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773B1 -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773B1
KR101344773B1 KR1020120013291A KR20120013291A KR101344773B1 KR 101344773 B1 KR101344773 B1 KR 101344773B1 KR 1020120013291 A KR1020120013291 A KR 1020120013291A KR 20120013291 A KR20120013291 A KR 20120013291A KR 101344773 B1 KR101344773 B1 KR 10134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space
upper layer
low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934A (ko
Inventor
박교신
지상빈
Original Assignee
박교신
지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교신, 지상빈 filed Critical 박교신
Priority to KR102012001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7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ab- or adsorp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188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2Polymeric adsorb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흡한속건성을 갖는 공간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의 구조를 다층화하여 직물 내부의 공기 또는 수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최대화하고 수분의 흡수속도와 배출속도를 증가시켜 보온성, 수분흡수성 및 흡한속건성을 향상시킨 공간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공간직물은 공기 또는 수분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최대화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수분 흡착량을 증가시키며, 모세관 현상과 원사 간의 격자구조 원리를 적용하여 수분의 흡수속도와 배출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의류로서의 흡한속건 성능이 향상되고, 또한 산업용 흡착포로서 부피 대비 내부 수용공간이 커서 누출된 기름을 최대한 흡착 수용할 수 있으며, 기름이 흡착된 흡착포를 건져내어 제거할 때 기름이 흡착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기름제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multi-layered space fabrics with sweat-absorption and rapid-drying}
본 발명은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흡한속건성을 갖는 공간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의 구조를 다층화하여 직물 내부의 공기 또는 수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최대화하고 수분의 흡수속도와 배출속도를 증가시켜 보온성, 수분흡수성 및 흡한속건성을 향상시킨 공간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의류용, 침구용, 인테리어용, 산업용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 고유의 특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보온성, 흡수성, 신축성, 단열성, 투습성, 삼출방지성, 세탁용이성 등의 기능이 요구된다.
섬유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섬유의 기능향상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직물의 제조방식을 개선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직물을 얻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해서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직물이 출시되고 있다.
직물은 주로 의류용으로 사용되어 신체를 보온하고 땀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통상의 의류들은 땀의 흡수효과가 우수하나 흡수한 땀의 건조속도가 늦어서 피부에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습한 느낌과 함께 외기온도에 따라 덥거나 차가운 촉감을 제공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보온용 의류의 경우에는 보온 또는 쿠션 역할을 하는 솜이나 스펀지 등의 소재를 직물로 감싸서 의류를 제조하는데, 이러한 구조의 보온용 의류는 보온성이나 쿠션을 유지하기 위해 솜이나 스펀지를 따로 넣게 되어 그 제조과정이 번거롭고, 또한 세탁 후에는 내부 소재가 뭉쳐서 외형상 변형을 초래하고 내용물이 빠져나오는 등 사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의류의 통기성이 불량하고 신체와 맞닿는 곳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적절하지 흡수하지 못하며, 그로 인해 보온성까지 유지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15099호에는 흡습속건 기능과 보온기능을 동시에 갖는 보온원단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이형단면 원사로 구성된 이면조직층;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중공사로 구성된 중간조직층; 및 운모, 세라믹 또는 질리코늄의 축열성분을 함유한 축열원사로 구성된 표면조직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로 구성되며, 땀을 흡수하는 성질과 땀을 발산하는 성질이 모두 우수하여 착용감이 쾌적하며 운동 후 체온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단열과 축열기능이 있어서 보온성이 우수하므로 각종 의류, 특히 스포츠용 의류 및 침구류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섬유조직 내 공극이 한정되어 땀의 흡수량이 적고, 축열원사로 구성된 표면조직층이 태양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인체로 방사하므로 겨울철에는 체온을 보호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나 여름철에는 체온상승에 따른 땀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사용이 일정 계절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물은 기름누출사고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기름을 흡착 제거하는 기름제거용 흡착포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름제거용 흡착포는 일반적으로 다공성의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조류의 깃털이 내부에 충전된 흡착포를 이용하는데, 부직포는 기름이 먼저 표면에 묻은 다음 내부 깊숙이 스며드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며, 부직포의 공극에 기름이 담기게 되어 흡착량이 그리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름과 함께 수분이 흡착되어 기름의 흡착량이 더욱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깃털이 충전된 흡착포는 흡착력이 비교적 낮고 부피가 커서 보관이나 운반의 문제가 있으며, 깃털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직물을 다층구조로 구성하여 직물의 격자형 공극을 이용하면서 다층구조의 내부공간에 기름을 수용하여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62043호에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기름 제거용 흡착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며, 모세관 구조를 갖는 프로펠린사(aty사)를 경사로 하고 종이실을 위사로 하여 표면의 공극을 크게 하여 직물지를 직조하되, 2장의 직물지의 위사와 경사가 동시에 직조되도록 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붙어 있는 조밀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밀부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직물지 사이를 흡착공간으로 형성하며, 상기 흡착공간이 한 개 이상 포함되게 조밀부를 절단하여 흡착포를 제조한다.
