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892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892A
KR20140057892A KR1020120124214A KR20120124214A KR20140057892A KR 20140057892 A KR20140057892 A KR 20140057892A KR 1020120124214 A KR1020120124214 A KR 1020120124214A KR 20120124214 A KR20120124214 A KR 20120124214A KR 20140057892 A KR20140057892 A KR 20140057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mode
motion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318B1 (ko
Inventor
이동헌
이관민
이상희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18B1/ko
Priority to EP13187480.2A priority patent/EP2728447B1/en
Priority to CN201310540849.3A priority patent/CN103813193A/zh
Priority to US14/071,967 priority patent/US9817472B2/en
Publication of KR2014005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며, 감지부에 의해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에 제1모드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를 적절히 반영하여 포인터(pointer)를 영상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유아이(UI, user interface)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동작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명령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아이 영상은 기 설정된 다양한 종류의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면 아이콘(icon)이나 하이퍼링크(hyperlink)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영상 내에서 이동하는 포인터 또는 커서(cursor)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 이격되게 구현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조작함으로써, 영상 내의 포인터를 임의로 이동시켜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이 영상에 따라서는 작은 크기의 오브젝트들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작은 크기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에는 포인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되는 등과 같이, 사용자가 특정 오브젝트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사용자의 의도를 적절히 반영하는 포인터 이동제어 방식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제1모드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기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모션에 의한 각도변화량 또는 이동량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각도변화량 또는 상기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리 설치된 포인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을 감지하도록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모드에 비해 상기 포인터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의 차이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 상기 포인터의 크기,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소정 이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에 대해,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가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보다 짧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을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은 이동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면, 상기 제1모드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모드로, 상기 거리가 상기 기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모드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에 의한 각도변화량 또는 이동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상기 각도변화량 또는 상기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리 설치된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모드에 비해 상기 포인터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의 차이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 상기 포인터의 크기,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모션의 소정 이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에 대해,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가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보다 짧도록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보다 작게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을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과 상이하게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은 이동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보다 크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로 변화하면 상기 제1모드보다 상기 포인터를 정밀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방식 및 상기 포인터의 표시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이하게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입력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서 영상 내의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장치의 거리 별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모드 및 제2모드 시에 각기 제공하는 영상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서 영상 내의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해당 동작에 대응하게 설정된 커맨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는 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 가능한 TV로 구현되며, 입력장치(200)는 이 TV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구현 예시와 상이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컴퓨터본체(미도시)에 접속된 모니터이며, 입력장치(200)가 해당 컴퓨터본체(미도시)와 통신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외부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 또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입력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와,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하는 입력장치통신부(21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부(220)와,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센서(230)와, 입력장치(2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장치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들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유선/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로부터의 영상데이터 패킷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일방향 통신의 경우도 가능하지만, 통신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입력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구현시키기 위해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규격을 따른다.
카메라(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기준으로 소정 방향,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와 같은 다양한 피사체를 촬영 또는 촬상한다. 카메라(150)는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해당 피사체의 동영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해당 피사체의 정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150)는 이와 같이 생성한 피사체의 동영상/이미지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40)에 수신되는 커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통신부(14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커맨드가 수신되면, 이 커맨드에 대응하여 영상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60) 및 영상처리부(12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표현하나, 제어부(160) 및 영상처리부(120)는 하나의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입력장치(200)의 각 구성들에 관해 설명한다.
