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215Y1 - 수상이동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상이동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215Y1
KR200273215Y1 KR2020020003094U KR20020003094U KR200273215Y1 KR 200273215 Y1 KR200273215 Y1 KR 200273215Y1 KR 2020020003094 U KR2020020003094 U KR 2020020003094U KR 20020003094 U KR20020003094 U KR 20020003094U KR 200273215 Y1 KR200273215 Y1 KR 200273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transmission shaft
water
fixe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환
길대경
Original Assignee
진기환
길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환, 길대경 filed Critical 진기환
Priority to KR2020020003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215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수상이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부력을 가지는 한 쌍의 막대형 부력체와, 그 상부에 탑승면을 갖는 탑승구조체와, 탑승면 중앙의 상측에서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과, 탑승면 중앙의 하측에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페달과, 그 핸들 및 페달로부터 각각 방향전달축 및 구동전달축에 의해 방향제어 및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방향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상이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은 부력체 위에 고정되는 탑승구조체가 수평면으로 형성된 탑승면을 갖는 정방형 입체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탑승, 하승 및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적어 보다 안정감을 느끼며, 탑승면을 최대화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많은 활동 영역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수상이동구조물의 후방에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가 직접 좌우로 방향제어를 하며 추진을 하기 때문에, 수상에서의 방향제어가 빠르다. 따라서 사용자의 운전 조작을 간편하게 하며 적은 힘만으로도 수상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수상이동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상이동구조물{Transferable embodiment on water}
본 고안은 수상이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용 또는 레저용으로 수상에 부력체와 일체화된 구조체를 띄워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며 페달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수상에서 이동을 하는 수상이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해 수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구조물로서는, 수상 보트, 자전거와 조립된 구조물 및 기타의 레저용 수상이동구조물이 있다. 이들은 호수나 강가에서 놀이용, 낚시용 및 기타 이동 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수상 보트는 손으로 노를 젓거나 발로 페달을 밟아 구동력을 생성한다. 특히, 노를 젓는 경우는 노의 길이에 따른 회전 반경이 넓어 강한 구동력에 의해 속도는 빠르나, 일반인들에게는 노를 젓는 요령이 익숙치 않아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발로 밟는 경우는 노를 젓는 경우에 비해 속도는 느리나 양자 모두 탑승면이 수면과 가까워 물을 무서워하는 사용자에게는 불안요소가 되며, 배의 형상이 가로 폭보다 세로 폭이 길며 탑승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전복의 위험성이 있어 탑승자는 보트의 하중이 한 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이동구조물은, 육상 이동 수단인 자전거에 특정 구조물을 조립함으로써 수상 및 육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조립이 복잡하여 조립 및 해체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자전거의 특성상 수면으로부터 상승한 수직 높이가 높고 세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수면에 접하는 수평 폭이 넓어야만 전복의 위험을 방지하며, 또한 그 넓어진 수평 폭에 비하여 사용자는 자리 배치는 자전거 안장에 구속되어 활동성이 극히 제약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수상이동구조물에 있어서, 방향수단(방향키)과 추진수단(스크류)이 분리된 경우, 추진력의 발생 방향은 항상 고정되어 있으나 방향의 발생 방향은 방향수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먼저 고정된 추진력 발생 방향으로 추진력이 발생된 후 방향수단의 방향으로 조금씩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까지에는 사용자가 계속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수고가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수상이동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은 탑승, 하승 및 이동할 때 안정적이며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는 수상이동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핸들운전에 따른 방향제어와 페달의 회전운동에 따른 추진력을 일체화하여 직접 전달함으로써 방향 전환이 빠르고 사용자의 인력을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수상이동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부력체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와 탑승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안내부재의 철심줄 제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상이동구조물 2 : 부력체
3 : 탑승구조체 4 : 방향부
5 : 구동부 6 : 추진부
21, 31 : 결합홀 23 : 연결대
25, 32 : 고정봉 33 : 세로지지부재
41 : 핸들 43 : 방향안내부재
44 : 철심줄 46 : 방향전달축
51 : 구동부하우징 54 : 회전기어
55 : 베벨기어 58 : 구동전달축
