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432A -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432A
KR20100052432A KR1020100004619A KR20100004619A KR20100052432A KR 20100052432 A KR20100052432 A KR 20100052432A KR 1020100004619 A KR1020100004619 A KR 1020100004619A KR 20100004619 A KR20100004619 A KR 20100004619A KR 20100052432 A KR20100052432 A KR 20100052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vessel
steam
diffus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순
Original Assignee
강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순 filed Critical 강용순
Priority to KR102010000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432A/ko
Publication of KR2010005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류, 야채류 등의 음식물을 익히는 조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는, 바닥부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홀과 상기 다수의 분사홀과 연통하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디퓨저; 상부에 거치된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디퓨저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류나 야채류 등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의 상부로 증기가 분사되므로 조리과정에서 배어나온 육즙이나 액즙이 증발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음식물의 고유의 맛과 풍미를 장기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로 인해 조리용 열원이 제거되더라도 음식물을 따듯하게 보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Cooking device having steam inj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류, 야채류 등의 음식물을 익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조리용기의 상부로 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음식물의 육즙이나 액즙을 유지하고 보온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물을 익히는 데 사용되는 조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용기와 이를 가열시키는 열원을 포함하며, 사용되는 열원이나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진다.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익히는 구이기를 예를 들면, 가정에서는 조리용기를 전기적 발열체로 가열하는 전기식 구이기가 주로 사용되는 반면에, 식당 등에서는 가스불이나 숯불을 이용하여 불판을 가열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조리용기나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류나 야채류 등을 익혀 먹는 경우에는 가급적 익은 후에 즉시 먹어야만 고유의 맛과 풍미를 제대로 느낄 수 있다. 고기류나 야채류는 익는 과정에서 육즙이나 액즙이 외부로 배어 나오므로 장시간 익히거나 방치하면 육즙이나 액즙이 말라버려서 고유의 맛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음식물의 육즙이나 액즙이 마르기전에 정확한 시점에 취식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는 취식 도중에 익은 음식물을 조리용기의 가장자리로 모아놓거나, 별도의 접시 등에 옮겨 놓거나, 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열원을 제거하거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더라도 음식물이 타는 것을 막을 수는 있을지언정 육즙이나 액즙이 공기와 접촉하여 말라버리는 현상을 막을 수는 없다. 또한 열원을 제거하면 차갑게 식어버린 음식물을 먹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류나 야채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배어나온 육즙이나 액즙이 마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유의 맛과 풍미를 장기간 느낄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지속적인 보온이 가능한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부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홀과 상기 다수의 분사홀과 연통하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디퓨저; 상부에 거치된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디퓨저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을 포함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바닥부와 내측으로 개구된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에는 상기 분사홀과 연통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된 조리용기; 상부에 거치된 상기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을 포함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에 형성된 개방부를 둘러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내부유로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홀을 구비하는 디퓨저; 상기 디퓨저의 상기 프레임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면부가 상기 분사홀보다 낮게 설치된 조리용기; 상부에 거치된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디퓨저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을 포함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류나 야채류 등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의 상부로 증기가 분사되므로 조리과정에서 배어나온 육즙이나 액즙이 증발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음식물의 고유의 맛과 풍미를 장기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로 인해 조리용 열원이 제거되더라도 음식물을 따듯하게 보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히터의 전원연결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조리용기와 디퓨저가 일체로 형성된 조리장치의 단면도
도 6은 가스불 또는 숯불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0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00)는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160), 상기 하우징(160)의 개구된 상부에 장착된 조리용기(110), 조리용기(110)의 둘레에 배치되어 조리용기(110)의 상부로 증기를 분사하는 링 형태의 디퓨저(120)를 포함한다.
조리용기(110)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111)을 구비한 냄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벽(111)에 다수의 관통홀(112)이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홀(112)은 디퓨저(120)에 형성된 분사홀(12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디퓨저(120)를 통해 공급된 증기를 조리용기(110)의 상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조리용기(110)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하부에 전기식의 조리용히터(170)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조리용히터(170)는 조리용기(110)의 저면에 밀착되거나, 조리용기(110)의 저면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그 속에 삽입 설치되거나, 조리용기(110)의 바닥부에 매설될 수도 있다.
