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690A - 식재 용기 - Google Patents

식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690A
KR20100061690A KR20107005886A KR20107005886A KR20100061690A KR 20100061690 A KR20100061690 A KR 20100061690A KR 20107005886 A KR20107005886 A KR 20107005886A KR 20107005886 A KR20107005886 A KR 20107005886A KR 20100061690 A KR20100061690 A KR 2010006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water
container
main body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0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287B1 (ko
Inventor
마사키 하시모토
히로노부 오타
노리오 가나야마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의 뿌리가 생장하여 뻗고자하는 뿌리 영역에 대하여 식재용수를 안정된 상태로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 이 뿌리 영역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하고, 또한 식물의 줄기나 잎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식재 용기를 제공한다. 식재용 용기 본체(1)가, 식물이 돌출하는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2)과, 식재용 공간(2)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용 저수부(8)를 구비하고, 흡수성 식재 바닥재가, 그 하부를 저수부(8) 내에 위치시켜서 식재용 공간(2) 내에 탑재된 상태로, 식재 바닥재에 의해 저수부(8) 내의 식재용수를 흡수하면서 식재하는 식재 용기에서, 식재 바닥재를 식재용 공간(2) 내에 탑재하는 탑재면(10)이, 개구부 측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식재 용기{PLAN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식재용 용기 본체가, 식물이 돌출하는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과, 이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용 저수부를 구비하고, 흡수성 식재 바닥재가, 그 하부를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시켜서 상기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된 상태로, 상기 식재 바닥재에 의해 상기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를 흡수하면서 식재하는 식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식재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 바닥벽(3), 및 그 바닥벽(3)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측벽(4, 5) 등에 의해, 식물 P가 돌출하는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2)을 형성하고, 또한 식재용 공간(2)의 앞면에 앞벽(7)을 설치하여, 식재용수 W를 저수하는 저수부(8)를 식재용 공간(2)의 하부에 형성한 식재 용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식재 용기에 의하면, 거의 수평인 바닥벽(3) 상에 흡수성 식재 바닥재 A를 탑재하고, 이 식재 바닥재 A에 의해 저수부(8) 내의 식재용수 W를 흡수하면서 식물 P를 식재하게 된다.
그러나, 도 3의 (b)에 나타낸 식재 용기에서는, 식재 바닥재 A가 거의 수평인 바닥벽(3) 상에 탑재되므로, 식재 바닥재 A의 하부는, 그 전체면에 걸쳐서 일정한 깊이의 식재용수 W 내에 침지하게 되어, 식물 P의 뿌리 R이 생장하여 자라나는 영역인 뿌리 영역(根圈)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식물 P는, 식재용수 W를 필요로 하지만, 식물 P의 뿌리 R도 호흡하고 있으므로, 뿌리 영역은, 실질적으로 식재용수 W 내에 침지하고 있지 않은 영역이 되고, 식재 바닥재 A의 크기에 비해, 뿌리 영역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회피하여, 뿌리 영역을 크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수부(8)를 얕게 하여 식재용수 W의 수위를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식재용수 W의 수위를 낮추면, 약간의 수위 변동에서도, 거기에 수반하여 식재 바닥재 A로의 급수가 불안정하게 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식재 바닥재 A로의 급수가 불충분하게 되어, 식물 P가 쉽게 시들 위험성도 있다.