입력장치통신부(210)는 입력장치제어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 또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입력장치통신부(210)는 통신부(140)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마련된다. 입력장치통신부(210)는 통신부(140)에 대한 일방향 송신 뿐 아니라, 통신부(140)와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션센서(230)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입력장치(200)의 모션, 예를 들면 입력장치(200)의 현재 자세를 기준으로 입력장치(200)의 기울기 또는 이동을 감지한다. 모션센서(230)는 기 설정된 3축 좌표계, 즉 가로, 세로 및 높이 또는 X 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좌표계 상에서 입력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모션센서(230)는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입력장치제어부(240)가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입력부(220)는 메뉴키/버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모션센서(230)는 입력장치제어부(240)가 입력장치(200)의 이동량을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200)가 소정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모션센서(230)는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의 이동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입력장치제어부(240)가 입력장치(200)의 이동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입력장치(200)가 소정의 제1각도에서 제2각도로 회전한 경우에, 모션센서(230)는 제1각도 및 제2각도 사이의 각도를 산출함으로써 입력장치제어부(240)가 입력장치(200)의 각도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장치제어부(240)는 입력부(22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하면,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입력장치통신부(210)로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시킨다. 또한, 입력장치제어부(240)는 모션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모션에 대응하는 동작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포인터(pointer)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입력장치(200)가 이러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입력부(220)를 통한 조작에 따르는 경우와, 모션센서(230)에 의해 감지된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따르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따라서 영상 내의 포인터(P)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오브젝트(B)와, 포인터(P)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포인터(P)는 영상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오브젝트(B) 상에 오버레이(overlay)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포인터(P)가 특정 오브젝트(B) 상에 오버레이된 상태에서 클릭(click) 동작 커맨드가 입력장치(200)에서 수행되면 해당 오브젝트(B)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동작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표시된 영상이 웹 페이지라면 오브젝트(B)는 하이퍼링크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포인터(P)가 이러한 오브젝트(B)로 이동하여 클릭되면, 해당 오브젝트(B)에 링크된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표시된 영상이 데스크탑 유아이 영상이라면 오브젝트(B)는 선택메뉴 항목이거나 아이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력장치(200)를 움직이면, 공간 좌표계 상에서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발생한다. 공간 좌표계는 X축, Y축 및 Z축의 3축에 의해 형성되며, X축, Y축 및 Z축은 상호간에 90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X축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가로방향에 평행하고, Y축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세로방향에 평행하다. 즉, 영상은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Z축은 영상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법선방향 축을 형성한다. 즉, 입력장치(200)가 Z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는 것은, 입력장치(200)가 영상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접근하거나 또는 이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3축 좌표계의 설정은 본 실시예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입한 것이며, 이러한 축방향의 설정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한다.
만일, 영상 내에서 포인터(P)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포인터(P)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고려하여 입력장치(200)를 이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의 회전동작에 대응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입력장치(200)가 초기 자세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각도 D만큼 회전한다고 하면, 입력장치(200)는 모션센서(230)에 의해 입력장치(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입력장치(200)는 감지된 입력장치(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포인터(P)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인터(P)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포인터(P)의 이동명령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명령 커맨드에 따라서, 포인터(P)를 위치 P1으로 이동시킨다.
입력장치(200)의 회전방향 및 포인터(P)의 이동방향 사이의 관계와, 입력장치(200)의 회전각도 및 포인터(P)의 이동거리 사이의 관계는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설계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200)가 Y축을 중심으로 X-Z 평면 상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포인터(P)는 정우측으로 이동하게 설정된다. 입력장치(200)가 X-Z 평면에 대해 좌측 상단을 향해 경사지게 회전하는 경우, 포인터(P)는 좌측 상단으로 이동하게 설정된다. 또한, 입력장치(200)가 1도 회전하는 경우, 포인터(P)는 10픽셀만큼 이동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포인터(P)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장치(200)가 초기 위치에서 우측으로 소정 거리 L만큼 이동시킨다고 하면, 입력장치(200)는 모션센서(230)에 의해 입력장치(200)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감지한다. 입력장치(200)는 감지된 입력장치(200)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포인터(P)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포인터(P)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포인터(P)의 이동명령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명령 커맨드에 따라서, 포인터(P)를 위치 P1으로 이동시킨다.
입력장치(200)의 이동방향 및 포인터(P)의 이동방향 사이의 관계와, 입력장치(200)의 이동거리 및 포인터(P)의 이동거리 사이의 관계는, 앞선 도 4의 경우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설계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200)가 X-Y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한다면, 포인터(P) 또한 입력장치(200)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정된다. 또한, 입력장치(200)가 10cm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P)는 100픽셀만큼 이동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따라서 포인터(P)를 이동시키는 구조에서, 종래에는 입력장치(200)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포인터(P)의 이동거리가 고정되어 적용되었다. 따라서, 포인터(P)의 정밀하고 세밀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정밀하게 움직여야 했다.
