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859A -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859A
KR20100057859A KR1020107006010A KR20107006010A KR20100057859A KR 20100057859 A KR20100057859 A KR 20100057859A KR 1020107006010 A KR1020107006010 A KR 1020107006010A KR 20107006010 A KR20107006010 A KR 20107006010A KR 20100057859 A KR20100057859 A KR 2010005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signal
coordinates
set top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803B1 (ko
Inventor
그레고리 윌리암 쿡
찰스 브라이언 헌트
로날드 더글라스 존슨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0005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어 방법은 터치 센싱 스크린으로부터 좌표들을 수신하는 셋톱 박스를 포함한다. 좌표들은 셋톱 박스를 제어하기 위해 해석되며, 해석된 좌표들에 따라 액션이 수행된다. 다른 제어 방법은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셋톱 박스를 포함한다. 제어 기능은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결정되고, 활성화된다. 제어 기능에 따라, 통신을 위한 신호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FOR SET TOP BOX}
본 출원은 2007년 9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994,186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홈 오락 장비(home entertainment equipment)의 원격 제어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션 센싱(motion sensing) 및/또는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셋톱 박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그 셋톱 박스 메뉴 및/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메뉴 및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제각기 셋톱 박스 내에 상주(resident)하거나, 수신, 포맷팅 및 저장되며 OSD(on screen display) 또는 그래픽 오버레이들로서 뷰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가이드 또는 메뉴 특징(feature)들은 물리적 버튼 누르기들에 의하거나 또는 예시적인 변조된 IR 링크를 통한 원격 제어 커맨드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가이드 및 메뉴는 TV 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의 OSD를 통한 사용자 인터액션을 위한 것이다.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뷰잉 거리들은 스크린이 사용자로부터 그 손이 닿는 거리를 명확히 넘어 물리적으로 이격될 것을 강제한다.
원격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비디오 모니터 또는 뷰잉 태블릿은 셋톱 박스 출력 신호들을 뷰잉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로컬 뷰어에게 제공되는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셋톱 박스 제어가 원격 디스플레이 뷰어에게 이용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arrangement)에서, 터치 감응식 뷰잉 디바이스(touch sensitive viewing device)는 셋톱 박스와 양방향 통신한다. 터치 감응식 뷰잉 디바이스는 사운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고 셋톱 박스 및 보조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터치 감응식 뷰잉 디바이스의 일시적인 모션 및/또는 공간 재배향은 셋톱 박스 및 보조 장비 내에서의 선택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원격 뷰잉 및 제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뷰잉 태블릿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구성들에서 이용되는 예시적인 시퀀스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그리드 디스플레이로서 배열된 전형적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
도 6a, 도 6b, 도 6c, 도 6d는 비틀리고, 기울어지고, 회전될 때의 도 2의 뷰잉 태블릿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셋톱 박스가 오디오 비디오(A/V)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구성(arrangement)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셋톱 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원격 A/V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비디오 모니터 또는 뷰잉 태블릿(30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명백히, 원격 뷰잉 디바이스(300)는 로컬 뷰어에게 제공되는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셋톱 박스의 제어를 허용해야 한다. 외부 네트워크 피드는 사용자 프로그램 선택을 위해 셋톱 박스(STB)(100)에 결합되는데, 동조, 복조, 디코딩 등을 야기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의 오디오 비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오디오 비디오 신호의 비디오 파트는 부가되거나 대체된 OSD 그래픽 오버레이를 가져서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10)에 결합하기 위한 출력 비디오 신호(101)를 형성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101)는 합성(composite)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컴포넌트 신호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합성 또는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들을 나타내는 디지털의 표현일 수 있다. OSD 또는 그래픽 오버레이는 예를 들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또는 셋톱 박스 메뉴를 나타낼 수 있다.
셋톱 박스(STB)(100)는 셋톱 박스(100)와 오디오 비디오(A/V) 인터페이스 컨버터(200) 간에 양방향 데이터 버스 신호(110)를 결합하는 별개의 정보 및 제어 채널 접속(104)을 또한 구비한다. 유리하게는, 가능하다면 그래픽 오버레이와 함께, 디스플레이(10)에 결합되는 출력 오디오 비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MPEG 4와 같은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 A/V 스트림을 형성하는 오디오 비디오 인터페이스 컨버터(200)에 또한 결합된다. 이 압축된 디지털 A/V 스트림은 안테나(225)가 IEEE 802.11과 같은 예시적인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예시적인 Wi-Fi 또는 디지털 무선 링크(226)를 이용하여 원격 뷰잉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도록 프로세싱 또는 변조된다. 뷰잉 디바이스(300)에서의 또는 뷰잉 디바이스(300) 내에서의 안테나(325)는 디지털 A/V 스트림(226)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10)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사운드있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가이드 및 셋톱 박스 메뉴 정보는 셋톱 박스 내에 상주 및/또는 생성되고, 물리적 버튼 누르기들 또는 원격 제어 커맨드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가이드 및 메뉴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의 OSD 또는 그래픽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 인터액션을 위한 것이다. 더욱이, 최적의 뷰잉 조건들은 디스플레이(10)의 스크린을 사용자로부터 그 손이 닿는 거리를 명확히 넘어 이격 위치시키는 특정한 최소 뷰잉 거리를 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 셋톱 박스 인터액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원격적으로 통상 수행되는데, 이는 스크린 상의 원치않는 손가락 자국들은 차치하더라도 STB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터치 제어 개념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마련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10)에 결합된 것과 동일할 수 있는 콘텐츠 또는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에 결합된 콘텐츠와는 상이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A/V 스트림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 원격 뷰잉 디바이스(300)를 보여주고 있다. 뷰잉 디바이스(300)는 터치 감응식 인터페이스(302)에 의해 오버레이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301)를 이용하여 터치에 의해 스크린 이미지의 한 부분을 선택하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논의한 바와 같이, 표준 셋톱 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제어를 할 수 없다.