상기 발명은 종이실과 모세관 구조를 갖는 프로펠린사(aty사)로 격자형 공극을 갖도록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므로 기름의 흡착이 빨리 진행되어 기름의 확산 속도를 낮출 수 있고, 기름이 조밀부에 의해 구획된 흡착공간에 채워져 흡착포를 건져낼 때 기름이 흡착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 발명은 위사가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세탁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재활용되기 어려우므로 기름흡착 용도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직조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물성의 종이소재로 직조하므로 작업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조밀부로 둘러싸인 직물지 사이의 흡착공간에 기름이 담기는데, 많은 양의 기름을 흡착하기 위하여는 상기 흡착공간을 크게 형성시켜야 하나 흡착공간이 커지면 흡착공간 내 담긴 기름의 무게가 증가하고 흡착포를 건져낼 때 자중에 의해 기름이 흡착포로부터 이탈되므로 흡착공간이 일정 크기로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흡착성능 또한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직물의 구조설계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갖춘 직물지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제안되고 있으며 한정된 분야에서 일부 성과를 거두기는 하나, 좀더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으면서 만족스러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직물지의 개발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의류분야는 신제품 출시주기가 짧아서 섬유제품의 재고가 누적되기 쉽고 이에 따라 경영상의 압박이 가중되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섬유소재를 개발하여 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물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류용으로서의 흡한속건 기능과 산업용 흡착포로서의 흡착능력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수분흡수량을 증대시키고 수분의 흡수와 건조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의 공간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층(10)과 상부층(20)은 평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충전되는 중간층(30)은 섬유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4~10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층(10), 중간층(30) 및 상부층(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층(10)의 경사 및 위사가 상부층(20)의 경사 및 위사와 같이 직조되어 하부층(10)과 상부층(20)이 구획선(40)에서 서로 붙어있고, 상기 구획선(40)으로 구획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단위구획(50)이 반복형성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층(10)과 상부층(20)은 평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충전되는 중간층(30)은 섬유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4~10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층(10), 중간층(30) 및 상부층(20)을 종과 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박음질하여 하부층(10)과 상부층(20)이 구획선(40)에서 서로 붙어있고, 상기 구획선(40)으로 구획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단위구획(50)이 반복형성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부층, 상부층 및 중간층의 소재는 폴리프로필렌이고, 섬도는 의류용도의 100~600d이거나 산업용도의 600~1500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직은 경사밀도 50~90T/inch, 위사밀도 30~80T/inch, 중량 100~5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공간직물을 수세하고 탈지탈유제와 가성소다 또는 소다회가 첨가된 수용액에 30~65℃에서 20~60분간 탈유처리한 후, 빙초산 또는 초산나트륨을 첨가하여 25~55℃에서 세척하고 50~70℃에서 건조한 다음 50~85℃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공간직물은 공기 또는 수분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최대화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수분 흡착량을 증가시키며, 모세관 현상과 원사 간의 격자구조 원리를 적용하여 수분의 흡수속도와 배출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의류로서의 흡한속건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산업용 흡착포로서 부피 대비 내부 수용공간이 커서 누출된 기름을 최대한 흡착 수용할 수 있으며, 기름이 흡착된 흡착포를 건져내어 제거할 때 기름이 흡착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기름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보온성, 흡수성 및 속건성이 우수하여 의류용 및 산업용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재고가 줄어들고 폐기처분되는 부담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의 다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층 또는 상부층이 평직으로 직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간직물이 구획선을 따라 사각형상의 단위구획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단위구획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의 단위구획 단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의 다층구조(100)가 도시되어 있다.