이에 더하여, 식물 P의 줄기나 잎은, 일반적으로 위쪽을 향해 생장하고자 하는 성질이 있지만, 식재 바닥재 A의 앞면인 식재면 a가 수직면이 되기 쉽기 때문에, 식재면 a로부터 자라는 줄기나 잎에 큰 부하가 걸려서, 식물 P의 생장에 그다지 좋지 못한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목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물의 뿌리가 생장하여 뻗고자하는 뿌리 영역에 대하여 식재용수를 안정된 상태로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 뿌리 영역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하고, 또한 식물의 줄기나 잎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식재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식재용 용기 본체가, 식물이 돌출하는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과, 이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용 저수부를 구비하고, 흡수성 식재 바닥재가, 그 하부를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시켜서 상기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된 상태로, 상기 식재 바닥재에 의해 상기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를 흡수하면서 식재하는 식재 용기로서, 상기 식재 바닥재를 상기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하는 탑재면이, 상기 개구부 측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흡수성 식재 바닥재를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하는 탑재면이, 식재용 공간 앞면의 개구부 측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재용 공간 하부의 저수부에 식재용수를 저수한 상태로, 식재용 공간 내의 탑재면에 흡수성 식재 바닥재를 탑재하면, 이 흡수성 식재 바닥재는, 식재용 공간의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식재용수 내에 깊게 침지되고, 식재용 공간의 개구부 측이 식재용수에 약간만 침지되거나, 또는 식재용수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식재 바닥재는, 식재용 공간의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하방의 일부가 식재용수 내에 깊게 침지되고, 그 외의 부분은 식재용수 내에 얕게 침지되거나, 또는 침지되지 않게 되어, 식재 바닥재의 크기에 비해,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여 자라고자 하는 뿌리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면서, 또한 식재 바닥재로의 식재용수의 급수는, 식재용수로의 침지 부분으로부터 안정적이면서 확실하게 실행된다.
그리고, 식재 바닥재의 앞면인 식재면이 위쪽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되므로, 식물의 줄기나 잎에 걸리는 부하도 저감되어, 식물의 생장이 촉진된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낸 식재 용기에 의하면, 식재 바닥재 A의 앞면인 식재면 a가 앞벽(7)에 맞닿은 경우, 앞벽(7)의 상단 에지와 식재 바닥재 A 사이에 간극없이 밀접하기 때문에, 식재용수 W가, 앞벽(7)을 따라 외부로 적하되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의하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 바닥재 A의 식재면 a와 앞벽(7)의 상단 에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식재용수 W의 외부로의 적하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탑재면이, 상기 저수부의 바닥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식재 바닥재를 탑재하는 탑재면이, 저수부의 바닥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수부의 바닥벽을 경사지게 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현저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탑재면이, 상기 저수부의 바닥벽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의 탑재면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식재 바닥재를 탑재하는 탑재면이, 저수부의 바닥벽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의 탑재면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저수부의 바닥벽을 거의 수평인 바닥벽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 바닥벽과 일체 또는 별체의 탑재면 형성 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현저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탑재면 형성 부재를 바닥벽과 별체로 하는 경우에는, 복수 종류의 탑재면 형성 부재를 준비함으로써, 식재할 식물의 특성 등에 따라 식재 바닥재의 탑재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오버플로우용 배수구가, 상기 저수부에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오버플로용 배수구가, 저수부에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수부에 있어서의 식재용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용이하게 되어, 식재용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술한 작용 효과를 더 한층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개구부를 같은 방향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복수단으로 중첩한 상태로,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로부터 오버플로우한 식재용수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에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가, 식재용 공간의 개구부를 같은 방향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옹벽 등을 따라 용기 본체를 배치하는 경우, 원하는 높이까지 용기 본체를 복수단으로 적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를 복수단으로 중첩한 상태로,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의 배수구로부터 오버플로우한 식재용수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에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최상단의 식재 용기의 저수부에 충분한 식재용수를 공급해주면, 최상단의 식재 용기는 물론, 하방 단의 식재 용기의 저수부에도, 항상 일정 수위의 식재용수가 저수되고, 복수단으로 중첩한 모든 용기 본체에 있어서 식물을 양호하게 식재할 수 있다.
