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952A - 레저용 보트 - Google Patents

레저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952A
KR20030090952A KR1020020028840A KR20020028840A KR20030090952A KR 20030090952 A KR20030090952 A KR 20030090952A KR 1020020028840 A KR1020020028840 A KR 1020020028840A KR 20020028840 A KR20020028840 A KR 20020028840A KR 20030090952 A KR20030090952 A KR 2003009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base
height
steer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진기환
Original Assignee
최재현
진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현, 진기환 filed Critical 최재현
Priority to KR102002002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952A/ko
Publication of KR2003009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0Steering gear with mechan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2Steering wheels; Posts for steering wh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트 전체를 받치고 있는 양쪽 튜브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튜브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파고가 높은 위급한 상황에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보트에 설치되는 의자나 기타 조종수단 및 구동수단인 핸들 및 페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의시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여건에 적합한 상태에서 핸들조작이나 페달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트의 사용과 관련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트의 구동방식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페달구동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과속에 따른 위험이 존재하던 기존의 모터구동방식의 보트에 비해 안전성 및 취급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안전성 측면을 강조한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저용 보트{Leisure boat}
본 발명은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페달이나 핸들,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의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여건에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페달구동방식을 적용하여 과속에 따른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기존의 모터구동방식의 보트에 비해 안전성 및 취급성 측면에서 유리한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레저인구가 증가하면서 물놀이, 낚시 등과 같이 수상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많은 수단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레저용 보트의 이용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레저용 보트는 공기주입식 튜브의 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력식 모터 또는 수동식 노를 이용하여 튜브 본체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모터를 동력수단으로 사용하는 보트의 경우 소정의 속도를 필요로 하므로, 이용자 측면에서는 스릴이나 쾌감 등을 최대한 느낄 수 있으나, 이에 비례하여 위험부담도 큰 것이 사실이다.
또한, 기존 대부분의 보트들은 의자 등이 본체에 일체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른 편의를 만족스럽게 제공하지 못하는 미흡한 점이 있다.
특히, 보트의 본체를 구성하는 튜브의 수위가 전반적으로 높아 본체의 전체적인 높이도 따라서 높게 되고, 이로 인해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파고가 높게 이는 등의 악조건하에서는 사고의 위험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트 전체를 받치고 있는 양쪽 튜브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튜브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파고가 높은 위급한 상황에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트에 설치되는 의자나 기타 조종수단 및 구동수단인 핸들 및 페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여건에 적합한 상태에서 핸들조작이나 페달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트의 사용과 관련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편의장치를 포함하는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트의 구동방식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페달구동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과속에 따른 위험이 존재하던 기존의 모터구동방식의 보트에 비해 안전성 및 취급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안전성 측면을 강조한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트를 이루고 있는 각 구성요소를 가벼운 재질의 것을 사용하되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에 넣어 육지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에서 핸들조작계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에서 동력전달계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보트에서 페달 및 기어박스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폴(Pole) 11 : 튜브
12 : 포스트 13 : 베이스
14 : 의자 15 : 프레임
16 : 핸들 17 : 조타장치
18 : 페달 19 : 기어박스
20 : 스크류장치 21 : 전동용 샤프트
22 : 밴드형 고리 23 : 버클
24 : 튜브 고정용 밴드 25 : 튜브 받침판
26a,26b : 높이 조절용 핀 27 : 높이 조절용 클립
