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846A -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846A
KR20100054846A KR1020107006784A KR20107006784A KR20100054846A KR 20100054846 A KR20100054846 A KR 20100054846A KR 1020107006784 A KR1020107006784 A KR 1020107006784A KR 20107006784 A KR20107006784 A KR 20107006784A KR 20100054846 A KR20100054846 A KR 2010005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ower supply
circuit
tank circuits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더블유. 바르만
워렌 이. 거스리
폴 덕워스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5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multiphase inductive power supply)는 무선으로 복수의 위상(multiple phases)에 전력을 전송한다. 제1차 회로는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에서(out of phase relationship) 복수의 탱크 회로(tank circuits)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2차 회로는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을 재결합시킨다. 각각의 위상에서의 에너지의 양은, 단상 유도 전력 공급기(single phase inductive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같은 양의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보다 감소 된다.

Description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MULTIPHASE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전자기 결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도 결합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디지털 음악 재생기, PDA, 및 기타 유사 전자 기기와 같은 원격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요구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소형 전자 기기(handheld electronics)에 대한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와 관련된 무선 전력 공급기(wireless power supply)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보통의 소형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가 전력원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이동식 전력 공급 코드를 이용한다. 전력 공급 코드는 불편하고 다양한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충전이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는 전력 공급 코드의 위치를 찾아내어 코드를 꽂아 충전해야 한다. 사용자가 복수 개의 전력 공급 코드를 구매할 의사가 있거나 한 개의 전력 공급 코드를 휴대하고 돌아다니려는 의사가 있지 않는 한, 사용자는 전자 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해 특정 장소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력 공급기 코드는 상당한 양의 공간을 차지하며 보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전력 코드 및 기타 연관된 전력 공급 회로 소자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추가 비용을 발생하게 할 수 있다. 한 개의 전력 코드도 상당한 문제를 가지지만, 많은 수의 원격 전자 기기에 대한 전력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개인이나 조직에는 문제가 기하급수적으로 복잡하게 된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원격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원격 장치와 전력 공급기 사이에 무선 연결(wireless bridge)을 제공하는 전자기 결합(또는 유도 결합)에 대한 기술을 응용한다. 예를 들어, 발명의 명칭이 "유도 결합된 밸러스트 회로(Inductively Coupled Ballast Circuit)"인 미국 특허 제6,825,620호, 발명의 명칭이 "적응적 유도성 전력 공급기"인 미국 특허 제7,212,414호, 및 발명의 명칭이 "통신 기능을 갖는 적응적 유도성 전력 공급기"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689,148호는, 유도 결합을 통한 원격 장치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기가 원격 장치의 전력 공급 필요성에 적응하는 효율적인 유도 결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허들은 전부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다.
비록 유도 결합 기술이 지난 10년간 상당한 기술적 진보를 이룬 것이 사실이지만 뛰어난 효율, 향상된 성능, 및 더 작은 크기의 구성 요소에 대한 수요는 항상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 장치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중 위상 유도 결합에 관한 발명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 결합은 복수의 개별적 탱크 회로를 갖는 1차 회로 및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에 있는(in an out of phase relationship) 탱크 회로를 활성화하기(energizing) 위한 제어기(controller)를 포함한다. 각각의 탱크 회로는 1차 유도성 커플러(primary inductive coupler)를 포함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코일이 된다. 유도 결합은 일반적으로 코일인 복수의 2차 유도성 커플러(secondary inductive couplers)를 포함하는 2차 회로도 포함한다. 각각의 2차 코일은 1차 코일과 고유하게 쌍을 이루어(uniquely paired) 복수 개의 결합 코일(a plurality of paired coils)을 성립시킨다(establish). 2차 코일은 다중 위상 전력을 모으고(converging)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회로는 3개의 개별적 탱크 회로 및 3개의 탱크 회로가 서로 위상이 어긋나게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2차 회로는 1차 회로의 결합 코일에 근접하게 배치된 3개의 2차 코일을 포함한다.