도 1은 식재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식재 용기를 상하에 중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식재 용기의 작용을 대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식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식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6은 실험 데이터와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재 용기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식재 용기는, 도 1, 도 2, 및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가로 방향으로 긴 용기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용기 본체(1)는, 식물 P를 식재하기 위한 식재용 공간(2)을 형성하도록, 바닥벽(3)과 이 바닥벽(3)의 3변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하나의 긴 측벽(4)과 2개의 짧은 측벽(5)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구분벽(6)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 구분벽(6)에 의해, 용기 본체(1)의 상면에 커버 부재(1a)를 탑재하여 장착한 상태로, 식재용 공간(2)이 합계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되고,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가 앞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1a)는, 필요에 따라 장착하는 것이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1)는, 또한 그 앞면에 상하 길이가 짧은 앞벽(7)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의 바닥벽(3), 긴 측벽(4), 짧은 측벽(5), 구분벽(6), 및 앞벽(7)이, 식재용수 W를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8)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저수부(8)도 구분벽(6)에 의해 합계 4개의 단위 저수부(8a)로 구획되어,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하부에 배치되고, 각 구분벽(6)과 긴 측벽(4)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각 단위 저수부(8a)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로(9)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펀지 등의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입방체,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형 등의 각종 형상의 식재 바닥재 A를,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 내에 탑재하는 탑재면(10)으로서의 바닥벽(3), 바꾸어 말하면, 각 단위 저수부(8a)의 바닥벽(3)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 측일 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경사각 α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바닥벽(3)에는, 저수부(8) 내에 위치하면서, 또한 좌우의 구분벽(6)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2개의 기둥형체(11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짧은 측벽(5)에는, 저수부(8)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기둥형체(12a)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바닥벽(3)에 돌출 설치된 기둥형체(11a)는, 저수부(8) 내에서의 식재용수 W를 일정량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용 배수구(11)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짧은 측벽(5)에 돌출 설치된 기둥형체(12a)는, 급수구(12)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구용 기둥형체(12a)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용기 본체(1)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분벽(6)의 후방에는, 관통 구멍(13a)을 가지는 통체(13)가, 바닥벽(3)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태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1)는, 식재용 공간(2)의 개구부를 같은 방향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구분벽(6)의 상측 에지가, 바닥벽(3)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진 상측 에지(6a)로 구성되며, 바닥벽(3)의 주위부에는 결합용 단부(段部)(3a)가 설치되고, 짧은 측벽(5)의 상측 에지에는, 기둥형체(12a)가 결합하는 요입부(凹入部)(1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를 상하로 중첩했을 때,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바닥벽(3)의 하면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구분벽(6)의 경사진 상측 에지(6a)에 맞닿고,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바닥벽(3)의 단부(3a)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부에 결합되고, 또한, 기둥형체(12a)가 요입부(14)에 결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상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부에는, 커버 부재(1a)가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 부재(1a)에는, 짧은 측벽(5)의 요입부(14)에 결합하는 볼록부(15)가 설치되고, 또한 호스용 가이드 부재(16)도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식재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식재 용기는, 용기 본체(1)를 하나만, 또는 용기 본체(1)와 커버 부재(1a)를 하나씩 사용하여 식재할 수도 있지만, 통상은, 복수의 용기 본체(1)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식재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용기 본체(1)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중첩하여 최상단의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부에 필요에 따라 커버 부재(1a)를 탑재하고, 최하단을 제외한 다른 용기 본체(1)의 기둥형체(11a)에 오버플로우용 배수구(11)를 뚫어서 형성하고,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 내에 시판중인 식재 바닥재 A를 수납하여 식물 P를 식재한다.
그 경우, 필요에 따라, 다수단으로 중첩한 용기 본체(1)의 모서리부에 앵글재(17)를 배치하고, 용기 본체(1)와 앵글재(17)를 적절한 연결구(18)에 의해 연결할 수도 있다.
