23a)과 상기 페달(23, 23a)과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24)와 상기 세로튜브(22)의 크랭크(24) 위치에서 수직 하향으로 구비된 하우징(25)과 상기 하우징(25)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24)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중에서 회전하는 프로펠러(26) 및 상기 하우징(25)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24)로부터 상기 프로펠러(26)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조립체(31)는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 의자(30)와 상기 중앙튜브(92)와 상기 후방튜브(93)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의자레일(33)과 상기 의자(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레일(33) 위에서 상기 의자(30)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브래킷(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30)는 누워서 타는 자전거인 리컴번트의 그것처럼 뒤로 비스듬한 형상을 갖추는 것이 수상에서의 장거리 주행에 적합하다.
상기 추진장치(21)는 동력전달수단(27)의 선택에 따라 두 가지로 제공될 수 있는데, 각각 도 3a 및 도 3b에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첫번째 추진장치(21)는 크랭크(24)가 스프라켓의 형상이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27)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성은, 프로펠러(26)가 고정되어 회전 중심으로 삼으며 하우징(25)의 일측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제1회전축(20)과 상기 하우징(25) 안쪽에서 상기 제1회전축(20)의 끝에 결합된 스프라켓 형상의 제1기어(29)와 하우징(25) 안쪽에서 상기 크랭크(24)와 상기 제1기어(29)를 연결하는 체인(2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인(27)의 구동 중 각 스프라켓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아이들러(28)를 장착하여 체인의 긴장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체인을 사용한 동력전달수단은 에너지의 손실이 적고 부품의 조달이 용이하나 체인수리 소요가 높을 우려가 있다.
도 3b에 도시된 두번째 추진장치(21')는 크랭크(41)가 베벨기어의 형상이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동력축(27)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성은, 프로펠러(26)가 고정되어 회전 중심으로 삼으며 하우징(25)의 일측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제1회전축(20)과 상기 하우징(25) 안쪽에서 상기 제1회전축(20)의 끝에 결합된 베벨기어 형상의 제2기어(42)와 하우징(25) 안쪽에서 상기 크랭크(24)와 상기 제2기어(29)를 연결하는 양 끝이 베벨기어 형상인 동력축(27)으로 이루어진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추진장치(21')를 본 발명의 인력추진보트에 적용한 보트 전체의 모습이다.
이렇듯 동력축을 사용한 동력전달수단은 소음이 적고 정비소요는 적을 것으로 기대되나 낮은 회전수에서 높은 강도를 제공하는 베벨기어 부품의 사용에 따른 제조비용 상승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력추진보트는 손쉬운 방향전환을 위해 조향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동작을 조향에 적합한 형태의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핸들(51)과 수면 아래에서 물의 흐름을 변경함으로써 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키(52)와 상기 핸들(51)의 움직임을 상기 키(52)에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조향케이블(53, 53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핸들(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브래킷(54)에 의해 의자레일(33)에 결합되는 것이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자연스럽게 내린 손의 위치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조향을 위한 키(rudder)의 고정은, 주행시 뒤로 흐르는 물살을 따르도록 힌지가 키의 전방에 위치한다. 도 4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프로펠러(26)는 하우징(25)의 전방에 위치하며, 키(52)는 상기 하우징(25)의 후방에 위치하여, 주행 중 사용자가 핸들(51)에 대한 통제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키(52)가 물의 흐름에 따라 주행방향으로 정렬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핸들에 통제력을 가하는 불편을 감수한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52)를 역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민첩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프로펠러(26)는 하우징(25)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키(52)는 상기 하우징(25)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기술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두 개의 가로튜브만을 사용하는 인력추진보트도 제공하는데, 그 상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는 부력을 발생시켜 선체를 수면 위로 띄우는, 적어도 좌우 폭보다 전후방 길이가 더 긴, 좌우 각 한 개의 부력체(11, 11a)와 상기 두 개의 부력체(11, 11a)가 서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좌우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전방과 후방 각각 한 개의 가로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두 개의 가로튜브는 선체의 앞쪽에 위치한 전방튜 브(91)와 선체의 뒤쪽에 위치한 후방튜브(93)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튜브(91)와 상기 후방튜브(93)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단일한 세로프레임(61)으로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세로프레임(61)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세로프레임(61)을 앞과 뒤 두 부분으로 구분할 때, 상기 세로프레임(61)의 앞부분은 전방세로튜브(64)로서 아래쪽으로 길게 형성된 추진장치가 결합되는데, 상기 추진장치는, 사용자가 밟아 회전시키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장치된 페달(23, 23a)과 상기 페달(23, 23a)과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와 상기 전방세로튜브(64)의 크랭크 위치에서 수직 하향으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중에서 회전하는 프로펠러(26)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로부터 상기 프로펠러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프레임(61)의 뒷부분은 후방세로튜브(65)로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의자조립체가 결합되는데, 도 8에 도시된 전체적인 프레임의 구성을 참조할 때, 상기 의자조립체는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 의자(30)와 상기 의자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세로튜브(63) 위에서 상기 의자(30)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브래킷(54)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동력전달수단의 구성과 키의 부착 위치 등은 상술한 첫 실시예의 경우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의 실시예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프레임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의 각각 다른 추진장치의 모습이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추진장치를 본 발명의 인력추진보트에 적용한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의 조향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에 역방향 키를 적용한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력추진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로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인력추진보트 11, 11a: 부력체
23, 23a: 페달 26: 프로펠러
27: 동력전달수단 25: 하우징
30: 의자 52: 키

Claims (14)

