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105A -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105A
KR20100061105A KR1020080119998A KR20080119998A KR20100061105A KR 20100061105 A KR20100061105 A KR 20100061105A KR 1020080119998 A KR1020080119998 A KR 1020080119998A KR 20080119998 A KR20080119998 A KR 20080119998A KR 20100061105 A KR20100061105 A KR 2010006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ing member
electronic device
fixing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312B1 (ko
Inventor
김호수
백정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312B1/ko
Priority to US12/608,448 priority patent/US7927158B2/en
Publication of KR2010006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에 있어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대면한 상태로 유동하는 접점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절곡 연장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의 단부에 간섭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접점 부재를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한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의 단부에 간섭되어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접촉 단자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접촉 단자는 SMD 공정을 통해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접속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자 기기, 단말, 접촉 단자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CONTACT TERMINAL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폰, 차량용 네비게이션,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기기의 부가 장치 접속에 이용되는 접촉 단자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폰, 차량용 네비게이션,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메모리 등의 부가 장치나 전자 기기 상호 간의 접속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전자 기기와 부가 장치 사이에, 또는 전자 기기 사이에서 통신 회선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기기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저장된 정보의 상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셀룰러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은 특히 휴대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부가 장치들을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접속시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들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도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팩을 구비하게 된다. 배터리 팩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착탈식으로 제공되어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셀룰러 폰의 경우, 사용자 는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카드라 불리워지는 사용자 식별 모듈을 휴대하고 있다면,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도 SIM 카드 접속이 가능한 셀룰러 폰이라면 어떠한 폰을 이용해서도 통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 팩, SIM 카드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제공되는 구성물을 이하에서는 모두 '부가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부가 장치들의 접속을 위하여,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들을 구비하게 되는데, 커넥터들은 또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접촉 단자를 구비하게 된다. 배터리 팩 등, 접속되는 구성물에 따라서는 외형적으로 커넥터의 형태는 없고, 접촉 단자들만 노출된 상태로 전자 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셀룰러 폰과 같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자 기기에 제공되는 배터리 팩 접속을 위한 접촉 단자를 통해 종래의 접촉 단자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접촉 단자(100)는 그 일부분만 전자 기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전자 기기의 내부에서는 별도의 연결 부재(133)를 통해 회로 기판(103)에 제공되는 소켓(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접촉 단자(100)는 금속 판재를 절삭 가공하거나 다이캐스팅과 같은 주조의 공정을 통해 제작되고, 서로 대면하게 형성된 고정 부재(101), 접점 부재(11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부재(101)와 접점 부재(113)에는 각각 접속 돌기 들(115a, 11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101)에는 결합편(111)들이 형성되어 전자 기기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접속 돌기 중, 제1의 접속 돌기(115a)는 상기 접점 부재(100)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고정 부재(101)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제2의 접속 돌기(115b)는 상기 고정 부재(101)의 일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접속 돌기(115a)는 부가 장치의 접촉단에 제공되는 단자들과 접촉되며, 상기 제2 접속 돌기(115b)는 전자 기기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133)에 접촉된다. 상기 제1, 제2 접속 돌기(115a, 115b)는 각각 상기 접촉 단자(10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13)와 상기 연결 부재(133)에 각각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편(111)들은 상기 고정 부재(101)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전자 기기 케이스(11)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 돌기(115a)를 노출시키는 개구의 양측에는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편(111)의 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접촉 단자(100)가 설치되면, 초음파 융착 등의 공법으로 상기 돌기의 형상을 리벳의 머리 형상으로 변형시켜, 상기 결합편(111)을 전자 기기 케이스(11)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단자(100)는 지지 부재(1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2)는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 부재(101)와 접점 부재(11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부재(10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접점 부재(113)는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13)와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으며, 피로 누적에 의해 상기 접촉 단자(100)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촉 단자들은 제작 후, 제품에 조립하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즉, 금속성 재질의 고정 부재, 접점 부재 외에 탄성체 재질의 지지 부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의 조립 공정이 요구되고, 접촉 단자를 전자 기기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초음파 융착 공정 등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제조 비용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촉 단자는 접점 부재가 고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접속 돌기가 전자 기기의 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제품의 불량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배터리 팩으로부터 회로 기판에 이르기까지, 접촉 단자, 연결 부재, 소켓을 경유해야 하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들 간의 접속 손실로 인한 배터리 팩 전력의 소모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전자 기기 제조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접촉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과 변형의 위험을 감소시켜 제품의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는 접촉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한, 본 발명은 부가 장치로부터 회로 기판에 이르기까지 경유해야 하는 구성물들의 수를 줄여 구성물들 간의 접촉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접촉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에 있어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대면한 상태로 유동하는 접점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절곡 연장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의 단부에 간섭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접점 부재를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한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의 단부에 간섭되어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접촉 단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접촉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점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점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부재와 접점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하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점 돌기의 일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곡선 부분이 선택적으로 마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점 부재는 상기 접점 돌기의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되는 보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 부재를 구비하는 접촉 단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점 돌기의 일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곡선 부분이 선택적으로 마찰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 부재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상기의 접촉 단자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부재가 전자 기기 내부의 회로 기판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접점 돌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에 부가 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접점 돌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부가 장치에 접촉되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로 후퇴하여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 단자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부재와 접점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할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접점 부재에 마찰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하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점 돌기의 일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곡선 부분이 선택적으로 마찰하게 된다.