식재용수 W의 급수는, 식재용 공간(2) 앞면의 개구부로부터 행할 수도 있고,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용기 본체(1)의 기둥형체(12a)에 급수구(12)를 뚫어서 형성하여, 호스 접속 도구(19)를 통하여 급수용 호스를 접속하여 행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최상단의 용기 본체(1)에 있어서, 최우측에 위치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하부의 단위 저수부(8a)에 급수되고, 그 후, 연통로(9)를 통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위 저수부(8a)에 식재용수 W가 차례로 급수된다. 식재용수 W가 바닥벽(3)으로부터 소정의 레벨까지 도달하면, 식재용수 W는, 배수구(11)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저수부(8)에 오버플로우하여 흘러내리고, 차례로 아래쪽으로 오버플로우하여, 최종적으로는, 모든 단위 저수부(8a)에 급수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각 용기 본체(1)의 통체(13)의 관통 구멍(13a)에 식재용수 양수용(揚水用) 호스 H를 삽입하여, 이 호스 H의 상단 개구부가 가이드 부재(16)에 의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예를 들면 최하단의 용기 본체(1)의 아래쪽에 배치된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에 저수된 식재용수 W를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호스 H를 통하여 최상단의 용기 본체(1)의 저수부(8)에 퍼올려서 순환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식재 바닥재 A가, 그 하부를 단위 저수부(8a) 내의 식재용수 W에 담근 상태로 탑재되므로, 각 식재 바닥재 A가 식재용수 W를 흡수하면서, 식물 P의 뿌리 R에 식재용수 W를 공급하여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식재 바닥재 A를 탑재하는 탑재면(10)으로서의 바닥벽(3)이,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 측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경사각 α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재 바닥재 A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식재용수 W 내에 침지되고, 개구부 측이 식재용수 W에 약간만 침지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식재용수 W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식물의 뿌리 R이 생장하여 뻗고자하는 뿌리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면서, 또한 이 뿌리 영역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식재용수 W가 공급되어 양호한 식물의 생육을 보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3의 (a)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식재 용기(이하, 「본 용기」라고 약칭함)와 도 3의 (b)에 나타낸 식재 용기(이하, 「비교 용기」라고 약칭함)를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 상태에 대하여 비교 실험을 행하였으므로, 그 실험 결과에 대하여 언급한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한 본 용기는, 오버플로우용 배수구의 높이가 14mm, 식재 바닥재 탑재면의 경사각 α가 14°,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의 양이 실측값으로 155ml이며, 비교 용기는, 오버플로우용 배수구의 높이가 13mm, 식재 바닥재 탑재면의 경사각 α가 0°,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의 양이 실측값으로 160ml였다.
또한, 실험에 사용한 식재 바닥재는, 보수성 충전재[피트모스(peat moss)], 우레탄프리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및 물을 도 6의 (a)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식물은, 밀리언벨(Million Bells)[꽃 색깔: 옐로우/가지과 칼리브라코아(Calibrachoa)속/산토리 플라워즈(주)의 등록상표], 사피니아(Surfinia)[꽃 색깔: 화이트/가지과 페튜니아(petunia)속/산토리 플라워즈(주)의 등록상표], 헤데라·피츠버그(Hedera Pittsburgh)의 3종류이며, 각 식물의 모종을 3호 사이즈의 식재 바닥재에 심어서 통상의 상태로 1개월간 식재하고, 그 후, 4호 사이즈의 식재 바닥재에 분갈이하고, 이 분갈이한 모종을 2개씩 본 용기와 비교 용기에 배치하고, 1일 2회의 비율로 급수를 행하고, 3주 후에 식재 바닥재의 표면에 발근(뿌리남, 發根)하고 있는 뿌리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 도 6의 (b)이며, 이 실험 결과로부터, 본 용기를 사용한 경우의 평균 발근수가, 비교 용기를 사용한 경우의 평균 발근수에 비하여, 밀리언벨에서 약 2.28배, 사피니아에서 약 3.99배, 헤데라·피츠버그에서 약 3.89배가 되어, 식물의 양호한 생육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식재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부품이나 동일한 작용을 가지는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한다.
