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477A -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477A
KR20100055477A KR1020107005775A KR20107005775A KR20100055477A KR 20100055477 A KR20100055477 A KR 20100055477A KR 1020107005775 A KR1020107005775 A KR 1020107005775A KR 20107005775 A KR20107005775 A KR 20107005775A KR 20100055477 A KR20100055477 A KR 2010005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units
electrode terminal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세키노
나가아키 무로
노리오 시미즈
유우사쿠 하타
츠토무 가네츠나
겐지 사토
겐지 시게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5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복수의 셀을 직렬 접속한 모듈에서 외부 접속용의 단자가 동일 방향이 되어 모듈을 횡단하는 바와 같은 배선이 발생하지 않고, 모듈 작성시에 있어서는 유닛 사이의 버스 바의 접속만을 실시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과 접속 미스의 삭감을 가능하게 한 전지 팩을 제공한다. 3개의 평판 형상의 셀(2a ~ 2c)을 평행하게 배치하여 3개 유닛(1)을 구성하고, 각 셀(2a ~ 2c)의 상부에 정극 단자(3)와 부극 단자(4)를 설치한다. 제 1 셀(2a)의 부극 단자(4)와 제 2 셀(2b)의 정극 단자(3) 사이를 경사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버스 바(5)에 의해, 또한, 제 2 셀(2b)의 부극 단자(4)와 제 3 셀(2c)의 정극 단자 사이는 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버스 바(6)에 의해 접속한다. 2개의 평판 형상의 셀(12a, 12b)을 평행하게 배치해서 2개 유닛(11)을 구성하고, 각 셀(12a, 12b)의 정극 단자(13)와 부극 단자(14)를 제 2 버스 바(16)에 의해 접속한다.

Description

전지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복수의 셀을 직렬로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렬 접속시에 형성되는 모듈 단자를 외부에 취출할 때의 배선의 단축화를 가능하게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복수의 셀을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고전압의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전지 팩이나 자동차용 전지 팩에서는, 체적 효율을 생각해서 입방체에 가까운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직렬 시에 발생하는 모듈 단자를 외부에 취출하기 위해 긴 배선이 발생하거나, 직렬 수를 제품에 따라 변경할 때에는, 그때마다 모듈 구성을 다시 볼 필요가 생긴다.
예를 들면, 도 7은 전체를 입방체에 가까운 구성으로 한 직렬 접속의 일예이며, 복수의 셀(51)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각 셀(51) 사이를 버스 바(bus bar)(52)에 의해 접속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모듈의 양 단에 정극(正極) 단자(53)와 부극(負極) 단자(54)가 위치하기 때문에 양 극으로부터의 배선의 인출 방향이 다르고, 양 극의 배선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모듈을 가로지른 배선이 필요해지는 동시에, 배선 길이(L)도 길어진다.
게다가,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등과 같이 전지 팩의 배치 스페이스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팩 설치의 형편상, 직방체에 의해 평평한 모듈이 요구되기 때문에, 긴 배선은 입방체에 가까운 구조에 비해, 체적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에 사용되는 전지 팩에서는, 10개의 박형(薄型)의 셀(51)이 버스 바(52)를 이용해서 직렬로 접속되고, 게다가 그 두께도 3셀 정도까지 제한되어 있다.