디퓨저(120)는 조리용기(110)의 둘레에 밀착되고 내부유로(125)를 구비하는 링 형태의 프레임(121)과, 프레임(12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125)와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홀(122)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홀(122)은 상기 조리용기(110)의 관통홀(112)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프레임(121)은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조리용기(110)가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경우에는 프레임(121)도 그에 맞게 원형 링 또는 사각 링 형상을 가져야 한다.
프레임(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방부(126)에는 조리용기(110)가 삽입되며, 조리용기(110)의 측벽에는 프레임(121)에 거치되는 걸림부(1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121)에는 후술하는 증기공급관(136)의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증기공급관(136)의 단부가 삽입되는 홀 형태일 수도 있고, 증기공급관(136)의 단부로 삽입되는 돌기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21)는 프레임(121)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증기공급관(136)을 통해 디퓨저(120)의 내부유로(125)로 공급된 증기는 분사홀(122)과 관통홀(112)을 거쳐 조리용기(110)의 상부로 분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퓨저(120)를 통해 분사된 증기가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않고 음식물의 상부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조리용기(110)의 중심부에 증기흡입관(114)을 형성하였다. 증기흡입관(114)은 상단부가 조리용기(110)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그 하단부는 조리용기(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조리용기(110)의 하부와 연통된다.
증기흡입관(114)을 설치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배기팬(138)을 작동시키면 디퓨저(120)에서 분사된 증기가 조리용기(110)의 주변부에서 중앙부로 유동하며 일부는 음식물의 표면에 증착되어 습도와 온도를 유지시키고 일부는 증기흡입관(114)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60)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박스형태로서 상부가 개구된다. 개구된 상부에는 전술한 조리용기(110) 또는 디퓨저(120)가 거치된다.
도 3에는 디퓨저(120)의 프레임(121)이 하우징(160)의 측벽 상단부에 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퓨저(120)가 하우징(160)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우징(160)의 내벽에 디퓨저(120)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디퓨저(120)의 프레임(121)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0)의 상부를 일부분 가려주는 커버부재(124)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24)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저수조(134)의 주입구를 막아주는 마개(134a)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24)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입력부(151, 15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24)는 디퓨저(120)의 프레임(121)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60) 자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조리용기(110)의 측벽(111)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13)는 조리용기(110)를 장착할 때 디퓨저(120)에 거치되거나, 하우징(160)의 측벽 상단부에 거치되는 부분이며, 사용자가 조리용기(110)를 잡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증기발생 및 배출에 필요한 부품과, 조리용히터(170)의 가열에 필요한 부품이 내장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증기발생부(133), 증기발생부(133)로 물을 공급하는 저수조(134), 증기발생부(133)에서 생성된 증기를 디퓨저(120)로 전달하는 증기공급관(136) 등이 설치된다.
증기발생부(133)는 가열조(131)와 증기발생용히터(132)를 포함한다. 가열조(131)는 저수조(134)에서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수조이고, 증기발생용히터(132)는 가열조(131)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는 것이다.
증기발생용히터(132)는 전기식 발열수단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증기발생용히터(132)가 가열조(131)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가열조(131)의 주변에 권취되는 코일형 히터일 수도 있고, 가열조(131)의 바닥면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고, 가열조(131)의 하부에 별도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열조(131)의 내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증기발생용히터(132)의 발열온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가열조(131)는 급수관(140)을 통해 저수조(134)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가열조(131)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수위조절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급수관(140)의 단부에 설치된 부레식 개폐장치일 수도 있고, 가열조(131)에 설치된 수위센서(미도시)의 검출결과를 피드백하여 급수관(140)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일 수도 있다.
가열조(131)는 하우징(160)의 바닥면에 볼트 등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0)의 내부에 별도로 장착된 물통 등의 용기일 수도 있고, 격벽에 의해 분리된 공간일 수도 있다. 저수조(134)의 물이 가열조(131)로 원활히 공급되기 위해서는 저수조(134)의 바닥면을 하우징(16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조(131)의 상부면에는 발생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분배관(135)을 연결하고, 분배관(135)에는 다수의 증기공급관(136)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증기공급관(136)은 분배관(135)을 기준으로 여러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기공급관(136)의 각 타단은 소정 위치에서 내부유로(125)와 연통하도록 디퓨저(120)에 연결된다.