(1) 앞의 실시예에서는, 식재 바닥재 A를 탑재하는 탑재면(10)을 저수부(8)의 바닥벽(3)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부(8)의 바닥벽(3)으로부터 위쪽으로 탑재면 형성 부재로서의 복수의 경사 리브(20)를 설치하여, 식재 바닥재 A를 탑재하는 탑재면(10)이,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 측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각 α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복수의 경사 리브(20)는, 바닥벽(3)과 일체화될 수도 있고, 혹은, 별체로 구성하여 바닥벽(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탑재면(10)의 경사각 α는, 저수부(8)에 있어서의 식재용수 W의 수위와 식재 바닥재 A의 크기, 및 식물 P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지만, 일반적으로는 14°전후가 적절하다. 그리고, 경사 리브(20)를 바닥벽(3)과는 별체로 하는 경우에는, 경사각 α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경사 리브(20)를 미리 준비해 두고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 앞의 실시예에서는, 오버플로우용 배수구(11)를 형성하는 기둥형체(11a)와 관통 구멍(13a)을 가지는 통체(13)를 구분벽(6)으로부터 이격시켜, 구분벽(6)의 후방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형체(11a)와 통체(13)를 구분벽(6)으로 일체화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기둥형체(11a)에 미리 오버플로우용 배수구(11)(도시하지 않음)를 개구된 상태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오버플로우용 배수구(11)가 불필요하면, 배수구(11)에 커버를 하게 된다.
(3)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구분벽(6)에 의해 식재용 공간(2)을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한 예를 나타냈으나, 구분벽(6)에 의해 식재용 공간(2)을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하지 않고, 단일 식재용 공간(2)을 가지는 상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구분벽(6)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획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수는 임의의 개수이며, 2개 이상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식재용 용기 본체가, 식물이 돌출하는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과, 이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용 저수부를 구비하고,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가, 그 하부를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시켜서 상기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된 상태로, 상기 식재 바닥재에 의해 상기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를 흡수하면서 식재하는 식재 용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식재용 용기 본체가, 식물이 돌출하는 개구부를 앞면에 가지는 식재용 공간과, 상기 식재용 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식재용수용 저수부(貯水部)를 구비하고, 흡수성 식재 바닥재가, 그 하부를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시켜서 상기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된 상태로, 상기 식재 바닥재에 의해 상기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를 흡수하면서 식재하는 식재 용기로서,
    상기 식재 바닥재를 상기 식재용 공간 내에 탑재하는 탑재면이, 상기 개구부 측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이, 상기 저수부의 바닥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이, 상기 저수부의 바닥벽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의 탑재면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 내의 식재용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오버플로우용 배수구가, 상기 저수부에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는, 식재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개구부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중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복수단(複數段)으로 중첩한 상태로,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로부터 오버플로우한 식재용수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에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재 용기.
KR1020107005886A 2007-08-21 2008-08-19 식재 용기 KR10150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4818A JP5474285B2 (ja) 2007-08-21 2007-08-21 植栽容器
JPJP-P-2007-214818 2007-08-21
PCT/JP2008/064736 WO2009025268A1 (ja) 2007-08-21 2008-08-19 植栽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690A true KR20100061690A (ko) 2010-06-08
KR101508287B1 KR101508287B1 (ko) 2015-04-06

Family

ID=4037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886A KR101508287B1 (ko) 2007-08-21 2008-08-19 식재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69991B2 (ko)
EP (1) EP2186395A4 (ko)
JP (1) JP5474285B2 (ko)
KR (1) KR101508287B1 (ko)