그 결과, 직렬 접속된 모듈의 단자로부터 외부에 전력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모듈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극 단자(53)와 부극 단자(54)에 배선을 접속하게 되어, 모듈을 횡단하도록 긴 배선 길이(L)가 필요하다. 또한, 각 셀 사이의 접속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버스 바 등의 도전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수의 버스 바를 1개씩 교차하는 일이 없도록, 게다가, 뿔뿔이 준비된 개개의 셀에 대하여 접속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며, 접속 미스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특개2004-200017호공보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개개의 전지 셀을 1개씩 버스 바에 의해 직렬 접속하기 때문에, 접속의 작업성이 낮고, 접속 미스도 생기기 쉬운 동시에, 직렬 접속한 모듈 양 단의 단자로부터 외부에 전력을 인출하고 있었기 때문에, 배선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스 바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셀을 유닛화하고, 이 유닛을 다른 유닛 혹은 셀과 조합시켜서 접속해서 전지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셀을 직렬 접속한 모듈에서도 외부 접속용의 단자가 동일한 방향이 되어 모듈을 횡단하는 바와 같은 배선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모듈 작성시에 있어서는 유닛 사이의 버스 바의 접속만을 실시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과 접속 미스의 삭감을 가능하게 한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갖는 3개의 셀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전지 팩에서, 상기 3개의 셀 중 2개의 셀에 관해서는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남은 1개의 셀에 대해서는 다른 2개의 셀과 반대 방향으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치되고, 직렬 접속하는 2개의 셀 중 정극과 부극을 동일 방향으로 배치한 2개의 셀에 대해서는, 경사 방향의 버스 바에 의해 인접하는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접속되고, 직렬 접속하는 2개의 셀 중 정극과 부극을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2개의 셀에 대해서는, 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버스 바에 의해 인접하는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접속되고, 외부 배선 접속용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한 3개의 셀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3개 유닛을 2개의 셀을 직렬로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2개 유닛과 조합시키고, 배선 접속용의 단자를 동일 방향으로 배치한 것도, 본 발명의 일 태양이다. 또한, 이들 3개 유닛과 2개 유닛에 더해, 다른 유닛을 직렬 접속함으로써, 보다 많은 셀을 직렬 접속하고, 게다가 배선 접속용의 단자를 동일 방향으로 근접 배치한 것도, 본 발명의 일 태양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모듈의 배선 접속용 단자를 동일 방향으로 근접 배치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가로지르는 배선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복수의 셀을 구비한 3개 유닛이나 2개 유닛을 사용해서, 보다 다수의 셀을 갖는 모듈을 제작하므로, 다수의 셀의 접속 작업이 효율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3개 유닛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2개 유닛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3개 유닛과 2개 유닛에 의해 구성한 전지 모듈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3개 유닛과 2개 유닛에, 다른 3개 유닛과 2개 유닛을 조합시켜서 10셀을 직렬 접속한 모듈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2개의 3개 유닛과, 3개의 2개 유닛을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4개의 3개 유닛을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종래의 전지 모듈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전지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1) 제 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팩에서의 3개 유닛(1)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3개 유닛(1)은 3개의 평판 형상의 셀(2a ~ 2c)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며, 각 셀(2a ~ 2c)의 상부에는, 각각 정극 단자(3)와 부극 단자(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과 제 2 셀(2a, 2b)에 대해서는 그 정극 단자(3)와 부극 단자(4)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3 셀에 관해서는 정극 단자(3)와 부극 단자(4)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셀(2a)의 부극 단자(4)와 제 2 셀(2b)의 정극 단자(3) 사이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된 경사 방향의 내부 접속용 버스 바(5)에 의해, 또한 제 2 셀(2b)의 부극 단자(4)와 제 3 셀(2c)의 정극 단자 사이는 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직교 방향의 내부 접속용 버스 바(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셀(2a)로부터 제 3 셀(2c)이 직렬로 접속되고, 게다가 제 1 셀(2a)의 정극 단자(3)와 제 3 셀(2c)의 부극 단자(4)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팩에서의 2개 유닛(11)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2개 유닛(11)은 2개의 평판 형상의 셀(12a, 12b)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며, 각 셀(12a, 12b)의 상부에는, 각각 정극 단자(13)와 부극 단자(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과 제 2 셀(2a, 12b)의 정극 단자(13)와 부극 단자(14)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셀(12a)의 부극 단자(14)와 제 2 셀(12b)의 정극 단자(13) 사이는, 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직교 방향의 내부 접속용 버스 바(1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셀(12a)과 제 2 셀(12b)이 직렬로 접속되고, 게다가 제 1 셀(12a)의 정극 단자(13)와 제 2 셀(12b)의 부극 단자(14)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3개 유닛(1)과 2개 유닛(11)에 대해서는, 각 셀의 정극과 부극을 반전시킴으로써, 외부 배선을 접속하는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의 위치를 반전시킨 것도, 본 실시 형태의 일 태양이다. 그 구성을, 각각 도 1의 (B)와, 도 2의 (B)에 도시한다. 또한, 2개 유닛(11)에 대해서는, 도 2의 (A), (B)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3개 유닛(1)과 동일한 외형 치수를 얻기 위해, 2개의 셀(12a, 12b)을 셀 1개 분(分)의 간격을 유지해서 배치했지만, 도 2의 (C)와 같이 2개의 셀을 근접 배치하고, 3개 유닛(1)의 2/3의 폭 치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의 (C)의 각 셀의 정극과 부극을 반전시킴으로써, 외부 배선을 접속하는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의 위치를 반전시킨 것도, 본 실시 형태의 일 태양이다.