61 : 고정체 62 : 스크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주하여 수상에서 부력을 가지며 연결대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막대형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중앙이 개방된 탑승면을 갖는 탑승구조체와; 상기 탑승면 중앙의 상측에서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부와; 상기 탑승면 중앙의 하측에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방향부 및 구동부로부터 각각 방향전달축 및 구동전달축에 의해 방향제어 및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방향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력체는, 일단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부력을 가지며, 그 측면과 하면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연결대의 결합홀이 고정봉의 삽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구조체는, 중앙이 개방된 탑승면을 갖는 정방형구조로서, 그 개방된 탑승면 중앙에는 상기 방향부와 구동부를 지지하는 세로막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탑승면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와 상기 부력체 상부의 결합홀이 고정봉의 삽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부는, 상기 탑승구조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핸들축의 상단에 결합된 핸들과; 상기 핸들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면의 하면에 접하는 방향안내부재와;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른 방향의 전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부재에 감기는 철심줄과; 상기 철심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탑승구조체의 후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추진부에 고정된 방향전달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부재가 철심줄을 감음에 따른 장력에 의해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구동력을 발생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에 의해 회전을 일으키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베벨기어와;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와 연동하는 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구동전달축;으로 이루어져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진부는, 상기 방향부 및 구동부로부터의 방향전달축 및 구동전달축을 고정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전달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을 일으키도록 상기 고정체 후면에 고정된 스크류;로 이루어져 전달받은 방향제어 및 추진력을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구조체는, 중앙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상기 핸들 및 페달을 운전할 수 있도록 좌석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은 수면과 접하는 부력체의 상부에 수평면인 정방형의 탑승면이 위치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하중의 분산을 이룬다. 또한, 후방의 추진부는 추진력 및 방향제어가 일체화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제어가 직접 전달되어 이동이 빠르고 운전이 용이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한 쌍의 부력체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부력체와 탑승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수상이동구조물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구동부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방향안내부재의 철심줄 제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추진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1)로서, 한 쌍의 마주하는 막대형 부력체(2)의 상부에 탑승면을 갖는 정방형의 탑승구조체(3)가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다. 상기 탑승구조체(3) 중앙의 상측에는 핸들(41)을 구비하는 방향부(4)가 위치하며, 그 하측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가 위치한다.
상기 방향부(4)로부터의 방향제어는 탑승구조체의 세로지지부재(33)의 하면에 접하는 방향안내부재(43)에 철심줄(44)을 감고, 탑승구조체 후측면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방향전달축(46)과 연결함으로써, 핸들(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철심줄(44)을 방향안내부재(43)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감으면서 생기는 장력에 따라 방향전달축(46)을 좌우로 회동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5)로부터의 구동력 전달은 페달(53)을 회전시킴에 따른 회전력이 구동부(5) 내부에서 구동전달축(57)을 회전시키도록 전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전달축(46) 및 구동전달축(47)은 탑승구조체(3)의 후방에 위치하는 추진부(6)에 고정되고, 방향제어의 전달은 방향전달축(46)의 회동을 통해고정체(61)를 좌우로 회동시키며 이루어지고, 구동력의 전달은 구동전달축(57)의 회전을 상기 고정체(61)의 내부를 통하여 후방의 스크류(62)를 회전시켜 수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61)는 방향에 따른 좌우 회동을 하며 동시에 스크류(62)로 추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이동 방향에 따른 추진력 발생 방향이 변환되어 수상이동구조물(1)의 방향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1)의 하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부력체(2)간의 결합을 도시한다. 상기 부력체(2)는 각각 마주하는 일측면과 상면 및 하면에 결합홀(21)을 갖는다. 측면 및 하면의 결합홀(21)은 연결대(23)의 홀(24)과 고정봉(25)의 삽입에 의해 고정되어 수상이동구조물(1)의 하부를 이룬다. 나머지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21)은 상부의 탑승구조체(3)와 고정된다. 상기 부력체의 일단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주입구(22)와 그 공기주입구용 마개가 있으며, 상기 공기주입구(22)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부력을 갖게 되어 상부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물에 뜨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일체화된 부력체(2)와 상부의 탑승구조체(3) 사이의 결합을 도시한다. 그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부력체 결합홀(21)과 연결대 결합홀(24)의 사이에 고정봉(25)을 삽입하는 구조와 동일하다. 즉, 연결대(23)의 양단에 고정된 부력체(2) 각각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홀(21)과 탑승구조체(3)의 수평면 모서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홀(31)은 고정봉(32)의 삽입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화를 이룬다. 상기 고정봉(32)은 도 2에서 사용한 연결대(23)과 부력체(2)를 고정하는 고정봉(25) 보다는 훨씬 굵고 긴 봉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력을 증강시킨다.