다중 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게 되면 각각의 위상에서 요구되는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단상의 무선 전력 전송과 비교했을 때, 무선으로 전송함에 따른 전체 전력의 손실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더 작은 구성 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회로에서 바람직한 열 발산의 감소는 작은 구성 요소의 사용 및 적은 전류의 손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장점, 및 특징과 이와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는 코일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다른 코일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또 다른 코일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전력이 전기적으로 공급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사용되는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 위상 회로는 다중 위상 부하의 전력 공급에 사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목적을 위해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의 실시예는 일반적인 단상 부하(generic single phase loa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비록 본 발명을 일반적인 부하와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휴대폰, 디지털 음악 재생기, PDA, 및 기타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300)에 관한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 1의 회로도, 도 3 및 도 5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고 도면상으로는 도면 부호 100으로 지정되어 있다.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 2의 회로도 및 도 6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300)은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에서의 전력을 복수의 위상(multiple phases)으로 분리시킨 후 유도 결합을 통하여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는 전송된 전력을 단상으로 재결합한 후 부하(304)에 인가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는 전력 공급기에 통합되거나 또는 외부의 전력원을 받아들이는 단독형 장치(stand alon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는 임의의 부하(304)에 직접적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부하(304)를 위한 어댑터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2), 3개의 발진기(310, 312, 314), 3개의 드라이버(320, 322, 324), 3개의 스위칭 회로(330, 332, 334), 및 1차 유도성 커플러(110, 112, 114)를 각각 포함하는 3개의 탱크 회로(340, 342, 34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에 있는 발진기(310, 312, 314) 각각에 3개의 위상으로 전력을 분리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발진기(310)가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발진기(3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라이버(320)에 발진 신호(oscillating signal)를 제공한다. 드라이버(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회로(330)를 활성화하고 스위칭 회로는 탱크 회로(340)에 교류 전류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유도성 커플러(110)를 통하여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에 제1 위상의 전력을 제공한다. 제1 신호보다 지연된 제2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2 발진기(312)에 전송되어 드라이버(322)에 발진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는 스위칭 회로(332)를 활성화하고 스위칭 회로는 제2 탱크 회로(342)에 제2 위상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 전력은 유도성 커플러(112)를 통하여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에 전송된다. 유사하게, 제2 신호보다 지연된 제3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제3 발진기(314)에 전송되어 드라이버(324)에 발진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는 스위칭 회로(334)를 활성화하고 스위칭 회로는 제3 탱크 회로(344)에 제3 위상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 전력은 유도성 커플러(114)를 통하여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에 전송된다.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의 일 실시예가 도 1의 회로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2), 3개의 발진기(310, 312, 314), 3개의 드라이버(320, 322, 324), MOSFET(104-109)의 쌍으로부터 각각 형성된 3개의 하프 브리지 스위칭 회로(half bridge switching circuits), 직류 전력원(101), 공통 접지(common ground; 122), 3개의 탱크 회로(340, 342, 344)를 포함한다. 이와 다른 실시예는 추가적인 또는 상이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는 추가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전력원, 드라이버, 및 탱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제어 유닛(102)은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를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각각의 발진기(310, 312, 3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만일 마이크로프로세서(102)가 발진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발진기의 역할을 한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각의 드라이버(320, 322, 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진기가 회로에서 제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에서 3상 전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타이밍을 사용하여 신호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동작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궁극적으로는 부하(304)를 활성화하는, 개별적인 사전 결정된 전기 신호(separate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s)를 각각의 드라이버(320, 322, 324)로 전송할 수 있다.
발진기(310, 312, 314) 및 드라이버(320, 322, 324)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 요소들로 인식될 것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진기는 일반적인 연산 증폭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저항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인 다중 권선 변압기(multi-winding transformer)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및 발진기는 다르게 구성되거나 또는 상이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위상에 대한 발진기 대신에 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하나의 발진기가 내장되어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의 드라이버(320, 322, 324)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드라이버로 전송되기 전에,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내장 발진 신호(onboard oscillator signal)는 타임 시프트된다(shifted in time).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스위칭 회로는 n채널 MOSFET의 쌍을 이용하여 구현한 하프 브리지 스위칭 회로이다. 구체적으로, MOSFET(104)의 드레인은 직류 전력원(101)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4)의 소스는 탱크 회로(340)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4)의 게이트는 드라이버(320)에 연결되어 있다. MOSFET(105)의 드레인은 탱크 회로(340)와 연결되어 있고, MOSFET(105)의 소스는 공통 접지(122)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5)의 게이트는 드라이버(320)에 연결되어 있다. MOSFET(106)의 드레인은 직류 전력원(101)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6)의 소스는 탱크 회로(342)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6)의 게이트는 드라이버(322)에 연결되어 있다. MOSFET(107)의 드레인은 탱크 회로(340)와 연결되어 있고, MOSFET(107)의 소스는 공통 접지(122)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7)의 게이트는 드라이버(322)에 연결되어 있다. MOSFET(108)의 드레인은 직류 전력원(101)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8)의 소스는 탱크 회로(342)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8)의 게이트는 드라이버(324)에 연결되어 있다. MOSFET(109)의 드레인은 탱크 회로(340)와 연결되어 있고, MOSFET(109)의 소스는 공통 접지(122)에 연결되어 있고, MOSFET(109)의 게이트는 드라이버(324)에 연결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특정 구성을 이용한 한 종류의 스위칭 회로를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기타 스위칭 회로 또는 상이한 구성의 하프 브리지 스위칭 회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하프 브리지 스위칭 회로는 3 방향 스위치 또는 스위치의 쌍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프 브리지 스위칭 회로는 BJT, 진공 튜브, 기타 트랜지스터의 종류, 및 다이오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직류 전력원(101)이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회로가 존재하고 주어진 교류 또는 직류 전력원으로부터 다양한 직류 전압값을 공급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9 V 신호가 사용된다. 당업자는 다른 직류 전압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직류 전압 레벨값에서 동작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직류 전력원(101)은 커패시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류 전력원(101)은 배터리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직류 전력원(101)은 콘센트에서 나오는, 변환된 교류 전력원이다.