여기서, '부가 장치'라 함은, 전자 기기 본체를 제외한 주변 기기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 SIM 카드 등의 구성물 또한 포함하는 것임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접촉 단자는 표면 실장 장비(surface mounting device; SMD)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 부재나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접촉 단자가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므로, 구성물들 간에 접속 손실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한 부재와 지지 부재가 접속 부재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므로, 접속 부재의 과도한 돌출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접촉 단자(200)는 고정 부재(201), 접점 부재(202), 제한 부재(203)를 구비하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20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 단자(200)는 배터리 팩 접속을 위한 구성으로 예시되어 설명될 것이나, SIM 카드 접속을 위한 단자, 셀룰러 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컴퓨터의 USB 커넥터 등 전자 기기와 전자 기기, 전자 기기와 부가 장치의 접속을 위한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한다.
상기 접촉 단자(200)는 금속성 판재(plate)를 절삭 가공하거나 다이캐스팅과 같은 주조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으로 제작된 별도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SMD 공정을 통해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부재(201)는 상기 접촉 단자(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면서 전자 기기의 케이스(21; 도 6에 도시됨) 내부에서 회로 기판(27)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201)가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27)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01)를 고정하는 것은 상기 회로 기판(27)에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를 도포한 후 상기 고정 부재(201)를 상기 회로 기판(27)에 밀착시킨 상태로 솔더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SMD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접점 부재(202)는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 부재(201)에 대면하게 배치된다. 상기 접점 부재(202)는 그 일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더 멀어지게 돌출된 형상의 접점 돌기(22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접촉 단자(200)는 상기 접점 부재(202)를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접촉 단자(200)의 대부분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접점 돌기(221)의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21)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전자 기기에 배터리 팩(25)이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 팩(25)의 전원 단자(23)가 상기 접점 돌기(221)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접점 돌기(221)는 일정 정도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로 후퇴하게 되며, 상기 접촉 단자(200)가 제공하는 탄성력은 상기 접점 돌기(221)를 상기 전원 단자(23)에 접촉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점 부재(202)의 양면 중에서 상기 배터리 팩(25)에 대면하는 면을 '외측면'이라 칭하고, 상기 고정 부재(201)에 대면하는 면을 '내측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접촉 단자(200)는 금속성 판재를 가공한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접점 부재(202), 구체적으로 상기 접점 돌기(221)의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한 부재(203)는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연장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고정 부재(201)에 대면하게 절곡된다. 이때, 상기 제한 부재(203)의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202)의 단부를 감싸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점 부재(202)가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멀어지게 유동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된다. 즉, 상기 접촉 단자(200)는 상기 접점 부재(202)를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한 부재(203)는 상기 접점 부재(202)가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라면, 상기 접촉 단자(20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점 부재(202)는 상기 제한 돌기(203)의 단부에 간섭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팩(25)이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21)에 장착되면, 상기 접점 부재(202)는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접점 부재(202)가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피로가 누적되어 상기 접촉 단자(200)가 영구변형될 수 있다. 영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단자(200)는 지지 부재(204)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부재(204)는 상기 고정 부재(201)와 접점 부재(202) 사이에 배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연장된 예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4)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한 쌍이 직선 부분들이 각각 상기 고정 부재(201)로부터 연장되며 곡선 부분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4)의 곡선 부분은 상기 접점 돌기(202)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접점 부재(202)가 상기 케이스(21)의 내측으로 후퇴한 때, 상기 접 점 돌기(202)의 내측면 경사진 부분에 마찰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팩(25)이 상기 전자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204)는 상기 접점 돌기(221)가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 부재(201)에 근접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접점 돌기(221)가 상기 배터리 팩(25)의 전원 단자(23)에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25)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 돌기(221)가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2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204)의 곡선 부분이 상기 접점 돌기(221)를 밀어 올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접점 돌기(221)의 양 측단에는 각각 보호 부재(2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 부재(223)는 상기 지지 부재(204)의 일부분, 구체적으로 곡선 부분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팩(25)이 장착되어 상기 접점 부재(202)가 후퇴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204)에도 외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상기 보호 부재(223)는 상기 지지 부재(204)가 변형되지 않도록 감싸게 설치된 것이다.