증기공급관(136)을 디퓨저(120)에 연결하는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용기(1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증기흡입관(114)의 하단부가 삽입 또는 결합되는 가이드관(137)을 설치하고, 가이드관(137)의 내부 또는 일측에 배기팬(138)을 설치하며, 하우징(160)에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기홀을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160)의 내부에 배기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기팬(138)의 하류측에 배기격벽(142)을 설치하고, 배기격벽(142)의 바닥부에 상기 배기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배기격벽(142)의 내부에서 상기 배기팬(138)의 하류측에는 흡입된 증기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저장부(139)를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퓨저(120)에서 분사된 증기는 배기팬(138)의 흡인력에 의해 증기흡입관(114)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고, 가이드관(137)과 배기격벽(142)의 내부공간을 거쳐 배기홀을 통해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응축수저장부(139)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60)의 내부에 조리용히터(170)와 증기발생용히터(132)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이들 각각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60)의 커버부재(124)에 조리용히터(170)와 외부전원(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의 연결을 조절하는 제1입력부(151)와 증기발생용히터(132)와 외부전원의 연결을 조절하는 제2입력부(152)를 설치하였다. 이때 조리용히터(170)를 제어하는 제1입력부(151)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력부(151,152)는 하우징(16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각 입력부(151,152)와 각 히터(170,132)는 공지된 회로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제1입력부(151)를 조작하여 적절한 온도를 설정하면 조리용히터(170)가 발열하면서 조리용기(110)을 가열시킨다. 사용자는 조리용기(110)가 일정 온도로 가열되면 육류나 야채류 등의 음식물을 올려서 익히고 적당히 익으면 취식을 한다.
한편 음식물이 어느 정도 익은 이후에 제2입력부(152)를 조작하여 증기발생용히터(132)로 가열조(131)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가열조(131)에서 발생한 증기는 분배관(135)과 증기공급관(136)을 거쳐 디퓨저(120)로 공급된 후 분사홀(122)과 조리용기(110)의 관통홀(112)을 통해 음식물의 상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조리용기(110)에 놓여진 음식물의 상부에는 증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육즙이나 액즙의 증발이 방지되어 촉촉하면서도 따뜻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조리용기(110)에 증기흡입관(114)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사된 증기가 상부로 사라지지 않고 음식물의 상부에서 조리용기(110)의 중심부를 향해 유동을 하게 되므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2입력부(152)를 조작하였을 때 가급적 빨리 증기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증기발생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가열조(131)의 물을 끓는 점 부근까지 미리 가열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입력부(151)를 조작하여 조리용히터(170)에 전원이 공급되면 증기발생용히터(132)에도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하고, 온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열조(131)의 물이 끓는 점 이하에서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도 4는 이를 위한 전원연결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소정의 컨트롤러(160)에 제1입력부(151)와 제2입력부(152)를 연결하고, 증기발생용히터(132)와 조리용히터(170)로의 전원공급을 각각 온/오프시키는 제1 및 제2스위치(S1,S2)를 상기 컨트롤러(160)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결함으로써 이러한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조리용기(110)의 크기가 비교적 작거나 증기 분사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증기흡입관(114)을 생략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조리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관(137), 배기팬(138), 응축수저장부(139), 배기격벽(142) 등도 모두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110)와 디퓨저(120)가 반드시 분리 제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조리용기(110)와 디퓨저(1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측벽에 내부유로(115)가 형성되며, 여기에 증기공급관(136)의 단부를 연결하면 된다.
또한 조리용기(110)를 소정 높이의 측벽(111)을 가지는 냄비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측벽이 없거나 매우 낮은 판형으로 제작하고, 디퓨저(120)의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디퓨저(120)의 프레임(121)이 상당한 높이를 가져야 하며 프레임(121)의 내측에는 조리용기(11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수단(걸림턱, 걸림홈 등)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디퓨저(120)의 분사홀(122)이 디퓨저(120)의 내부로 삽입 장착된 조리용기(110)의 상면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100)는 조리용기(110)의 상부에 덮개를 씌움으로써 찜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100)는 저수조(134)를 생략하고, 사용자가 가열조(131)에 직접 물을 붓고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전기식 조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일부 설계변경을 통해 가스불이나 숯불용으로도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이러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스불 또는 숯불로 조리용기(110)를 가열하기 위하여 하우징(160)의 중앙에는 부품이 배치되지 않도록 설계한 경우이다.