직물 구조상 공간직물의 하부층(10)과 상부층(20)은 평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충전되는 중간층(30)은 섬유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4~10중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층(30)을 직선상의 섬유로 상하 직교시키면 공간직물의 내부공간이 최대화되어 공기 또는 수분(땀, 기름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하여 보온성 및 수분 흡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가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수분이 직선을 따라 신속히 직물 내부로 흡수되므로 수분 흡수속도가 빨라지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직물에 닿은 수분이 4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되므로 그만큼 흡수속도를 빨리 할 수 있다.
상기 공간직물의 소재로서 수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아서 세균번식이 억제되고, 강도, 경량성, 보온성, 쾌적성 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섬도를 크게 하여 면적비를 최대화하고 원사 간의 격자구조 원리를 적용하여 종래 흡한속건성 직물보다 좀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섬도는 의류용으로서 흡한속건 기능을 좀더 얻고자 할 경우 100~600d(denier)가 바람직하고, 산업용으로써 흡착포로 사용할 경우 의류용보다는 좀더 굵은 600~1500d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을 이루는 평직은 수분의 흡수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흡착공극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밀도 50~90T(thread)/inch, 위사밀도 30~80T/inch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직은 단겹의 직물로 제직할 수 있으나 3~5중직으로 제직할 수 있으며, 100~500g/㎡의 중량으로 제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중간층(30)을 예시적으로 6중으로 적층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중간층(30)은 4~10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4중 미만이면 제직 시 내부공간이 적어지게 되어 보온성 및 수분 흡착량이 감소하고, 10중을 초과하면 내부공간이 증가하여 보온성 및 수분 흡착량은 증가하나 공간직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부품성(inflatable)과 중량이 증가하며, 기름을 흡착한 흡착포를 기름으로부터 건져낼 경우 기름의 자중에 의해 일정량 이상의 기름은 흡착포로부터 이탈되므로 성능 및 원가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수분이 직교한 섬유 간에 형성된 공극에 흡수되면서 공극을 중심으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모세관 현상이 수분을 공간직물 외부로 신속하게 이동·확산시키면서 직물을 빠르게 건조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도 2에는 도 1에서의 공간직물의 하부층(10) 또는 상부층(20)이 평직으로 직조된 모습을 별도로 도시하였다.
공간직물의 하부층(10)과 상부층(20)이 평직으로 제직되어 공간직물의 상·하부에 격자형 공극이 형성되는데, 직물 표면에 접촉된 수분이 직물 내부로 신속히 흡수되고, 직물 내부의 수분이 직물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부층(10)과 상부층(20)의 평직은 비교적 넓은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상기 도 1의 공간직물이 종과 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구획선(40)을 따라 사각형상의 단위구획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단위구획(50)이 반복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위구획(50)의 형성은 하부층(10), 중간층(30) 및 상부층(20)을 동시에 직조하여 공간직물을 제조하되,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층(10)의 경사 및 위사가 상부층(20)의 경사 및 위사와 같이 직조되게 함으로써 하부층(10)과 상부층(20)이 구획선(40)에서 서로 붙어있는 형태로 직조되게 하여, 상기 구획선(40)이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중간층(30)이 충전된 공간직물을 종과 횡으로 구획하여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하부층(10), 중간층(30) 및 상부층(20)을 동시에 직조하여 구획선(40)이 형성된 공간직물을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를 별도로 직조하고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섬유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4~10중으로 형성된 중간층(30)을 충전한 다음, 이를 종과 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박음질하여 공간직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직물의 단위구획(50)은 상·하의 상부층(20)과 하부층(10), 측면의 구획선(40)으로 구획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최대화된 내부공간을 갖는 중간층(30)이 충전되어 공기와 땀을 보다 많이 수용할 수 있어서 의류로서의 보온성이 증가하고 땀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착포의 기능으로서 상기 수용공간에 기름을 최대한 흡착하여 가두어 둘 수 있으며, 중간층(30)의 4~10중으로 직교한 섬유가 흡착된 기름을 잡아두게 되어 흡착포를 건져낼 때 기름이 공간직물을 이탈하여 흘러내리지 않음은 물론 하부층(10)과 상부층(20)의 공극에도 갇혀지게 되어 많은 량의 기름을 건져 올릴 수 있다.