이로써, 부가 장치가 장착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 접점 부재(202)가 상기 고정 부재(201)에 근접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부재(204)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보호 부재(223)로 감싸 상기 지지 부재(20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접촉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촉 단자가 전자 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촉 단자가 전자 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접촉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촉 단자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접촉 단자가 전자 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Claims (11)

  1.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에 있어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대면한 상태로 유동하는 접점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절곡 연장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의 단부에 간섭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접점 부재를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한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접점 부재의 단부에 간섭되어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점 돌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부재와 접점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하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점 돌기의 일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곡선 부분이 선택적으로 마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부재는,
    상기 접점 돌기의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되는 보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점 돌기의 일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곡선 부분이 선택적으로 마찰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 부재에 의해 감싸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전자 기기 내부의 회로 기판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접점 돌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부가 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접점 돌기가 상기 전자 기기의 부가 장치에 접촉되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로 후퇴하여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하게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부재와 접점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할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접점 부재에 마찰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근접하게 유동하는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점 돌기의 일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곡선 부분이 선택적으로 마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의 배터리 팩이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원 단자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단자.
KR1020080119998A 2008-11-28 2008-11-28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KR10152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998A KR101524312B1 (ko) 2008-11-28 2008-11-28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US12/608,448 US7927158B2 (en) 2008-11-28 2009-10-29 Contact terminal fo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998A KR101524312B1 (ko) 2008-11-28 2008-11-28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105A true KR20100061105A (ko) 2010-06-07
KR101524312B1 KR101524312B1 (ko) 2015-05-29

Family

ID=4222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998A KR101524312B1 (ko) 2008-11-28 2008-11-28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27158B2 (ko)
KR (1) KR101524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707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84924B1 (ko) * 2021-08-26 2023-01-06 에코캡 주식회사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어스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430B2 (en) * 2010-02-03 2012-10-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tact
EP2363919B1 (en) * 2010-02-22 2012-07-04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01950872A (zh) * 2010-09-21 2011-01-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插座电极定位夹
US8206188B1 (en) * 2010-12-28 2012-06-2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terminal
DE102011080645A1 (de) 2011-08-09 2013-02-14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kontaktfeder, elektrische federkontakteinrichtung sowie elektrische kontaktzone
CN102496796A (zh) * 2011-12-07 2012-06-13 惠州硕贝德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其制作方法
JP5488844B2 (ja) * 2012-01-17 2014-05-14 Smk株式会社 圧接型コネクタ
JP2013149454A (ja) * 2012-01-19 2013-08-01 Molex Inc 端子及びコネクタ
JP2014170726A (ja)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WO2018120801A1 (zh) * 2016-12-28 2018-07-05 歌尔股份有限公司 连接弹片、扬声器单体及电子设备
DE102021129065A1 (de) 2021-11-09 2023-05-11 Metz Connect Tech Gmbh Leiterplattenanschlussklem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822B2 (ja) * 2000-11-29 2003-09-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
TWM252150U (en) * 2003-07-11 2004-12-01 Hon Hai Prec Ind Co Ltd Audio jack connector
DE102004008447A1 (de) * 2004-02-19 2005-09-08 Abb Patent Gmbh Federkraftklemme
KR100662339B1 (ko) * 2004-07-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
US7510448B2 (en) * 2006-10-06 2009-03-31 Abb Patent Gmbh Clamping connection, connecting terminal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DE102006049773B4 (de) * 2006-10-21 2009-01-08 Abb Ag Modulares Installationsschaltgerät
KR200435949Y1 (ko) * 2006-12-22 2007-03-23 주식회사 디지웨이브 휴대폰용 배터리 접속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707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84924B1 (ko) * 2021-08-26 2023-01-06 에코캡 주식회사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어스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6855A1 (en) 2010-06-03
US7927158B2 (en) 2011-04-19
KR101524312B1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105A (ko)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JPH10289760A (ja) 金属シェルの接続手段
KR101139489B1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WO2007000814A1 (ja) コネクタ、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US800010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function
US9401568B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KR20150122518A (ko) 베터리 팩
CN102082330A (zh) 接地弹片及应用该接地弹片的便携式电子装置
JP2005019305A (ja) コネクタ
EP1096757B1 (en) Earphone jack holding device
JP5246735B2 (ja) 防水端子構造
JP3122429B2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CN107611571B (zh) 弹性件、功能组件及移动终端
JP6389441B2 (ja) 電子機器
JP688416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タブ端子
US20100075526A1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TWI328987B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6079965A (ja) 携帯電話用コネクタ
JP612868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398159B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JP2014143889A (ja) グロメット
CN110890650A (zh) 卡托、卡座结构以及电子设备
CN217036082U (zh) USB连接器和随身WiFi
JP4198126B2 (ja)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