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339A -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 - Google Patents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339A
KR20100052339A KR1020080111305A KR20080111305A KR20100052339A KR 20100052339 A KR20100052339 A KR 20100052339A KR 1020080111305 A KR1020080111305 A KR 1020080111305A KR 20080111305 A KR20080111305 A KR 20080111305A KR 20100052339 A KR20100052339 A KR 2010005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quilting
forge
surface lay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119B1 (ko
Inventor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풍전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전티.티 filed Critical (주)풍전티.티
Priority to KR102008011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1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구비하여 보온성이 뛰어나면서도, 내부에 솜과 같은 부정형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침장용 포지나 침구 등에 비해 세탁에 대한 형태안정성이나 내구성이 뛰어나고, 속건성 등도 우수하여, 위생 문제에 민감한 영유아나 노인, 병자와 같은 노약자용의 침구류의 제조에 적합한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공기층을 함유한 퀼팅 포지는, 각각 내층과 외층을 구성하는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표층과 상기 표층의 사이에 배치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의 적층 포지를 퀼팅사로 퀼팅하여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이루어져, 상기 적층된 각 포지층 사이에 각각 공기함유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퀼팅, 중간층, 수축물, 요철, 공기층, 부정형, 충전재

Description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Quilted fabric and bedcloth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장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구비하여 보온성이 뛰어나면서도, 내부에 솜과 같은 부정형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침장용 포지나 침구 등에 비해 세탁에 대한 형태안정성이나 내구성이 뛰어나고, 속건성 등도 우수하여, 위생 문제에 민감한 영유아나 노인, 병자와 같은 노약자용의 침구류의 제조에 적합한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침구류나 방한용 포지는 자체적으로 기모를 형성한 두꺼운 직물이나,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직물 등의 포지로 된 내, 외층(10", 20")의 사이에 솜과 같은 부정형 충전재(60)를 두고 퀼팅사(40)로 퀼팅을 하여, 이들 충전재와 내, 외층의 포지를 일체화하여 보온력을 증진시킨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 기모제품은 사용중이나 세탁시에 털빠짐이 심하여 위생상이나 외관상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나 형태안정성도 별로 좋지 않아 선호되고 있지 않아, 근래에는 내, 외층 포지 사이의 중간에 솜과 같은 부정형의 충전재를 두고 누빔을 한 퀼팅 포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 퀼팅 포지는 천연솜이나 화학솜과 같은 솜이나 섬유웹, 부직포, 깃털, 수모 등과 같이 섬유간의 결속력이 강하지 않은 무정형 재료를 충전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세탁시에 충전재가 한쪽으로 쏠려 뭉치는 경우가 많아 형태안정성이 매우 나쁠 뿐만 아니라, 건조도 잘 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환자나 노인, 유아용 침구와 같이 위생문제가 엄격하게 요구되는 침구류는 삶아서 세탁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이 과도한 조건의 세탁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내층과 외층 사이의 중간에 부피가 큰 부클리얀을 사용한 중간보온층을 일체로 직조하여 다층조직을 형성한 형태의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침장용 포를 제안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565973호).
이와 같이 직조에 의해 다층조직을 형성한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침장용 포는 상술한 부정형 소재로 된 충전재를 둔 퀼팅 포지에 비해, 형태안정성과 통기성 및 위생상으로 우수하고, 한 번의 직조과정을 통해 포지가 완성되어 퀼팅 등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바람직지만, 이와 같은 다층조직을 직조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직조기술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간층에 솜과 같은 부정형 재료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퀼팅한 종래의 퀼팅 소재의 침장용 또는 방한용 포지에서와 같은 세탁시의 변형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특별히 고도한 직조기술을 요하지 않고 누구나 쉽게 제조할 수 있어, 침구류나 방한복의 제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는,
각각 내층과 외층을 구성하는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표층과 상기 표층의 사이에 배치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의 적층 포지를 퀼팅사로 퀼팅하여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형태로, 상기 적층된 각 포지층 사이에 각각 공기함유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층은 1개층 이상 포함시키되, 2개층 이상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층과 외층 및 각 중간층을 형성하는 포지의 소재와 조직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표층을 구성하는 포지와 중간층을 구성하는 포지는 서로 다른 조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내층과 외층으로는 최종 용도에 맞추어 면이나 합성 섬유 소재 의 평직과 같은 견고한 조직의 직물지 또는 편물지를 사용하고,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포지로는 고수축사를 심사로 하는 루프(loop)형 의장사를 사용한 직물 또는 편물, 또는 와플조직의 직물이나 러셀조직의 편물과 같이 포지의 표면의 요철이 있는 변화조직의 직물 또는 편물을 사용하여 공기함유량을 최대한으로 높여, 보온성과 벌키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층의 포지들과 중간층의 포지들은 서로 수축률이 다른 소재나 조직으로 구성하여 먼저 퀼팅하여 일체화하고, 퀼팅된 상태에서 함께 수축시켜 표층과 중간층 포지간의 수축율차에 의해 벌키성이 