예를 들면, 영상 내의 오브젝트(B)들의 크기가 작거나 또는 오브젝트(B)들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오브젝트(B)를 포인터(P)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입력장치(200)의 소정 이동량에 대응하는 포인터(P)의 단위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포인터(P)의 정밀한 이동에 유리하다. 만일 포인터(P)의 단위 이동거리가 크면,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이동시킬 때에 포인터(P)가 원하는 오브젝트(B)를 지나쳐 버릴 수 있다.
반면, 상기한 포인터(P)의 정밀하고 세밀한 이동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오히려 포인터(P)의 단위 이동거리가 큰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하며, 포인터(P)의 단위 이동거리가 작게 되면 포인터(P)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과도하게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 및 구조가 제안된다.
도 6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입력장치(200)의 거리 별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위치하는 원점 A0으로부터 Z축선을 따라서 기 설정된 기준거리 AL만큼 이격된 기준점 AR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거리 AL의 구체적인 수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바, 한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발생하면, 해당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판단한 거리가 기준거리 AR보다 크면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키며, 판단한 거리가 기준거리 AR보다 작으면 제1모드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포인터(P)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있어서, 제1모드는 일반모드이며, 제2모드는 포인터(P)를 보다 정밀하고 세밀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정밀모드이다.
즉,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발생한 위치 A1이 원점 A0 및 기준점 AR 사이의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반모드에 따라서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반면,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발생한 위치 A2가 원점 A0 및 기준점 AR 사이의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정밀모드에 따라서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만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정밀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입력장치(200)가 원점 A0 및 기준점 AR 사이의 범위 밖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정밀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포인터(P)의 일반 조작 및 정밀한 조작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소정의 대상에 대해 보다 정밀한 동작을 하거나 또는 보다 자세히 보려고 할 때에는, 해당 대상에 가까이 다가서는 행동을 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보다 근접하게 다가서는 경우에 포인터(P)에 대한 정밀모드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특별한 학습 없이도 직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라서 행동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의 거리, 즉 원점 A0에 대한 A1 또는 A2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카메라(150)가 스테레오 방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발생한 시점에서 해당 입력장치(200)의 위치를 삼각측량과 같은 방법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모드는 포인터(P)에 관련된 다양한 환경의 설정값을 포함하며, 포인터(P)의 이동방식, 포인터(P)의 표시방식, 오브젝트(B)의 표시방식 등과 같은 설정을 포함한다.
제1모드 및 제2모드는 이러한 설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다. 다만, 제2모드는 제1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포인터(P)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하, 입력장치(200)가 위치 A1에서 위치 A2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이행함에 따라서 변화하는 환경의 예시에 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1모드 및 제2모드 시에 각기 제공하는 영상의 예시도이다. 각 도면에서 좌측은 제1모드 시의 영상에 관한 것이며, 우측은 제2모드 시의 영상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각기 설명하는 예시들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이행할 때에 하나만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예시가 함께 적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이행함에 따라서, 제1모드 시의 포인터(P3)의 크기보다 제2모드 시의 포인터(P4)의 크기를 작게 설정한다.
포인터(P4)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면, 영상 내에서 작은 크기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때에 상대적으로 큰 포인터(P3)보다 용이하게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2모드 시의 포인터(P6)의 스타일을 제1모드 시의 포인터(P5)의 스타일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타일은 포인터(P5, P6)의 형상, 컬러 등과 같이 포인터(P5, P6)의 표시방식에 관련된 다양한 패러미터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포인터(P7)는 그대로 두고, 대신 영상 내 오브젝트(B1, B2)의 표시방식을 조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2모드 시의 오브젝트(B2)를 제1모드 시의 오브젝트(B1)보다 크게 설정한다.
오브젝트(B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면, 동일한 크기의 포인터(P7)에 의해서도 해당 오브젝트(B2)를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도 포인터(P7)의 보다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포인터(P8) 또는 영상의 표시방식은 그대로 둔다. 대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소정 이동량에 대응하는 제2모드 시의 포인터(P8)의 단위 이동거리를 제1모드 시의 포인터(P8)의 단위 이동거리보다 짧게 설정한다.
