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950B1 -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50B1
KR102180950B1 KR1020190057927A KR20190057927A KR102180950B1 KR 102180950 B1 KR102180950 B1 KR 102180950B1 KR 1020190057927 A KR1020190057927 A KR 1020190057927A KR 20190057927 A KR20190057927 A KR 20190057927A KR 102180950 B1 KR102180950 B1 KR 10218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quilting
high frequency
fabrics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티케이
Priority to KR102019005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에 의한 퀼팅가공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광택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의 접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롭고 고급스러운 표면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며, 엠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르도록 해 자연스러운 엠보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High frequency quil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에 의한 퀼팅가공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광택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의 접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롭고 고급스러운 표면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며, 엠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르도록 해 자연스러운 엠보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퀼팅원단이란 2겹의 원단 사이에 충전재가 장입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재봉 또는 되박기를 수행하여 원단에 입체감이 표현되도록 한 원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퀼팅원단은 퀼팅가공라인을 기준으로 원단 상에 다양한 패턴의 엠보가 형성되며 엠보의 형상은 퀼팅가공라인의 방향성에 따라 다채롭게 구현될 수 있다.
퀼팅원단은 원단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원단이 만들어지며 엠보가 형성되기 때문에 방한을 위한 침구, 의류 등을 제조하기 위한 원단으로 주로 활용되며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면서 악세사리, 가방, 상의나 하의 단독 제조를 위한 원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퀼팅원단은 직선박기, 곡선박기 또는 자유 무늬 박기 등의 재봉 방법으로 여러 겹의 원단을 겹쳐 재봉하며, 바느질되는 모양 및 사용되는 실의 색에 따라 다른 디자인적 요소를 더할 수 있다.
근래에는 원단을 박음질하는 방식으로 퀼팅원단을 제조하는 것 외에 고주파 장비를 이용해 퀼팅원단을 제조하기도 한다.
고주파 장비를 이용해 퀼팅원단을 제조하는 원리는 원단의 녹는점까지 원단에 고주파를 가해 서로 중첩된 원단을 융착시켜 퀼팅가공라인(6)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녹는점이 특정되는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스터원단 등에만 적용이 가능하였고 자연소재 원단에는 적용이 불가하였다.
고주파 장비를 이용해 제조된 퀼팅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고주파 가공의 특성상 퀼팅가공라인(6)이 원단의 표면에서 광택으로서 발생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즉, 원단이 고주파에 의해 녹으면서 녹는 부분의 표면질감이 변하여 광택이 있는 퀼팅가공라인(6)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퀼팅가공라인(6)을 디자인의 한 요로소 활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광택이 있는 퀼팅가공라인(6)은 원단의 자연감을 훼손시키고 인위적인 가공에 의해 제조되었다는 점을 부각시켰기 때문에 고주파 장비를 이용해 원단을 퀼팅하는 경우 퀼팅가공라인(6)이 최대한 자연스럽게 부여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고주파를 이용한 퀼팅의 경우 퀼팅가공라인(6)의 광택을 없애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퀼팅가공라인(6)의 광택을 최소화하고자 고주파의 강도를 임의로 조절하거나, 충전재의 한쪽에만 원단을 붙이고 다른원단과 함께 고주파 퀼팅하거나, 원단 없이 충전재에만 고주파 퀼팅을 수행해보는 등의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으나 이들은 서로 중첩된 원단을 적절히 융착시키지 못하여 원단과 충전재가 서로 쉽게 박리되었다거나 자연스러운 엠보감을 표현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233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주파에 의한 퀼팅가공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광택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의 접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롭고 고급스러운 표면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며, 엠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르도록 해 자연스러운 엠보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의 일면으로 적층되는 충전재; 기 충전재의 일면으로 적층되되 고주파 퀼팅으로 상기 제1 원단과 융착되는 제2 원단; 및 주파 퀼팅가공라인이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원단의 일면으로 부착되는 외피원단;을 포함하며, 기 제2 원단과 외피원단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 또는 분사되어 접착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 원단은 폴리에스터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재는 솜과 스펀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1 원단은 제2 원단과 퀼팅된 상태에서 타측면이 가열되어 자체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원단과 제2 원단 사이에 충전재를 중첩시키는 단계; 제2 원단의 일면으로 고주파를 가해 제1 원단과 제2 원단을 고주파 퀼팅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원단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단계; 및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제2 원단의 일면으로 외피원단을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e) 상기 제1 원단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원단의 타측면에 열처리를 하여 제1 원단을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에 의한 퀼팅가공라인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광택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의 접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롭고 고급스러운 표면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며, 