있는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포지의 벌키성과 보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표층과 중간층 포지 사이의 수축률 차이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는 베개나 이불, 침대커버, 패드 등의 침구규를 제조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패딩점퍼나 코트와 같은 방한의류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를 이용한 침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는,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생지 상태의 포지를 표층의 포지로 사용하고, 수축률이 상기 표층의 포지보다 상대적으로 큰 생지 상태의 표지를 중간층의 표지로 사용하여, 이들 생지상태의 포지들을 적층하여 퀼팅한 후, 상기 생지상태의 퀼팅포지를 침구의 소정 형태로 재단하고, 테두리를 봉제하여, 봉제가 이루어진 상태에 서, 정련, 축소 및 염색과정을 거침으로써, 수축이 적은 표층의 포지들이 퀼팅선 사이에서 부풀어 오른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침구 또는 침구용 포지의 제조에 사용되던 퀼팅기술을 이용하여, 세탁에 대한 내구성과 형태안정성, 속건성 등이 향상되어, 영유아나 노인, 환자등 위생에 특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있는 노약자의 침구나 방한복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온성과 벌키성이 우수하면서도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침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1)는, 내층(20)과 외층(10)을 구성하는 직물 형태의 표층과 상기 표층의 사이에 배치된 2개의 중간층(30A, 30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층(20)과 외층(10)은 침장용으로서 순면 40수 2합사를 경사로 3000본, 70인치로 사이징하여 준비하고, 위사에는 순면 40수 2합사를 40본/inch로 제직한 평직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내층과 외층의 조직이나 소재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사람의 피부에 닿는 내층은 면직물로 하고 외층은 외관 등을 고려하여 합성섬유 등의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편물 원단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중간층(30A, 30B)은 PN 분할형 극세사를 부사(effect yarn)로 사용한 의장사를 경사 1000본, 70인치로 정경하여 준비하고, 위사에는 상기 의장사를 20본/inch로 하여 와플조직으로 제직한 직물을 사용하여 중간층에 의해 최대한 벌키성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중간층은 도 1에서와 같이 반드시 2개층일 필요는 없으며, 1개층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3, 4개의 층을 중간층으로 둘 수도 있다.
또한 포지의 조직도 상기 와플조직의 직물에 한하지 않고 다른 조직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하며, 예컨대 러셀조직과 같은 입체구조의 편물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벌키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포지는 평직 등의 평탄한 조직보다는 위에서 예시한 와플조직이나 러셀조직과 같이 표면에 주름이나 요철이 형성된 조직이거나 두터운 직편물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1)는 도 1의 (가)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내층(20)과 외층(10) 사이에 중간층(30A, 30B)을 적층하여, 4겹의 포지가 적층된 상태에서 (나)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들 적층된 포지를 퀼팅사(40)를 이용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퀼팅하여 이들 4겹의 포지를 일체화시켜 제조된다.
이와 같이 퀼팅을 하면, 내층(20)과 중간층(30B) 사이, 중간층(30A)과 중간 층(30B) 사이 및 중간층(30A)과 외층(10) 사이 등에 각각 공기층(A)이 형성되기 때문에 태번수로 된 두꺼운 직물보다 보온성이 향상되고 벌키성도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층을 형성하는 포지들은 정련, 표백, 염색 등의 통상적인 가공을 완료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내층과 외층을 이루는 직물은 영유아용의 침구 등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서 표백이나 염색을 하지 않은 형태의 면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내층(20)과 중간층(30A, 30B) 및 외층(10)을 형성하는 포지를 미가공 생지 상태에서 퀼팅한 이후에, (다)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먼트 다잉기(garment dyeing machine)에 넣고 정련과 수축 및 염색한 후, 탈수 및 건식 가공을 거쳐 본 실시예에 따른 퀼팅 포지(1)를 얻는다.
이 과정에서 상기 내층(20)과 외층(10)의 포지보다 수축율이 큰 중간층(30A, 30B))은 크게 수축하는 반면에, 내층과 외층은 비교적 수축이 적게 이루어져 퀼팅선 사이에 표층을 형성하는 내층과 외층의 포지가 둥글게 부푼 형상으로 되어 한층 벌키감있는 퀼팅포지가 얻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를 이용한 침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는 상술한 실시예에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를 얻고, 이 포지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 및 봉제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과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고 있다.
즉, 도 2의 (가) 및 (나)에서 보는 것과 같이, 40's의 순면 평직물을 각각 외층(10')과 내층(20')으로 두고 그 사이에 PN 분할형 극세사로 이루어진 와플조직의 2개의 중간층(30A', 30B')을 적층하여, 퀼팅사(40)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퀼팅을 한다.
그리고, 수축율을 고려하여 소정의 크기로 침구의 형태로 재단한 후, 바깥의 테두리(50)를 봉제하여, 침구 형태를 완성한다.
이렇게 봉제가 완료된 상태에서 (다)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먼트 다잉기(garment dyeing machine) 에 넣고 정련, 축소 및 염색 및 건조 등을 거쳐 침구(100)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층(30A', 30B')에 표층들보다 수축률이 큰 소재로 된 포지를 넣고 봉제가 완료된 상태에서 정련, 수축 및 염색과정을 거치게 되며, 표면보다 중간의 수축이 많이 이루어지면서 퀼팅선을 따라 표면층들이 부풀어 오른 형태를 나타내게 되어 더욱 벌키감 있고, 보온성이 우수한 침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를 이용한 침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 모식도;
도 3은 종래의 퀼팅 포지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10, 10', 10" : 외층 20, 20', 20" : 내층
30A, 30B : 중간층 40 : 퀼팅사
50 : 테두리 60 : 부정형 충전재
100: 침구