사용자 뷰잉 디스플레이 스크린(301)은 손가락 또는 예시적인 스타일러스(310)에 의해 특정한 스크린 부분, 예를 들어 이미지(303)의 일부를 형성하는 OSD(305)의 섹션을 선택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뷰잉 태블릿(300)의 터치 감응식 인터페이스는 터치 감응식 영역(302) 내에서의 스크린 터치를 로케이팅하는 좌표들(315)을 생성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좌표들(315)은 안테나(325)와 인터페이스 컨버터(200)를 통해 뷰잉 태블릿(300)으로부터 STB(110) 소켓(104)으로 전송된다. 양방향 경로(201, 226)는 스크린(301) 상의 이미지(303)로서 뷰잉하기 위한 A/V 콘텐츠(101)를 제공하고, 또한 터치 좌표들 또는 제어 명령어들을 STB(100)에 결합하기 위한 역 채널을 제공한다. 터치 좌표 또는 좌표들은 현재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전형적으로는 OSD 또는 가이드 그리드로의 매핑 및 프로세싱을 위해 STB(100)에 입력된다. 뷰잉 태블릿(300)을 위한 이미지 매핑은 예를 들어 와이드 스크린 영화들을 뷰잉하기 위해 태블릿(300)의 종횡비 및 가능하다면 소스 이미지의 종횡비와 같은 특정한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a의 태블릿(300)은 현재의 TV 표준, 즉 16:9와 연관된 폭 대 높이(width to height)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 대 높이의 스크린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6a에서,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은 16:9의 예시적인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대략 90도 회전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물리적으로 다르게 배향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그 결과는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9:16의 비율이 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은 회전되거나(rotated), 비틀리거나(twisted), 젖혀지거나(turned) 또는 기울어질(tilted) 수 있는 물리적 사이즈의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된 디스플레이를 수용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기하학적 왜곡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300) 상에 소스 이미지 매핑에 대한 다양한 선택들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소스 이미지 매핑은 디스플레이(10)에 공급되는 신호(101)에 대한 교란없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미지 매핑의 제어 및 구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의 원격 뷰잉 공간(301)은 원격 뷰잉 디바이스로부터의 터치 좌표들이 해석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셋톱 박스 커맨드를 개시하도록 STB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간에 매핑된다. 해석된 커맨드는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OSD 정보로의 변경 또는 프로그램 선택에서의 변경이 될 수 있으며, 이 결과는 그 후에 디스플레이(10)와 원격 디스플레이(300) 모두에 통신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의 조작 및 배향은 또한 STB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간으로의 매핑의 본질적인 부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에 추가하여 제어 능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 90도로 비틀거나 회전하는 태블릿(300)은 이미지의 면에서 뿐만 아니라 특정한 터치 스크린 영역들의 기능적 매핑을 바꿈으로써 사용자 조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감당되어야만 한다. 예컨대, 도 6a의 센스 영역(302a)과 연관된 사용자 기능은 디스플레이(300)가 대략 90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센스 영역(302aa)으로 매핑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은 유리하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블릿의 배향 및/또는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배향을 검출함으로써, 어떤 디스플레이 에지, 롱(long) 또는 쇼트(short) 중 어떤 것이 거의 아래로 향하는지(pointing down)를 판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경사 센서들, 경사계들,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태블릿의 포지셔닝 또는 배향 변경에 관한 정보는 인터페이스 컨버터(200) 및 셋톱 박스(100)에 통신되어 사용자 움직임 및/또는 터치 커맨드들을 매핑 또는 해석하는데 이용된다. 디스플레이 배향의 검출은 유리하게는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격 디스플레이 이미지 선택의 기능적 제어, 채널 변경, 오디오 볼륨 업, 다운 또는 뮤트(mute)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션의 센싱은 대안적인 사용자 제어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이는 또한 스크린 터치들 및 연관된 제어 매핑의 수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도 2는 셋톱 박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는데 이용되는 디스플레이(301) 및 터치 스크린(302)을 갖는 뷰잉 디바이스 또는 태블릿(300)을 보여주고 있다. 