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229A -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229A
KR20200097229A KR1020200097922A KR20200097922A KR20200097229A KR 20200097229 A KR20200097229 A KR 20200097229A KR 1020200097922 A KR1020200097922 A KR 1020200097922A KR 20200097922 A KR20200097922 A KR 20200097922A KR 20200097229 A KR20200097229 A KR 20200097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ized asphalt
thickness
nonwoven fabric
water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935B1 (ko
Inventor
최태웅
Original Assignee
선구시엠(주)
(주)리폼이엔씨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선구산업(주)
주식회사 화인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0140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0256B1/ko
Application filed by 선구시엠(주), (주)리폼이엔씨,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선구산업(주), 주식회사 화인건영 filed Critical 선구시엠(주)
Priority to KR102020009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9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상·하부 층에 각각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침투·앵커 결착되면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로부터 각기 연장·돌출된 교면복합방수시트로서 상부 층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는 아스콘과의 매개부착재의 역할과 함께 일체화 거동을 이루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의 두께는 25~35%가 되게 함으로써 아스콘의 예리한 쇄석에 의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관통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큰 강성과 비탄성을 갖는 교면복합방수시트가 형성되어 대형차량의 충격력으로 인한 늘어난 길이가 최소화되어 그 잔류길이의 꺾임이 방지됨과 동시에 경계면의 분리가 방지되면서 일체로 거동되게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Waterproof sheet of bridge deck and method constructing it on the bridge deck}
본 발명은 교면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상·하부 층에 각각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침투·앵커 결착되면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로부터 각기 연장·돌출된 교면복합방수시트로서 상부 층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는 아스콘과의 매개부착재의 역할과 함께 일체화 거동을 이루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의 두께는 25~35%가 되게 함으로써 아스콘의 예리한 쇄석에 의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관통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큰 강성과 비탄성을 갖는 교면복합방수시트가 형성되어 대형차량의 충격력(동하중 포함)으로 인한 늘어난 길이가 최소화되어 그 잔류길이의 꺾임이 방지됨과 동시에 경계면의 분리가 방지되면서 일체 거동된다.
이와 같이 교면복합방수시트의 상·하부 층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각각 침투·앵커 결착됨으로써 2중의 방수층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강성이 크고 비탄성이 되어 충격하중으로 인해 잔류길이가 최소화되면서 쇄석에 의해 찍힘이 방지되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교량교면은 슬래브 콘크리트의 표면이다.
교면콘크리트는 물리, 화학적인 열화로 인하여 크랙이 발생된다.
크랙은 철근 부식의 주범이다. 부식된 철근은 점차로 그 부피가 팽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괴에 이르게 됨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 및 그 안전성을 해치게 된다. 교량교면은 철근부식이 진행되면 붕괴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지므로 특히 완벽한 방수가 요구되는 곳이다.
교면에 미세크랙이 발생되는 원인으로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반복된 신축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하절기의 온도상승과 동절기의 동결융해 작용의 반복이 그것이다. 연속보구조형태의 교량인 경우 지점부에 부 모멘트구간이 존재하므로 부 모멘트구간의 인장력이 교면크랙의 원인이다. 교면에 미세크랙이 발생된 상태에서 동절기의 염화칼슘이 이에 침투되면 철근부식이 더욱 촉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절의 온도변화에 따른 반복된 신축이나 부 모멘트구간의 인장력 등은 불기피한 현상이므로 교면크랙역시 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교면방수는 우수나 산성비, 염화칼슘 등이 미세크랙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는 차단수단이다.
교면에 밀착된 차단수단은 교면의 미세크랙을 차단하는 것이긴 하지만 그 차단수단위에는 차단에 악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교면→차단수단→아스콘 포설」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아스콘에는 많은 쇄석이 혼합되어 있다. 아스콘의 기계다짐과정에서 예리한 쇄석이 차단수단을 관통하게 되면 방수기능이 상실된다. 차단수단은 예리한 쇄석에 의해 관통되지 않아야한다. 방수층인 차단수단이 관통되면 방수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이다.
또 차단수단은 상하 2개의 경계면을 갖는다.
상부 경계면은 차단수단의 상부와 아스콘과의 접면부이다.
하부 경계면은 차단수단의 하부와 콘크리트 바탕기재와의 접면부이다.