현재의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탱크 회로(340, 342, 344)는 직렬 공진 탱크 회로이다. 각각의 직렬 공진 탱크 회로(340, 342, 344)는 1차 유도성 커플러(110, 112, 114) 및 탱크 커패시터(116, 118, 120)를 포함한다. 각각의 1차 유도성 커플러(110, 112, 114)는 각각의 스위칭 회로와 탱크 커패시터(116, 118, 120)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탱크 커패시터(116, 118, 120)는 공통 접지(122)에도 연결되어 있다. 탱크 회로는 추가적인 회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탱크 커패시터는 각각의 유도성 커플러와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탱크 회로만을 보여주고 있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갯수의 탱크 회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위상 전력은 탱크 회로 중의 하나 및 그와 관련된 구성 요소를 제거하고 그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배열을 재배치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7년 9월 28일에 출원되고, Paul Duckworth, Warren Guthrie, Dave Baarman, Joshua Schwannecke에게 권리가 있고 발명의 명칭이 "인쇄 회로 기판 코일"인 미국 특허 가출원(provisional application)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쇄 회로 기판 코일과 관련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및 2차 회로에 있는 유도성 커플러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 리츠 와이어(printed circuit board litz wire)로 구현할 수 있다.
동작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탱크 회로(340, 342, 344)가 시차를 둔 위상에서(in staggered phases)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발진기(310, 312, 314)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3상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3개의 탱크 회로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간에 순시 피크 전류에 도달하는 동일한 주파수의 교류 전류를 전달한다. 하나의 탱크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기준으로 했을 때, 다른 2개의 탱크 회로에 있는 2개의 전류는 각각 한 주기의 3분의 1과 3분의 2의 시간이 지연된다. 이 "위상" 간의 지연은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에서 재결합되었을 때 각 주기 동안 일정한 전력을 전송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에 다중 위상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2)의 타이밍 프로그래밍에는 원하는 전력의 위상의 갯수, 구성 요소의 사이즈, 열 발산, 부하, 효율 허용치(efficiency tolerance), 원하는 출력 전력의 특성 및 기타 요인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3개 중에서 1개의 탱크 회로만이 임의의 주기 동안에 활성화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탱크 회로에 있는 전력의 위상의 각각이 일정한 오프셋(equally offset)을 갖는 상태로 위상이 어긋나는 관계에 있도록 탱크 회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작하는 동안의 전류의 흐름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살표(150)는 스위치(104)가 닫혔을 때 전류가 직류 전력원(101)에서 탱크 회로 커패시터(116)로 흐를 수 있음을 표시한다. 화살표(152)는 스위치(105)가 닫혔을 때 전류가 탱크 회로 커패시터(116)에서 공통 접지(122)로 흐를 수 있음을 표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 구성으로 인해 스위치(105)가 열렸을 때는 스위치(104)가 닫혀있고 스위치(105)가 닫혔을 때는 스위치(104)가 열려있다. 그러므로, 스위치(104)가 닫혔을 때 전류가 탱크 회로 커패시터(116)에 흘러 충전시키며 스위치(105)가 닫혔을 때는 탱크 회로 커패시터(116)는 방전되며 전류는 반대 방향으로 흘러 공통 접지(122)의 방향으로 흐른다. 일반적으로, 유도 코일(110)은 탱크 회로 커패시터(116)가 충전 및 방전이 되면서 생긴 교류 전류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교류 전류의 주파수는 스위치(104)와 스위치(105)의 타이밍에 의해서 판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스위치(106-109)의 두 쌍에서도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동작하는 동안에 직류 전력원(101)에서의 전류를 3개의 위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MOSFET(104-109)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탱크 회로(340)에 걸쳐 특정 주파수에서 교류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 MOSFET(104, 105)을 동작시킴으로써 전력의 전송을 시작한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전력의 제2 위상을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의 3분의 1이 지난 후에 MOSFET(106, 107)을 동작시키기 시작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전력의 제3 위상을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의 3분의 2가 지난 후에 MOSFET(108, 109)을 동작시키기 시작한다. 기본적으로, 전력의 위상의 각각은 120도의 오프셋을 갖게 된다.