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928A -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928A
KR20100058928A KR1020080117518A KR20080117518A KR20100058928A KR 20100058928 A KR20100058928 A KR 20100058928A KR 1020080117518 A KR1020080117518 A KR 1020080117518A KR 20080117518 A KR20080117518 A KR 20080117518A KR 20100058928 A KR20100058928 A KR 20100058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dhesive
expandable
laye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953B1 (ko
Inventor
장혁수
김종구
조흥구
김귀창
Original Assignee
장혁수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혁수
Priority to KR102008011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9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butyl or halobuty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지닌 점착물질을 조성한 후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반고체상의 점착성질을 가지는 수팽창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근접되거나 또는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침되며, 일정 두께와 크기의 그물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매쉬망과;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또 하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조성된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타측면 또는 다른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점착에 의한 양면 부착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일측면을 바탕면에 부착한 뒤 타측면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후속공정에 따라 부착되는 방근시트 또는 방수층 보호재 등에 별도의 접착제 처리 공정없이 방수시트가 가지는 자체의 점착력에 의해 부착이 용이하도록 제조된 것이며, 매쉬망은 점착물질로 구성된 방수시트의 지지층 역할을 하며, 특히, 시공 후 보행 또는 콘크리트 타설 압력 등에 의해 점착층이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합벽구간 시공 시 슬러리 월 및 토류벽 등 흙막이 벽체에 못 또는 앵커 등에 의해 고정되어 방수시트의 쳐짐 방지를 위한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후속 콘크리트 타설 시 매쉬망 하부의 점착층을 방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팽창물질을 함유한 점착층 표면에 이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층을 도포코팅함으로써, 수분이 함유된 바탕면 부착 시에도 조기 팽창을 방지하는 기능을 지닌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자체 점착력에 의해 부착되는 양면 부착이 용이한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 시공 후 보행 또는 콘크리트 타설 압력 등에 의해 점착층이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합벽구간 시공 시 슬러리 월 및 토류벽 등 흙막이 벽체에 못 또는 앵커 등에 의해 고정되어 방수시트의 쳐짐 방지를 위한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메쉬망이 하게 되며, 후속 콘크리트 타설 시 매쉬망 하부의 점착층을 방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팽창물질을 함유한 점착층 표면에 이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층을 코팅함으로써, 수분이 함유된 바탕면 부착 시에도 조기 팽창을 방지하는 기능을 지닌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 등 방수 바탕면 , 시트간 연결 부위 등에서 유기용제 사용량이 높은 프라이머 및 접착제 처리 공정, 다이옥신 등이 발생되는 가열 용융공정 없이 시트가 지닌 자체점착력에 의해 부착되게 하므로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친 환경적 특성을 지닌 방수제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팽창기능을 지닌 반 고체상의 점착 물질은 방수층 형성 이후 손상이 발생된 경우 손상부위로 유입된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므로서 결과적으로 손상된 공간을 복원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팽창에 의한 손상복원 기능은 점착물질에 하중이 없는 상황에서 팽창이 자유롭게 이루어 질 경우 내부 밀도가 낮아져 복원에 의한 방수 기능이 반감되는 반면 , 압밀구조 즉 팽창성 점착 물질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물체의 하중에 의해 압밀된 상황에서 팽창될 경우 압박에 의한 상대적 내부 밀도가 높아져 그 효과가 크게 발휘된다.
즉, 점착물질의 시공과정에서 바탕면 함유수분 등에 의한 조기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방수층 시공 이후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 또는 토사의 되메우기 등에 의한 압밀구조가 이루어지기 이전 우수 등에 의해 조기 팽창이 이루어 질 경우 상대적 압밀저하로 인해 팽창복원 능력이 반감되게 된다.