먼저, 상부 경계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아스콘 위에는 중량이 크고 속도가 큰 대형차량이 통행된다. 상부 경계면과 차단수단의 표면은 차량의 속도 및 차량중량에 의해 차단수단이 밀려서 말리지 않아야한다. 차단수단이 예각으로 말리게 되면 반복통행에 의해 차단수단이 찢어지기 때문이다. 차단수단의 탄성력이 클수록 밀리는 길이가 그만큼 커질 뿐, 다시 복원되지 않고, 늘어난 길이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탄성력이 크다 하더라도 차단수단의 복원공간이 없기 때문에 늘어난 길이가 예각으로 말리면서 꺾어지게 된다. 대형차량의 급제동 및 급출발로 인해 가해지는 강한 충격으로 인해 더 크게 밀리고 꺾어지게 된다.
이와 관련된 특허 제10-1032451호의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기술은 차단수단이 교면방수시트(100)이다(도1 참조). 교면방수시트구조는 중심보강재(110)의 상하에 이중 방수층(120)이 형성된 구조이다.
중심보강재(110)는 “고탄성 필름”이다. “고탄성 필름”의 상하에 자착식 이중 방수층(120)이 접착된 구조이다. 자착식 이중 방수층(120)은 상하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123)이다.
“고탄성 필름”의 상하부에 접착된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123)으로 이루어진 교면방수시트(100)는 일체로 거동함으로써 방수기능을 하게 된다.
교면방수시트(100)의 밀림현상이나 분리현상에 대해 살펴본다.
교면방수시트(100)의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은 아스콘과 경계면-1을 이루면서 “고탄성 필름”과 접착된다. 교면방수시트(100)의 하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3)은 콘크리트 바탕기재의 프라이머와 경계면-2를 이루면서 “고탄성 필름”과 접착된다.
교면방수시트(100)의 일체거동은 경계면-1, -2에서 밀리거나 분리되지 않고 거동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아스콘과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의 경계면-1에서 대형차량의 급제동이나 급출발로 인하여도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이 밀리거나 분리되지 않아야할 뿐 아니라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과 “고탄성 필름”사이에서도 밀리거나 분리되지 않아야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아스콘과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의 경계면-1사이, 그리고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과 “고탄성 필름”사이에는 완전일체로 결합된 상태이어야 한다.
그런데 경계면-1사이가 완전일체의 결합이라고 하더라도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에 전달된 충격인장력이 다시 “고탄성 필름”에 전달되므로 상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과 “고탄성 필름”사이의 접착력이 이 인장력을 감당해야하는 구조이다. “고탄성”은 작은 인장력에도 쉽게 늘어나게 된다. 늘어난 길이는 복원공간이 없으므로 제동거리의 끝점에서 잔류되고 누적된다. 누적된 길이가 꺾이면서 “고탄성 필름”이 찢어지게 되어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고탄성 필름”은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예리한 쇄석에 의해 관통되지 않을 만큼 강한 재질이 아니다. 그렇다고 “고탄성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없다. 교면방수시트가 롤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역시 아스콘의 예리한 쇄석의 찍힘을 보호할 수 있을 만큼 강한 재질이 아니다. 롤상 제작이므로 그 두께가 2~3mm를 초과하지 않는다.
그뿐 아니라 종래기술은 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을 중심으로 상하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123)이 접착된 구성이다.
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은 그 표면이 매끄럽다.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1)의 필름과의 접착력이 대형차량의 급정지 및 급출발로 인해 가해지는 강한 충격에 대하여 밀리거나 분리되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 경계면(경계면-2)에 대하여 살펴본다.
하부 경계면은 교면방수시트(100)의 하부 자착식 합성고무 방수층(123)과 콘크리트 바탕기재와의 접면부이다. 상부 경계면(경계면-1)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교면방수시트(100)의 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이 찢어지지 않는 한 콘크리트 바탕기재의 미세크랙으로의 침투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교면구조는 「아스콘→교면방수시트→콘크리트 바탕기재」로 된 단순한 구조이다. 교면구조가 단순하므로 일반적으로 “교면방수시트”의 특징에서만 차이가 난다. 본원도 이러한 틀 안에서 이루어진 발명이다.