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에서도 같은 오프셋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각각의 탱크 회로(340-344)는 각각의 유도 코일(202, 204, 206)에 전력을 전송하며 다중 위상 전력은 유도(induction)를 하는 동안에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상은 다른 양 만큼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은 120도 대신 30도의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탱크 회로 및 그와 관련된 회로 소자를 추가하여 전력의 추가적인 위상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 대신 5개의 탱크 회로, 5개의 드라이버, 5개의 스위칭 회로를 통해 5개의 위상 전력이 구현될 수 있다. 5개의 위상 전력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탱크 회로는 주파수의 5분의 1 만큼이 타임 시프트된다. 5개의 위상 전력의 실시예에서 전력 전송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2차 회로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3개의 유도성 커플러 대신 5개의 유도성 커플러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5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6에서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는 위상 결합 회로(600)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2차 유도성 커플러(202, 204, 206)를 포함한다. 위상 결합 회로(600)는 전력의 위상을 재결합하고 부하(304)에 단상 전력을 공급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상 결합 회로는 제거되고 부하(304)는 다중 위상 전력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2차 유도성 커플러의 갯수 및 배열은 1차 유도성 커플러의 갯수 및 배열과 일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중 위상 전력을 재결합하기 위해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를 하프 브리지 정류 회로로 구현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의 실시예에는 3개의 유도 코일(202, 204, 206), 3개의 선택적인 커패시터(208, 210, 212), 및 6개의 다이오드(214-224)가 포함된다. 비록 현재의 실시예는, 다중 위상 전력을 결합하기 위해 하프 브리지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되었지만 기타 정류 또는 결합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프 브리지 정류 대신 중앙 탭형 정류(center tapped rectific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하프 브리지 정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도 코일(202, 204, 206)은 제1 그룹으로부터의 다이오드(214, 218, 222)의 양극과 연결되어 있고 제2 그룹으로부터의 다이오드(216, 220, 224)의 음극과 연결되어 있다. 제1 그룹의 다이오드(214, 218, 222) 각각의 음극은 서로 연결되어 단상 부하(304)를 위한 양의 단자(positive terminal)를 형성하고 제2 그룹의 다이오드(216, 220, 224) 각각의 양극은 서로 연결되어 단상 부하(304)를 위한 음의 단자(negative terminal)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에서의 1차 유도 코일(110, 112, 114) 각각은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에서의 유도 코일(202, 204, 206)과 유도 결합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1차 유도 코일(110, 112, 114)에서의 유도성 커플러와 2차 유도 코일(202, 204, 206)에서의 유도성 커플러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정렬된다(substantially aligned). 1차 및 2차 유도 코일은 선택적으로 자석이나 오목부 및 돌출부와 같은 정렬 메커니즘(alignment mechanisms)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1차 및 2차 유도 코일을 충분히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정렬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그러나,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300)이 동작하기 위해서 완벽한 정렬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더 나아가, 많은 실시예에서 1차 및 2차 유도성 커플러의 배열은 다중 위상 전력의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차 유도 코일(110, 112, 114)은 서로 견고하게 중첩하는 삼각형의 관계(a tight overlapping triangular relationship)를 갖도록 배열되어 있다. 중첩하는 배열은 인접하는 1차 코일로부터 나온 전압을 서로 상쇄하게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호 인덕턴스를 0으로 조절하는 결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각각의 코일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하고 코일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한다.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2차 유도 코일(202, 204, 206)의 유도성 커플러는 1차 유도 코일(110, 112, 114)의 유도성 커플러와 일치하는 패턴으로 배열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일은 의도적으로 분리되어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차 유도 코일(110, 112, 114)은 중첩하지 않는 느슨한(loose) 삼각형 패턴으로 일정한 거리를 상호간에 유지한 채로 배열된다. 도 4c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1차 유도 코일(110, 112, 114)은 느슨한 선형 형태로 배열된다. 고립된 코일의 배열의 장점 중의 하나는 오정렬의 영향(the effect of misalignment)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코일의 배열에도 불구하고, 유도 결합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서 1차 및 2차 코일이 실질적으로 나란히 정렬될 필요는 없다.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100)와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200)가 약간 정렬이 잘못된 경우 각각의 위상에서의 전력은 감소하겠지만 위상 관계는 일반적으로 유지된다.