28 : 마그네틱 29 : 핸들 지지대
30 : 조향용 와이어 31 : 조향블럭
32 : 지지축 33 : 길이 조절용 핀
34 : 간이 포스트 35 : 기어박스 지지대
36a,36b,36c : 홀 37 : 클립형 고리
38 : 공기 주입구 39 : 조타장치용 지지대
40 : 와이어 브라켓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격자형 구조의 폴에 끼워져 조립되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측 2개의 튜브와, 상기 폴의 각 모서리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4개의 포스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베이스 및 이곳에 설치되는 의자와, 보트의 방향조종을 위해 의자의 전방으로 베이스상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핸들 및 보트의 후미에 설치되는 조타장치와, 보트의 구동을 위해 의자의 전방 아래쪽으로 베이스상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페달 및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서 발생된 동력을 받아 가동되면서 상기 조타장치를 통해 방향전환이 가능한 스크류장치 및 전동을 위한 전동용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는 다수의 밴드형 고리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폴과 나란하게 끼워지는 한편, 한쪽의 포스트에서 양쪽의 튜브를 감싸는 동시에 베이스의 저면 폭중간을 경유하면서 다른 한쪽의 포스트까지 연장되고 길이조절을 위한 버클을 갖는 튜브 고정용 밴드와 폴의 내측으로 마련되면서 곡면의 안착면을 이용하여 튜브의 안쪽면을 잡아줄 수 있는 적어도 좌우 2쌍의 튜브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는 튜브 고정용 밴드의 버클을 해제함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 양옆으로 수위가 높아지면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자, 핸들, 페달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전체는 각 포스트상의 높이 조절용 핀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과 페달 및 기어박스는 베이스상의 높이 조절용 핀과 높이조절용 클립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베이스의 높이와는 별개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달 및 기어박스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용 클립은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과 조타장치는 조향력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핸들 지지대의 하단과 조타장치의 선단을 연결하는 "X"자형 배치구조의 조향용 와이어와 이것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회동이 가능한 조향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향블럭은 조타장치의 선단 지지축상의 길이 조절용 핀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조타장치로부터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상에는 중앙에 파라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간이 포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튜브 상에 결합되는 격자형 구조의 길다란 폴은 다수의 짧은 폴의 양단을 끼움 결합한 조립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레저용 보트는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만든 다수의 폴 및 2개의 튜브와, 사용자가 거동할 수 있도록 만든 4개의 포스트 및 베이스와, 페달을 이용하여 보트를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페달 및 기어박스와, 보트의 방향성을 위한 핸들 및 조타장치와, 페달의 조작력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보트를 움직여주는 스크류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는 공기 주입구(38)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양끝이 뾰족한 길다란 일자형태로 되어 있다.
2개의 튜브(11)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격자형으로 2개 이상으로 조립하여 만든 폴(10)에 의해 그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튜브(11)의 윗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밴드형 고리(22)가 부착되고, 이곳에 폴(10)이 차례로 끼워져 튜브(11)와 일체식으로 나란하게 조립된다.
이렇게 밴드형 고리(22)를 통해 조립되는 튜브(11)와 폴(10)은 서로 간의 결착력을 유지하면서 후술하는 튜브 고정용 밴드(24)에 의해 나란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튜브 고정용 밴드(24)가 발휘하는 장력이 소멸되면 튜브(11)는 밴드형 고리(22)로 조립되어 있는 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3)는 적어도 4개의 포스트(1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격자형 구조로 조립되어 있는 폴(10)의 각 모서리, 즉 폴과 폴 간의 연결부위에서 수직으로 일정한 높이의 포스트(12)가 연장 설치되고, 각 포스트(12)를 지지점으로 하여 베이스(13)가 받쳐지게 되며, 이로써 양쪽 2개의 튜브(11)와 격자형 구조로 조립되는 폴(10)에 의해 안정된 일체식의 부유수단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3)는 전후 두개의 지지바(13a)상에 양쪽으로 분할하여 부유성의 판넬(13b)을 조립하고 양 지지바(13a)의 중간을 연결하도록 프레임(15)을 결합시킨 구조로서, 베이스(13)와 포스트(12) 간의 결합은 베이스(13)가 보트의 전후 방향 각 한쌍의 포스트(12)에 양단이 관통되도록 지지바(13a)를 결합하는 구조이며, 포스트(12)에는 일정간격마다 홀(36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높이 조절용 핀(26a)을 체결하는 위치에 따라 베이스(13) 전체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여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3)의 뒷쪽으로는 의자(14)가 설치되고, 그 앞쪽으로 핸들(16)이 위치되며, 의자(14)에 앉았을 때 발이 위치되는 곳에 일체형의 페달(18)과 기어박스(19)가 위치된다.
이때의 핸들(16)과 페달(18) 및 기어박스(19)는 베이스(13)의 폭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베이스(13)의 지지바(13a)에 결합된 프레임(15)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한다.
