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874A -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874A
KR20100056874A KR1020080115869A KR20080115869A KR20100056874A KR 20100056874 A KR20100056874 A KR 20100056874A KR 1020080115869 A KR1020080115869 A KR 1020080115869A KR 20080115869 A KR20080115869 A KR 20080115869A KR 20100056874 A KR20100056874 A KR 20100056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ping
filling
cap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102008011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874A/ko
Publication of KR2010005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and rotating preformed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25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e.g. in a rotary filling apparatus or multiple row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2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engaging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빈 병을 복수 열로 공급하고, 스크류컨베이어로 일정 간격 위치되게 하는 한편, 스크류 컨베이어에 위치된 빈병의 간격에 대응하여 스크류 컨베이어 외측에 캡을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한편 충전기와 이의 양측에 배치된 캡핑기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하로 승강되게 하여 복수 열로 배치된 빈 병에 원하는 제품을 충전기로 충전할 때 일측의 캡을 캡핑기로 파지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와 캡핑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측면의 빈 병으로 충전기와 캡핑기를 이동시킨 후 하강시키면 충전된 병에 캡이 결합됨과 동시에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고 타측의 캡을 파지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충전 및 캡핑이 연속하여 이루어져서 제품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충전, 캡핑, 파지, 캡, 병, 컨베이어

Description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AND CAPPING BOTTLES}
본 발명은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빈 병을 복수 열로 공급하고, 양측에 캡을 각각 공급하는 한편 충전기와 이의 양측에 배치된 캡핑기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하로 승강되게 하여 복수 열로 배치된 빈 병에 원하는 제품을 충전기로 충전할 때 일측의 캡을 캡핑기로 파지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와 캡핑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측면의 빈 병으로 충전기와 캡핑기를 이동시킨 후 하강시키면 충전된 병에 캡이 결합됨과 동시에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고 타측의 캡을 파지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충전 및 캡핑이 연속하여 이루어져서 제품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빈 병에 액상 제품 또는 분말 제품 등을 충전할 때 빈 병을 공급하여 충전기로 충전을 한 다음 캡핑기로 충전된 병에 캡을 결합함으로써 충전 및 캡핑이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빈 병을 공급하고, 캡핑기로 충전하고, 충전된 병에 캡을 캡핑기로 결합하기 위한 충전 및 캡핑장치는 빈 병이 회전체 둘레에 하나씩 일렬로 공급되어 충전기로 이송되고, 충전기에서 이송된 다음 캡핑기로 회전이송되므로 충전 및 캡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빈병이 충전기로 공급되어 액상 제품이 빈병에 충전된 다음 다시 캡핑기로 이송되어 충전된 병에 캡핑이 이루어지므로 충전된 병의 이송중에 충전물이 병 외부로 튀어 넘치거나 빈병이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병 외부로 누출된 충전물에 의해 충전기 및 캡핑기 주변환경의 청소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충전 및 캡핑 장치 및 방법과 달리 제품을 충전하고자 하는 병을 복수개로 공급하여 충전 및 캡핑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량 충전 및 캡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시 및 캡핑시에 병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되고, 캡핑이 이루어진 다음 병의 이송이 이루어져서 충전물이 외부로 튀거나 병의 전도가 방지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캡의 파지, 충전, 및 (빈병 입구에)캡의 체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충전 및 캡핑부의 중앙에 위치한 충전기의 양측에 캡핑기를 배치하여 충전기와 한 쌍의 캡핑기가 좌,우로 반복 이송된 후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한편, 충전기와 캡핑기의 좌, 우 이동시에 캡의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캡을 공급하고,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도록 빈병은 컨베이어에 놓여서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2열로 공급되되, 스크류컨베이어에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고, 스크류컨베이어에 유지된 빈병은 중앙의 고정 지지부와 측면의 수평지지부에 의해 충전 및 캡핑시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은 빈 병을 병렬로 공급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의 홈 사이에 지지되게 한 후 스크류 양측으로 캡이 스크류에 지지된 병의 간격에 대응하여 공급되되, 충전기와 캡핑기가 함께 승강되고,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서 병에 충전 및 캡핑이 연속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병의 충전 및 캡핑 작업이 대량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공급기, 충전기 및 캡핑기 등이 병의 높이에 따라 적절히 높이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병 충전 및 캡핑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는 병을 이송하는 병이송부, 병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병에 액상 또는 분말제품을 충전하고 캡을 결합하는 충전 및 캡핑부, 캡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캡공급부, 병에 충전되는 제품의 상태, 예컨대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의 충전재를 공급하는 충전재공급부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는 병에 액상 또는 분발 상태로 공급되는 충전재의 충전시에 캡을 파지한 후 다시 옆의 병을 충전함과 동시에 다시 캡을 파지하고 충전된 병에 캡을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빈 병이 충전 및 캡핑부의 하부에 횡으로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되 이송되는 종방향으로도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유지되는 한편 빈 병이 이송되는 이송 장치의 측면에 각각 캡이 일정 간격으로 공급된다. 즉 빈병과 캡이 횡으로 정렬되고, 종방향으로도 일정간격을 이룬다.