CN (1) CN101371643B (ko)
CA (1) CA2697006C (ko)
RU (1) RU2010110595A (ko)
TW (1) TWI361040B (ko)
WO (1) WO200902526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01A (ko) * 2011-01-17 2013-12-1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장치
KR101531658B1 (ko) * 2012-12-20 2015-06-25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용기
KR102134661B1 (ko) * 2019-11-25 2020-07-16 주식회사 태명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팜
KR20200088730A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태명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KR102163153B1 (ko) * 2020-05-20 2020-10-08 (주)비오시스 벽면 녹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0522A (ja) * 2009-03-23 2010-10-07 Toho Leo Co 緑化用の容器ユニットシステムと、その容器ユニットシステムを用いた緑化工法
JP5051191B2 (ja) * 2009-07-16 2012-10-17 貴幸 鈴木 灌水・排水機構を備えた植栽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壁面緑化工法
JP5319498B2 (ja) * 2009-11-10 2013-10-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TWI451836B (zh) * 2009-11-30 2014-09-11 Suntory Holdings Ltd 植栽容器
FR2960741B1 (fr) * 2010-06-03 2012-07-06 Lando Giuliani Receptacle adapte pour la culture de vegetaux
JP5842416B2 (ja) * 2011-06-30 2016-01-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CN102550321B (zh) * 2011-11-02 2014-01-29 上海茵能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自渗灌可搭接斜插组合式多功能绿墙装置
JP5778618B2 (ja) * 2012-04-24 2015-09-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具
JP5851324B2 (ja) * 2012-04-24 2016-02-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SG11201406880XA (en) * 2012-04-24 2014-11-27 Suntory Holdings Ltd Planting device
EP2894965B1 (en) * 2012-09-11 2019-03-27 Green House Effect Oy A plant wall and a method for recycling nutrients in the plant wall
JP5968197B2 (ja) * 2012-11-08 2016-08-1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JP6138461B2 (ja) * 2012-11-19 2017-05-31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装置
CN103039347B (zh) * 2012-12-10 2014-07-09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水耕植物栽培装置
CN103891540B (zh) * 2012-12-27 2016-05-11 三得利控股株式会社 植物栽培容器
CN103120115A (zh) * 2013-02-05 2013-05-29 上海交通大学 小根域基质无土栽培装置
US9462756B2 (en) * 2013-11-20 2016-10-11 Ming-Tsun LIN Modular device for raising seedling
GB2534411A (en) * 2015-01-23 2016-07-27 F H Brundle Living wall
CA2962149C (en) 2015-03-13 2019-11-26 Conwed Plastics Acquisition Company V Llc, Dba Filtrexx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portions of an existing structure with plants
CN118318520A (zh) 2016-04-18 2024-07-12 精密种植有限责任公司 用于相对于农田的农业植株进行定点施用的机具和施用单元
US9655309B1 (en) * 2016-05-31 2017-05-23 David R. Hall Rooftop greenhouse inside roof infrastructure
CN110049667B (zh) 2016-07-22 2023-03-03 精密种植有限责任公司 用于相对于农业植株进行定点施用的机具
WO2018115095A1 (de) * 2016-12-21 2018-06-28 Karin Peiter Integriertes agrarsystem und verfahren zur kultivierung von nutzpflanzen und nutztieren
DE102016015193B3 (de) * 2016-12-21 2018-03-01 Karin Peiter Agrareinheit, Agrarmodul, Agra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grarsystems
CN107646411A (zh) * 2017-10-17 2018-02-02 沈阳大学 一种植物根系生长实验装置
US10842300B2 (en) * 2018-04-19 2020-11-24 Carl Reid Mountable container
US10653075B1 (en) * 2018-12-07 2020-05-19 Timothy E. Joseph Modular grow chamber constructions and related growing systems and methods
GB2584812B (en) * 2019-02-08 2022-03-02 Alexander Sabin Richard Stackable modular planter
WO2020243672A1 (en) * 2019-05-31 2020-12-03 Greenwall Ventures, Llc Vertical growing system
CN110487585B (zh) * 2019-09-20 2024-03-22 宁波市鄞州区农业技术推广站 用于连作土壤病害机理研究的根际取样装置及应用方法
JP6799309B1 (ja) * 2020-08-05 2020-12-16 川田工業株式会社 植栽用容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工法
CN114456920A (zh) * 2021-09-27 2022-05-10 南京江岛环境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处理用功能菌剂的制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9829A (en) * 1973-09-26 1975-03-11 Thomas E Chiosso Teaching aid structure