터치 스크린(302)은 버튼 또는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320)에 의하거나 또는 도 6a의 특정한 스크린 코너(302a)와 같은 특정한 스크린 로케이션을 터치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스위치(320)는 두 번 누르기, 앞뒤로의 로킹(to and fro rock) 또는 지속된 활성화에 의해 원하는 STB 제어 특징들 간에 선택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특정한 스크린 로케이션들의 이용은 사용자가 제어하길 원하는 어떤 STB 특징들, 예를 들면 STB 메뉴 또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더블 스크린 터치 또는 지속된 터치는 듀얼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더블 터치 구성에 있어, 초기의 스크린 터치는 원격 뷰어에 의해 제어될 OSD 파트 또는 부분을 결정한다. 제2 터치는 예를 들어 더블 터치 커맨드로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비교적 짧은 시간 윈도우 내에 발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식으로 이 제2 터치는 입력, 활성화 또는 가기(go) 커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지속된 터치 구성은 예를 들어 제어될 OSD 파트 또는 부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연장되지만 비교적 짧은 터치 시간에 후속하여 입력, 활성화 또는 가기 커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더블 터치 또는 지속된 터치 사용자 제어에 추가하여, 스크린(302)은 유리하게는 주어진 간격에서 복수의 스크린 센싱 영역들 또는 셀들에 걸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간단히 드래그함으로써 좌우측 또는 상하로 스크롤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셀들의 제한된 수에 걸친 짧은 드래그는 스크린 상의 이미지 위치에서 작은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유사한 시간 간격에서의 셀들의 더 많은 수에 걸친 드래그는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페이지들의 변경, 즉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장래 이벤트로의 스크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은 S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사가 제조한 typel LIS302DL과 같은 가속도계, 또는 태블릿의 모션 및 배향을 검출하기 위한 유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태블릿 배향 또는 모션 정보는 인터페이스(200) 및 셋톱 박스(100)에 공급되어 유리하게는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고, 특정한 태블릿 배향들이 회전된 디스플레이 태블릿(300)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비디오 신호(101)만을 리매핑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좌표들은 디스플레이 배향 및 선택된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에 따라 리매핑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이미지 사이즈를 갖는 태블릿(300) 배향 및 레이아웃 변경들은 디스플레이(10)에 공급되는 비디오 표시 신호(101)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태블릿(300)을 재배향하는 것에 기인하는 이미지 사이즈 및 레이아웃 변경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디오 비디오 인터페이스 컨버터(200)는 이미지 프로세싱 제어, 이미지 스케일링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컨버터(20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및 셋톱 박스 메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셋톱 박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비디오를 나타내는 신호(101)로부터 별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신호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인터페이스 컨버터(200)는 디스플레이(10) 상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고 태블릿(300)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미지 신호를 특정적으로(specifically) 포맷팅할 수 있다.
도 3a는 원격 뷰어(300)와 셋톱 박스(100) 간에 발생하고, 프로그램 가이드가 셋톱 박스 내에서 전적으로 생성되고 원격 뷰잉 디바이스에 의해 뷰잉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 동작들(350 - 365)의 예시적인 시퀀스를 보여주고 있다. 블록 350에서, 터치 스크린은 터치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센싱한다. 스크린 터치의 좌표들(315)은 결정되고 변조되고, 또한 셋톱 박스(100)로의 신호(110)로서 복조되고 결합되기 위해 예시적인 디지털 무선 링크(226)에 의해 컨버터(200)로 전송된다. 이러한 좌표들은 셋톱 박스에서 수신되는데, 여기서 메뉴 시스템의 로컬 상태 및 현재의 로케이션을 포함하는 상태 머신은 원하는 로케이션, 및 그 위치에 도달하게 하는 적합한 커맨드들을 컴퓨팅한다. 또한, 상태 머신은 특정한 액션, 예를 들면 채널들의 변경이 필요할지 여부도 판정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능한 커서 움직임 이외에, 특정한 액션이 요청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유사한 좌표들을 갖는 스크린 상의 제2 터치 또는 더블 탭에 의해 통신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 후에 적합한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필요하다면 새로운 커서 로케이션 및 메뉴 상황을 셋톱 박스 상태 머신에 보낸다.