즉, 입력장치(200)의 동일한 이동량에 대해, 제2모드 시에 포인터(P8)가 이동하는 거리 L2는, 제1모드 시에 포인터(P8)가 이동하는 거리 L1보다 짧다. 즉, 제2모드 시에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대한 포인터(P)의 이동 민감도가 제1모드 시의 경우에 비해 둔감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제2모드 시에 포인터(P)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파지하고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 경우, 입력장치(20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액션/모션을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따라서 포인터(P)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서 영상 내의 포인터(P)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측에 카메라(150)가 설치된다. 카메라(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전방에 있는 사용자(U)를 촬영하며, 사용자(U)에 의한 액션 또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50)는 사용자(U)의 전체가 아닌 특정 부분에 포커스를 맞추고, 해당 부분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50)는 사용자(U)의 손의 모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카메라(15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U)의 손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산출한다. 제어부(160)는 산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키며,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제1실시예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U)의 모션이 감지된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해당 위치가 상기한 거리 범위 밖에 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반모드인 제1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반면, 해당 위치가 상기한 거리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즉 사용자(U)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접한 위치에서 모션을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정밀모드인 제2모드에 기초하여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모드 및 제2모드에 관해서는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와 같은 입력장치(200)가 없는 경우에도, 카메라(150)에 의해 사용자(U)의 모션을 감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경우에 준한다.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거리 밖에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S10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게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S11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모션이 기 설정된 기준거리 내에서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한다. 만일, 사용자의 모션이 기준거리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120),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이행하고, 제2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게 포인터(P)를 이동시킨다(S130).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하는 포인터(P)의 이동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시점에서, 해당 모션이 발생한 위치가 기준거리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해당 위치가 기준거리 밖에 있다고 판단하면 제1모드를, 해당 위치가 기준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제2모드를 선택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선택한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게 포인터(P)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통신부
150 : 카메라
160 : 제어부
200 : 입력장치
210 : 입력장치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모션센서
240 : 입력장치제어부

Claims (2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제1모드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기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모션에 의한 각도변화량 또는 이동량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각도변화량 또는 상기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리 설치된 포인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을 감지하도록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모드에 비해 상기 포인터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의 차이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 상기 포인터의 크기,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소정 이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에 대해,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가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보다 짧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을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이동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면, 상기 제1모드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모드로, 상기 거리가 상기 기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모드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에 의한 각도변화량 또는 이동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상기 각도변화량 또는 상기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리 설치된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모드에 비해 상기 포인터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의 차이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 상기 포인터의 크기,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모션의 소정 이동량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단위 이동거리에 대해,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가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단위 이동거리보다 짧도록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크기보다 작게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을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포인터의 스타일과 상이하게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이동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기 제1모드 시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보다 크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제1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로 변화하면 상기 제1모드보다 상기 포인터를 정밀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기 설정된 제2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 내에 표시된 포인터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션에 대응하게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모션이 감지되는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방식 및 상기 포인터의 표시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이하게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20124214A 2012-11-05 2012-11-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6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14A KR101969318B1 (ko) 2012-11-05 2012-11-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187480.2A EP2728447B1 (en) 2012-11-05 2013-10-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540849.3A CN103813193A (zh) 2012-11-05 2013-11-05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4/071,967 US9817472B2 (en) 2012-11-05 2013-11-0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14A KR101969318B1 (ko) 2012-11-05 2012-11-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892A true KR20140057892A (ko) 2014-05-14
KR101969318B1 KR101969318B1 (ko) 2019-04-17