또한, 점착물질은 반 고체상의 갤(gel)형상을 유지하고 있는데, 바탕면 도포 이후 후속공정에 따른 보행, 자재 적치, 콘크리트 타설, 되메우기 등의 충격 및 하중에 의해 방수층이 부분적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위는 적정 두께를 확보치 못해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점착 물질은 바탕면 도포 이후 후속 공정 등을 위한 보행 시 점착 물질의 묻어남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별도의 고체상의 시트를 덧붙이게 되는데, 방수 이후 상부에 화단 조성을 목적으로 방수층 상부에 방근 시트 등을 덧 대어 시공할 경우, 또는 외벽의 경우 되메우기 시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을 지닌 방수보호층을 부착하는 경우 , 고체상의 시트로 인해 부착을 위한 접착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비용 소모 및 공기의 연장이 발생된다.
특히, 팽창성 점착물질을 합벽구간 적용 시 점착물질을 장기간 노출 시키게 되는데 조기팽창 및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합벽구간에서의 방수 시공과정을 보면, 방수 시공 이전 우선적으로 지하 흙막이벽 표면에 형성된 굴곡 및 요철 표면을 평활하기위해 모르터를 바르거나, 시멘트 패널을 전면에 고정하여 평면작업을 시행한다. 이후, 토사측으로 발생되는 지하수로부터 조기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고체상의 시트를 못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뒤 반고체상의 점착 팽창성 물질을 도포한다. 이후 철근 고정단계에서 또는 이후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점착물질을 보호하기 위해 격자형 등의 매쉬를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한 시공 방법은 첫째, 매쉬층이 돌출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자갈 등 골재 등에 막혀 시멘트 및 모래가 충진되지 못해 점착층과 타설콘크리트와의 공극을 형성하므로서, 누수 경로를 제공하며, 둘째, 철근 배근 과정, 거푸집 설치과정, 콘크리트 타설 시까지의 시차 공간내에 우수 등으로 인해 물과 방수층이 접촉되어 조기 팽창이 이루어지므로서 시공 이후 물이 침투할 경우 팽창압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수팽창에 의한 방수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멘트 및 패널 등을 이용한 평활 작업 시 비용 소모 및 공기의 지연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한편, 점착물질을 도포 한 뒤 이를 보호하기 위해 고체상의 방수 시트를 현장에서 부착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기 위해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질 아스팔트 보호재로서의 제1방수층(1)과, 개질 아스팔트로된 제2방수층(2), 아스팔트 점착제로 된 제3방수층(3) 및 이형지(4)로 된 시트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제1방수층(1)은 아스팔트 시트 또는 아스팔트를 함침시킨 부직포 시트 등의 표면에 상기 제2방수층(2)의 조성물은 아스팔트, 프로세스오일 합성고무(스티렌 부타엔 스티렌) 탄산칼슘 듕 충진재, 수용성 합성고무 등을 투입교반 및 분산하면서 가교결합시킨 개질 아스팔트층과 상기 제3방수층(3)은 상기 2방수층에 수용성 에멀젼 , 유성분산제, 벤토나이트 등을 혼합하여 가교결합시키고, 상기한 제2방수층(2)에 도포하여 시트화 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개선된 시트도 벤토나이트등이 함유된 팽창층이 노출된 구조로서 조기 팽창의 문제점을 해소치 못하고 있으며, 특히 하중에 의한 점착층의 밀림 문제, 방근 시트 및 보호층 시공 시에도 별도의 접착 공정 등의 문제 등은 전혀 해결치 못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첫째 합벽구간은 물론 일반적인 외벽 방수구간에 있어서 , 조기 수화 팽창을 방지하므로서 시공 이후 수팽창물질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한 방수층을 제공하며, 특히, 시공과정에서 파손으로 인해 물이 침투하여 수팽창물질이 팽창하더라도 점착성 수팽창물질의 내부조직은 충분한 밀도가 유지되게 하여 수팽창효과를 최대한 유지시키 수 있는 방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반고체상의 점착물질을 지지하는 중심재 역할 및 상부 하중 등에 의해 점착물질의 밀림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지진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 있다. 또한 양면 자착기능을 유지시켜 별도의 접착제 처리없이 방근시트 및 보호층을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방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벽구간에서의 불규칙한 벽면에 방수시공 시 균일한 표면을 제공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골재 충격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조기 팽창이 방지되면서도, 시트의 구성요소인 격자형의 매쉬망 표층부까지 방수물질이 충진되게 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 시 골재등의 걸림에 의한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평면 시공 시에도 어느 한 곳에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매쉬망의 지지력에 의해 최소한의 방수층 단면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하여 방수성능이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점착물질을 조성한 후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점착성질을 가지는 수팽창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근접되거나 또는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침되며, 