복수의 탱크 회로에 걸쳐 전력을 개별 위상으로 분리함으로써, 유사한 양의 전력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더 많은 전력을, 같은 전압일 때의 단상 유도 시스템에서의 손실보다 더 적은 손실로, 2차 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상 유도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 요소보다 더 작은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다른 포괄적인 실시예나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교체나 변화가 가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속하는지 여부는 균등론을 비롯한 특허법의 이론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청구항의 구성 요소를 단수형으로 언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부정 관사나 정관사 또는 상기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그 구성 요소를 단수형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7)

  1.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multiphase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으로서,
    직류 전력원;
    접지(ground);
    마이크로프로세서;
    1차 유도성 커플러(primary inductive coupler) 및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탱크 회로(a plurality of tank circuits);
    복수의 발진기 - 상기 복수의 발진기 각각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발진기 상호로부터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로(in an out of phase relationship) 발진 신호(oscillating signal)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발진기 각각에 신호를 전송함 - ;
    각각 상기 복수의 발진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드라이버;
    복수의 스위칭 회로(a plurality of switching circuits) - 상기 복수의 스위칭 회로 각각은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회로 각각은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를 생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직류 전력원 또는 상기 접지를 상기 탱크 회로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며, 각각의 교류 전류는 상기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에 있음 - ;
    복수의 2차 유도성 커플러를 포함하는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 - 상기 복수의 2차 유도성 커플러 각각은 상기 복수의 탱크 회로 각각에서 상기 1차 유도성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와 유도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2차 유도성 커플러 각각은 상기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로 전류를 생성함 - ; 및
    상기 위상이 어긋나 있는 관계로 생성된 전류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2차 유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위상 결합 회로(phase combination circuit)
    를 포함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1차 유도성 커플러는 견고하게 중첩하는 삼각형 관계(a tight overlapping triangular relationship)의 형태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1차 유도성 커플러로부터의 전압이 상쇄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유도성 커플러는 견고하게 중첩하는 삼각형 관계의 형태로 배열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1차 유도성 커플러는 느슨한, 선형 형태로(in a loose, linear fashion) 배열되어 있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1차 유도성 커플러는 느슨한, 중첩되지 않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신호 각각의 위상은 상기 다른 발진기 신호 각각의 위상으로부터 적어도 120도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신호 각각의 위상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진기 신호로부터 30도 오프셋되어 있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8. 복수의 탱크 회로; 및
    상기 복수의 탱크 회로가 시차를 갖는 위상에서(in staggered phases)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의 복수의 탱크 회로 각각을 활성화하는(energizes) 다중 위상 유도 1차 회로
    를 포함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 회로는 견고하게 중첩하는 삼각형 관계의 형태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탱크 회로로부터의 에너지가 상쇄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 회로는 느슨한, 선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 회로는 느슨한, 중첩되지 않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
  12.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위상은 적어도 120도의 시차를 두고 떨어져 있는(staggered at least 120 degrees apart),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
  13.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위상은 적어도 30도의 시차를 두고 떨어져 있는,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
  14.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multiphase inductive secondary)로서,
    상기 다중 위상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2차 코일;
    상기 다중 위상 전력 공급기로부터 수신된 에너지를 재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2차 코일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위상 조합 회로(a phase combination circuit); 및
    상기 위상 조합 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부하
    를 포함하는,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코일은 견고하게 중첩하는 삼각형 관계의 형태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탱크 회로로부터의 에너지가 상쇄되는,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코일은 느슨한, 선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코일은 느슨한, 중첩되지 않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는, 다중 위상 유도 2차 회로.