이 경우 조리용기(110)와 디퓨저(1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형으로 제작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가스불이나 숯불의 영향이 적은 하우징(160) 내부의 일측이나 하우징(160)의 외측에 급수조(134)와 증기발생부(133)를 위치시키고, 증기공급관(136)을 하우징(16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기발생부(133)에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증기발생용히터를 생략하고, 숯불이나 가스불이 가열조(131)를 직접 가열하여 증기가 발생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조리장치 110: 조리용기
111: 측벽 112: 관통홀
113: 걸림부 114: 증기흡입관
115: 내부유로 120: 디퓨저
121: 프레임 122: 분사홀
125: 내부유로 126: 개방부
131: 가열조 132: 증기발생용히터
133: 증기발생부 134:: 저수조
135: 분배관 136: 증기공급관
137: 가이드관 138: 배기팬
139: 응축수저장부 140: 급수관
142: 배기격벽 151: 제1입력부
152: 제2입력부 160: 하우징
170: 조리용히터 180: 컨트롤러

Claims (6)

  1. 바닥부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홀과 상기 다수의 분사홀과 연통하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디퓨저;
    상부에 거치된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디퓨저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
    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2. 바닥부와 내측으로 개구된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에는 상기 분사홀과 연통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된 조리용기;
    상부에 거치된 상기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조리용기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
    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3. 중앙에 형성된 개방부를 둘러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내부유로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하는 다수의 분사홀을 구비하는 디퓨저;
    상기 디퓨저의 상기 프레임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면부가 상기 분사홀보다 낮게 설치된 조리용기;
    상부에 거치된 상기 디퓨저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와 상기 디퓨저의 상기 내부유로를 연결하는 증기공급관;
    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상기 바닥부에 전기식 발열체가 내장되거나,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 전기식 발열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증기흡입관;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흡입관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조;
    상기 가열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전기식 발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1020100004619A 2010-01-19 2010-01-19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KR20100052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19A KR20100052432A (ko) 2010-01-19 2010-01-19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19A KR20100052432A (ko) 2010-01-19 2010-01-19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432A true KR20100052432A (ko) 2010-05-19

Family

ID=4227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619A KR20100052432A (ko) 2010-01-19 2010-01-19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61A (zh) * 2016-11-22 2018-05-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陶瓷锅具的制作方法及陶瓷锅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61A (zh) * 2016-11-22 2018-05-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陶瓷锅具的制作方法及陶瓷锅具
CN108078361B (zh) * 2016-11-22 2021-06-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陶瓷锅具的制作方法及陶瓷锅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7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and/or heating comestibles with hot gaseous fluid
KR101390912B1 (ko) 순대찜기
JP3182088U (ja) 電熱式蒸煮装置
KR101566266B1 (ko) 구이기구
KR20130079712A (ko) 가정용 식품건조기
KR102034756B1 (ko) 이중가열식 다용도 찜기
US20140103023A1 (en) Household Electro-Thermal Vaporization Converter
WO2014095659A1 (en) An oven comprising a cooking pot
KR200445346Y1 (ko) 신선로
KR200463536Y1 (ko) 스팀을 이용한 복합 조리기기
CN209733475U (zh) 一种蒸烤组合机
KR101632970B1 (ko) 스팀히터유닛을 갖춘 즉석식품용 스팀 조리장치
KR20100052432A (ko) 증기 분사기능을 가지는 조리장치
KR102393566B1 (ko) 밥솥
JP3214511U (ja) 温泉卵を茹でることができる卵ゆで装置
KR101004952B1 (ko) 훈제장치
KR20110083255A (ko) 다기능 구이기
KR20130072717A (ko) 열건조 구이기
KR20080003039U (ko) 증기 발생기
KR10204827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1285816B1 (ko) 스팀 이용 조리 용기
CN214414687U (zh) 改进的空气炸锅
CN110604463A (zh) 用于运行烹饪设备的方法和烹饪设备
CN211722759U (zh) 烹饪器具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