일정 두께와 크기의 그물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매쉬망과; 기 수팽창 방수층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또 하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조성된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과; 기 어느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와; 기 수팽창 방수층의 타측면 또는 다른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쉬망이 수팽창 방수층의 표면까지 함침되거나 표면 상부면까지 돌출 시킨 후 점착성 보호층이 일치하는 선까지 함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점착물질을 조성한 후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점착성질을 가지는 수팽창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근접되거나 또는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침되며, 일정 두께와 크기의 그물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매쉬망과;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또 하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조성된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타측면 또는 다른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필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쉬망이 수팽창 방수층의 표면까지 함침되거나 표면 상부면까지 돌출 시킨 후 점착성 보호층이 일치하는 선까지 함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제1항에 의한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의 제1이형지 또는 제2이형지를 제거하고 합벽구간 또는 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하여 평탄면이 형성되게 하되, 매쉬망이 수팽창 방수층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돌출된 경우, 구조체 표면의 반대편에 매쉬망이 위치되도록 배치하여 앵커볼트 또는 못으로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와 구조체 표면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분말상 또는 액상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이격공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방수시트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를 이용한 합벽구간 방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 충진재는, 모래, 토사, 레미탈,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물질과 이 분말물질에 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액상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를 이용한 합벽구간 방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수팽창 방수층의 양측면에 부착된 점착성 보호층이 합벽구간의 벽면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되고, 점착성 보호층은 매쉬망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방수시트가 쳐지는 문제가 해결되며, 측벽의 수직시공 뿐만 아니라 바닥면과 같은 수평시공에서 방수시트의 어느 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여 두께가 감소한다 하더라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매쉬망의 그물눈 사이에 충진된 또는 매쉬망이 점착성 보호층에 함침된 상태이므로 최소한의 방수층이 확보될 수 있어 방수성능이 보존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방수층 형성 이후 콘크리트 타설 시 까지 발생되는 시차 내에 우수 등이 침입하더라도 점착층에 의해 팽창부까지 물의 침입이 저지됨으로써, 조기 팽창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평면부 시공에 있어서 구조체 표면에 물기가 있더라도 점착층에 의해 팽창부까지 물의 침입이 억제되므로 후속 콘크리트의 타설 및 되메우기등에 의한 압밀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방수제의 부착 시에도 프라이머 도포 및 접착제 처리 공정없이 자체 점착력에 의해 바탕면은 물론 시트 이음부간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방수층 시공 이후 방근 시트 및 보호층 시공 시에도 자체점착력에 의해 부착하게 하므로써, 대기 오염물질을 전혀 발생 시키지 않는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그리고, 합벽구간의 불규칙한 표면에 방수시트를 균일하게 고정하여 평탄면 을 구성함으로써, 합벽구간과 방수시트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시키고, 이 이격공간에 충진재를 충진시켜 충진재와 콘크리트 사이에서 방수시트가 압밀되게 하여 점착성 보호층사이에 존재하는 수팽창 방수층의 내부밀도를 더욱 높여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벽구간 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110)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으나, 그 구조적인 차이점은 하술하게 될 제1실시예의 제2이형지(105)를 필름지로 대체하는 것에 있으므로,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제2실시예의 구조 및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반고체상의 유동성을 지니는 점착물질을 조성한다.