KR1020107006784A 2007-09-28 2008-09-25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000548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613707P 2007-09-28 2007-09-28
US60/976,137 2007-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846A true KR20100054846A (ko) 2010-05-25

Family

ID=4052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784A KR20100054846A (ko) 2007-09-28 2008-09-25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42625B2 (ko)
EP (1) EP2191552A2 (ko)
JP (1) JP5346028B2 (ko)
KR (1) KR20100054846A (ko)
CN (1) CN101809687A (ko)
AU (1) AU2008309020B2 (ko)
CA (1) CA2698566A1 (ko)
RU (1) RU2010116554A (ko)
TW (1) TWI431889B (ko)
WO (1) WO200904584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831A (ko) * 2011-10-21 2014-07-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캐리어 동기 통신
KR102150196B1 (ko) * 2019-05-23 2020-08-31 정동열 자계에너지를 이용한 다중 코어 자계변환 전력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23084A1 (en) 2008-03-13 2009-09-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coil primary
WO2011016737A1 (en) * 2009-08-07 2011-02-10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CN104953626B (zh) 2009-11-17 2018-12-07 苹果公司 局部计算环境中的无线电力使用
GB2476278A (en) * 2009-12-17 2011-06-22 Eltek Valere As Resonant circuit with transformer having three sets of windings
US8879995B2 (en) * 2009-12-23 2014-11-04 Viconics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phased array antennae
WO2011089776A1 (ja) * 2010-01-21 2011-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5592124B2 (ja) * 2010-02-23 2014-09-17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非接触給電装置
KR101744162B1 (ko) * 2010-05-03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타겟 구조의 매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10600564B2 (en) * 2010-05-19 2020-03-24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primary track topologies
CN103155341A (zh) * 2010-08-06 2013-06-12 奥克兰联合服务有限公司 感应功率接收器设备
KR101730406B1 (ko) * 2010-09-15 201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NZ588159A (en) * 2010-09-23 2014-01-31 Powerbyproxi Ltd A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JP5987213B2 (ja) * 2010-10-08 2016-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装置、ならびに無線電力伝送装置を備える発電装置
JP5870276B2 (ja) * 2010-10-08 2016-0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ユニット
US10079090B2 (en) * 2010-12-01 2018-09-18 Triune Systems, LLC Multiple coil data transmission system
US9077209B2 (en) * 2011-01-20 2015-07-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generating module, module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power generation system
JP5764032B2 (ja) * 2011-03-03 2015-08-1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ワイヤレス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WO2012138949A2 (en) 2011-04-08 2012-10-1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unter wound inductive power supply
KR101813011B1 (ko) * 2011-05-27 201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AU2011369465B2 (en) * 2011-05-31 2015-04-09 Apple Inc. Magnetically de-coupled multiple resonating coils in a tightly spaced array
US10841508B2 (en) 2011-06-10 2020-11-17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9706137B2 (en) *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US10673274B2 (en) 2011-10-17 2020-06-02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transfer apparatus
JP5748861B2 (ja) * 2011-10-18 2015-07-1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ワイヤレス受電装置、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DE102011119259A1 (de) * 2011-11-24 2013-05-29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Verdopplergleichrichter für mehrphasiges kontaktloses Energieübertragungssystem
CN104380567A (zh) * 2012-02-16 2015-02-25 奥克兰联合服务有限公司 多线圈通量衬垫
KR101953913B1 (ko) * 2012-04-02 2019-03-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송 코일 배열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04838578B (zh) * 2012-08-28 2018-11-02 奥克兰联合服务有限公司 单独控制相位的多相感应电能传输系统
KR102123829B1 (ko) 2013-01-22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JP5823433B2 (ja) * 2013-03-13 2015-11-25 株式会社東芝 無線給電システム、送電ユニット、受電ユニット、送電制御装置、および、受電制御装置
US9352661B2 (en) 2013-04-29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Induction power transfer system with coupling and reactance selection
CN103488220B (zh) * 2013-09-28 2016-09-07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供电装置及供电方法
KR102154306B1 (ko) * 2013-11-15 2020-09-10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EP3111530B1 (en) 2014-02-23 2022-04-13 Apple Inc. Impedance matching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JP5915953B2 (ja) * 2014-03-05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異物検出装置、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9716861B1 (en) 2014-03-07 2017-07-25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US10664772B1 (en) 2014-03-07 2020-05-26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JP2015177614A (ja) * 2014-03-14 2015-10-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給電装置
CN106165250B (zh) 2014-04-11 2019-06-25 Lg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发送器以及无线电力发送方法
US10447079B2 (en) * 2014-04-18 2019-10-15 Apple Inc. Multi-coil induction
US9537353B1 (en) 2014-06-03 2017-01-03 Apple Inc. Methods for detecting mated coils
US9380682B2 (en) 2014-06-05 2016-06-28 Steelcase Inc. Environment optimization for space based on presence and activities