Family

ID=4944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214A KR101969318B1 (ko) 2012-11-05 2012-11-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17472B2 (ko)
EP (1) EP2728447B1 (ko)
KR (1) KR101969318B1 (ko)
CN (1) CN1038131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1342A (zh) * 2018-01-19 2018-06-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角调整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0991163B2 (en) 2019-09-20 2021-04-27 Facebook Technologies, Llc Projection casting in virtual environments
US10802600B1 (en) * 2019-09-20 2020-10-13 Facebook Technologies, Llc Virtual interactions at a distance
US11170576B2 (en) 2019-09-20 2021-11-09 Facebook Technologies, Llc Progressive display of virtual objects
US11176745B2 (en) 2019-09-20 2021-11-16 Facebook Technologies, Llc Projection casting in virtual environments
US11086406B1 (en) 2019-09-20 2021-08-10 Facebook Technologies, Llc Three-state gesture virtual controls
US11189099B2 (en) 2019-09-20 2021-11-30 Facebook Technologies, Llc Global and local mode virtual object interactions
US11086476B2 (en) * 2019-10-23 2021-08-10 Facebook Technologies, Llc 3D interactions with web content
US11175730B2 (en) 2019-12-06 2021-11-16 Facebook Technologies, Llc Posture-based virtual space configurations
US11475639B2 (en) 2020-01-03 2022-10-1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elf presence in artificial reality
US11257280B1 (en) 2020-05-28 2022-02-22 Facebook Technologies, Llc Element-based switching of ray casting rules
US11256336B2 (en) 2020-06-29 2022-02-22 Facebook Technologies, Llc Integration of artificial reality interaction modes
US11227445B1 (en) 2020-08-31 2022-01-18 Facebook Technologies, Llc Artificial reality augments and surfaces
US11176755B1 (en) 2020-08-31 2021-11-16 Facebook Technologies, Llc Artificial reality augments and surfaces
US11178376B1 (en) 2020-09-04 2021-11-16 Facebook Technologies, Llc Metering for display modes in artificial reality
US11113893B1 (en) 2020-11-17 2021-09-07 Facebook Technologies, Llc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 with glints displayed by an extra reality device
US11461973B2 (en) 2020-12-22 2022-10-0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Virtual reality locomotion via hand gesture
US11409405B1 (en) 2020-12-22 2022-08-09 Facebook Technologies, Llc Augment orchestration in an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
US11294475B1 (en) 2021-02-08 2022-04-05 Facebook Technologies, Llc Artificial reality multi-modal input switching model
US11762952B2 (en) 2021-06-28 2023-09-1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Artificial reality application lifecycle
US11295503B1 (en) 2021-06-28 2022-04-05 Facebook Technologies, Llc Interactive avatars in artificial reality
US11748944B2 (en) 2021-10-27 2023-09-0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Virtual object structures and interrelationships
US11798247B2 (en) 2021-10-27 2023-10-2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Virtual object structures and interrelationships
US11947862B1 (en) 2022-12-30 2024-04-02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treaming native application content to artificial reality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957A (ko) * 2007-10-05 2010-07-29 톰슨 라이센싱 포인터 제어장치
JP2010282408A (ja)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8439B2 (ja) * 2007-10-22 2013-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JP2010055346A (ja) 2008-08-28 2010-03-11 Panasonic Corp ポインタ表示装置
US8441450B2 (en) * 2008-09-30 2013-05-14 Apple Inc. Movable track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8194038B1 (en) * 2009-03-10 2012-06-05 I-Interactive Llc Multi-directio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cursor speed control
US8176442B2 (en) * 2009-05-29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Living cursor control mechanics
US20100306688A1 (en) * 2009-06-01 2010-12-02 Cho Su Yeo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8878779B2 (en) * 2009-09-21 2014-11-04 Extreme Reality Ltd. Methods circuits device system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facilitating interfacing with a computing platform display screen
US8872762B2 (en) * 2010-12-08 2014-10-28 Primesense Ltd.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cursor control
JP2012173865A (ja) * 2011-02-18 2012-09-10 Sony Corp 3dポインタ生成装置及び3dポインタ生成方法
KR20120119440A (ko) * 2011-04-21 201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957A (ko) * 2007-10-05 2010-07-29 톰슨 라이센싱 포인터 제어장치
JP2010282408A (ja)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8447A3 (en) 2015-04-22
KR101969318B1 (ko) 2019-04-17
EP2728447B1 (en) 2017-12-06
CN103813193A (zh) 2014-05-21
EP2728447A2 (en) 2014-05-07
US20140125594A1 (en) 2014-05-08
US9817472B2 (en)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3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392993B1 (en) Operation terminal, electronic unit, and electronic system
KR100689849B1 (ko) 원격조정제어장치,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9631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90072992A1 (en) Remote control for sensing movement,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inter by the remote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613227B1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34453A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8150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76505A1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through user manipulation
US9753561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20130081189A (ko)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US20150009143A1 (en) Operating system
EP30323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MX2014015378A (es) Aparat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me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y sistema de despliegue.
KR20140020653A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4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70280A (ko) 원격제어장치,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4157360A1 (ja) 外部機器、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40081266A (ko) 원격제어장치와 영상표시장치
JP2012043111A (ja) 情報提示制御装置及び情報提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