상기 점착물질은 통상적으로 방수시트에 사용되는 점착물질이며, 상기한 조 성물에 따른 점착물의 점도는 그 구성비에 따라 약간의 차이점이 있지만, 통상적인 조성비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수팽창 방수층(101)은 상기 점착물질에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점착물질이 혼합되어 조성되므로 점착성질을 갖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점착물질은 벤토나이트 등 팽창성물질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벤토나이트 등 팽창성물질이 물과 접촉하여 팽창하게 될 경우 유동적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점도를 지닌 점착물질과 벤토나이트 및 고흡수성 수지 등 수분 흡수를 통한 팽창구조를 지닌 물질이 혼합되어야 한다.
즉, 점착물질보다 벤토나이트 등 팽창성 물질이 많을 경우 수팽창 성질은 향상되어 벤토나이트의 팽창성질은 증가하나, 자칫 점착물질이 벤토나이트를 구속하는 구속력이 저하됨으로써, 조직이 파단되어 방수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벤토나이트보다 점착물질이 많을 경우 수팽창성질이 저하되어 물의 침투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벤토나이트가 팽창할 경우 내부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벤토나이트의 조성비율을 점착물질보다 높여 최대한의 팽창 효과를 높이되, 수팽창 방수층(101)의 양측면에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102)을 구성함으로써, 일차적인 물의 침투를 점착성 보호층(102)이 차단하고, 점착성 보호층(102)이 손상되어 물이 침투할 경우 비로소 수팽창 방수층(101)의 벤토나이트가 물에 반응하여 팽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 수팽창물질의 노출에 따른 조기 팽창 및 과다 팽창으로 인한 조직 이탈의 문제를 해결 하였다.
한편, 본 시트의 구조는 일정한 두께를 지닌 매쉬망(106) 내부에 팽창성 점착물질을 충진한 후 상기한 양측면에 점착성 보호층(102)을 양면 또는 어느 한 면에 도포한 뒤 양면에 제1, 제2이형지(104)(105) 또는 제1이형지(104)와 필름지를 부착하여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쉬망(10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101) 내부에 함침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방수층(101)이 매쉬망(106)의 그물눈(106a)에 충진된 구조이며, 매쉬망(106)의 표면을 가까스로 덮는 정도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매쉬망(106) 또는 방수층(10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비팽창성질을 가지는 점착성 보호층(102)이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보호층(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구조일 수도 있으나, 필름지와 같이 얇은 형태의 구조를 갖을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매쉬망(106)이 점착성 보호층(102)에 부착될 때에는 점착성 보호층(102)이 점착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매쉬망(106)이 수팽창 방수층(101)과 보호층(102) 양측에 함침된 구조를 갖을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팽창 방수층(101)에만 함침된 구조를 갖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팽창 방수층(101)의 수팽창 물질은 매쉬망(106)의 그물눈(106a)으로 돌출되어 표면으로 노출되거나 보호층(102)에 밀착된 구조를 갖게 된 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수팽창 방수층(101)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점착성 보호층(102)이 조성되고, 이 점착성 보호층(102)에 수팽창 방수층(101)에서 돌출된 매쉬망(106)이 부착되더라도 점착성 보호층(102)이 표면에 부착되는 구조이므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형지(104)와 제2이형지(105)가 각각 일측면과 타측면에 부착되어 물류관리 및 작업 시 점착성 보호층(102)에 이물질로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수팽창 방수층(101)의 양측면에 상기한 바와 같이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102)이 모두 형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수층의 오염 및 조기팽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서 제2이형지(105)를 필름지(도시하지 않음)로 대체한 구성 및 구조이다.
제2실시예에서의 필름지는 바닥면과 같은 수평시공에 있어서 보행 및 모르터 타설 등에 의한 하중이 방수시트(110)로 작용할 때, 비교적 물성이 연질성으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102) 및 수팽창 방수층(101)이 하중에 의하여 눌려지므로 자칫 방수시트(110)의 단면이 얇아져 방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나, 매쉬망(106)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그 그물눈(106a)에는 일정량의 점착성 보호층(102) 및 수팽창 방수층(101)이 함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최소한의 방수층(101)이 항상 존재할 수 있게 되므로 최소한의 방수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 트(110)의 작용 및 효과를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110)를 이용한 합벽구간 방수공법을 설명하면서 병행설명하기로 한다.