도 4에는 공간직물의 단면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공간직물의 단위구획(50) 단면이 비원형의 형태가 되도록 구획선(40)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단위구획(50)은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측 방향 폭 길이가 상하방향 두께의 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구조(100)는 기름을 흡착하고 건져낼 때 흡착된 기름이 흡착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잡아둘 수 있는 흡착량의 최대치가 한정되고, 이러한 흡착 최대치를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와 일치시키는 것이 흡착효율 대비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직물의 단위구획(50) 폭 길이를 두께의 2~5배로 제조하면,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4~10중으로 형성된 중간층(30)의 수용공간 크기가 흡착포가 기름을 붙잡아둘 수 있는 흡착 최대치의 크기에 근접한다.
도 5는 공간직물의 단위구획(50) 단면을 확대한 사진으로서, 평직으로 제직된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중간층(30)의 섬유가 6중으로 상하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의 흡한속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방사 또는 제직 시 사용되는 오일을 중간층(30)의 섬유 또는 하부층(10)과 상부층(20)의 평직으로부터 제거하여야만 공간직물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먼저 로터리 워셔 또는 윈치 기계를 사용하여 수세하면서 섬유원사의 긴장감을 완화하고, 탈유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약제처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약제처리에 사용되는 약제조성액은 흡유율을 높이고 흡수율을 낮출 수 있는 조성액으로서, 탈지탈유제와 소량의 가성소다 또는 소다회를 첨가한 수용액에 30~65℃에서 20~60분간 탈유처리한다.
탈유처리가 완료된 공간직물은 유제의 재부착 방지를 위한 세척공정이 추가되는데, 상기 탈유처리 수용액에 소량의 빙초산 또는 초산나트륨을 첨가하여 25~55℃에서 공간직물을 세척함으로써 알칼리기와 분리된 유제를 깨끗이 제거한다.
세척이 끝난 공간직물은 건조과정을 거치는데, 건조과정에서 섬유에 긴장감을 주어서는 안 되며, 건조기계로는 넷드라이어 혹은 1차 탈수 후 무장력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재가 폴리프로필렌사임을 감안하여 50~70℃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건조처리는 열풍건조방식이 유리하다.
건조가 끝난 공간직물은 구김방지를 위하여 50~85℃에서 열처리하여 마무리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원사(DTY PP 900d/526f(300d/3합, 동국가연 인터레이스 100개/m 합사)를 경사와 위사의 소재로 사용하였으며, 빔 전개방식의 정경기(warper)로 정경하였다.
상·하부에는 총 경사본수 1680본, 경사밀도 78T/inch, 위사밀도 39T/inch, 중량 400g/㎡의 3중직 평직이 직조되도록 하고, 상·하부 사이의 중간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사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모두 6개 층(6중)으로 이루어진 중간층(30)이 충전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하부 평직의 경사 및 위사가 종과 횡으로 3㎝ 간격의 구획선(40)을 따라 같이 직조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구획선(40)으로 구획형성되는 단위구획(50)은 3×3㎝(가로×세로) 크기의 정사각형이 되도록 하였고, 상·하부의 평직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원사가 6중으로 직교한 중간층(30)이 충전되며, 이때의 원단두께는 1㎝이었고, 이로써 상기 단위구획(50)이 반복형성된 공간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간직물을 로터리 워셔로 수세한 후, 탈지탈유제와 소량의 소다회가 첨가된 깨끗한 물에 상기 수세한 공간직물을 넣고 60℃에서 40분간 탈유처리하였으며, 여기에 소량의 빙초산을 첨가하고 50℃에서 세척하여 알칼리기와 유제를 깨끗이 제거하였다.