엠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르도록 해 자연스러운 엠보형태의 표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퀼팅가공라인이 노출된 퀼팅원단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외피부재에 의해 퀼팅가공라인이 가려진 상태의 퀼팅원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 제조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서로 중첩되는 제1 원단, 제2 원단, 충전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외피원단이 부착되기 전 상태의 퀼팅원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원단 상에 외피원단이 부착된 상태의 퀼팅원단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단(1), 상기 제1 원단(1)의 일면으로 적층되는 충전재(3), 상기 충전재(3)의 일면으로 적층되되 고주파 퀼팅으로 상기 제1 원단(1)과 융착되는 제2 원단(2) 및 고주파 퀼팅가공라인(6)이 가려지도록 상기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부착되는 외피원단(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원단(2)과 외피원단(4)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 또는 분사되어 접착층(5)이 마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퀼팅원단은 제1 원단(1), 충전재(3), 제2 원단(2) 및 외피원단(4)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은 고주파에 의해 서로 융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합성수지원단, 예컨대, 폴리에스터 등의 섬유원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은 서로 융착되기 위해 융점이 서로 같은 원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원단(1)과 제2 원단(2)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3)는 입체감 있는 엠보 형성을 위해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솜 또는 스펀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솜은 중량 단위로 표시되는데 퀼팅원단을 제조하기 위해 주로 2 내지 6온스 사이의 솜이 이용된다. 중량이 커질수록 솜의 두께는 두꺼워지는데, 제1, 2 원단(1,2)과 함께 솜을 퀼팅하게 되면 솜이 제1 원단(1)과 제2 원단(2) 사이에서 춤춤해지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바람이 잘 통하지 않게 되어 보온성과 완충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솜의 두께에 따라 퀼팅원단 전체의 두께가 달라지며, 퀼팅원단을 의류로 활용할 시 활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의복 부위에 따라 다른 두께의 솜이 선택되는 등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원단(1)과 제2 원단(2) 사이에 충전재(3)를 개재한 상태에서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고주파를 가하게 되면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이 서로 융착되면서 고주파가 가해진 부위에 퀼팅가공라인(6)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퀼팅가공라인(6)은 도 1에 예시되어 있으며 복수의 점이 경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즉, 고주파를 이용한 퀼팅은 중첩된 원단을 점융착시키는 원리로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을 서로 접합시키는 것이다.
에컨대, 퀼팅가공라인(6)을 일직선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서로 교차되는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여 엠보 형태를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다.
외피원단(4)은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퀼팅가공라인(6)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외피원단(4)은 퀼팅원단의 가장 겉면에 배치되는 원단인 만큼 자연소재 원단, 예컨대, 면, 모직, 등의 섬유 원단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드러운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모를 형성한 융이나, 극세사, 벨로아, 벨보아, 폴라폴리스, 벨벳, 덤블링 등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외피원단(4)은 퀼팅원단의 사용 용도 및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원단(4)은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부착되면서 제2 원단(2) 상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추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엠보의 입체감이 외피원단(4)에 그대로 재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원단(1)은 제2 원단(2)과 고주파 퀼팅된 상태에서 가열되어 자체가 수축될 수 있다.
제1 원단(1)을 수축시키게 되면 퀼팅원단의 엠보의 입체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열처리를 통해 제1 원단(1)을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원단(1)이 열처리에 의해 수축되면 퀼팅원단의 일면은 수축이 발생되지 않고, 퀼팅원단의 타측면인 제1 원단(1)만이 열변형에 의한 수축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퀼팅원단의 일면으로 엠보가 부풀어올라 더욱 입체감있는 퀼팅원단을 구현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의 열수축률이 서로 다른 합성수지 원단을 사용하거나 제1 원단(1)을 열변형이 쉽게 일어나는 나일론 등의 원단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 제조방법은 제1 원단(1)과 제2 원단(2) 사이에 충전재(3)를 중첩시키는 단계(S10),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고주파를 가해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을 고주파 융착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단계(S30) 및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층(5)이 형성된 상기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외피원단(4)을 접착시키는 단계(S40) 및 상기 제1 원단(1)을 수축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퀼팅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퀼팅원단이 제조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S10 단계에서는 제1 원단(1)과 제2 원단(2) 사이에 충전재(3)의 개재가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3)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향해 각각 제2 원단(2)과 제1 원단(1)을 공급하여 제1 원단(1), 제2 원단(2) 및 충전재(3)를 서로 중첩시킨다.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는 위 중첩된 원단의 표면에 고주파를 가해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을 서로 퀼팅시킨다. 이때, 충전재(3)도 제1 원단(1)과 제2 원단(2) 사이에서 이들과 함께 융착된다.