또한, 이들 도 1의 (A), (B) 및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각 유닛에 대해서는, 도면 중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30) 내에 수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케이싱(30)으로부터는, 외부 배선 접속용의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만을 노출시키고, 다른 단자나 셀 사이를 접속하는 버스 바에 대해서는, 케이싱 내에 수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케이싱(30)의 외부에는, 접속용의 결합부(클로(claw)와 그것을 걸리게 하는 오목부 등)을 설치해 둘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지 팩은 상기와 같은 3개 유닛(1) 및 2개 유닛(11)을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3개 유닛(1)을 1개, 2개 유닛(11)을 2개 조합시킴으로써 7개의 셀을 직렬 접속한 것이다. 이 경우, 도 1의 (A)에 도시하는 3개 유닛(1)과, 도 2의 (A) 및 (B)에 도시하는 2개 유닛(11)을 인접해서 배치하고, 이들 각 유닛(1, 11)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외부 접속용 버스 바(31)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7개의 전지 셀이 직렬로 접속된 전지 모듈을 얻을 수 있다.
이 도 3의 전지 모듈에서는, 7개의 전지 셀이 체적이 작은 입방체 형상으로 집약해서 배치되어 있지만, 모듈의 양 단에 설치된 외부 배선 접속용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는 모듈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도 7에 도시한 종래 기술과 같이, 모듈을 가로질러서 배선을 행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7개의 셀을 직렬로 접속할 경우에, 미리 준비된 3개의 유닛을 2개의 외부 배선용의 버스 바(31, 32)에 의해 접속하면 되므로, 접속 작업이 용이해지고, 미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케이싱(30)에 접속용의 결합부를 설치해 두면, 유닛 사이의 위치 어긋남도 없고, 외부 접속용 버스 바의 설치 작업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2) 제 2 실시 형태
도 4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3개 유닛(1)과 2개 유닛(11)에 더해, 동일한 3개 혹은 2개의 셀을 케이싱(30) 내에 수납해서 이루어지는 이종(異種)의 3개 유닛(1')과 2개 유닛(11')을 사용하여, 10개의 셀을 직렬로 접속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이종의 3개 유닛(1')은 도 1의 3개 유닛(1)과 동일하게, 인접하는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접속하는 경사 방향의 버스 바(32)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버스 바(32)는 유닛 내의 셀끼리를 미리 접속하는 내부 접속용 버스 바는 아니고, 케이싱(30)으로부터 노출시킨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케이싱(30) 외부로부터 접속하는 외부 접속용 버스 바이다. 이 이종의 3개 유닛(1')에서, 3개의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는 모두 케이싱(30)으로부터 노출해 있지만, 인접하는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접속하는 직교 방향의 버스 바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이 이종의 3개 유닛(1')에서, 경사 방향의 외부 접속용 버스 바(32)에 의해 접속된 단자 이외의 다른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는 모두 유닛 내의 셀끼리를 접속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유닛의 단자에 대하여 외부 접속용 버스 바(31)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다.
