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816B1 - 스팀 이용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스팀 이용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16B1
KR101285816B1 KR1020110138005A KR20110138005A KR101285816B1 KR 101285816 B1 KR101285816 B1 KR 101285816B1 KR 1020110138005 A KR1020110138005 A KR 1020110138005A KR 20110138005 A KR20110138005 A KR 20110138005A KR 101285816 B1 KR101285816 B1 KR 10128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eam
bottom portion
container body
fil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799A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토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8654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858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토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토얀
Priority to KR102011013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이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바명의 구성은 조리 대상 음식물이 올려지는 바텀부(12)에 상향으로 연장된 외측벽(14a)이 구비된 용기 바디(10)와; 상기 음식물 조리시에 화염에 의해 가열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채워놓도록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 둘레부와 상기 외측벽(14a) 사이에 구비된 워터 충전조(14)와;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부를 덮어서 안쪽면과 상기 용기 바디(10)와의 사이에 스팀 순환 공간부를 형성하는 뚜껑(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 이용 조리 용기{Cooking vessel utilizing steam}
본 발명은 스팀 이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스팀을 그대로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스팀을 이용하는 구조 자체는 심플하게 구현한 스팀 이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기기로는 전자레인지와 가스레인지, 오븐 등이 있는데,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고, 가스레인지는 조리물이 수용된 조리용기의 하측에 가스버너가 위치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며, 오븐은 밀폐된 조리공간 내에 조리물이 수용되도록 한 후 고온의 열기를 공급하여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한다.
그런데, 전자레인지나 가스레인지 등의 조리기들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하여 음식물이 건조되기 쉬우므로,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찜이나 생선 등의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식재료 자체에 함유된 수분이 빠져 나가지 않고 최대한 수분이 유지되어야 고유의 풍미를 낼 수 있는데, 전자레인지나 가스레인지 등의 조리기기들은 식재료 자체의 수분 함량이 그대로 유지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서 음식물 고유의 맛을 내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스팀발생장치에서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조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스팀 조리기기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스팀 조리기기들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 스팀 이용 조리기의 일례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팀 용기, 이 스팀 용기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물과 스팀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 자체는 복잡하지 않아서 스팀 이용 구조를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스팀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물 고유의 맛을 낼 수 있는 스팀 이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 대상 음식물이 올려지는 바텀부에 상향으로 연장된 외측벽이 구비된 용기 바디와; 상기 음식물 조리시에 화염에 의해 가열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채워놓도록 상기 용기 바디의 상기 바텀부 둘레부와 상기 외측벽 사이에 구비된 워터 충전조와; 상기 용기 바디의 상부를 덮어서 상기 용기 바디와의 사이에 스팀 순환 공간부를 형성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이용 조리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워터 충전조는 상기 용기 바디의 상기 바텀부 둘레부를 따라 연속되도록 연장된 도랑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 바디의 상기 바텀부의 둘레부와 이어지는 내측벽은 상기 워터 충전조의 바닥부에 대해 상기 용기 바디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과 상기 워터 충전조의 바닥부 사이의 각도에 비하여 상기 내측벽과 상기 워터 충전조의 바닥부 사이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바다의 상기 바텀부 상면에는 조리 대상 음식물을 상기 바텀부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스 돌편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바디의 상기 바텀부 상면은 중심부에서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텀부에 얹혀진 음식물 조리시에 생기는 액상형 내용물이 상기 바텀부의 중앙부 위치에서 양쪽 방향으로 흘러내려서 상기 워터 충전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바디의 바텀부 둘레부에 확보된 워터 충전조에 적절한 수위로 물을 채워놓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용기 바디의 바텀부 위에 올려놓고, 뚜껑을 덮은 다음 화염을 가하면 화염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한편, 화염의 열기에 의해 워터 충전조에 채워져 있는 물이 끓으면서 스팀이 발생하면서 스팀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충분히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즉, 뚜껑으로 용기 바디를 덮은 상태에서는 음식물 조리 공간부가 밀폐된 공간부로 형성되어 있어서, 화염의 열기뿐만 아니라 스팀의 열기에 의한 이중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고, 나아가 스팀은 뚜껑과 용기 바디 사이의 밀폐된 조리 공간부 내에서 순환하므로 압력솥에서 요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므로, 결과적을 음식물에서 고유의 수분이 충실하게 유지되어,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충분히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이용 조리기에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팀 용기, 이러한 스팀 용기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물과 스팀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관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용기 바디에 구비된 워터 충전조에서 물이 끓어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용기 바디를 덮는 뚜껑 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에 스팀을 순환시키는 원리로 조리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스팀 활용 구조를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바디의 바텀부 상면에는 조리 대상 음식물을 바텀부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스 돌편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음식물이 직접 용기 바디의 바텀부에 닿지 않고 적절하게 떠 있게 되어서 화염에 의해 직접 익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음식물 밑으로는 스팀이 쉽게 도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팀 활용도를 보다 높여서 음식물이 고르게 스팀 조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처럼 스팀의 음식물에 골고루 공급되어 조리함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풍미를 극대화는데 보다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기 바디의 바텀부 상면은 중심부에서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구성되어, 바텀부에 얹혀진 음식물 조리시에 생기는 액상형 내용물(음식물에 발라진 양념 소드 등)이 바텀부의 중앙부 위치에서 양쪽 방향으로 흘러내려서 워터 충전조로 유입되고, 이처럼 조리시 생긴 유익한 액상 내용물 등이 워터 충전조의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분과 함께 음식물에 다시 고르게 순환되므로, 음식물에 발라져 있는 양념의 풍미 등이 그대로 음식물에 벤 상태로 조리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이 매우 맛있게 조리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조리시 양념 소스와 음식물 자체에서 나온 수분이 한 곳에 머물러서 타는 일이 없이 구배를 준 용기 바디의 바텀부에 의해 워터 충전조로 유입되어 스팀과 함께 재순환하면서 음식물에 양념 소스 등의 맛이 베도록 하므로, 아주 맛있는 요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주요부인 용기 바디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바디에 뚜껑을 덮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용기 