베이스(13)의 의자(14) 앞쪽으로는 상기 프레임(15)과 판넬(13b)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페달(18)을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자(14)의 건너편에는 동일한 의자를 대칭되게 하나 더 설치하거나 또는 판넬(13b)사이로 별도의 보조 의자(14') 등을 설치하여 2명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13)의 중앙, 프레임(15)에는 별도의 간이 포스트(34)가 조립되어 있으며, 이곳에 파라솔 등을 설치하여 햇빛 등을 가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파고가 높게 이는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춰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튜브(11)의 안쪽에는 튜브(11)를 받쳐줄 수 있는 곡판형태의 튜브 받침판(25)이 배치되고, 양편의 튜브(11)를 감싸면서 결속시킬 수 있는 튜브 고정용 밴드(24)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 받침판(25)은 각각의 포스트(12)마다 1개씩 배속되어 튜브(11)의 안쪽을 밀착 지지할 수 있게 되며, 튜브 고정용 밴드(24)는 포스트(12)에 부착되어 있는 한쪽의 클립형 고리(37)에서부터 연장되어 한쪽 튜브(11)의 바깥면과 밑면을 감싸면서 베이스(13)의 폭중간에 결합되는 프레임(15)의 상면을 경유하게 되고, 계속해서 다른 한쪽 튜브(11)의 밑면과 바깥면을 감싸면서 다른 한쪽의 클립형 고리(37)에 연결되므로서, 소정의 장력을 이용하여 양쪽의 튜브(11)를 각 튜브 받침판(25)과 함께 견고히 잡아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튜브 고정용 밴드(24)에는 체결과 해제가 가능한 버클(23)이 갖추어져 있으며, 버클(23)의 체결상태를 풀거나 완전히 해체시키게 되면, 튜브 고정용 밴드(24)의 길이를 정상적인 사용상태보다 길게 늘릴 수 있으며 또 튜브(11)를 프리(Free)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바람이 세게 불고 파고가 높아지는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버클(23)을 풀어서 튜브 고정용 밴드(24)의 길이를 늘려주거나 완전 해체시키면, 이와 동시에 밴드에 의한 구속력이 해제된 양쪽의 튜브(11)는 이점쇄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자체 부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떠오르는 동시에 수위가 높아지면서 이와 상대적으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는 낮아지게 되므로, 보트의 자세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버클(23)을 재차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면 튜브(11)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보트의 조향과 가동을 위한 핸들(16), 조타장치(17) 및 스크류장치(20)를 보여준다.
상기 핸들(16)은 베이스(13)의 프레임(15)상에 수직자세로 설치되고, 상기 조타장치(17)는 좌우측 폴(1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축(32)을 이용하여 지지되며, 상기 스크류장치(20)는 조타장치(17)의 후미에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핸들(16)의 하단에 있는 와이어 브라켓(40)과 조타장치용 지지대(39)의 선단에 체결 조립되어 있는 조향블럭(31) 사이에는 "X"자형 구조의 조향용 와이어(30)가 연결되고, 핸들(16)을 좌우측으로 조작하면 각 조향용 와이어(30)가 교대로 견인되면서 스크류장치(20)의 방향이 좌우측으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향블럭(31)은 조타장치용 지지대(39)상에서 선택적인 볼트 또는 핀 체결구조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조향블럭(31)의 위치조절은 스크류장치(20)의 좌우측 전환폭을 변화시켜 보트의 전체적인 선회반경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핸들(16) 및 기어박스(19)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와 기어박스(19)로부터 스크류장치(20)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핸들(16)은 프레임(15)상에 관통 조립되는 핸들 지지대(29)의 각홀(36b)과 이곳에 체결되는 높이 조절용 핀(26b)을 통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19)는 프레임(15)상에 관통 조립되는 2개의 나란한 기어박스 지지대(35)가 갖는 홀(36c)과 이곳에 체결되는 "ㄷ"자형의 높이 조절용 클립(27)을 통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용 클립(27)이 체결되는 프레임(15)상의 측면에는 마그네틱(28)이 부착되어 클립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되므로, 페달(18)의 조작으로 인해 유동이 심한 기어박스(19) 및 이것을 체결하고 있는 높이 조절용 클립(27)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19)의 출력측과 스크류장치(20)의 입력측 사이에는 프로펠라 샤프트의 일종인 전동용 샤프트(21)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동용 샤프트(21)에 의해 기어박스(19)와 스크류장치(20) 간의 높이차가 보상되면서 페달(18)의 조작에 따른 기어박스(19)로부터의 동력이 원활하게 스크류장치(20)까지 전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보트는 튜브의 수위를 간단한 튜브 고정용 밴드의 길이조작으로 가변시켜 보트 전체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안전성 측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베이스 전체의 높이나 의자 및 핸들 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여러 다양한 체형을 갖는 사용자, 특히 어린이나 여성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속도감을 유발하는 모터구동방식이 아니라 페달의 조작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과다한 속도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배제하면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2개의 튜브와 다수의 폴을 이용하여 보트 본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 관련한 경제성 측면에서 부담을 덜 수 있으며, 페달조작과 핸들조작만으로도 보트의 운행이 가능하여 운전 및 취급의 간편함으로 인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있으므로, 보다 폭넓은 이용자 층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레저용 보트는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이 있다.