또한 병 충전 및 캡핑부로 공급된 병은 병 충전 및 캡핑시에 전,후방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즉, 스크류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빈병이 하나씩 이송되어 정확한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도록 빈병이 정렬되면 스크류 컨베이어의 작동이 정지되고, 충전 및 캡핑이 완료되면 스크류컨베이어가 다시 작동되어 충전 및 캡핑이 완료된 병을 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후방의 빈병을 다시 충전 및 캡핑부로 이송하여 정렬시킨다.
물론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유지되는 빈병은 충전 및 캡핑시에 빈병의 쓰러짐이 방지되도록 병이 이송되는 방향의 내,외측에 지지부가 설치된다. 이 내,외측 지지부중 외측 지지부는 스크류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빈병이 충전 및 캡핑부로 이송되거나 충전 및 캡핑부로부터 전방으로 이송될 때 후방으로 이동되어 병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한다.
본 발명의 충전 및 캡핑부(100)는 충전기(110)의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캡핑기(120)가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이 함께 이루어지게 설치된다. 캡핑기(120)와 충전기(110)는 승강프레임(143)에 설치되고, 승강프레임(143)은 승강실린더(130)와 가이드봉(144)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게 지지된다. 또한 승강실린더(130)와 가이드봉(144)을 지지하는 상부의 좌,우 이동프레임(142)은 승강프레임(143)을 이동시키도록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이 좌,우 이동프레임(142)은 하부에 안내블록(140)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좌,우 이동프레임(142)을 지 지하는 좌,우 이동프레임(142)은 안내레일(141)이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130)에 의해 충전기(110)와 캡핑기(120)가 상,하로 승강되고 안내블록(140)과 안내레일(141)에 충전기(110)와 캡핑기(120)가 좌,우로 반복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충전 및 캡핑부(100)는 병(B)과 캡(C)이 양측으로 더욱 공급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대 병(B)을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하는 병이송부(400)는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이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일정 간격 떨어지게 나란히 제2벨트컨베이어(2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벨트컨베이어(210)로 이송되는 병(B)이 제2벨트컨베이어(220)로 이송되도록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제2벨트컨베이어(220)는 공급연결부(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또한 충전 및 캡핑이 완료된 병을 배출하도록 배출연결부(231)가 더욱 설치된다.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는 충전 및 캡핑부와 스크류컨베이어의 작동에 관계없이 계속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의 작동에 의해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되는 빈 병은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동이 제지되므로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의 상면을 미끄러지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1,2벨트컨베이어(210,220)에 의해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된 병(B)에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도록 빈병의 간격 유지, 이송, 및 배출을 위해 스크류컨베이어구동부(300)가 설치된다. 이 스크류컨베이어구동부(300)는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에 인접위치되게 설치된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와, 가 설치 된다. 즉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가 회전됨에 따라서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의 홈(311)에 병(B)이 수용되어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상에서 하나씩 출구측(배출측)으로 배출연결부(312)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는 빈 병을 나란히 2열로 충전 및 캡핑부(100)로 공급 및 배출하는 병이송부(200),
병이송부(200)에 의해 2열로 충전 및 캡핑부(100)로 공급되는 병(B)을 지지 및 배출하는 스크류컨베이어(310),
스크류컨베이어(310) 양측으로 캡(C)을 일정간격으로 공급하는 캡 공급 컨베이어(450),
스크류컨베이어(310)에 지지된 병에 충전 및 캡핑을 위해 충전기(110) 양측에 캡핑기(120)가 배치되어 승강 및 좌,우 이동되는 충전기(110) 및 캡핑기(12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스크류컨베이어(310) 양측으로 공급되는 캡 공급 컨베이어(450)는 컨베이어의 상면에 캡(C)이 고정되도록 캡고정구(451)가 돌출형성된다.