US9766079B1 (en) 2014-10-03 2017-09-19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resources and communicating within an enterprise
US9955318B1 (en) 2014-06-05 2018-04-24 Steelcase Inc. Space guidance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744376B2 (en) 2014-06-06 2023-09-05 Steelcase Inc. Micro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433646B1 (en) 2014-06-06 2019-10-08 Steelcaase Inc. Microclim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614694B1 (en) 2014-06-06 2020-04-07 Steelcase Inc. Powered furniture assembly
US9685814B1 (en) 2014-06-13 2017-06-20 Apple Inc. Detection of coil coupling in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US9991048B2 (en) * 2014-06-24 2018-06-0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WO2016024869A1 (en) 2014-08-12 2016-02-18 Powerbyprox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transfer
US10014733B2 (en) 2014-08-28 2018-07-03 Apple Inc. Temperature management in a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10193372B2 (en) 2014-09-02 2019-01-29 Apple Inc. Operating a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US9852388B1 (en) 2014-10-03 2017-12-26 Steelcase,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resources and communicating within an enterprise
DE102014226392A1 (de) * 2014-12-18 2016-06-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lexible Primärspule für induktives Laden
US10733371B1 (en) 2015-06-02 2020-08-04 Steelcase Inc. Template based content preparation system for use with a plurality of space types
US10666084B2 (en) 2015-07-10 2020-05-26 Apple In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US11043846B2 (en) * 2015-08-06 2021-06-22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Hybri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WO2017026136A1 (ja) * 2015-08-10 2017-02-16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電界結合式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9979205B2 (en) 2015-08-18 2018-05-22 Eaton Capital Unlimited Company Methods and circuits configured to provide for multi-phase wireless power transfer
US9921726B1 (en) 2016-06-03 2018-03-20 Steelcase Inc. Smart workstation method and system
US10644531B1 (en) 2016-09-22 2020-05-05 Apple Inc. Adaptable power rectifier for wireless charger system
WO2018106762A1 (en) * 2016-12-11 2018-06-14 Apple Inc. Multi-transmitter wireless power systems
US10264213B1 (en) 2016-12-15 2019-04-16 Steelcase Inc. Content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389274B2 (en) 2017-04-07 2019-08-20 Apple Inc. Boosted output inverter for electronic devices
US10523063B2 (en) 2017-04-07 2019-12-31 Apple Inc.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KR102457491B1 (ko) * 2017-04-21 2022-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밀도가 균일한 충전 영역을 형성하는 2차원 원형 배열 구조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JP2019017134A (ja) * 2017-07-03 2019-01-31 株式会社東芝 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
US10593468B2 (en) 2018-04-05 2020-03-17 Apple Inc. Inductive power transfer assembly
DE102018206339A1 (de) * 2018-04-25 2019-10-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eines Antennensystems zur Fremdmetallerkennung
TWI669879B (zh) * 2018-05-04 2019-08-21 興澄股份有限公司 Multi-receiver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411532B2 (en) 2019-03-18 2022-08-09 Uplift Solar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management
JP2022528211A (ja) 2019-03-18 2022-06-08 アップリフト ソーラ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電力管理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990766B2 (en) 2019-07-02 2024-05-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with radially arrayed magnetic structures
US10978918B1 (en) * 2020-01-02 2021-04-13 Apple Inc. Wireless power devices with capacitive foreign object detection sensors
US11557921B2 (en) 2020-03-11 2023-01-17 Ut-Battelle, Llc Wireless power system
US11984739B1 (en) 2020-07-31 2024-05-14 Steelcase Inc. Remote powe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KR102230682B1 (ko) * 2020-09-03 2021-03-22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N111934447B (zh) * 2020-09-18 2021-02-09 深圳赫兹创新技术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的控制方法、装置、系统及电动车
US11735958B2 (en) 2020-12-17 2023-08-2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ultiphase power transfer in inductive couplers
WO2022204047A1 (en) * 2021-03-23 2022-09-29 Uplift Solar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management
DE102021132237A1 (de) 2021-12-08 2023-06-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gerät zu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Ladegerätes, Lade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688A (en) * 1978-10-23 1980-12-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aintaining reserve energy sources in idling condition with unbalanced loads
JPS58164172A (ja) * 1982-03-24 1983-09-29 Terumo Corp 二次電池を電源とする電子体温計の充電方法およびその充電装置
US4556837A (en) 1982-03-24 1985-12-03 Terum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JPS58162822A (ja) * 1982-03-24 1983-09-27 Terumo Corp 電子体温計
JPH038038Y2 (ko) * 1984-11-05 1991-02-27
JPS61226887A (ja) * 1985-03-30 1986-10-08 Anritsu Corp Icカ−ド
JP2968817B2 (ja) * 1990-04-19 1999-11-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icカード
JPH041096A (ja) 1990-04-19 1992-01-06 Toppan Printing Co Ltd くじ
ES2083985T3 (es) * 1990-07-16 1996-05-01 Siemens Ag Instalacion para la transmision de datos y energia sin contacto asi como utilizacion de la misma.