합벽구간의 측벽은 CIP, 슬러리월 등 지하 연속벽, 토류벽 등의 표면(10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구조 상 다양한 요철 및 불규칙한 표면을 가질 수밖에 없다.
종래에는 이러한 부위를 몰탈로 충진하거나 패널을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평판면을 형성한 후 방수층을 형성하므로 비용이 증가하였고, 또한, 철근 배근 및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그 충격으로 방수층이 찢겨지거나 파손되었으며, 방수층에 격자형 매쉬를 고정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골재 등이 매쉬에 걸릴 경우 시멘트 및 모래 등이 밀실하게 충진되지 못하여 공극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공극의 밀실한 충진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 시 골재 등에 의한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110)를 합벽구간 등의 불규칙 표면(107)에 시공함으로써, 공극의 긴밀한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합벽구간의 방수공법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즉, 상기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110)의 제2이형지(105)를 제거하고 합벽구간 또는 구조체의 표면(107)에 부착하여 평탄면이 형성되게 하되, 매쉬망(106)이 구조체 표면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배치하여 앵커볼트 또는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매쉬망(106)이 구조체 표면(107)의 반대편에 위치한다는 것은 철근이 배근되는 영역에 인접하다는 것을 말하며, 콘크리트(108) 타설을 하게 될 경우 콘크리트 골재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도 4와 같이 배치된다는 것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110)가 구조체의 표면(107)에 비교적 균일하게 평탄면을 구성하게 되면, 상기 방수시트(110)와 구조체 표면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분말상 또는 액상의 충진재(109)를 충진하여 이격공간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109)는, 모래, 토사, 레미탈,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물질과 이 분말물질에 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액상물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충진재(109)에 포함된 수분에 의하여 충분히 압밀해지며, 압밀해진 충진재(109)는 방수시트(110)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때, 방수시트(110)의 점착성 보호층(102)과 수팽창 방수층(101)은 매쉬망(106)의 그물눈(106a)을 통하여 일부 돌출되려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110)가 고정된 후에는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콘크리트(109)가 타설될 수 있도록 거푸집(111)을 제작하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철근을 배근시킬 수도 있으며, 무근상태로 콘크리트(108)를 타설시킬 수도 있으므로 철근 배근작업은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거푸집(111)이 설치 완료되면, 방수시트(110)와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수행하는바, 이때, 상기 콘크리트(108)의 골재가 방수시트(110)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충격이 가해지는 방수시트(110)의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망(106)이 함침되는 구조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골재에 의한 충격은 매쉬망(106)에 전달되므로 매쉬망(106)이 콘크리트(108) 골재로부터 점착성 보호층(102) 및 수팽창 방수시트(110)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수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벽구간 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시공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수팽창 방수층 102, 103 : 점착성 보호층
104, 105 : 제1, 제2이형지
106 : 매쉬망 107 : 합벽구간의 측벽 표면
108 : 콘크리트 109 : 충진재110 :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Claims (6)

  1. SBS 등이 함유된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점착물질을 조성한 후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점착성질을 가지는 수팽창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근접되거나 또는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침되며, 일정 두께와 크기의 그물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매쉬망과;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또 하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SBS 등이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조성된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타측면 또는 다른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망이 수팽창 방수층의 표면까지 함침되거나 표면 상부면까지 돌출 시킨 후 점착성 보호층이 일치하는 선까지 함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3. SBS 등이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점착물질을 조성한 후 벤토나이트 또는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점착성질을 가지는 수팽창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근접되거나 또는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침되며, 일정 두께와 크기의 그물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매쉬망과;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또 하나의 방수층을 형성하며, SBS 등이 고무아스팔트 또는 부틸고무에 프로세스 오일과 연화제를 첨가하여 조성된 비팽창성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보호층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수팽창 방수층의 타측면 또는 다른 하나의 점착성 보호층에 부착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필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망이 수팽창 방수층의 표면까지 함침되거나 표면 상부면까지 돌출 시킨 후 점착성 보호층이 일치하는 선까지 함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5. 제1항에 의한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의 제1이형지 또는 제2이형지를 제거하 고 흙막이벽 표면에 부착하되되, 매쉬망이 수팽창 방수층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돌출된 경우, 흙막이벽 표면의 반대편에 매쉬망이 위치되도록 배치하여 앵커볼트 또는 못으로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와 흙막이벽 표면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분말상 또는 액상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이격공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방수시트와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를 이용한 합벽구간 방수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모래, 토사, 레미탈,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물질 또는 이 분말물질에 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액상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를 이용한 합벽구간 방수공법.