GB2062582B (en) * 1979-08-15 1983-03-30 Platignum Ltd Stacking containers
GB2157737A (en) * 1984-04-19 1985-10-30 Audrey Jane Ryder Bricks and plant holder
US4798499A (en) * 1985-05-17 1989-01-17 Kensetsukiso Engineering Co., Ltd. Retaining panel
WO1988006400A1 (fr) * 1987-03-02 1988-09-07 Mielke Horst Guenter Element vegetal pour recouvrir de verdure des surfaces murales
JPH0670857B2 (ja) 1989-07-05 1994-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37836U (ko) * 1989-08-25 1991-04-12
JPH063050A (ja) 1992-06-16 1994-01-11 Nitto Chem Ind Co Ltd 粉体の乾燥方法
JPH063050U (ja) * 1992-06-22 1994-01-18 文榮 陳 小植物栽培用ハウジング
US5826375A (en) * 1996-06-07 1998-10-27 Black; Alan Modular planter system
AT409980B (de) * 1997-11-18 2002-12-27 Rausch Peter Korbartiger baustein
JP2000102324A (ja) 1998-09-30 2000-04-11 Nkk Corp 傾斜式植栽用ポット
JP3279538B2 (ja) * 1999-03-08 2002-04-30 福岡丸本株式会社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CN2376184Y (zh) * 1999-07-08 2000-05-03 刘海林 立体种植格板
JP2001069865A (ja) * 1999-09-01 2001-03-21 Toyo Bio Reactor Kk 植物の栽培装置
JP2004180575A (ja) * 2002-12-03 2004-07-02 Hideki Sakai 植物の育生装置
FR2851419B1 (fr) * 2003-02-25 2005-04-01 Prm Dispositif a reserve d'eau pour la culture de surface engazonnee
US7877927B2 (en) * 2004-12-16 2011-02-01 Mario Roy Modular aeroponic/hydroponic container mountable to a surface
WO2007043186A1 (ja) * 2005-10-12 2007-04-19 Nippon Chiko Kabushiki Kaisha 多目的植栽基盤
HUE031154T2 (en) * 2006-01-23 2017-06-28 Quizcamp-Fabrico E Comercio Produtos Alimentares S A Modular tank system
US20090000189A1 (en) * 2007-06-27 2009-01-01 Alan Black Modular planter system
FR2951906B1 (fr) * 2009-10-30 2012-07-13 Santos Jose Dos Dispositif pour un agencement vertical ou incline de culture hors sol de vegetaux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01A (ko) * 2011-01-17 2013-12-1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장치
KR101531658B1 (ko) * 2012-12-20 2015-06-25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용기
KR20200088730A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태명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KR102134661B1 (ko) * 2019-11-25 2020-07-16 주식회사 태명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팜
KR102163153B1 (ko) * 2020-05-20 2020-10-08 (주)비오시스 벽면 녹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1040B (en) 2012-04-01
KR101508287B1 (ko) 2015-04-06
CA2697006A1 (en) 2009-02-26
JP5474285B2 (ja) 2014-04-16
CN101371643B (zh) 2015-05-20
TW200934374A (en) 2009-08-16
WO2009025268A1 (ja) 2009-02-26
CN101371643A (zh) 2009-02-25
RU2010110595A (ru) 2011-09-27
CA2697006C (en) 2015-11-24
EP2186395A1 (en) 2010-05-19
EP2186395A4 (en) 2015-03-18
US20110036008A1 (en) 2011-02-17
JP2009045015A (ja) 2009-03-05
US9769991B2 (en)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690A (ko) 식재 용기
EP2084957B1 (en) Planting container
JP5319498B2 (ja) 植栽容器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1774647B1 (ko) 화분용 급수통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JP4898161B2 (ja) 植木鉢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KR20150141217A (ko) 식물 액자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JP2006230394A (ja) 自動給水機能付鉢カバーにも転用できる植木鉢
EP2018804A1 (en) Jardinière
JP2013252150A (ja) 植栽容器
CN201585307U (zh) 自动给水花盘
JP2017042068A (ja) プランター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JP4977306B2 (ja) 植物栽培容器への自動給水装置及び自動給水システム
KR102249825B1 (ko) 화분
KR200317083Y1 (ko) 급수통 부착화분
KR102109776B1 (ko)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KR200420128Y1 (ko)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JP4851893B2 (ja) 植栽容器
JP2001000058A (ja) 自動給水式花壇形成用設備
EP0036916A1 (en) Means for watering and/or liquid feeding plants in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