상기 탈유처리된 공간직물을 60℃로 열풍건조한 다음 75℃에서 열처리하였다.
<시험예 1> 보온성 측정
시판 중인 170g/㎡ 밀도의 면 100% 원단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2의 공간직물에 대하여 보온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보온성 평가는 투습도 측정기(Sweating Guarded Hotplate, Measurement Technology Northwest사 제조, 미국)를 사용하여 ISO 11092에 의거 Rct(열저항도) 값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Rct 값이 클수록 열저항이 커서 보온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보온성 측정결과
Rct 측정치
(㎡·℃/W)
실시예 1 0.087
실시예 2 0.085
대조군 0.07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2의 Rct 값은 0.087, 0.085㎡·℃/W이고 대조군의 Rct 값은 0.076㎡·℃/W로 측정되어, 실시예의 열저항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14.5%, 11.8%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의 보온성이 일반 면 섬유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흡수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면 원단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2의 공간직물에 대하여 흡수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흡수성 평가는 실시예 1, 2의 공간직물과 대조군 원단을 길이 20㎝, 폭 2.5㎝로 절단하여 한쪽 끝이 27±2℃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용기의 수면에 닿도록 하고, 다른 쪽 끝은 일정한 높이로 수평봉으로 고정한 다음 10분 경과 후 상승한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흡수성 측정결과
흡수성
(㎜)
실시예 1 48
실시예 2 53
대조군 3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수성은 실시예 2 > 실시예 1 > 대조군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특히 탈유처리한 실시예 2의 흡수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땀이나 기름 등의 수분성분을 보다 많이 그리고 신속히 흡수하기 위해서는 탈유처리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속건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면 원단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2의 공간직물에 대하여 속건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속건성 평가는 KS K0815의 건조속도시험법 B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는데, 실시예 1, 2의 공간직물과 대조군 원단을 각각 202.5㎠ 크기의 규정된 모양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한 시료를 증류수에 침지한 후 꺼내어 시료에 남은 수분의 양이 1g이 될 때부터 10분 간격으로 1시간 동안 시료의 중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에 1g의 수분이 남았을 때를 기준으로 각 시료와의 무게차이를 계산하여 수분증발률(%)을 계산하였다.
속건성 측정결과
수분증발률(%)
건조시간(분) 0 10 20 30 40 50 60
실시예 1 0 47.1 75.3 96.2 97.8 98.6 99.1
실시예 2 0 45.8 73.5 95.6 97.7 98.4 98.9
대조군 0 36.8 65.7 82.6 89.7 95.4 98.0
상기 표 3의 결과, 실시예 1과 2는 30분 경과시 95%를 넘었으나 대조군은 50분이 경과하여 95% 이상 수분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공간직물이 일반 면 섬유에 비하여 속건성이 우수하여 땀을 신속히 배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공간직물은 공기 또는 수분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최대화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수분 흡착량을 증가시키며, 수분의 흡수속도와 배출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의류로서의 흡한속건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산업용 흡착포로서 부피 대비 내부 수용공간이 커서 누출된 기름을 최대한 수용할 수 있으며, 기름이 흡착된 흡착포를 건져내어 제거할 때 기름이 흡착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기름제거에 효과적이다.