⒜ 본 발명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와, 그리고 그 상부에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그 하부에는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침투·앵커 결착되면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로부터 각기 연장·돌출된 교면복합방수시트로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에 앵커·결착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는 아스콘과 접면되어 경계면-1을 이루고,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에 앵커·결착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는 콘크리트 바탕재의 프라이머와 접착되어 경계면-2를 이룰 뿐 아니라 큰 강성과 비탄성을 갖는 교면복합방수시트가 형성되어 대형차량의 충격력으로 인한 늘어난 길이가 최소화되어 그 잔류길이의 꺾임이 방지됨과 동시에 경계면-1, -2가 일체화됨으로써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교면복합방수시트가 일체 거동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또한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t)가 0.47mm-0.5mm인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 두께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두께(t)의 65~75%이고, 또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 두께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두께(t)의 25~35%가 되게 함으로써 아스콘의 예리한 쇄석에 의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관통이 방지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그뿐 아니라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에 침투·앵커 돌출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와 아스콘과의 접착이 일체화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교면복합방수시트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0)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0)를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하부 층에 각각 침투·앵커 결착된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이루어지게 하되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0.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 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가 되게 하고,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상부 층은 아스콘(50)과 부착되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침투·앵커 결착되며, 그리고 그 두께(t)의 하부 층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 두께(t)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로부터 연장·돌출되게 하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의 돌출두께는 압착장섬유 부직포(30)두께의 3.5~4.3배이고,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돌출두께는 압착장섬유 부직포(30)두께의 4.0~4.6배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이다(도2 참조).
여기에다,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의 침투·앵커 결착의 상부 층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의 하부 층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25~35%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이다.
또한, 도2에서와 같이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와, 그리고 상하부 층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로부터 상하 연장·돌출의 두께의 총합이 4.0~5.0mm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 상부로 연장·돌출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에 규사4~5호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이다.
본 발명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부에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를, 하부에는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된 구성이다.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그 나머지 두께(t)인 25~35%는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된다. 이에 대한 특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에 위와 같은 두께비율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를 침투·앵커 결착시킴으로써 비탄성 재질이 되어 대형차량의 충격력으로 인해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늘어난 잔류길이가 최소화되어 그 꺾임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경계면-1, -2가 완전일체로 결합된 상태라고 가정하고, 대형차량이 급제동되는 경우이다. 이때 대형차량의 바퀴의 급제동과 함께 아스콘(50)에 충격력이 교면복합방수시트(100)에 강한 인장력으로 적용된다.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에 의하여 교면복합방수시트(100)는 비탄성재질이 되고, 이 상태에서 충격인장력에 대하여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늘어남 및 잔류길이가 최소화됨으로써 그 꺾임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꺾임이 없다면 방수기능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방수내구성이 크다.
둘째,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부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하부에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됨으로써 방수층이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과는 달리 비탄성이 되어 대형차량의 충격력(동하중력 포함)으로 인해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늘어난 잔류길이가 최소화되어 그 꺾임이 방지되어 방수기능의 내구성이 크게 된다.
셋째,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부에 앵커 결착·돌출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가 아스콘(50)과의 결합매개체로 작용되어 그 경계면-1이 일체화되는 특징이 있다.
넷째,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하부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됨으로써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일체 거동될 뿐 아니라 그 상부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가 아스콘(50)과 일체화됨으로써 아스콘(50)과 더불어 일체화 거동되는 특징이 있다.
다섯째, 경계면-2의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0)는 그 점착성의 유동성이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거동에 순응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2에서와 같이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를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00)의 하부에 침투·앵커 결착시킨 후, 나머지 상부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를 침투·앵커 결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의 침투·앵커 결착의 상부 층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가, 그리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의 하부 층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25~35%가 바람직하다. 대형차량의 충격하중이 아스콘(50)과의 경계면-1, 즉 상부 층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직접 받는 곳이므로 상부 층의 침투·앵커 결착 두께가 하부 층의 침투·앵커 결착 두께보다 2배 이상 큰 것도 이 때문이다.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에 침투·앵커 결착된 상하부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및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연이은 각 돌출두께는 1.8~2.4mm가 바람직하다.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두께(t)와, 그리고 상하부 층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로부터 연장·돌출의 두께의 총합이 4.0~5.0mm가 바람직하다. 경계면-1, -2의 일체화를 위해서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롤 제작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 상부로 돌출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에 규사4~5호가 혼합된 도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콘(50)과 PE 압착장섬유(30)와의 접착력이 강화되게 하기 위해서다.