캡(C)은 다수의 캡이 수용되는 호퍼(hopper)(410), 호퍼(410)로부터 하향이동되게 호퍼(410)에 설치된 슈트(chute)(411)를 통해 낙하된 캡(C)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정렬기(linear feeder)(420), 직선정렬기(420)로부터 공급된 캡(C)의 개방구가 저면으로 향하게 정렬하여 공급하는 보울피더(bowl feeder)(430)를 통해 캡 공급 컨베이어(450)로 공급된다. 보울피더(430)에 의해 캡(C)의 개구구 하부로 위치되게 정렬된 캡(C)은 스크류컨베이어(310) 외측에 각가 설치된 캡 공급 컨 베이어(450)로 공급된다. 즉, 캡 공급 컨베이어(450)가 작동되어 캡 고정구(451)에 캡(C)이 결합된다.
병이송부(200)는 각각 구동되는 제1벨트컨베이어(210) 및 제2벨트컨베이어(220)로 구성되되, 제1벨트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빈병을 충전 및 캡핑부(100)로 공급하도록 제2벨트컨베이어(220)와 연결된 공급연결부(230), 및 제2벨트컨베이어(220)에 의해 충전 및 캡핑부(100)로부터 배출되는 병을 제1벨트컨베이어(210) 측으로 배출하도록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연결된 배출연결부(231)로 구성된다. 예컨대 제1벨트컨베이어(210)는 상면에 병(B)이 놓여진 상태로 연속되어 운반되고, 제1벨트컨베이어(210)에 놓여진 병(B)이 제1벨트컨베이어(210) 상부에 설치된 제1스크류컨베이어(31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 상태가 되면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연결된 공급연결부(230)로 병이 밀려나서 제2벨트컨베이어(220)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2벨트컨베이어(220)로 안내된 병(B)은 제2벨트컨베이어(220) 상부에 설치된 제2스크류컨베이어(310a)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다. 제2벨트컨베이어(220)는 제1벨트컨베이어(210)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병 이송라인의 설비 사이즈가 축소되는 이점이 있다.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에 의해 이송되는 빈병을 하나씩 충전 및 캡핑부(100)로 위치되도록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 310a)는 병이송방향에서 볼 때 제1스크류컨베이어(3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작동되고, 제2스크류컨베이어(310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작동돔에 따라 병(B)은 전방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전방으로 이송되는 병(B)은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 310a)사이에 설치된 내측고정부(510)에 의해 병(B)의 목부분이 지지되어 측면으로의 쓰러짐이 방지된다.
또한,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 310a)의 외측에는 각각 병의 목부분을 지지하도록 측면으로 수평이동되는 외측고정지지부(520)가 설치된다. 외측고정지지부(520)는 병목을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지지홈(522)이 형성된 지지판(521)과, 이 지지판(521)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5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 310a)의 나선홈(311)에 위치되고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에 놓여진 병(B)의 내,외측면은 내측고정지지부(510)와 외측고정지지부(520)에 의해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진다.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 310a)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간략한 설명을 위해 일측의 제1스크류컨베이어(310)의 구동부분만을 설명한다. 제1스크류컨베이어(310)는 스크류컨베이어구동부(300)의 일 요소이고, 이 제1스크류컨베이어(310)는 구동모터(340)에 의해 구동되되 감속기(330)에 의해 회전속도가 감속되며, 제1스크류컨베이어(310)와 감속기(330)의 출력축은 유니버셜조인트(320)로 연결된다.
제1,2스크류컨베이어(310, 320)는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진 병을 배출하고 새로운 병을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시키도록 교대로 작동한다.