10:하부층, 20:상부층, 30:중간층, 40:구획선, 50:단위구획, 100:공간직물의 다층구조

Claims (7)

  1. 하부층(10)과 상부층(20)은 평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충전되는 중간층(30)은 섬유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4~10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층(10), 중간층(30) 및 상부층(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층(10)의 경사 및 위사가 상부층(20)의 경사 및 위사와 같이 직조되어 하부층(10)과 상부층(20)이 구획선(40)에서 서로 붙어있으며,
    상기 구획선(40)으로 구획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단위구획(50)이 반복형성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2. 하부층(10)과 상부층(20)은 평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10)과 상부층(20) 사이에 충전되는 중간층(30)은 섬유가 서로 상하로 직교하면서 교호로 적층되어 4~10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층(10), 중간층(30) 및 상부층(20)을 종과 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박음질하여 하부층(10)과 상부층(20)이 구획선(40)에서 서로 붙어있으며,
    상기 구획선(40)으로 구획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단위구획(50)이 반복형성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상부층 및 중간층의 섬유소재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상부층 및 중간층 섬유의 섬도는 의류용도의 100~600d이거나, 산업용도의 600~1500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직은 경사밀도 50~90T/inch, 위사밀도 30~80T/inch, 중량 100~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직물을 수세하고 탈지탈유제와 가성소다 또는 소다회가 첨가된 수용액에 30~65℃에서 20~60분간 탈유처리한 후, 빙초산 또는 초산나트륨을 첨가하여 25~55℃에서 세척하고 50~70℃에서 건조한 다음 50~85℃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KR1020120013291A 2012-02-09 2012-02-09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KR10134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91A KR101344773B1 (ko) 2012-02-09 2012-02-09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91A KR101344773B1 (ko) 2012-02-09 2012-02-09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34A KR20130091934A (ko) 2013-08-20
KR101344773B1 true KR101344773B1 (ko) 2013-12-24

Family

ID=4921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91A KR101344773B1 (ko) 2012-02-09 2012-02-09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275A (ko) * 2014-09-25 2016-04-04 (주)풍전티.티 부피가 큰 침장용 보온체(보온 포백(布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8875A (zh) * 2014-07-29 2014-12-03 浙江新澳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吸湿快干的羊毛面料的加工方法
CN105951267B (zh) * 2016-07-08 2017-10-24 张家港市澳洋呢绒有限公司 一种小方块双面毛呢面料及其生产方法
KR101908434B1 (ko) * 2017-10-12 2018-10-16 이철중 이중 직조 구조의 흡습속건성 원단
CN109881328B (zh) * 2019-02-28 2021-01-05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填充式功能性小提花面料的设计方法与织造工艺
KR102466343B1 (ko) * 2021-10-20 2022-11-14 주식회사 베스타 일회용 폐마스크를 이용한 보온재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119B1 (ko) 2008-11-10 2011-10-13 (주)풍전티.티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119B1 (ko) 2008-11-10 2011-10-13 (주)풍전티.티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275A (ko) * 2014-09-25 2016-04-04 (주)풍전티.티 부피가 큰 침장용 보온체(보온 포백(布帛))
KR101628261B1 (ko) * 2014-09-25 2016-06-08 (주)풍전티.티 부피가 큰 침장용 보온체(보온 포백(布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34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773B1 (ko)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공간직물
US8127575B2 (en) Wicking fabric and garment made therefrom
EP1752571B1 (en) Woven or knitted fabric exhibiting reversibly changeable air permeability
WO2006090808A1 (ja) 吸水により立体的に構造変化する複合布帛材料および繊維製品
JPS5951609B2 (ja) 吸水性布帛
PT1485529E (pt) Tecido de colchão e processo para o fabricar, assim como um colchão.
CA2785029A1 (en) Insulating garment
WO2012136962A1 (en) A heat and moisture management fabric
JP2008297657A (ja) キルテイング生地および寝具およびダウンジャケット
CN104452019A (zh) 一种具有双面接触异感的面料
Jhanji et al. Effect of fibre, yarn and fabric variables on heat and moisture transport properties of plated knit
KR101403675B1 (ko) 흡한속건성 다층구조 직물
CN214027559U (zh) 一种蓄热保暖面料
KR20200013459A (ko) 흡한속건성 다층구조 공간직물
CN113089143B (zh) 一种混纺面料及其制备工艺
JP2015024099A (ja) 保冷まくら
CN211763928U (zh) 一种轻盈、透气性良好的衣服用双面格栅气凝胶隔热夹层
CN216659144U (zh) 具有良好吸水性的无纺布
CN216993353U (zh) 一种采用再生材料的丝织提花布
KR100534001B1 (ko) 초발수 기능을 갖는 저비중 섬유시이트
CN215096221U (zh) 一种增白吸水无纺布
CN211000271U (zh) 一种高吸湿性无捻纱面料
CN218220058U (zh) 一种高透气性双层无纺布浴巾
CN218910717U (zh) 一种具有多层架空层叠结构的经编针织面料
CN214000802U (zh) 一种透气性较好的棉麻弹力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