고주파 퀼팅은 통상의 고주파 혼(10)과 금형롤러(20) 사이에 원단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고주파 혼(10)과 금형롤러(20)를 통과한 원단에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가 가해진 부분인 퀼팅가공라인(6)이 형성되고, 그 주변으로 원단이 부풀어 입체적인 엠보를 형성하게 된다.
퀼팅가공라인(6)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택이 나게 되는데, 퀼팅원단의 표면에 이와 같은 광택이 부여될 경우 심미감과 자연감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 제조방법에서는 고주파 퀼팅된 원단에서 퀼팅가공라인(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S30, S4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S30 단계에서는 원단과 원단을 서로 접착시키는 원단용 접착제가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도포 또는 분사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균일한 두께의 접착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분사하여 접착층(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원단(2)의 일면에 형성된 퀼팅가공라인(6)은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롤러 등으로 접착제를 제2 원단(2)의 일면에 도포하게 되면 퀼팅가공라인(6)까지 균일하게 접착층(5)을 형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S40 단계에서는 접착층(5)을 향해 외피원단(4)을 공급해 제2 원단(2)의 일면으로 외피원단(4)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
고주파를 이용한 퀼팅은 합성수지재 원단을 제외한 원단에 적용될 수 없었기 때문에 퀼팅원단의 질감 표현에 한계가 있었으며 심미성도 결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에서의 외피원단(4)을 면, 모직 등의 자연소재 원단에서부터 기모를 형성한 융이나, 극세사, 벨로아, 벨보아, 폴라폴리스, 벨벳, 덤블링 등의 다양한 원단을 접목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채롭고 고급스러운 표면질감을 제공함은 물론 외피원단(4)이 제2 원단(2)의 일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퀼팅가공라인(6)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0 단계에서는 엠보의 입체감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외피원단(4)이 부착된 상태의 퀼팅원단 타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원단(1)을 수축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열처리를 통해 제1 원단(1)을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례로, 외피원단(4)이 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수축롤러(30) 사이를 통과하게 하여 제1 원단(1)을 열수축시키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축롤러(30) 중 타측 수축롤러(30)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1 원단(1)이 열처리에 의해 수축되면 퀼팅원단의 일면은 수축이 발생되지 않고, 퀼팅원단의 타측면인 제1 원단(1)만이 열변형에 의한 수축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퀼팅원단의 일면으로 엠보가 부풀어올라 더욱 입체감있는 퀼팅원단을 구현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의 열수축률이 서로 다른 합성수지 원단을 사용하거나 제1 원단(1)을 열에 취약한 나일론 등의 원단으로 특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퀼팅원단은 외피원단(4)을 통해 고주파에 의한 퀼팅가공라인(6)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광택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4)의 접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롭고 고급스러운 표면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1 원단(1)을 열수축시킴으로써 엠보를 보다 입체적으로 부풀어오르도록 해 자연스러운 엠보가 표현된 퀼팅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고주파 퀼팅원단은 제1 원단(1); 상기 제1 원단의 일면으로 적층되는 충전재(3); 상기 충전재의 일면으로 적층되고 고주파 퀼팅으로 상기 제1 원단과 융착되는 제2 원단(2);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원단에는 접착제가 도포 또는 분사되어 접착층이 마련되고, 상기 접착층에 의해 제2 원단의 일면에 부착되는 외피원단(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원단(1)과 제2 원단(2)은 고주파에 의해 서로 융착되기 위해 융점이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며, 고주파 퀼팅가공에 의해 광택이 발생된 퀼팅가공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 원단(2)의 일면에 면, 모직, 극세사, 벨벳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 중 용도 및 디자인에 의해 선택된 외피원단(4)을 부착함으로써, 내면에 해당하는 제1 원단(1)과 겉면에 해당하는 외피원단(4)이 서로 다른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외피원단(4)은 열처리되지 않고, 제1 원단(1)의 타면만 열처리에 의해 수축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제1 원단 2: 제2 원단
3 충전재 4: 외피원단

Claims (5)

  1.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의 일면으로 적층되는 충전재;
    상기 충전재의 일면으로 적층되고 고주파 퀼팅으로 상기 제1 원단과 융착되는 제2 원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원단에는 접착제가 도포 또는 분사되어 접착층이 마련되고,
    상기 접착층에 의해 제2 원단의 일면에 부착되는 외피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원단과 제2 원단은 고주파에 의해 서로 융착되기 위해 융점이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며,
    고주파 퀼팅가공에 의해 광택이 발생된 퀼팅가공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 원단의 일면에 면, 모직, 극세사, 벨벳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 중 용도 및 디자인에 의해 선택된 외피원단을 부착함으로써,
    내면에 해당하는 제1 원단과 겉면에 해당하는 외피원단이 서로 다른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외피원단은 열처리되지 않고, 제1 원단의 타면만 열처리에 의해 수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퀼팅원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솜 또는 스펀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퀼팅원단.