도 3b는 도 6b에서 도시되고 또한 설명한 바와 같이 뷰잉 태블릿(300)의 움직임에 관한 예시적인 시퀀스를 보여주고 있다. 뷰잉 태블릿(300) 내의 가속도계 디바이스 등은 화살표들 601, 602 및 603, 604에 의해 묘사된 모션을 해상(resolve)하는 3개의 평면 X, Y, Z에서의 값들을 생성한다. 도 3b의 블록 370은 디스플레이 태블릿의 사용자 움직임에 응답한 가속도 값들의 생성을 나타낸다. 명백히, 이러한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라디얼(radial)일 가능성이 크지만, 이 움직임은 가속도계에 의해 센싱되는 데카르트(Cartesian) 값들 X, Y, Z로서 해상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회전, 비틀기 또는 기울이는 것에 기인하는 가속도계 값들은 블록 375에서 인터페이스(200)로 전송된다. 블록 380에서, 가속도계 값들은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의 이용에 의해 특정한 제어 기능들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석된다. 해석은 인터페이스(200), 셋톱 박스(100) 중 어느 하나에서 또는 양 로케이션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일시적인 앞뒤로의 비틀림들 또는 기울어짐들이 아니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회전을 나타내는 특정한 가속도 값들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미지들을 재포맷팅하고 필요하다면 터치 센싱 레이아웃을 재정리하는데에 인터페이스(200)내에서 이용된다. 앞뒤로의 비틀림들 또는 기울어짐들의 상사값(analog)들인 가속도계 값들은 예를 들어 채널 업, 채널 다운, 볼륨 업 또는 다운 또는 뮤트와 같은 제어 기능들을 나타내도록 해석될 수 있다. 블록 380에서, 해석된 제어 기능들이 어써트(assert)된다. 유리하게는, 뷰잉 태블릿의 이러한 일시적인 앞뒤로의 모션이 터치 스크린 접촉없이 사용자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a에 묘사된 동작 시퀀스는 다음의 예시적인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스크린(30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EPG)의 기본 버전(canonical version)으로 매핑되는 직사각형 구역들로 분할된다. 이 경우에, 구역들 각각은 프로그래밍 콘텐츠를 기술하는 그리드 가이드의 섹션을 나타낸다. 도 4의 섹션들(A0 내지 E0)은 홈 영역들(채널들)을 나타내고, 칼럼 제로(0)는 현재 발생중인 프로그래밍을 기술하지만, 이 그래픽 구성은 많은 가능한 디스플레이 구성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도 4의 각각의 직사각형은 예를 들어 상단 좌측 코너 어드레스, 높이 및 폭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온-스크린 가이드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된 리스트로서 저장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채널(A0 - E0)은 횡방향 내비게이션에 의한 선택으로 다수의 프로그램들(즉, B0은 1 - 8을 보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채널들을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리스트를 위아래로 내비게이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드 가이드의 기존의 구현에서, 위 및 아래 화살표들이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프로그램 정션(junction)들은 정렬하지 않는데, 즉 그들 각각의 시작 및 종료 시간들은 각각의 채널 간에 상이하므로, 다중의 요구되지 않는 프로그램 선택들이 위/아래 움직임 커맨드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C1로부터 B 행으로 위로 이동할 때, 6개의 프로그램들, 즉 B1 내지 B6 중 어떤 것이 선택되어야 하는지는 불명확하다. 이러한 모호성은 특정한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적절하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커서 이동을 선택하는 사용자에 의해 해결된다. 그러나, 원격 터치 스크린 동작에 있어, 이 옵션은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상정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커맨드들의 정확한 시퀀스의 결정은 쉽다. 예컨대, 도 5에서 현재의 커서 로케이션이 A2라고 상정하자. 각각의 프로그램 영역(데이터 구조) 내에는 로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들, 예를 들면 상단 좌측 코너 및 높이와 폭이 있다. 첫 번째 해석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y 또는 터치의 수직 좌표는 원격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으로부터 STB(100)에 의해 수신되고, 이어서 링크된 리스트 및 리스트에 포함된 좌표들을 거쳐 A0 내지 E0을 시퀀싱함으로써 어떤 행이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이 행내에서, x 또는 수평 터치 좌표는 링크된 리스트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증분함으로써 어떤 프로그램 영역이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링크된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방향 커맨드들의 시퀀스는 필요하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보내져 그 커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 프로그램 E2가 터치되었다면, 4개의 다운 커맨드들은 A2로부터 E 행으로 되는데 이용될 수 있지만, E2 또는 E3이 선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첫 번째 해석 동작의 이러한 모호성은 도 5에서 링크된 리스트로부터 결정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커맨드들에 의해 제거된다. 좌측, 좌측 커맨드들은 칼럼 0을 로케이팅하고, 다운, 다운, 다운, 다운 커맨드들은 원하는 프로그램 E0을 선택하며, 우측, 우측 커맨드들은 필요한 시구간 또는 프로그램 E2를 선택한다. 이런 식으로, 스크린의 정확한 영역은, 모호성의 가능성 없이, 그리고 비터치 스크린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STB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러다임을 변경하지 않고서, 선택된다.
도 5에 묘사된 링크된 리스트 데이터 구조는, 스크린 자체가 커맨드에 응답하여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동작 후에 갱신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도 4의 가이드의 우측상의 박스들 중 어떤 것의 선택은 디스플레이가 우측으로 페이징하게 하여 장래의 프로그램들을 드러내게 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는 것을 요구한다.
도 5에 대해 설명한 좌표 매핑의 예시적인 시퀀스는 기존의 IR 원격 제어로부터 방사되는 그런 커맨드들에 유사한 커맨드 시퀀스들이 될 수 있는데, 셋톱 박스 제어 로직에 의해 쉽게 해석 가능하다.