바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 바디에 뚜껑을 덮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조리 대상 음식물이 올려지는 바텀부(12)에 상향으로 연장된 외측벽(14a)이 구비된 용기 바디(10)와, 음식물 조리시에 화염에 의해 가열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채워놓도록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둘레부와 외측벽(14a) 사이에 구비된 워터 충전조(14)와, 용기 바디(10)의 상부를 덮어서 안쪽면과 용기 바디(10)와의 사이에 스팀 순환 공간부를 형성하는 뚜껑(20)을 구비하는 것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화염에 의해 가열할 때에 워터 충전조(14)에 채워져 있는 물이 끓으면서 스팀이 발생하고, 이러한 스팀은 뚜껑(20)과 용기 바디(10)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부에서 순환하면서 화염 열기와 함께 스팀 열기의 이중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므로, 음식물의 고유의 좋은 맛을 낼 수 있으며, 스팀 활용을 위한 구조는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둘레부에 도랑 형태로 구비된 워터 충전조(14)만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자체의 구조에 있어서 상당히 심플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용기 바디(10)는 상면에 조리 대상 음식물이 올려지는 바텀부(12)와, 이 바텀부(12)의 외곽부에 구비된 외측벽(14a)이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된 그릇 형태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용기 바디(10)가 대략 사각 그릇 형태로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용기 바디(10)의 상면을 덮는 뚜껑(20)도 대략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16은 손잡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용기 바디(10)가 원형으로 구성되고, 뚜껑(20)도 원형인데, 용기 바디(10)가 원형으로 구성된다는 것 이외에는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둘레부 전체를 폐루프형으로 둘러준 구조의 워터 충전조(14)가 구비되어 있다. 워터 충전조(14)는 그 바닥부(14b)와 용기 바디(10)의 외측벽(14a) 및 바텀부(12)의 외곽부에 연결된 내측벽(14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워터 충전조(14)는 단면으로 볼 때에 상면이 개구되고 바닥부(14b)와 양쪽 벽부, 다시 말해, 외측벽(14a)과 내측벽(14c)가 있는 구조이다. 워터 충전조(14)의 한쪽 벽부는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외곽부에 이어지는 내측벽(14c)이 구성하고, 워터 충전조(14)의 다른 쪽 벽부는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둘레부의 외측벽(14a)이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도 3과 도 6의 미설명 부호 6은 도전판을 나타낸다.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면은 뚜껑(20)에 의해 덥게 된다. 중요한 것은 뚜껑(20)에 종래와 달리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스팀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조가 아니라 용기 바디(10)와 그 내측면 사이에서 밀폐된 스팀 순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커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뚜껑(20)은 용기 바디(10)의 상부와 마주하는 하부만 개방된 커버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뚜껑(20)으로 용기 바디(10)를 덮으면 뚜껑(20)의 내측면과 용기 바디(10) 사이에 스팀의 배출을 차단하는 밀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화염에 의해 열을 가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스팀이 밀폐 공간부 내에서 순환하므로, 마치 압력솥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둘레부에 확보된 워터 충전조(14)에 적절한 수위로 물을 채워놓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위에 올려놓고, 뚜껑(20)을 덮은 다음 화염을 가하면 화염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한편, 화염의 열기에 의해 워터 충전조(14)에 채워져 있는 물이 끓으면서 스팀이 발생하면서 스팀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충분히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즉, 뚜껑(20)으로 용기 바디(10)를 덮은 상태에서는 음식물 조리 공간부가 밀폐된 공간부로 형성되어 있어서, 화염의 열기뿐만 아니라 스팀의 열기에 의한 이중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고, 나아가 스팀은 뚜껑(20)과 용기 바디(10) 사이의 밀폐된 조리 공간부 내에서 순환하므로 압력솥에서 요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므로, 결과적으로 음식물에서 고유의 수분이 충실하게 유지되므로,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충분히 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생선찜을 할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 조리하면 생선의 고유 수분이 충실히 유지되면서 촉촉하고 부드러운 상태로 조리가 되므로, 생선 맛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 이용 조리기에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팀 용기, 이러한 스팀 용기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물과 스팀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관 등으로 구성된 종래에 비하여 용기 바디(10)와 뚜껑(20) 사이의 밀폐된 공간부에 구비된 워터 충전조(14)에서 스팀이 발생되어 순환시키는 원리로 조리하므로, 스팀 활용 구조를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워터 충전조(14)는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둘레부를 따라 연속되도록 연장된 도랑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처럼 바텀부(12) 둘레부에 워터 수주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되는 폐루프 형상의 도랑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용기 바디(10)에 워터 충전조(14)가 구비된 용기 바디(10) 성형시 보다 용이하고 워터 충전조(14)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서 스팀 활용 조리시에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워터 충전조(14)의 바닥부(14b)에 대해 상기 외측벽(14a)이 용기 바디(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텀부(12)의 둘레부와 이어지는 내측벽(14c)은 워터 충전조(14)의 바닥부(14b)에 대해 용기 바디(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외측벽(14a)과 워터 충전조(14)의 바닥부(14b) 사이의 각도(a1)에 비하여 내측벽(14c)과 워터 충전조(14)의 바닥부(14b) 사이의 각도(a2)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벌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 바디(10)와 뚜껑(20) 사이의 한정된 밀폐 공간부에서 워터 충전조(14) 자체의 체적을 최대한 늘려서 워터 충전조(14)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보다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으므로, 스팀 조리시에 물을 다시 채워넣거나 하는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스팀 조리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사용성도 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상면에는 조리 대상 음식물을 바텀부(12)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스 돌편(18)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페이스 돌편(18)에 의해 음식물이 직접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에 닿지 않고 적절하게 떠 있게 되어서 화염에 의해 직접 익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음식물 밑으로는 스팀이 쉽게 도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팀 활용도를 보다 높여서 음식물이 고르게 스팀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음식물이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음식물의 닿아 있는 부분으로는 수분이 잘 도달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스페이스 돌부에 의해 음식물의 바닥이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에서 적절하게 떠 있음으로 인하여 스팀이 음식물의 상면은 물론 아래까지도 도달하므로, 고른 스팀 공급에 의해 음식물의 맛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 바디(10)의 바텀부(12) 상면은 중심부에서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배(12SP)를 갖도록 구성되어, 바텀부(12)에 얹혀진 음식물 조리시에 생기는 액상형 내용물이 상기 바텀부(12)의 중앙부 위치에서 양쪽 방향으로 흘러내려서 워터 충전조(14)로 유입되고, 이처럼 조리시 생긴 유익한 액상 내용물이 워터 충전조(14)의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분과 함께 음식물에 다시 고르게 순환되므로, 음식물에 발라져 있는 양념의 풍미 등이 그대로 음식물에 벤 상태로 조리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이 매우 맛있게 조리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용기 바디 12. 바텀부
14. 워터 충전조 14a. 외측벽
14b. 바닥부 14c. 내측벽
16. 손잡이 18. 스페이스 돌편
20. 뚜껑