충전 및 캡, 그리고 파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중앙에 위치한 충전기(110)의 양측에 캡핑기(120)가 설치되어 함께 승강 및 좌,우 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상에 각각 놓인 병(B) 중 제1벨트컨베이어(210)에 놓인 병(B)에 충전기(110)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때 제2벨트컨베이어(220)에 위치된 캡핑기(120)는 제2벨트컨베이어(220)에 놓인 병(B)을 캡핑하고, 제1벨트컨베이어(210) 외측의 캡공급컨베이어(450)에 놓인 캡(C)을 캡핑기(120)가 파지하도록 충전기(110)와 캡핑기(120)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벨트컨베이어(220)에 놓인 병(B)에 충전기(110)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때 제1벨트컨베이어(210)에 위치된 캡핑기(120)는 제1벨트컨베이어(210)에 놓인 병(B)을 캡핑하고, 제2벨트컨베이어(210) 외측의 캡공급컨베이어(450)에 놓인 캡(C)을 캡핑기(120)가 파지하도록 충전기(110)와 캡핑기(120)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에 놓인 병(B)과 양측에 배치된 캡공급컨베이어(450)에 놓인 캡(C)사이의 간격과, 이들 간격에 대응하여 충전기(110)와 캡핑기(120)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상,하로 승강되고, 좌,우로 이동되는 충전기(110)는 병(B)에 충전될 액상 또는 분말 제품을 공급하도록 충전재 공급부(600)가 설치된다. 충전재 공급부(600)에서 충전기(110)로 공급되는 액상 또는 분말 제품은 공급통로(610)를 통해 공급되고 과잉 충전재는 복귀통로(620)를 통해 충전재 공급부(600)로 재이송된다.
충전기(110)와, 양측의 캡핑기(120)는 상,하로 함께 승강되고, 좌,우로 일정 거리로 반복 이동가능하다. 예컨대 일측의 병에 충전이 이루어질 때 캡의 파지가 이루어진 후 상승하여 타측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면 타측의 병에 충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타측에 위치한 캡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한편 반대측의 충전이 이루어진 병에 이미 파지된 캡이 원터치식으로 눌림고정되거나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충전 및 캡핑은 중앙에 위치한 충전기의 양측에 캡핑기를 설치하여 상,하로 동시에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충전 및 캡핑이 항상 이루어지게 한 것이 특징이다.
충전후 캡핑이 이루어진 다음 충전기와 캡핑기가 상승하였을 때 충전및 캡핑이 이루어진 병은 스크류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새로운 병이 충전 및 캡핑부(100)의 하방에 위치된다. 물론 스크류컨베이어(310)에 의해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병이 유지되고 내,외측고정지지부(510, 520)에 의해 병목이 지지되어 병에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질 때 병의 쓰러짐이 방지될 때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는 계속하여 작동되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충전기(110)의 양측에 캡핑기(120)가 위치된 본 발명의 충전 및 캡핑부(100)는 병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2개 이상, 바람직하기는 빈병을 간격지게 이송 및 유지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빈병을 공급하는 벨트컨베이어의 크기를 고려하여 2~30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병에 하나씩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6개씩 캡의 파지, 병의 충전 및 캡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양측의 스크류에는 각각 6개의 병(B)이 각각 지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크류컨베이어(310)의 나선홈(311)에 유지되는 병(B)에 대응하여 구성된 충전기 및 캡핑부(100)에 의해 한 번에 다수 개(1~30개)의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도록 승강 및 좌,우 이동이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1,2벨트컨베이어에 의해 병이 계속하여 충전 및 캡공급부(100)로 공급되게 하는 한편 제1,2벨트컨베이어 상부에 위치한 스크류컨베이어(310)에 의해 병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이송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병의 목부분이 확실히 지지되게 한 다음 충전기 및 캡핑기를 좌,우 이동 및 승강에 의해 충전, 캡핑 및 파지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병의 이송이 대량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충전 및 캡핑 효율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스크류에 지지되는 병의 높이에 따라 충전 및 캡핑부(100)를 승강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캡공급컨베이어(450)를 승강시키고, 캡공급컨베이어(450)로 캡(C)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보울피더(430)도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들 요소의 승강은 나사식으로 또는 실린더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나사식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보울피더(430)의 하부에는 감속기(162)가 각각 설치되고, 이 감속기(162)는 트러니언조인트(163)로 연결되며, 일측 감속기(162)에 모터(160)가 벨트(161)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60)의 작동에 의해 일측 감속기(162)가 작동되고, 이에 연결된 타측 감속기(162)도 함께 작동이 이루어질 때 감속기(162) 상방에 연결된 승강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승강 작동에 의해 보울피더(430)의 승강이 병의 높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승강부재는 체인기어(164)에 의해 나사식으로 상승되도록 나사축(163)이 결합된다.