  1. 인력으로 프로펠러를 돌려 추진하는 선박에 있어서,
    부력을 발생시켜 선체를 수면 위로 띄우는, 적어도 좌우 폭보다 전후방 길이가 더 긴, 좌우 각 한 개의 부력체;와
    상기 두 개의 부력체가 서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좌우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가로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세 개의 가로튜브는 앞쪽에서부터 전방튜브, 중앙튜브 그리고 후방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튜브와 상기 중앙튜브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추진장치;및
    상기 중앙튜브와 상기 후방튜브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의자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튜브와 상기 중앙튜브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세로튜브;와
    사용자가 밟아 회전시키도록 상기 세로튜브에 장치된 페달;과
    상기 페달과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와
    상기 세로튜브의 크랭크 위치에서 수직 하향으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중에서 회 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로부터 상기 프로펠러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2. 상기 의자조립체는,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 의자;와
    상기 중앙튜브와 상기 후방튜브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의자레일;과
    상기 의자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레일 위에서 의자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브래킷;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스프라켓의 형상이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프로펠러가 고정되어 회전 중심으로 삼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제1회전축;과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제1회전축의 끝에 결합된 스프라켓 형상의 제1기어;와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크랭크와 상기 제1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베벨기어의 형상이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프로펠러가 고정되어 회전 중심으로 삼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제1회전축;과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제1회전축의 끝에 설치된 베벨기어 형상의 제2기어;와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크랭크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는 양 끝이 베벨기어 형상인 동력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추진보트는 조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향수단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조향에 적합한 형태의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핸들;과
    수면 아래에서 물의 흐름을 변경함으로써 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키(rudder);와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상기 키에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조향케이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6. 제 1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키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여, 주행 중 사용자가 상기 핸들에 대한 통제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키가 물의 흐름에 따라 정중앙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7. 제 1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키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여, 보다 민첩한 조향을 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8. 인력으로 프로펠러를 돌려 추진하는 선박에 있어서,
    부력을 발생시켜 선체를 수면 위로 띄우는, 적어도 좌우 폭보다 전후방 길이가 더 긴, 좌우 각 한 개의 부력체;와
    상기 두 개의 부력체가 서로 평행을 유지하도록 좌우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전방과 후방 각각 한 개의 가로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두 개의 가로튜브는 선체의 앞쪽에 위치한 전방튜브;와
    선체의 뒤쪽에 위치한 후방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튜브와 상기 후방튜브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단일한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세로프레임을 앞부분인 전방세로튜브와 뒷부분인 후방세로튜브의 두 부분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전방세로튜브에는 아래쪽으로 길게 형성된 추진장치;가 결합되고,
    상기 후방세로튜브에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의자조립체;가 결합되며,
    상기 추진장치는,
    사용자가 밟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전방세로튜브에 장치된 페달;과
    상기 페달과 회전축을 공유하여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와
    상기 전방세로튜브의 크랭크 위치에서 수직 하향으로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중에서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로부터 상기 프로펠러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조립체는,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세로튜브 위에서 의자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브래킷;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스프라켓의 형상이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프로펠러가 고정되어 회전 중심으로 삼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제1회전축;과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제1회전축의 끝에 결합된 스프라켓 형상의 제1기어;와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크랭크와 상기 제1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베벨기어의 형상이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프로펠러가 고정되어 회전 중심으로 삼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제1회전축;과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제1회전축의 끝에 설치된 베벨기어 형상의 제2기어;와
    하우징 안쪽에서 상기 크랭크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는 양 끝이 베벨기어 형상인 동력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추진보트는 조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향수단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조향에 적합한 형태의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핸들;과
    수면 아래에서 물의 흐름을 변경함으로써 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키(rudder);와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상기 키에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조향케이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13. 제 8항 및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키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여, 주행 중 사용자가 상기 핸들에 대한 통제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키가 물의 흐름에 따라 정중앙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14. 제 8항 및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키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여, 보다 민첩한 조향을 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추진보트.
KR1020080120821A 2008-12-01 2008-12-01 인력추진보트 KR10115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821A KR101150420B1 (ko) 2008-12-01 2008-12-01 인력추진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821A KR101150420B1 (ko) 2008-12-01 2008-12-01 인력추진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275A true KR20100062275A (ko) 2010-06-10
KR101150420B1 KR101150420B1 (ko) 2012-06-01

Family

ID=4236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821A KR101150420B1 (ko) 2008-12-01 2008-12-01 인력추진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902B1 (ko) * 2011-11-28 2012-05-24 이준구 기능성 레저 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48Y1 (ko) 2017-07-18 2018-06-15 김태관 쌍동선용 추진체장치 및 이 추진체장치를 구비한 쌍동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902B1 (ko) * 2011-11-28 2012-05-24 이준구 기능성 레저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420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5381A (en) Vessel and driving means
JP4034934B2 (ja)
US10046841B2 (en) Water bike
US7189127B2 (en) Watercraft propulsion machine
US9359056B2 (en) Linear propulsion system for small watercraft
US9533746B1 (en) Human powered watercraft propulsion device
US5316508A (en) Water bicycle
US5718611A (en) Personalized watercraft
US20110159751A1 (en) Pedal propulsion system
US5643020A (en) Personal watercraft
KR101150420B1 (ko) 인력추진보트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CN101909985A (zh) 用于鳍板推进的密封
US5405275A (en) Personalized watercraft
EP0158423A1 (en) Bow facing rowing arrangement
GB2101946A (en) Oar mounting system
JPH0487896A (ja) 足力推進カヌー及びこれに用いる操舵装置
US7803027B2 (en) Watercraft paddle propulsion system
KR102471769B1 (ko)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KR200412446Y1 (ko) 수상 레저 보트
KR200273215Y1 (ko) 수상이동구조물
CN213229063U (zh) 一种新型脚踏娱乐船
KR102177858B1 (ko) 수상 하부의 수중환경을 관찰가능한 수상 바이크
KR200292144Y1 (ko) 수상자전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