탑승구조체(3)의 탑승면은 정방형으로서 중앙에 세로지지부재(33)를 가지며 이 세로지지부재(33)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세로지지부재의 중간에는 핸들축(42) 및 그 전후에서 하부의 구동부하우징(51)을 지지하는 지지축(52)이 관통된다. 상기 핸들축(42)의 후방에는 좌석 시트가 세로지지부재(33) 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탑승구조체(3)의 재질은 중공의 스테인리스 강으로써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된 구조체이며 각각의 조인트 체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1)의 구동부(5) 측단면을 도시한다. 탑승구조체의 세로지지부재(33)를 기준으로, 중앙의 상부로는 핸들축(42)이 관통하고 하부로는 지지축(52)이 관통한다. 상기 핸들축(42)의 상단에는 핸들(41)이 고정되며 하단에는 철심줄(44)이 감겨지는 방향안내부재(43)가 상기 세로지지부재(33)의 하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52)은 구동부(5)를 지지한다. 구동부하우징(51)의 양측면에는 구동력 발생수단으로서 페달(53)이 연결되고, 상기 페달(53)의 회전은 회전기어(53)를 회전시키고, 이에 맞물린 베벨기어(55)는 상기 회전기어(53)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베벨기어(55)의 회전은 베벨기어축(56)에 전달되고, 상기 베벨기어축(56)은 구동부하우징(51)을 관통하여 연결부(57)에서 구동력전달축(58)과 연결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1)의 구동력을 발생하는구동부(5)의 내부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발로 페달(53)을 회전시키면 페달축은 회전기어(54)를 회전시킨다. 구동력을 발생하는 회전기어(54)의 회전은 맞물려 있는 베벨기어(55)를 회전시켜 후방에 대한 추진력으로 힘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베벨기어(55)의 기어면은 회전기어(54)의 면보다 작기 때문에 적은 회전기어(54)의 회전은 큰 베벨기어(55)의 회전으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적은 힘만으로도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베벨기어(55)의 회전은 베벨기어축(56)이 구동부하우징(51)을 관통하여 외부의 연결부(57)에서 구동전달축(58)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전달축(58)은 후방에 위치하는 추진부(6)의 스크류(62)에 추진력을 전달하여 수상이동구조물(1)이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57)는 구동전달축(58)이 베벨기어축(56)의 회전과 연동함과 동시에 고정체(61)의 방향 회동에 따라 좌우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1)의 탑승면 아래에서 탑승면의 하면을 올려 보았을 때 핸들(41) 조작에 따른 방향 제어구조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핸들(41)의 운전조작은 핸들축(42)을 통해 탑승면의 세로지지부재(33) 하면에 접하는 방향안내부재(43)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상기 방향안내부재(43)는 외표면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에 철심줄(44)이 감겨져 있으며, 이 철심줄(44)은 탑승구조체(3) 세로지지부재(33)의 하면을 따라서 세로지지부재 후단의 하면에 있는 연결고리(45a)에 걸어지고 다시 후방 양측에 위치한 연결고리(45b)에 걸어진 후, 탑승구조체 후측면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방향전달축(46)의 연결고리(47)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핸들(41)에 의한 회전은 상기 철심줄(44)의 장력에 따라 방향전달축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핸들(41)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이에 따라 하단의 방향안내부재(43)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철심줄을 감기 때문에 좌측에 위치하는 철심줄(44)의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방향전달축(46)을 좌측으로 회동시킨다. 후방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며 추진력을 발생함에 따라 전방은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전진을 하기 때문에 시계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1)의 추진부(6)의 사시도이다. 상기 추진부(6)는 고정체(61)와 그 후단에 연결된 스크류(62)로 구성된다. 탑승구조체(1) 후측면의 중앙에 일단이 고정된 방향전달축(46)은 고정체(61)의 상면에 고정되어 방향전달축(46)의 좌우 회동은 고정체(61)를 좌우로 연동시키고 동시에 고정체(61)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동전달축(58)까지 좌우 연동시킨다. 그리고 구동부(5)의 연결부(57)에 일단이 연결된 구동전달축(58)의 회전은 상기 고정체(61)의 내측을 통해 후단의 스크류(62)를 회전시킨다. 고정체(61)는 방향전달축(46)과 구동전달축(58)과 일체로 연결되어 좌우로 회동함과 동시에 후단의 스크류(62)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수상이동구조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스크류(62)의 추진 방향이 항상 일치한다. 이것은 회전 방향과 추진력이 별도로 제어되는 수상 이동 기구보다 빠른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구조물은 부력체 위에 고정되는 탑승구조체가 수평면으로 형성된 탑승면을 갖는 정방형 입체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탑승, 하승시 및 이동시에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적어 보다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소형의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탑승면을 최대화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많은 활동 영역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조립식 구조물이라 설치, 보관이 간편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상이동구조물의 후방에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가 직접 좌우로 방향제어를 하며 추진을 하기 때문에 수상에서의 방향제어가 빠르다. 따라서 사용자의 운전 조작이 직접 전달되며 적은 힘만으로도 수상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수상이동구조물을 제공한다.