US5202664A (en) * 1992-01-28 1993-04-13 Poulsen Peder Ulrik Three phase transformer with frame shaped winding assemblies
US7212414B2 (en) * 1999-06-21 2007-05-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CA2598233C (en) * 1999-06-21 2009-02-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for a fluid treatment system
US7126450B2 (en) * 1999-06-21 2006-10-2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powered apparatus
US6451202B1 (en) * 1999-06-21 2002-09-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US7522878B2 (en) 1999-06-21 2009-04-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with communication
US6825620B2 (en) * 1999-06-21 2004-11-3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coupled ballast circuit
US7518267B2 (en) * 2003-02-04 2009-04-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ower adapter for a remote device
AU2000251049A1 (en) * 2000-06-02 2001-12-17 Yamatake Corporatio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upling apparatus
US6850213B2 (en) * 2001-11-09 2005-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ergy recovery circuit for driving a capacitive load
US6548985B1 (en) * 2002-03-22 2003-04-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ultiple input single-stage inductive charger
GB2388716B (en) * 2002-05-13 2004-10-20 Splashpowe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act-less power transfer
DE10240080A1 (de) * 2002-08-30 2004-03-11 Siemens Ag Verfahren zum draht- und berührungslosen Energie- und Datentransport und zugehörige Vorrichtung
US7023311B2 (en) * 2004-03-29 2006-04-04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Overlapped superconducting inductive device
US7382636B2 (en) * 2005-10-14 2008-06-0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 load
US7826873B2 (en) 2006-06-08 2010-11-02 Flextronics Ap, Llc Contactless energy transmission converter
US20080116847A1 (en) * 2006-09-01 2008-05-22 Bio Aim Technologies Holding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8729734B2 (en) * 2007-11-16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bridge
US9130407B2 (en) * 2008-05-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831A (ko) * 2011-10-21 2014-07-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캐리어 동기 통신
US9264108B2 (en) 2011-10-21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carrier-synchronous communication
KR102150196B1 (ko) * 2019-05-23 2020-08-31 정동열 자계에너지를 이용한 다중 코어 자계변환 전력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2625B2 (en) 2014-06-03
AU2008309020B2 (en) 2012-12-20
RU2010116554A (ru) 2011-11-10
TW200934034A (en) 2009-08-01
JP5346028B2 (ja) 2013-11-20
JP2010541531A (ja) 2010-12-24
CA2698566A1 (en) 2009-04-09
EP2191552A2 (en) 2010-06-02
CN101809687A (zh) 2010-08-18
AU2008309020A1 (en) 2009-04-09
WO2009045847A2 (en) 2009-04-09
US20100314947A1 (en) 2010-12-16
TWI431889B (zh) 2014-03-21
WO2009045847A3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846A (ko) 다중 위상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JP5748628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装置
JP5922651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ワイヤレス給電装置
JP5462953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101405878B1 (ko) 전력 전송 시스템
JP5702696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5577896B2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WO2008119218A1 (fr) Système d'alimentation à induction
JP2014110742A (ja) ワイヤレス送電システムの中継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レス送電システム
CN109417312A (zh) 无线电力传输系统
CN215934737U (zh) 用于单电感器多输出开关转换器的系统
TW202015304A (zh) 用於傳輸電力至具轉換器之電力負載之裝置
JP2017539194A (ja) 誘導受電器
CN112753151A (zh) 用于将电力传输到电负载的系统
TWI840390B (zh) 用於傳送電力至電力負載之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