1) 보트 전체를 받치고 있는 양쪽 튜브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튜브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파고가 높은 위급한 상황에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보트에 설치되는 의자나 기타 조종수단 및 구동수단인 핸들 및 페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의시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여건에 적합한 상태에서 핸들조작이나 페달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트의 사용과 관련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보트의 구동방식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페달구동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과속에 따른 위험이 존재하던 기존의 모터구동방식의 보트에 비해 안전성 및 취급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안전성 측면을 강조하여 보트의 이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보트를 이루고 있는 각 구성요소(포스트, 폴대)를 가벼운 재질의 것(알미늄 합금)을 사용하되 구조가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케이스를 마련하고 분해하여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지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격자형 구조의 폴(10)에 끼워져 조립되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측 2개의 튜브(11);
    상기 폴(10)의 각 모서리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4개의 포스트(12)에 의해 지지되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베이스(13) 및 이곳에 설치되는 의자(14);
    보트의 방향조종을 위해 의자(14)의 전방으로 베이스(13)상의 프레임(15)에 설치되는 핸들(16) 및 보트의 후미에 설치되는 조타장치(17);
    보트의 구동을 위해 의자(14)의 전방 아래쪽으로 베이스(13)상의 프레임(15)에 설치되는 페달(18) 및 기어박스(19);
    상기 기어박스(19)에서 발생된 동력을 받아 가동되면서 상기 조타장치(17)를 통해 방향전환이 가능한 스크류장치(20) 및 전동을 위한 전동용 샤프트(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1)는 다수의 밴드형 고리(22)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폴(10)과 나란하게 끼워지는 한편, 한쪽의 포스트(12)에서 양쪽의 튜브를 감싸는 동시에 베이스(13)의 저면 폭중간을 경유하면서 다른 한쪽의 포스트(12)까지 연장되고 길이조절을 위한 버클(23)을 갖는 튜브 고정용 밴드(24)와 폴(10)의 내측으로 마련되면서 곡면의 안착면을 이용하여 튜브의 안쪽면을 잡아줄 수 있는 적어도 좌우 2쌍의 튜브 받침판(2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1)는 튜브 고정용 밴드(24)의 버클(23)을 해제함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 양옆으로 수위가 높아지면서 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14), 핸들(14), 페달(18) 및 기어박스(19)를 포함하는 베이스(13) 전체는 각 포스트(12)상의 높이 조절용 핀(26a)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4)과 페달(18) 및 기어박스(19)는 베이스(13)상의 높이 조절용 핀(26b)과 높이 조절용 클립(27)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베이스(13)의 높이와는 별개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18) 및 기어박스(19)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용 클립(27)은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4)과 조타장치(17)는 조향력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핸들 지지대(29)의 하단과 조타장치(17)의 선단을 연결하는 "X"자형 배치구조의 조향용 와이어(30)와 이것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회동이 가능한 조향블럭(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블럭(31)은 조타장치(17)의 선단 지지축(32)상의 길이 조절용 핀(33)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조타장치(17)로부터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3)상에는 중앙에 파라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간이 포스트(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튜브(11) 상에 결합되는 격자형 구조의 폴(10)은 다수개를 조합하여 형성하되, 길이방향으로 양단을 끼움 결합한 조립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보트.
KR1020020028840A 2002-05-24 2002-05-24 레저용 보트 KR20030090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40A KR20030090952A (ko) 2002-05-24 2002-05-24 레저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40A KR20030090952A (ko) 2002-05-24 2002-05-24 레저용 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02U Division KR200287545Y1 (ko) 2002-05-24 2002-05-24 레저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952A true KR20030090952A (ko) 2003-12-01

Family

ID=3238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40A KR20030090952A (ko) 2002-05-24 2002-05-24 레저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95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09B1 (ko) * 2007-02-09 2008-09-09 신병철 휴대용 접이식 보트
WO2010080937A2 (en) * 2009-01-07 2010-07-15 Drummond Island Mold & Engineering, Inc. Articulated marine vehicle