동일하게, 이종의 2개 유닛(11')은 케이싱(30) 내에 2개의 셀을 수납한 것이며, 2개의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는 모두 케이싱(30)으로부터 노출해 있지만, 유닛 내의 인접하는 셀끼리를 접속하는 직교 방향의 버스 바는 존재하지 않고, 다른 유닛의 단자에 대하여 외부 접속용 버스 바(31)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4종류의 유닛을, 2개 유닛(11), 2개 유닛(11'), 3개 유닛(1') 및 3개 유닛(1)의 순(順)으로, 셀 3개 분의 두께가 최대 폭이 되도록 가늘고 길게 배치하고, 인접하는 유닛 사이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외부 접속용 버스 바(33)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전지 모듈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듈의 단부에 도 1에 도시하는 3개 유닛(1)과 도 2에 도시하는 2개 유닛(11)을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배치하는 다른 3개 유닛(1') 및 2개 유닛(11')의 셀의 방향과 외부 접속용 버스 바(31, 32)의 접속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전지 모듈에 접속하는 정극 측과 부극 측의 배선의 위치를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선 길이의 단축 및 배선이 모듈을 가로지르는 것과 같은 부적당의 해소가 가능해진다. 또한, 미리 준비된 3개 유닛(1) 및 2개 유닛(11)을 사용함으로써, 접속 작업의 간이화, 접속 미스의 삭감도 상기 도 3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기대할 수 있다.
(3)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1) 3개 유닛과 2개 유닛을 반드시 조합시켜서 사용할 필요는 없고, 모듈이 필요로 하는 셀 수에 따라서는, 복수의 3개 유닛만을 조합시켜서 모듈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실시 형태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2개 유닛(11)을 제거하면, 8개의 셀에 의해 배선용의 단자를 근접 배치한 모듈을 얻을 수 있고, 3개 유닛(1)과 3개 유닛(1')만을 조합시키면, 6개의 셀에서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도 4의 실시 형태에서의 이종의 3개 유닛(1')에서는, 인접하는 셀을 경사 방향의 외부 접속용 버스 바(32)에 의해 접속했지만, 이 경사 방향의 외부 접속용 버스 바(32)의 대신에, 도 1의 3개 유닛(1)과 동일하게, 미리 경사 방향의 내부 접속용 버스 바(5)에 의해 접속해 둘 수도 있다. 그 경우, 모듈의 제작 시에, 케이싱(3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셀끼리의 단자를 접속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서,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3)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방향의 내부 접속용 버스 바(5)에 의해, 3개의 셀의 양측에 위치하는 셀끼리를 접속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접속용 버스 바(5)가 길어지지만, 3개 유닛(1)에 접속하는 배선을 보다 근접시킬 수 있다.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3개 유닛(1)과 3개의 2개 유닛(11)을 접속해서 전지 모듈을 구성하거나,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3개 유닛(1)을 접속해서 전지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접속 구성은 4개의 2개 유닛을 접속해서 전지 모듈을 구성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채용할 수 있다.