이와 같이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상·하부 층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각 침투·앵커 결착됨으로써 2중의 방수층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강성이 크고 비탄성이 되어 충격하중(동하중 포함)으로 인해 잔류길이가 최소화되면서 쇄석에 의해 찍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 본 발명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상·하부 층에 각각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침투·앵커 결착되면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로부터 각기 연장·돌출된 교면복합방수시트로서 상부 층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는 아스콘과의 매개부착재의 역할과 함께 일체화 거동을 이루되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의 침투·앵커 결착의 두께는 25~35%가 되게 함으로써 아스콘의 예리한 쇄석에 의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의 관통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큰 강성과 비탄성을 갖는 교면복합방수시트가 형성되어 대형차량의 충격력(동하중 포함)으로 인한 늘어난 길이가 최소화되어 그 잔류길이의 꺾임이 방지됨과 동시에 경계면의 분리가 방지되면서 일체 거동되는 효과가 있고,
⒝ 또한 교면복합방수시트의 상·하부 층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가 각각 침투·앵커 결착됨으로써 2중의 방수층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강성이 크고 비탄성이 되어 충격하중(동하중 포함)으로 인해 잔류길이가 최소화되면서 쇄석에 의해 찍힘이 방지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고탄성 필름의 중심보강재(110)를 중심으로 상하 이중 고무방수층(120)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종래기술의 교면방수시트의 단면도
[도2]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하부에 각각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교면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
[도3] 본 발명의 교면복합방수시트를 교면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아스콘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교면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
[도4] 본 발명의 교면복합방수시트의 상부 침투·앵커를 현장에서 실시하고, 그 위에 아스콘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실시 단면도
본 발명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와 같이 교면(70)에 프라이머(60)가 도포되며, 그 위에 방수시트 및 아스콘이 순차적으로 포설되는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0.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 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상부 층은 아스콘(50)과 부착되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침투·앵커 결착되며, 그리고 그 두께(t)의 하부 층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 두께(t)에 침투·앵커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및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에 의해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형성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에서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이형지를 떼고, 이를 교면(70)에 도포된 프라이머층(60)에 접착하여 경계면-2를 형성하고, 이때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가 위를 향하도록 교면(70)위에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위에 아스콘(50)을 포설하면서 경계면-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의 침투·앵커 결착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25~35%인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하부 두께(t)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로부터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및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돌출두께가 1.8~2.4mm인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단계에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 상부로 연장·돌출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에 규사4~5호가 혼합됨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이다.
한편, 도4에서와 같이 교면(70)에 프라이머(60)가 도포되며, 그 위에 방수시트 및 아스콘이 순차적으로 포설되는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0.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 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를 상하부 층으로 나누되 상부 층은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아직 도포되지 않는 상태이고, 하부 층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되면서 그 하부로 돌출·연장된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가 형성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에서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이형지를 떼고, 이를 교면(70)에 도포된 프라이머층(60)에 접착하여 경계면-2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부 층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를 도포·침투·앵커 결착하되 그 상부로 돌출·연장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가 형성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위에 아스콘(50)을 포설하면서 경계면-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25~35%이고, 상기 ⒞단계에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의 침투·앵커 결착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인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이다.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에는 이형지를,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에는 규사4~5호가 혼합됨으로써 롤 상으로 감을 때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규사5호의 크기는 0.4~0.5mm이다.