KR101011706B1 (ko) * 2010-05-06 2011-02-01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자동급수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373817B1 (ko) * 2013-03-08 2014-03-11 구권회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
KR101378513B1 (ko) * 2012-03-09 2014-03-27 전진명 조립식 보트
KR101405121B1 (ko) * 2012-06-27 2014-07-0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레저용 보트
WO2016105569A1 (en) * 2014-12-23 2016-06-30 Schiller Sportsm Inc. Water bike
US9463857B1 (en) 2014-05-05 2016-10-11 Schiller Sports, Inc. Watercraft
KR20180084697A (ko) * 2018-07-06 2018-07-25 김재흥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20190001051U (ko) * 2017-10-25 2019-05-07 박한성 레져낚시용 수상보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620U (ko) * 1985-06-20 1987-02-20 안선기 보우트의 추진장치
KR940024682U (ko) * 1993-04-16 1994-11-17 김승영 자바라형 튜브 보트
US5413066A (en) * 1993-08-12 1995-05-09 Wotter Cycle, Inc. Pond boat
KR970001135A (ko) * 1996-10-29 1997-01-21 홍봉식 다기능 경량 보우트(boat)
KR200211997Y1 (ko) * 2000-09-06 2001-02-01 지근배 레포츠용 보트
US6345582B1 (en) * 2000-06-09 2002-02-12 Edward A. Dudink Outrigger apparatus
KR200273215Y1 (ko) * 2002-01-31 2002-04-20 진기환 수상이동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620U (ko) * 1985-06-20 1987-02-20 안선기 보우트의 추진장치
KR940024682U (ko) * 1993-04-16 1994-11-17 김승영 자바라형 튜브 보트
US5413066A (en) * 1993-08-12 1995-05-09 Wotter Cycle, Inc. Pond boat
KR970001135A (ko) * 1996-10-29 1997-01-21 홍봉식 다기능 경량 보우트(boat)
US6345582B1 (en) * 2000-06-09 2002-02-12 Edward A. Dudink Outrigger apparatus
KR200211997Y1 (ko) * 2000-09-06 2001-02-01 지근배 레포츠용 보트
KR200273215Y1 (ko) * 2002-01-31 2002-04-20 진기환 수상이동구조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09B1 (ko) * 2007-02-09 2008-09-09 신병철 휴대용 접이식 보트
WO2010080937A2 (en) * 2009-01-07 2010-07-15 Drummond Island Mold & Engineering, Inc. Articulated marine vehicle
WO2010080937A3 (en) * 2009-01-07 2010-10-28 Drummond Island Mold & Engineering, Inc. Articulated marine vehicle
KR101011706B1 (ko) * 2010-05-06 2011-02-01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자동급수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378513B1 (ko) * 2012-03-09 2014-03-27 전진명 조립식 보트
KR101405121B1 (ko) * 2012-06-27 2014-07-0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레저용 보트
KR101373817B1 (ko) * 2013-03-08 2014-03-11 구권회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
US9463857B1 (en) 2014-05-05 2016-10-11 Schiller Sports, Inc. Watercraft
WO2016105569A1 (en) * 2014-12-23 2016-06-30 Schiller Sportsm Inc. Water bike
US9650109B2 (en) 2014-12-23 2017-05-16 Schiller Sports, Inc. Water bike
CN107249979A (zh) * 2014-12-23 2017-10-13 席勒运动公司 水上自行车
JP2018501152A (ja) * 2014-12-23 2018-01-18 シラー スポー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上バイク
US10046841B2 (en) 2014-12-23 2018-08-14 Schiller Sports, Inc. Water bike
KR20190001051U (ko) * 2017-10-25 2019-05-07 박한성 레져낚시용 수상보드
KR20180084697A (ko) * 2018-07-06 2018-07-25 김재흥 레저용 조립식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0952A (ko) 레저용 보트
AU2019236724B9 (en) Modular Play Set
ATE114568T1 (de) Motorrad mit vorderradantrieb und lenkung mit drehstab.
KR200287545Y1 (ko) 레저용 보트
KR20140107915A (ko) 전후방 분리 구조를 갖는 전동식 서핑보드
CA2088566A1 (en) Pedal boat
TW200510216A (en) Self propelled hydrofoil device
US6537077B1 (en) Training aid for skater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5385497A (en) Water exerciser
DE69519565D1 (de) Steuerbare schaukelvorrichtung
KR200458592Y1 (ko) 보트
US20040048525A1 (en) Watercycle for wet rider
EP0482038A1 (en) Wind propulsion unit particularly for life floats
KR10137381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
KR100421242B1 (ko) 다기능 보트
CN208389382U (zh) 一种装有led显示屏的玩具设备
KR200273215Y1 (ko) 수상이동구조물
JP2526104B2 (ja) テント
KR200141266Y1 (ko) 노를 사용치 아니하는 낚시용 고무보트
KR200233002Y1 (ko) 자체추진력을 갖는 방향타 연동 동력 수상스키
KR970004041Y1 (ko) 물놀이용 유희구
KR100337899B1 (ko) 실내 낚시용 낚싯배
FR2713493A1 (fr) Dispositif d'escalade.
WO2000059330A1 (en) A pvc inflatable umbrella
FR2502110A1 (fr) Dispositif motorise permettant un mode de propulsion mecanique pour flotteur de planche a voile a derive amov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