KR1020080117518A 2008-11-25 2008-11-25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09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18A KR101098953B1 (ko) 2008-11-25 2008-11-25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18A KR101098953B1 (ko) 2008-11-25 2008-11-25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928A true KR20100058928A (ko) 2010-06-04
KR101098953B1 KR101098953B1 (ko) 2011-12-28

Family

ID=4236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518A KR101098953B1 (ko) 2008-11-25 2008-11-25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9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21B1 (ko) * 2010-07-12 2011-03-15 (주)광호엔지니어링 접착성 방수방근 시트
KR20160125617A (ko) * 2015-04-22 2016-11-01 김해남 내진설계를 위한 부유공법
KR102072401B1 (ko) * 2019-07-04 2020-02-03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KR20200024978A (ko) * 2018-08-28 2020-03-10 선구시엠(주)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KR20200097229A (ko) * 2018-08-28 2020-08-18 선구시엠(주)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6788B (zh) * 2018-02-06 2020-09-29 中石油燃料油有限责任公司研究院 一种温拌抗紫外老化沥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585A (ja) 2000-06-08 2001-12-18 Bando Chem Ind Ltd 粘着層付き防水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21B1 (ko) * 2010-07-12 2011-03-15 (주)광호엔지니어링 접착성 방수방근 시트
KR20160125617A (ko) * 2015-04-22 2016-11-01 김해남 내진설계를 위한 부유공법
KR20200024978A (ko) * 2018-08-28 2020-03-10 선구시엠(주)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KR20200097229A (ko) * 2018-08-28 2020-08-18 선구시엠(주)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KR102072401B1 (ko) * 2019-07-04 2020-02-03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953B1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953B1 (ko)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5178357A (zh) 一种基坑明挖条件下预制装配式地下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68076B1 (ko)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66495B1 (ko) 방수겸용 지하합성구조체
CA3082812A1 (en) Below grade, blind side,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bentonite sheet waterproofing membrane, and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114802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KR10195845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KR101168688B1 (ko)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방수재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978890B1 (ko)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KR101380782B1 (ko) 친환경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5038281B2 (ja) 止水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並びに、遮水部材のアンカー貫通部を止水する方法
JP4987802B2 (ja) 覆工裏緩衝材層を施工するトンネル工法
US7963082B1 (en) Concrete vapor barrier integrity system and method
KR20070103813A (ko)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8727B1 (ko)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JPH1136352A (ja) 地下構造物の防水工法
KR200420567Y1 (ko) 방수층 보호시트
JPH11190019A (ja) 土質改良人工地盤の造成方法
JP3150612B2 (ja) 低層建築物用基礎構造
JPH0410262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パネルを用いる地下室壁の構築方法
KR102614901B1 (ko)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JP2002030674A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板組立体、軽量地盤構築方法、基礎構築方法、及び軽量盛土施工方法
JP2010001718A (ja) 浅層地盤改良工法
KR101029261B1 (ko) 숏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JP2969607B1 (ja) 山留め杭引き抜きを伴う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余堀無し構築方法及びこの工法に使用するパネ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