도 6a는 예를 들어 16:9의 종횡비를 발생시키는 배향을 갖는 디스플레이 태블릿(300) 상의 이미지(600)를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600)는 도시의 용이함을 위해 파선 직사각형들의 주변 어레이, 예를 들어 302a 및 302aa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선 직사각형들은 터치 센서(302)를 형성하는 개별적인 센싱 영역들을 나타내고, 이러한 센싱 영역들은 디스플레이(301)를 거의 커버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00)의 모션을 센싱함으로써, 스크린 터치에 대한 어떤 요건도 없이 제어 커맨드들을 야기 또는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특정한 제어 기능들은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전방 및 후방으로의 디스플레이의 순간적인 앞뒤로의 기울어짐에 의해 발생되어 스크린 터치들에 대한 필요성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6b는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의 가능한 사용자 움직임들 또는 변위들을 보여준다. 태블릿(300)의 변위는 묘사된 바와 같이 3개의 평면 X, Y, Z에서의 모션을 해상하는 가속도계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 해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평면에서 태블릿을 비트는 것은 적어도 X 및 Y 센싱 평면들에서 발생하는 가속도계 값들에 의해 해상되는 화살표들(601, 602)에 의해 묘사되어 있다. 화살표들(603, 604)에 의해 묘사된 후방 및 전방 모션은 Z 평면 또는 축에서 발생되는 가속도계 값들에 의해 나타내진다.
화살표(601)는 디스플레이의 평면에서의 가능한 시계 방향의 방향 회전을 보여주고 있다. 명백히, 회전은 반시계 방향으로도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시계 및/또는 반시계 회전은 인식될 수 있으며, 셋톱 박스 및/또는 인터페이스(200)에서 상이한 기능들의 선택을 위한 상이한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 재배향은 또한 특정한 로케이션, 예를 들면 센싱 영역(302a)에서 스크린 터치와 결합되어 특정한 제어 기능에 필요한 터치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센싱 영역(302a)을 덮으면서 왼손으로 디스플레이를 움켜쥘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의 시계 방향 회전시, 경사 센서와 터치 좌표들 모두로부터의 정보는 인터페이스(200) 및 셋톱 박스(100)로 보내진다. 인터페이스(200)는 현재 셋톱 박스로부터의 이미지(600)를 프로세싱하고 있을 수 있고, 또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미지(600) 및 EPG 데이터는 스케일링되고 결합되어 인터페이스(200) 내에 상주하는 스켈러(scaller) 회로에 의한 픽쳐에서 나오는 픽쳐로서 포맷팅된 예시적인 9:16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런 식으로, 디스플레이(300)의 원격 뷰어는 디스플레이(10)에 결합된 신호(101)를 인터럽트하지 않고서 제2 또는 대안적인 이미지 소스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프로그램 가이드(620b) 내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10)에 결합된 신호(101)는 이에 따라 변할 것이다.
도 6c에서, 디스플레이 태블릿(300)은 90도로 재배향되어 예시적인 9:16 비율의 디스플레이를 낳는다. 도 6c는 상이한 사이즈들을 가지고 픽쳐 포맷에서 나오는 픽쳐로 배열된 2개의 예시적인 이미지들(600b, 620b)을 보여주고 있다. 소스 이미지(600)는 이미지(600)의 기하학적 구조를 유지하면서 스케일링되거나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폭 내에 맞추어지는 이미지(600b)를 형성한다. 이미지(600) 축소의 결과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프로그램 가이드(620b), 셋톱 박스 메뉴, 개인 픽쳐들 또는 월 페이퍼와 같은 다른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영역 또는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d는 추가의 이미지 매핑 선택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이미지(600)의 높이는 도 6a의 16:9 태블릿 배향에서와 같이 유지되지만, 이미지(600)는 수평적으로 절단되어(cropped) 불완전한 픽쳐(600d)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미지 선택은 또한 화살표(605c)가 나타내는 수평 이미지 패닝(panning)을 허용하여 빠지거나 절단된 픽쳐 콘텐츠(610c)를 드러낼 수 있다. 이미지 패닝은 지향성 손가락 모션에 의하거나 또는 일시적인 디스플레이 기울어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c 및 도 6d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0)의 회전 방향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의 디스플레이(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6c 포맷을 낳을 것이고, 반면에 반시계 방향 모션은 도 6d의 포맷을 낳을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회전함으로써, 뷰어는 임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접촉없이 그리고 디스플레이(10)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교란하지 않고서 제2 또는 보조 이미지를 재빨리 리뷰할 수 있다.
뷰잉 태블릿(300)의 터치 및 모션 인터페이스는 표준 셋톱 박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퍼토리와는 상이하거나 또는 레퍼토리에 없는 원격 뷰어 제어 능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유리한 제어 능력들은 번역되어 뷰잉 태블릿(300) 내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표준 셋톱 박스에 더해진 보조의 해석 알고리즘들에 의해 적합한 표준 셋톱 박스 커맨드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하면서 유리한 구성들은 셋톱 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셋톱 박스 가이드 또는 메뉴가 제어되는 방식, 즉 푸쉬 버튼 스위치들, 원격 제어 커맨드들, 터치 또는 모션 커맨드들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에 상관없이, 시각적으로 또한 동작적으로 거의 유사하게 남아 있는 것을 허용한다.