Claims (5)

  1. 조리 대상 음식물이 올려지는 바텀부(12)에 상향으로 연장된 외측벽(14a)이 구비된 용기 바디(10)와;
    상기 음식물 조리시에 화염에 의해 가열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채워놓도록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 둘레부와 상기 외측벽(14a) 사이에 구비된 워터 충전조(14)와;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부를 덮어서 안쪽면과 상기 용기 바디(10)와의 사이에 스팀 순환 공간부를 형성하는 뚜껑(20);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 상면에는 조리 대상 음식물을 상기 바텀부(12) 상면으로부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스 돌편(18)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 상면은 중심부에서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배(12SP)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텀부(12)에 얹혀진 음식물 조리시에 생기는 액상형 내용물이 상기 바텀부(12)의 중앙부 위치에서 양쪽 방향으로 흘러내려서 상기 워터 충전조(14)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이용 조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충전조(14)는 상기 용기 바디(10)의 상기 바텀부(12) 외곽 둘레부를 따라 연속되도록 연장된 도랑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이용 조리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바디(20)의 상기 바텀부(12)의 둘레부와 이어지는 내측벽(14c)은 상기 워터 충전조(14)의 바닥부(14b)에 대해 상기 용기 바디(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14a)과 상기 워터 충전조(14)의 상기 바닥부(14b) 사이의 각도(a1)에 비하여 상기 내측벽(14c)과 상기 워터 충전조(14)의 상기 바닥부(14b) 사이의 각도(a2)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이용 조리 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10138005A 2011-12-20 2011-12-20 스팀 이용 조리 용기 KR10128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05A KR101285816B1 (ko) 2011-12-20 2011-12-20 스팀 이용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05A KR101285816B1 (ko) 2011-12-20 2011-12-20 스팀 이용 조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99A KR20130070799A (ko) 2013-06-28
KR101285816B1 true KR101285816B1 (ko) 2013-07-12