Claims (7)

  1.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주하여 수상에서 부력을 가지며 연결대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막대형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탑승면을 갖는 탑승구조체와;
    상기 탑승면 중앙의 상측에서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부와;
    상기 탑승면 중앙의 하측에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방향부 및 구동부로부터 각각 방향전달축 및 구동전달축에 의해 방향제어 및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방향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일단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부력을 가지며, 그 측면과 하면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연결대의 결합홀이 고정봉의 삽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구조체는, 중앙이 개방된 탑승면을 갖는 정방형구조로서, 그 개방된 탑승면 중앙에는 상기 방향부와 구동부를 지지하는 세로막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탑승면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다리와 상기 부력체 상부의 결합홀이 고정봉의 삽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는, 상기 탑승구조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핸들축의 상단에 결합된 핸들과; 상기 핸들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면의 하면에 접하는 방향안내부재와;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른 방향의 전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부재에 감기는 철심줄과; 상기 철심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탑승구조체의 후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추진부에 고정된 방향전달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부재가 철심줄을 감음에 따른 장력에 의해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구동력을 발생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에 의해 회전을 일으키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베벨기어와;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와 연동하는 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구동전달축;으로 이루어져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방향부 및 구동부로부터의 방향전달축 및 구동전달축을고정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전달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을 일으키도록 상기 고정체 후면에 고정된 스크류;로 이루어져 전달받은 방향제어 및 추진력을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구조체는, 중앙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상기 핸들 및 페달을 운전할 수 있도록 좌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구조물.
KR2020020003094U 2002-01-31 2002-01-31 수상이동구조물 KR200273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94U KR200273215Y1 (ko) 2002-01-31 2002-01-31 수상이동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94U KR200273215Y1 (ko) 2002-01-31 2002-01-31 수상이동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580A Division KR20030065117A (ko) 2002-01-31 2002-01-31 수상이동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215Y1 true KR200273215Y1 (ko) 2002-04-20

Family

ID=7311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094U KR200273215Y1 (ko) 2002-01-31 2002-01-31 수상이동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52A (ko) * 2002-05-24 2003-12-01 최재현 레저용 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52A (ko) * 2002-05-24 2003-12-01 최재현 레저용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585B2 (en) Elliptical human-powered watercraft
US4795381A (en) Vessel and driving means
US20050221695A1 (en) Watercraft propulsion machine
US4474502A (en) Water sporting boat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KR200273215Y1 (ko) 수상이동구조물
US5385497A (en) Water exerciser
KR200473593Y1 (ko) 페달식 보트
KR20030065117A (ko) 수상이동구조물
WO2005054051A1 (en) Watercraft with propulsion by muscle power
JPH0487896A (ja) 足力推進カヌー及びこれに用いる操舵装置
CN208906775U (zh) 半潜式水上自行车
KR101150420B1 (ko) 인력추진보트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KR200412446Y1 (ko) 수상 레저 보트
KR100261922B1 (ko) 레저용 물놀이 기구
KR200343402Y1 (ko) 페달식 물놀이기구의 구동장치
KR102471769B1 (ko)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KR102517632B1 (ko) 패들보드의 추진장치
KR101205829B1 (ko) 수상 자전거
KR100997493B1 (ko) 수상 레저 보트
KR20090131307A (ko) 수상자전거와 윈드서핑을 겸용하는 서핑보드
CN2176316Y (zh) 快速轻便游艇
KR101405121B1 (ko) 조립식 레저용 보트
KR101221015B1 (ko) 수 바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