또한, 감속기(162)에는 각각 충전 및 캡핑부(10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지 지하는 4개의 승강지지봉(150)에 나사축(163)이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이 나사축(163)은 체인기어(164)가 결합되며, 이 체인기어(164)에 체인(164)이 결합된다. 미설명부호 166은 체인(164)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이다.
모터(160)로 구동되는 감속기(162)에 체인(164)으로 연결된 충전 및 캡핑부(100)는 보울피더(430)와 함께 병의 높이에 따라 동시에 승강된다. 충전 및 캡핑부(100)의 승강시에 캡공급컨베이어(450)도 승강지지봉(150)에 지지되어 있어서 함께 승강이 이루어진다.
또한 캡공급컨베이어(450)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외측고정지지부(520)도 지지되어 있어서 승강된다.
이와 같이 외측 고정지지부(520)의 승강이 이루어짐에 대응하여 내측고정지지부(510)의 승강도 이루어지는데, 내측고정지지부(510)의 승강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사식으로 또는 실린더 식으로 구동되는 나사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충전기(110)의 양측에 위치된 캡핑기(120)는 캡(C)의 종류에 따라서, 예컨대 원터치식 캡 또는 나사식 캡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캡핑기(120a)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구동축이 상호 연결되고, 모터(121)로 구동되게 설치된다.
또한 도 8a 및 도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70, 171)로 승강될 수 있다.
캡핑기(120a)가 나사식 캡을 캡핑하도록 변경되고, 체인대신에 실린더(170, 171)로 병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도 1 내지 도6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변형 등에 의한 것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및 캡핑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및 캡핑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작동상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는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6a의 정면도.
도 8은 병의 높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충전 및 캡핑부와 보울피더 등이 실린더로 승강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충전 및 캡핑부 110: 충전기
120: 캡핑기 130: 승강실린더
150: 승강지지봉 151: 스크류
200: 빈병이송부 210: 제1벨트컨베이어
220: 제2벨트컨베이어 230: 공급연결부
231: 배출연결부
300: 스크류컨베이어구동부 310: 스크류컨베이어
311: 나선홈
400: 캡공급부 430: 보울피더
500: 병지지부 510: 내측고정지지부
520: 외측고정지지부

Claims (10)

  1. 병(B)을 충전 및 캡핑부로 이송하는 병이송부(400)와,
    병이송부(400)의 외측에 캡(C)을 일정간격으로 공급하는 캡공급 컨베이어(450)와,
    병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된 병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고 충전 및 캡핑후 병을 배출하는 스크류컨베이어(310)와,
    스크류컨베이어(310)에 수용된 병의 목부분을 지지하는 병목지지부(500)와,
    스크류컨베이어(310)에 배치된 병에 충전 및 캡핑이 이루어지도록 중앙에 충전기(110)가 그리고 양측에 캡핑기(120)가 설치되어 승강 및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충전 및 캡핑부(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병이송부(400)는 병이 상면에 놓인 상태로 이송하는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제1벨트컨베이어(210)에 의해 이동되는 병이 제1벨트컨베이어(210)와 일정간격 벌어져서 이송하는 제2벨트컨베이어(220)와, 제1벨트컨베이어(210)로부터 제2벨트컨베이어(220)로 병이 안내되도록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 및 캡핑부(100)는 스크류컨베이어(310)에 수용된 병을 충전 및 캡핑하도록 중앙에 충전기(110)가 배치되고, 이의 양측에 캡핑기(120)가 배치되되 충전기(110)와 양측의 캡핑기(120)가 함께 승강되고,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기(110)와 캡핑기(120), 및 캡공급컨베이어(450)는 나사축 또는 실린더로 승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류컨베이어(310)는 병이송부(400)의 일측 상방에 겹쳐지게 설치되어 병 몸체의 일측이 수용되어 병이송부(400) 상면으로 하나씩 이송되어 지지 및 배출하도록 나선홈(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스크류컨베이어(310)의 나선홈(311)에 수용된 병은 스크류컨베이어(310) 상방 외측에 병(B)의 목부분을 지지하도록 수평이동되는 외측고정지지부(520)와, 이의 반대측 목부분을 지지하도록 스크류컨베이어(310) 사이에 설치된 내측고정지지부(51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7. 병을 제1,2벨트컨베이어(210, 220)에 의해 나란한 간격으로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시키고,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된 병을 스크류컨베이어(310)로 충전기(110) 및 캡핑기(120)의 하방에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병을 이송하여 위치시키고,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된 병(B)의 외측에 병과 나란히 캡(C)을 캡공급컨베이어(450)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이송하고,