Claims (5)

  1. 각각 내층과 외층을 구성하는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표층과 상기 표층의 사이에 배치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의 적층 포지를 퀼팅사로 퀼팅하여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형태로, 상기 적층된 각 포지층 사이에 각각 공기함유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을 형성하는 포지와 중간층을 형성하는 포지의 소재와 조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포지가 표층을 형성하는 포지보다 수축율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포지들을 적층하여 퀼팅한 상태에서 수축시켜 표층과 중간층 포지간의 수축율차에 의해 표층이 부푼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5.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생지 상태의 포지를 표층의 포지로 사용하고, 수축률이 상기 표층의 포지보다 상대적으로 큰 생지 상태의 표지를 중간층의 표지로 사용하여, 이들 생지상태의 포지들을 적층하여 퀼팅한 후, 상기 생지상태의 퀼팅포지를 침구의 소정 형태로 재단하고, 테두리를 봉제하여, 봉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정련, 축소 및 염색과정을 거침으로써, 수축이 적은 표층의 포지들이 퀼팅선 사이에서 부풀어 오른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를 이용한 침구.
KR1020080111305A 2008-11-10 2008-11-10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KR10107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05A KR101073119B1 (ko) 2008-11-10 2008-11-10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05A KR101073119B1 (ko) 2008-11-10 2008-11-10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39A true KR20100052339A (ko) 2010-05-19
KR101073119B1 KR101073119B1 (ko) 2011-10-13

Family

ID=4227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305A KR101073119B1 (ko) 2008-11-10 2008-11-10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97Y1 (ko) * 2012-12-31 2015-06-04 엄원당 침구용 패드
CN105708252A (zh) * 2016-03-18 2016-06-29 段体奎 水洗蚕丝被的制作方法及水洗蚕丝被
KR20190019820A (ko) * 2017-08-17 2019-02-27 강영숙 누비 한복의 중간 보온 층의 설계 방법
KR102180950B1 (ko) 2019-05-17 2020-11-19 주식회사 씨에스티케이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73B1 (ko) 2012-02-09 2013-12-24 박교신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KR101403675B1 (ko) 2012-12-27 2014-06-05 주식회사 송이실업 흡한속건성 다층구조 직물
KR102276826B1 (ko) * 2020-02-10 2021-07-12 추광엽 일체형 다층 패딩원단 가공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449B1 (ko) 2002-02-08 2004-04-13 (주) 평 안 패드 자동 생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97Y1 (ko) * 2012-12-31 2015-06-04 엄원당 침구용 패드
CN105708252A (zh) * 2016-03-18 2016-06-29 段体奎 水洗蚕丝被的制作方法及水洗蚕丝被
KR20190019820A (ko) * 2017-08-17 2019-02-27 강영숙 누비 한복의 중간 보온 층의 설계 방법
KR102180950B1 (ko) 2019-05-17 2020-11-19 주식회사 씨에스티케이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119B1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119B1 (ko)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CN106192164B (zh) 一种立体织物及其用途
KR101576843B1 (ko)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장섬유 부직포를 갖는 적층 천
TWI510687B (zh) Gauze fabric, clothing and bedding
JP4611452B1 (ja) 羽毛の吹き出し防止構造
KR0123542B1 (ko) 다층구조 충전물체
CN104452019A (zh) 一种具有双面接触异感的面料
CN102268762B (zh) 羽毛的钻出防止结构
JP4571232B1 (ja) 羽毛の吹き出し防止構造
TWI760972B (zh) 多重紗布織物
KR101874737B1 (ko)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경사로 한 중공주름직물
KR101261476B1 (ko) 침장용 쿠션포
JP5230021B2 (ja) 寝装具用積層体
JP6792127B1 (ja) 中材布帛
JP2014231660A (ja) 中綿入り衣服
JP3152904U (ja) 寝装用軽量積層品
WO2011045085A1 (en) Multilayer textile material
JP2880708B1 (ja) 掛け布団
CN202222875U (zh) 一种蚕丝被
JP3246723U (ja) 柔らかくふわふわした毛羽立つ生地
EP2177351B1 (en) Multilayer textile material
CN209794758U (zh) 多层复合非织造家居制品
CN105774112A (zh) 一种多功能纤维复合面料
JP3129646U (ja) 多層構造の寝具
CN109733015A (zh) 一种非织造复合材料制品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