이와 같이 교면복합방수시트의 상·하부 층에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각 침투·앵커 결착됨으로써 2중의 방수층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강성이 크고 비탄성이 되어 충격하중으로 인해 잔류길이가 최소화되면서 쇄석에 의해 찍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100; 교면복합방수시트(100)
10;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0), 14; 앵커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18;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20;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0), 24;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 28; 앵커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
30;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
50; 아스콘(50)
60; 프라이머(60)
70; 교면(70)

Claims (8)

  1.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0)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0)를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상·하부 층에 각각 침투·앵커 결착된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이루어지게 하되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0.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 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가 되게 하고,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상부 층은 아스콘(50)과 부착되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침투·앵커 결착되며, 그리고 그 두께(t)의 하부 층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 두께(t)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로부터 연장·돌출되게 하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의 돌출두께는 압착장섬유 부직포(30)두께의 3.5~4.3배이고,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돌출두께는 압착장섬유 부직포(30)두께의 4.0~4.6배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의 침투·앵커 결착의 상부 층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의 하부 층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25~35%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와, 그리고 상하부 층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로부터 상하 연장·돌출의 두께의 총합이 4.0~5.0mm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 상부로 연장·돌출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에 규사4~5호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
  5. 교면(70)에 프라이머(60)가 도포되며, 그 위에 방수시트 및 아스콘이 순차적으로 포설되는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0.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 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상부 층은 아스콘(50)과 부착되는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가 침투·앵커 결착되며, 그리고 그 두께(t)의 하부 층은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가 침투·앵커 결착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 두께(t)에 침투·앵커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및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에 의해 교면복합방수시트(100)가 형성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에서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이형지를 떼고, 이를 교면(70)에 도포된 프라이머층(60)에 접착하여 경계면-2를 형성하고, 이때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가 위를 향하도록 교면(70)위에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교면복합방수시트(100)의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위에 아스콘(50)을 포설하면서 경계면-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의 침투·앵커 결착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65~75%이고,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의 침투·앵커 결착은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의 두께(t)의 25~35%인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상하부 두께(t)에 침투·앵커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4) 및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8)로부터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 및 돌출 고 점착성 고무화아스팔트(24)의 돌출두께가 1.8~2.4mm인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PE 압착장섬유 부직포(30) 상부로 연장·돌출된 돌출 수용성 고무화아스팔트(18)에 규사4~5호가 혼합됨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KR1020200097922A 2018-08-28 2020-08-05 교면복합방수시트 KR10246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922A KR102460935B1 (ko) 2018-08-28 2020-08-05 교면복합방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404A KR102200256B1 (ko) 2018-08-28 2018-08-28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KR1020200097922A KR102460935B1 (ko) 2018-08-28 2020-08-05 교면복합방수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404A Division KR102200256B1 (ko) 2018-08-28 2018-08-28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229A true KR20200097229A (ko) 2020-08-18
KR102460935B1 KR102460935B1 (ko) 2022-11-04

Family

ID=8410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922A KR102460935B1 (ko) 2018-08-28 2020-08-05 교면복합방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874B1 (ko) 2023-01-05 2024-02-14 (주)원창이엔지 표면개질된 카본블랙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단열·방수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345B1 (ko) * 1997-08-28 2000-05-01 이대우 복합형 방수쉬트
KR20100058928A (ko) * 2008-11-25 2010-06-04 장혁수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30023026A (ko) * 2011-08-25 2013-03-07 최태웅 Pe 장섬유 부직포에 아스팔트계 방수도막을 형성한 방수시트의 이음접합부를 맞댐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345B1 (ko) * 1997-08-28 2000-05-01 이대우 복합형 방수쉬트
KR20100058928A (ko) * 2008-11-25 2010-06-04 장혁수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30023026A (ko) * 2011-08-25 2013-03-07 최태웅 Pe 장섬유 부직포에 아스팔트계 방수도막을 형성한 방수시트의 이음접합부를 맞댐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935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460935B1 (ko) 교면복합방수시트
KR102200256B1 (ko) 교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시공방법
US7827928B2 (en) Tactile warning pad with shearable anchor members
KR100886158B1 (ko)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1479531B1 (ko)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CN201053168Y (zh) 多胎基防护式湿铺法双面自粘防水卷材
CN103951992A (zh) 一种湿铺防水卷材
CN103643804B (zh) 一种基于拱效应的锈蚀钢筋混凝土梁的修复加固方法
KR0179424B1 (ko) 복합 도막 방수 구조
CN109677024B (zh) 一种建筑用改性沥青防水卷材
CN212128052U (zh) 一种自粘聚合物改性沥青防水卷材
CN201065600Y (zh) 自粘高分子多功能复合防水卷材结构
KR20040018003A (ko) 방수시공방법
KR20180000397U (ko)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
JP2004036325A (ja) 舗装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構造体
KR200424749Y1 (ko) 접착식 교면방수부재
EP0217989A1 (en) Method of forming a non-skid-surfaced wood panel
JP4131322B2 (ja) 道路橋の構造
KR100771197B1 (ko) 방수 시트,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1256305B1 (ko) 건설 구조물의 방수 공법
JP2006200244A (ja) 弾性舗装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273320A (ja) ユニットタイル及びユニットタイルの施工構造
KR102045396B1 (ko) 콘크리트 익스팬션 조인트의 보수보강구조 및 보수보강공법
JP5873303B2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