    좌,우로 간격을 이루게 공급된 병과 이의 양측에 공급된 캡(C)의 간격에 대응하여 중앙에 설치된 충전기(110)와 양측에 설치된 캡핑기(120)를 승강시켜 일측 병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일측 캡핑기(120)로 캡(C)을 파지하고 타측 캡핑기(120)로 충전된 병(B)의 캡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고,
    충전기(110)와 캡핑기(120)의 상승시에 캡핑이 이루어진 병을 스크류컨베이어(310)로 배출함과 동시에 병을 충전 및 캡핑부(10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스크류컨베이어(310)에 의해 위치된 병 내측은 내측고정지지부(51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외측은 수평으로 이동되는 외측고정지지부(5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충전기(110)와 캡핑기(120)는 종렬로 2~30개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크류컨베이어(310)도 빈병이 2~30개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나선홈(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충전기(110)와 캡핑기(120), 및 캡공급컨베이어(450)는 나사축 또는 실린더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방법.
KR1020080115869A 2008-11-20 2008-11-20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56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69A KR20100056874A (ko) 2008-11-20 2008-11-20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69A KR20100056874A (ko) 2008-11-20 2008-11-20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74A true KR20100056874A (ko) 2010-05-28

Family

ID=4228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69A KR20100056874A (ko) 2008-11-20 2008-11-20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8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35B1 (ko) * 2012-11-02 2013-03-07 기성엠앤이 (주) 자동액체충전장치
CN110510561A (zh) * 2019-10-14 2019-11-29 李媛媛 一种液体灌装装置及液体灌装操作方法
CN111003677A (zh) * 2019-12-11 2020-04-14 佛山市金银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铝瓶分装机及其分装方法
KR102638822B1 (ko) * 2023-04-12 2024-02-21 김기웅 액상 내용물 주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35B1 (ko) * 2012-11-02 2013-03-07 기성엠앤이 (주) 자동액체충전장치
CN110510561A (zh) * 2019-10-14 2019-11-29 李媛媛 一种液体灌装装置及液体灌装操作方法
CN111003677A (zh) * 2019-12-11 2020-04-14 佛山市金银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铝瓶分装机及其分装方法
KR102638822B1 (ko) * 2023-04-12 2024-02-21 김기웅 액상 내용물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0772A1 (en) Installation for preparing batches of products, of the vial or bottle kind or the like
KR20100056874A (ko) 병을 충전하고 캡핑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934000B (zh) 瓶装口服液全自动包装机的瓶子状态过渡转换装置
CN104097803A (zh) 一种钢筋连接套输送理料装置
KR20150005348A (ko) 파이프 이송장치
CN111747081A (zh) 自动包装机
KR101652847B1 (ko) 평판형 부품의 2중 겹침 방지 및 자동정렬공급장치
CN114261937A (zh) 一种化工液体定量灌装设备
CN210456632U (zh) 灌装机用油桶自动上料装置
CN110726307A (zh) 全自动上料机
CN202226092U (zh) 一种灌装机
CN206375013U (zh) 可立袋自动装箱机
CN112390515A (zh) 一种玻璃软化炉自动补料系统
US5230201A (en) Block filling apparatus
CN116002127A (zh) 安瓿瓶卧转立理瓶线及其应用的卧式安瓶包装机
CN205802499U (zh) 电动链条翻斗机
CN210394462U (zh) 一种自动化上料装置
CN203199287U (zh) 倒立退杯装置
CN209241425U (zh) 高速泡罩装盒一体机
CN210366938U (zh) 一种灌装加塞机
CN107310785A (zh) 高速空箱规整定位机构及装箱方法
CN110668143A (zh) 一种异形玻璃瓶自动包装输送线
CN111942633A (zh) 一种用于医疗药瓶的灌装设备及其灌装方法
CN108705453A (zh) 在线抛丸装置
CN207631934U (zh) 一种瓶盖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