1, 1' : 3개 유닛
2a ~ 2c : 셀
3 : 정극 단자
4 : 부극 단자
5, 6 : 내부 접속용 버스 바
11, 11' : 2개 유닛
12a, 12b : 셀
13 : 정극 단자
14 : 부극 단자
16 : 내부 접속용 버스 바
30 : 케이싱
31, 32 : 외부 접속용 버스 바

Claims (4)

  1. 각각 정극(正極) 단자와 부극(負極) 단자를 갖는 3개의 셀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셀 중 2개의 셀에 대해서는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남은 1개의 셀에 대해서는 다른 2개의 셀과 반대 방향으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치되고,
    직렬 접속하는 2개의 셀 중 정극과 부극을 동일 방향으로 배치한 2개의 셀에 대해서는, 경사 방향의 버스 바(bus bar)에 의해 인접하는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접속되고,
    직렬 접속하는 2개의 셀 중 정극과 부극을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2개의 셀에 대해서는, 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버스 바에 의해 인접하는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접속되고,
    외부 배선 접속용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한 3개의 셀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2.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갖는 2개의 셀이 정극과 부극을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이들 2개의 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버스 바에 의해 접속되어서, 2개의 셀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2개 유닛이 구성되고,
    이 2개 유닛에서의 외부 배선 접속용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평행하게 배치한 2개의 셀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2개 유닛과 제 1 항에 기재된 3개 유닛이 버스 바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고, 이 직렬로 접속된 2개 유닛과 3개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의 외부 배선 접속용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전지 모듈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구성하는 셀이 유닛마다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4. 제 1 항에 기재된 3개 유닛과 제 2 항에 기재된 2개 유닛, 및 3개의 셀을 평행하게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다른 3개 유닛과, 2개의 셀을 평행하게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다른 2개 유닛으로 구성된 10개의 셀을 직렬 접속한 전지 팩에 있어서,
    모듈의 양 단에 제 1 항의 3개 유닛과 2개 유닛이 위치하도록, 2개의 2개 유닛끼리와 2개의 3개 유닛끼리가 인접해서 배치되고,
    각 유닛의 단자 사이, 및 제 1 항의 3개 유닛을 구성하는 셀의 단자 사이가 버스 바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KR1020107005775A 2007-09-28 2008-09-24 전지 팩 KR20100055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55903A JP2009087720A (ja) 2007-09-28 2007-09-28 電池パック
JPJP-P-2007-255903 2007-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477A true KR20100055477A (ko) 2010-05-26

Family

ID=4051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775A KR20100055477A (ko) 2007-09-28 2008-09-24 전지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66887A1 (ko)
EP (1) EP2202825A1 (ko)
JP (1) JP2009087720A (ko)
KR (1) KR20100055477A (ko)
CN (1) CN101809786A (ko)
TW (1) TW200924259A (ko)
WO (1) WO2009041018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6239B2 (en) 2010-11-05 2014-09-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005800B2 (en) 2010-11-10 2015-04-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083030B2 (en) 2011-08-25 2015-07-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093851B2 (en) 2011-08-25 2015-07-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a relay installed to a case
US9455425B2 (en) 2010-11-05 2016-09-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19132155A1 (ko) * 2017-12-28 2019-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10903470B2 (en) 2017-12-27 2021-01-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11616265B2 (en) 2018-10-19 2023-03-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26630B2 (en) 2018-10-19 2023-04-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37339B2 (en) 2018-10-19 2023-04-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62778B2 (en) 2018-10-19 2024-01-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76243B2 (en) 2018-10-19 2024-01-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901529B2 (en) 2018-10-19 202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1226C (en) 2006-09-14 2011-11-29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Liquid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device
JP5595830B2 (ja) 2009-08-26 2014-09-24 株式会社東芝 電池、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US8574753B2 (en) 2009-08-27 2013-11-05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comprising a conductive nipping member
JP5537111B2 (ja) 2009-09-30 2014-07-02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装置
KR101136310B1 (ko) * 2010-06-07 2012-04-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4600234B (zh) 2010-06-21 2017-12-01 株式会社东芝 电池
US9276250B2 (en) 2010-08-26 2016-03-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arra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JP5672218B2 (ja) * 2011-11-23 2015-02-18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
JP5967477B2 (ja) 2012-07-13 2016-08-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DE102012217600A1 (de) * 2012-09-27 2014-03-27 Robert Bosch Gmbh Batterie sowie Kraftfahrzeug mit Batterie