Claims (18)

  1. 셋톱 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터치 센싱 스크린(touch sensing screen)으로부터 좌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좌표들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된 좌표들에 따라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액션의 결과를 상기 터치 센싱 스크린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액션의 상기 결과를 상기 터치 센싱 스크린에게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원격 로케이팅된 터치 센싱 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좌표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셋톱 박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원격 로케이팅된 터치 센싱 스크린으로부터 좌표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좌표들을 해석하는 단계;
    상기 해석된 좌표들에 따라 커서 위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서에 따라 셋톱 박스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셋톱 박스 기능을 원격 스크린에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좌표값들의 미리 정해진 범위를 점유하는 상기 좌표들에 따라 상기 커서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 위치에 따라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셋톱 박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가속도(acceleration)를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제어 커맨드로서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커맨드에 따라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하는 단계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커맨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에 따라 역방향성 변위(contra directional displacement)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역방향성 변위에 따라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시구간(time interval) 내에서 발생하는 상기 역방향성 변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에 따라 특정한(certain) 값보다 더 큰 방향성 변위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결정하는 단계는 방향성 변위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어 방법으로서,
    셋톱 박스가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기능에 따라 통신을 위한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뷰잉 태블릿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기능에 응답한 상기 신호를 뷰잉 태블릿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터치 좌표를 표시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 및 상기 터치 좌표를 표시하는 신호를 평가하고 이로부터 제어 기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06010A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556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418607P 2007-09-18 2007-09-18
US60/994,186 2007-09-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441A Division KR20140061551A (ko)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859A true KR20100057859A (ko) 2010-06-01
KR101556803B1 KR101556803B1 (ko) 2015-10-01

Family

ID=3943111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441A KR20140061551A (ko)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157004547A KR101554120B1 (ko)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107006010A KR101556803B1 (ko)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441A KR20140061551A (ko)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157004547A KR101554120B1 (ko) 2007-09-18 2008-02-04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7209B2 (ko)
EP (1) EP2188700A1 (ko)
JP (3) JP2010539849A (ko)
KR (3) KR20140061551A (ko)
CN (2) CN104219560B (ko)
TW (1) TWI526081B (ko)
WO (1) WO2009038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4248B2 (en) 2005-07-26 2011-12-06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ssociated with a source image to a televi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826197B2 (en) 2007-01-12 2017-11-21 Activevideo Networks, Inc. Providing television broadcasts over a managed network and interactive content over an unmanaged network to a client device
EP2116051A2 (en) 2007-01-12 2009-11-11 ActiveVideo Networks, Inc. Mpeg objec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peg objects
US20100042954A1 (en) * 2008-08-12 2010-02-18 Apple Inc. Motion based input selection
KR20100111351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8593415B2 (en) * 2009-06-19 2013-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655807B1 (ko) * 2009-12-17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341414A1 (en) * 2009-12-31 2011-07-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39364B2 (en) 2010-02-03 2012-12-25 Nintendo Co., Ltd. Spatially-correlated multi-display human-machine interface
US8814686B2 (en) 2010-02-03 2014-08-26 Nintendo Co., Ltd. Display device, game system, and game method
US8913009B2 (en) 2010-02-03 2014-12-16 Nintendo Co., Ltd. Spatially-correlated multi-display human-machine interface
EP2392389A4 (en) 2010-02-03 2014-10-15 Nintendo Co Ltd GAME SYSTEM, OPERATING METHOD AND GAME PROCESSING METHOD
IT1399695B1 (it) * 2010-04-14 2013-04-26 Sisvel Technology Srl Metodo per visualizzare un flusso video secondo un formato personalizzato.
JP5625462B2 (ja) * 2010-04-16 2014-11-19 船井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表示端末
NL2004670C2 (nl) * 2010-05-04 2012-01-24 Activevideo Networks B V Werkwijze voor multimodale afstandsbediening.
CN101893964A (zh) * 2010-07-21 2010-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远程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6243586B2 (ja) 2010-08-06 2017-12-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US10150033B2 (en) 2010-08-20 2018-12-11 Nintendo Co., Ltd. Position calculation system, position calculation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position calculation program, and position calculation method
JP6184658B2 (ja) * 2010-08-20 2017-08-2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5988549B2 (ja) * 2010-08-20 2016-09-07 任天堂株式会社 位置算出システム、位置算出装置、位置算出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算出方法
JP5840386B2 (ja) 2010-08-30 2016-01-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5840385B2 (ja) 2010-08-30 2016-01-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WO2012030267A1 (en) * 2010-08-30 2012-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launching applications responsive to device orienta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s
CN102411466A (zh) * 2010-09-20 2012-04-11 奇高电子股份有限公司 虚拟触控装置与相关方法
US9432716B2 (en) * 2010-10-08 2016-08-30 Calvin Liu In-vehicle display for audio-video distribution