Family

ID=4886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005A KR101285816B1 (ko) 2011-12-20 2011-12-20 스팀 이용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573A (zh) * 2019-01-15 2019-04-05 深圳汉食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蒸锅
CN110179350A (zh) * 2019-05-21 2019-08-30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水箱用水处理方法、水箱结构及蒸汽烹饪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247A (ja) * 1996-05-20 1997-11-25 Fujimaru Kogyo Kk 電気焼肉器の調理プレート
KR200297014Y1 (ko) * 2002-08-31 2002-11-30 이순옥 맥반석 구이판
JP2005067716A (ja) * 2003-08-28 2005-03-17 Nippon Delica Foods Kyodo Kumiai 使い捨て蒸し容器
KR20130000911U (ko) * 2011-07-29 2013-02-06 김병기 조리용 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247A (ja) * 1996-05-20 1997-11-25 Fujimaru Kogyo Kk 電気焼肉器の調理プレート
KR200297014Y1 (ko) * 2002-08-31 2002-11-30 이순옥 맥반석 구이판
JP2005067716A (ja) * 2003-08-28 2005-03-17 Nippon Delica Foods Kyodo Kumiai 使い捨て蒸し容器
KR20130000911U (ko) * 2011-07-29 2013-02-06 김병기 조리용 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99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816B1 (ko) 스팀 이용 조리 용기
JP321418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器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JP7227490B2 (ja) 炊飯器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WO2013015239A1 (ja) 加熱容器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JP2013022394A5 (ko)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CN205682944U (zh) 一种环保蒸汽煎烤盘
KR20070008240A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JP2014132930A (ja) スチームを用いた調理容器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100650986B1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KR101072987B1 (ko)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CN217610513U (zh) 一种具有多蒸层的多功能锅
KR101227248B1 (ko) 다용도 압력 조리장치
CN217565746U (zh) 蒸格、内锅组件和烹饪器具
JP2006129911A (ja) 炊飯器
JP7273294B2 (ja) 炊飯器
CN214433742U (zh) 蒸笼和烹饪器具
CN214230899U (zh) 烹饪器具
KR100818778B1 (ko) 가열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425

Effective date: 201501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097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425

Effective date: 2015010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10

Effective date: 201509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101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10

Effective date: 201509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17

Effective date: 201511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3000014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17

Effective date: 2015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