JP2014191968A (ja) * 2013-03-27 2014-10-06 Toyoda Gosei Co Ltd 電池装置
DE112013000093T5 (de) * 2013-08-02 2015-07-23 Komatsu Ltd. Batterie für ein Arbeitsfahrzeug und Arbeitsfahrzeug der Batterieart
JP6052427B2 (ja) * 2013-11-22 2016-12-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素子群の接続構造
CN104064720A (zh) * 2014-07-09 2014-09-24 深圳市格瑞普电池有限公司 多电压输出的锂离子电池组
JP2017142923A (ja) * 2016-02-09 2017-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6414139B2 (ja) 2016-05-24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DE102016121265A1 (de) * 2016-11-07 2018-05-09 Elringklinger Ag Zellkontaktierungssystem für eine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JP6629710B2 (ja) * 2016-11-08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6866406B2 (ja) * 2017-02-06 2021-04-28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パック、ホルダ
JP6856423B2 (ja) * 2017-03-29 2021-04-07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パック
WO2019131358A1 (ja) * 2017-12-27 2019-07-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パック
CN108091788A (zh) * 2018-01-31 2018-05-29 北京国能电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箱及电池充电系统
KR20190130927A (ko) * 2018-05-15 2019-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208444901U (zh) * 2018-05-18 2019-01-2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和具有其的用于车辆的电池包
CN108777312A (zh) * 2018-06-10 2018-11-09 沈建冬 一种可以互补的电池
CN209104250U (zh) 2018-11-19 2019-07-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09768206A (zh) * 2018-12-20 2019-05-17 深圳市溢骏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组
CN209730034U (zh) * 2019-01-18 2019-12-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
CN110707253B (zh) * 2019-09-24 2022-04-29 天能电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组
WO2021196169A1 (zh) * 2020-04-03 2021-10-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电池包以及使用电池作为电源的装置
CN112310575B (zh) * 2020-04-03 2022-11-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电池组及使用二次电池的装置
JP2022126922A (ja) * 2021-02-19 2022-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633U (ko) * 1973-07-04 1975-04-15
JPS556043Y2 (ko) * 1974-11-19 1980-02-12
JPS62140673U (ko) * 1986-02-27 1987-09-04
US5709280A (en) * 1995-10-13 1998-01-20 Gnb Technologies, Inc. Sealed lead-acid cell tray assembly and motive powered vehicle using such cell tray assembly
JP4428905B2 (ja) * 2002-02-01 2010-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扁平型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JP2004200017A (ja) 2002-12-19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6239B2 (en) 2010-11-05 2014-09-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455425B2 (en) 2010-11-05 2016-09-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005800B2 (en) 2010-11-10 2015-04-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083030B2 (en) 2011-08-25 2015-07-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093851B2 (en) 2011-08-25 2015-07-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a relay installed to a case
US10903470B2 (en) 2017-12-27 2021-01-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O2019132155A1 (ko) * 2017-12-28 2019-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11616265B2 (en) 2018-10-19 2023-03-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26630B2 (en) 2018-10-19 2023-04-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37339B2 (en) 2018-10-19 2023-04-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62778B2 (en) 2018-10-19 2024-01-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76243B2 (en) 2018-10-19 2024-01-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901529B2 (en) 2018-10-19 202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66887A1 (en) 2010-10-21
JP2009087720A (ja) 2009-04-23
WO2009041018A1 (ja) 2009-04-02
CN101809786A (zh) 2010-08-18
EP2202825A1 (en) 2010-06-30
TW200924259A (en)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5477A (ko) 전지 팩
KR102519443B1 (ko) 배터리 팩
KR100889243B1 (ko) 전지 코어 팩의 제조방법
JP5490516B2 (ja) 電池パック
KR100881640B1 (ko) 중대형 전지팩용 전지모듈
JP6163361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5881993B2 (ja) バッテリーアレイ及びこれ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30264891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20110195285A1 (en)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6215358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CN209418623U (zh) 一种电池模组
JP2020205175A (ja) バスバモジュール
JP6557634B2 (ja) 接続モジュール
KR101219233B1 (ko) 배터리 어레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JP6162459B2 (ja) 電池パック
JP2017120711A (ja) 配線モジュール
JP583617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742523B2 (ja) コネクタ及び電源モジュール
WO2015190492A1 (ja) 蓄電セルパック
CN218632354U (zh) 一种电池模组
CN212783694U (zh) 一种同侧出线的电池串联结构及其电池模组和电池包
CN219917500U (zh) 一种电池模组
CN219832946U (zh) 一种电池装置、动力设备和储能设备
CN217719806U (zh) 一种圆柱电芯排布结构及电池模组
CN219575837U (zh) 一种电池模组及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