US20160345045A1 (en) * 2010-10-08 2016-11-24 Calvin Liu Vehicle display system
AU2011315950B2 (en) 2010-10-14 2015-09-03 Activevideo Networks, Inc. Streaming digital video between video devices using a cable television system
KR101492310B1 (ko) 2010-11-01 2015-02-11 닌텐도가부시키가이샤 조작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JP5477357B2 (ja) * 2010-11-09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場可視化システム
KR20120100045A (ko) * 2011-03-02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및 제어 방법
US11087659B2 (en) * 2011-03-11 2021-08-10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different functional displays when orientation of the device changes
US9204203B2 (en) 2011-04-07 2015-12-01 Activevideo Networks, Inc. Reduction of latency in video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daptive bit rates
JP5689014B2 (ja) 2011-04-07 2015-03-25 任天堂株式会社 入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位置算出方法
KR101788006B1 (ko) * 2011-07-18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US20130027613A1 (en) * 2011-05-03 2013-01-3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CN102789349A (zh) * 2011-05-17 2012-11-21 奇高电子股份有限公司 虚拟多点触控装置与相关方法
GB2491634A (en) * 2011-06-10 2012-12-12 Ant Software Ltd Displaying Interactive Content from a Received Video Stream on a Second Screen
JP5209808B2 (ja) * 2011-06-14 2013-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008365A (ja) * 2011-06-23 2013-01-10 Ailive Inc 運動感知型機器を用いる遠隔制御
JP2013008360A (ja) * 2011-06-23 2013-01-10 Ailive Inc 制御機器として用いられる運動制御子
TWI524691B (zh) * 2011-07-19 2016-03-01 奇揚網科股份有限公司 遠端控制方法以及實現此方法之系統、接收裝置、行動上網裝置以及記錄媒體
JP5254411B2 (ja) 2011-08-31 2013-08-07 株式会社東芝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外部装置連携システム
WO2013035068A1 (en) 2011-09-08 2013-03-14 Nds Limited User interface
KR101314679B1 (ko) * 2011-09-14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10409445B2 (en) 2012-01-09 2019-09-10 Activevideo Networks, Inc. Rendering of an interactive lean-backward user interface on a television
JP5911321B2 (ja) * 2012-02-02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US9037683B1 (en) 2012-03-05 2015-05-19 Koji Yoden Media asset streaming over network to devices
CN103327382A (zh) * 2012-03-19 2013-09-25 莱福科技(中国)有限公司 画面远端控制方法
US9800945B2 (en) 2012-04-03 2017-10-24 Activevideo Networks, Inc. Class-based intelligent multiplexing over unmanaged networks
US9123084B2 (en) 2012-04-12 2015-09-01 Activevideo Networks, Inc. Graphical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MPEG objects
JP5904055B2 (ja) * 2012-08-17 2016-04-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型の情報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9024894B1 (en) * 2012-08-29 2015-05-0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Remote control including touch-sensing surface
CN103813191B (zh) * 2012-11-15 2019-0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机顶盒以及基于机顶盒的使用方法
CN102984569A (zh) * 2012-11-29 2013-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电视界面焦点的方法、装置和系统
JP5801282B2 (ja) * 2012-12-27 2015-10-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操作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45921A1 (en) 2013-03-15 2014-09-18 Activevideo Networks, Inc. A multiple-mod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video content
CN103218043A (zh) * 2013-03-28 2013-07-24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取消的方法及装置
US9219922B2 (en) 2013-06-06 2015-12-22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scene graph information in construction of an encoded video sequence
US9294785B2 (en) 2013-06-06 2016-03-22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scene graph information in construction of an encoded video sequence
EP3005712A1 (en) 2013-06-06 2016-04-13 ActiveVideo Networks, Inc. Overlay rendering of user interface onto source video
US9609062B2 (en) * 2013-06-26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Semantic mappings from human readable messages to programmatic interfaces
US9380341B2 (en) * 2013-06-27 2016-06-28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a program guide
CN103853344A (zh) * 2014-03-20 2014-06-11 山西大学 绝对定位与相对定位相结合的触摸板鼠标
CN103916691A (zh) * 2014-03-28 2014-07-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视控制方法和移动终端
US9788029B2 (en) 2014-04-25 2017-10-10 Activevideo Networks, Inc. Intelligent multiplexing using class-based, multi-dimensioned decision logic for managed networks
JP2016015704A (ja) * 2014-06-13 2016-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KR20160019693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592349A (zh) * 2014-10-24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终端间屏幕共享的方法和无线终端
JP6176764B1 (ja) * 2016-11-28 2017-08-09 一般社団法人日本ケーブルラボ テレビの視聴操作方法、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2471989B1 (ko) * 2016-12-07 2022-11-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2850B1 (ko) * 2017-04-14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151757B1 (ko) * 2018-06-01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및 제어 방법
CN110896495A (zh) 2019-11-19 2020-03-2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目标设备的视图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11442979B1 (en) * 2020-03-04 2022-09-13 CSC Holdings, LLC Flexible image repository for customer premises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2597A (ja) * 1985-03-06 1986-09-08 Alps Electric Co Ltd 遠隔操作装置
JPH0664438B2 (ja) * 1988-07-30 1994-08-22 ゴールドスター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遠隔制御器の黒白モニター装置
JPH0630485A (ja) 1992-07-08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装置
US5612719A (en) 1992-12-03 1997-03-18 Apple Computer, Inc. Gesture sensitive buttons for graphical user interfaces
JPH0818813A (ja) 1994-06-29 1996-01-19 Toshiba Corp 機器操作選択装置
KR0170326B1 (ko) * 1994-07-27 1999-03-30 김광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3475419B2 (ja) * 1995-10-11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812719A (en) * 1996-03-06 1998-09-22 Karl Strorz Gmbh & Co. Sheath for a flexible fiber optic lightguide, and the lightguide
JPH1040009A (ja) * 1996-07-25 1998-02-13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6097441A (en) * 1997-12-31 2000-08-01 Eremote, Inc. System for dual-display interaction with integrated television and internet content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6496122B2 (en) * 1998-06-26 2002-12-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wo distinct images
US6396523B1 (en) * 1999-07-29 2002-05-28 Interlink Electronics, Inc.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US6871782B2 (en) * 1999-10-08 2005-03-29 Canon Kabushiki Kaisha User programmable smart card interface system having an arbitrary mapping
US6765557B1 (en) * 2000-04-10 2004-07-20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touch pad to screen mapping
US6861946B2 (en) * 2000-05-17 2005-03-01 Caveo Technology Llc. Motion-based input system for handheld devices
JP3878796B2 (ja) 2000-06-14 2007-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軸受構造
KR20020006237A (ko) 2000-07-12 2002-01-19 주식회사 슈프리마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
JP4543513B2 (ja) *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JP2002140159A (ja) * 2000-10-30 2002-05-17 Motoaki Fujimoto センサー付き携帯情報機器
JP2002139630A (ja) 2000-10-31 2002-05-17 Alps Electric Co Ltd 導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面発光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AUPR559201A0 (en) * 2001-06-08 2001-07-12 Canon Kabushiki Kaisha Card reading device for service access
US20030034957A1 (en) * 2001-08-17 2003-02-20 Dubil Thomas James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television program on a remote control device
US20030035075A1 (en) * 2001-08-20 2003-02-20 Butler Michell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proved user input capability for interactive television
JP3945687B2 (ja) * 2001-12-26 2007-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MXPA04009699A (es) * 2002-04-04 2004-12-13 Gen Instrument Corp Metodo y aparato para desplegar en pantalla graficos en un aparato auxiliar de pantalla usando unidades de graficos de nivel bajo.
GB0207791D0 (en) 2002-04-04 2002-05-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remote control device
JP3851217B2 (ja) * 2002-05-0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3333361A (ja) 2002-05-14 2003-11-21 Alps Electric Co Ltd 遠隔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40004630A1 (en) * 2002-07-04 2004-01-08 Hari Kalva Interactive audio-visual system with visual remote control unit
JP2004128775A (ja) * 2002-10-01 2004-04-22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テレビ放送受信機能付きリモコ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82647A (ja) * 2003-03-18 2004-10-07 Sony Corp 電子機器装置及び表示画面レイアウト方法
US8601396B2 (en) * 2003-05-08 2013-12-03 Hillcrest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ode tracking and notification in a control framework including a zoom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533675B1 (ko) * 2003-07-24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5136518A (ja) * 2003-10-28 2005-05-26 Sanyo Electric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
US20050212760A1 (en) * 2004-03-23 2005-09-29 Marvit David L Gesture based user interface supporting preexisting symbols
US7734685B2 (en) * 2004-07-27 2010-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nnotating a development artifact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CN1930883B (zh) * 2004-11-02 2010-09-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方法
JP2006139222A (ja) * 2004-11-15 2006-06-01 Seiko Epson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ITTO20040847A1 (it) * 2004-12-01 2005-03-01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di rilevamento di spostamenti per un apparecchio portatile
JP4572696B2 (ja) * 2005-02-17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制御信号入力システム、制御信号入力方法。
KR101690164B1 (ko) *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JP4262693B2 (ja) 2005-03-31 2009-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コンシステム
EP1801690A1 (en) * 2005-12-22 2007-06-27 Osmosys S.A.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user-friendly interface
WO2007086386A1 (ja) 2006-01-27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タッチセンサーを備えた装置
KR100876754B1 (ko) * 2007-04-18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7209B2 (en) 2015-10-20
JP2015122813A (ja) 2015-07-02
CN104219560A (zh) 2014-12-17
KR101556803B1 (ko) 2015-10-01
TW200930096A (en) 2009-07-01
WO2009038596A1 (en) 2009-03-26
EP2188700A1 (en) 2010-05-26
JP6091541B2 (ja) 2017-03-08
JP2010539849A (ja) 2010-12-16
TWI526081B (zh) 2016-03-11
JP2014068386A (ja) 2014-04-17
KR20150029038A (ko) 2015-03-17
CN101802755A (zh) 2010-08-11
KR101554120B1 (ko) 2015-09-17
CN104219560B (zh) 2018-05-25
US20100238109A1 (en) 2010-09-23
KR20140061551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120B1 (ko)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77826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144242B2 (ja) 3d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用のguiアプリケーション
JP5531616B2 (ja)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US6788288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coordinate input device
EP2677741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02492A2 (en) Method for providing GUI which generates gravity map to move point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582503B2 (en) Gri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US8724527B2 (en) Remote-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r, remote-control metho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05789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072415B2 (en) Control signal input system and control signal input method
KR20130081189A (ko)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JP4805861B2 (ja) 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装置、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方法、およびワンセグデータ放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20080064512A (ko) 입체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JP2012043111A (ja) 情報提示制御装置及び情報提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4

Effective date: 201506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