  3. 삭제
  4. (a) 제1 원단과 제2 원단 사이에 충전재를 중첩시키는 단계;
    (b) 제2 원단의 일면으로 고주파를 가해 제1 원단과 제2 원단을 고주파 퀼팅시키는 단계;
    (c) 상기 제2 원단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단계; 및
    (d)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제2 원단의 일면에 외피원단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원단과 제2원단은 고주파에 의해 서로 융착되기 위해 융점이 서로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며,
    고주파 퀼팅가공에 의해 광택이 발생된 퀼팅가공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d) 단계에서 제2 원단의 일면에 면, 모직, 극세사, 벨벳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외피원단 중 용도 및 디자인에 의해 선택된 외피원단을 부착함으로써,
    내면에 해당하는 제1 원단과 겉면에 해당하는 외피원단이 서로 다른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제1 원단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외피원단은 열처리하지 않고 상기 제1 원단에 열처리를 하여 제1 원단의 타면만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퀼팅원단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90057927A 2019-05-17 2019-05-17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27A KR102180950B1 (ko) 2019-05-17 2019-05-17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27A KR102180950B1 (ko) 2019-05-17 2019-05-17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950B1 true KR102180950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27A KR102180950B1 (ko) 2019-05-17 2019-05-17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42A (ko) * 2000-10-27 2001-11-07 추병국 입체 누비직물
JP3105925U (ja) * 2004-06-15 2004-12-02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防寒ウェアー
KR20100052339A (ko) 2008-11-10 2010-05-19 (주)풍전티.티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
KR200455836Y1 (ko) * 2011-05-25 2011-09-29 루디월드주식회사 다운재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42A (ko) * 2000-10-27 2001-11-07 추병국 입체 누비직물
JP3105925U (ja) * 2004-06-15 2004-12-02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防寒ウェアー
KR20100052339A (ko) 2008-11-10 2010-05-19 (주)풍전티.티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및 이를 이용한 침구
KR200455836Y1 (ko) * 2011-05-25 2011-09-29 루디월드주식회사 다운재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15651A (ja) ニットタイプの布帛シート、布帛シートの製造方法、布帛と布帛シートの複合体および該複合体を第2の布帛に接合する方法
JPH0231469B2 (ko)
KR102180950B1 (ko) 고주파 퀼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TWI593844B (zh) 含有組合的多孔織物和熱熔襯的複合材料織物及其製備方法
KR102541684B1 (ko) 편성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JP6577688B1 (ja) 羽毛入り製品の製造方法及び羽毛入り製品
JP6584046B1 (ja) 高保温性衣料品用積層生地及び高保温性衣料品用積層生地の製造方法
KR100351508B1 (ko) 불규칙한 모양의 주름이 형성된 원단 및 의류의 제조방법
US2116082A (en) Sweat band for hats
TWM608698U (zh) 製造防止水份滲透的雙層織物
JP2551528B2 (ja) 防寒性射出成形ブーツとその製造方法
JP5467090B2 (ja) 皮革テクスチャ感触編物の製造方法
KR100351512B1 (ko) 내피원단이 접합된 주름의류 및 원단의 제조방법
TWI589428B (zh) 複層織物結構、複層立體織物之製造方法及其結構
KR101506600B1 (ko) 스티어링 휠의 가죽 봉제 방법
US5680655A (en) Trousers and process of producing same
JP2018199880A (ja) 繊維積層体及び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465101B1 (ko) 돌출주름문양이 배시된 가죽소재원단 및 의류
JP2005534816A (ja) 繊維材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繊維材料
JP6434196B1 (ja) 衣服品用積層生地及び衣服品用積層生地の製造方法
FR2649866A1 (fr) Textile destine a l'entoil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20230002966A1 (en) Stabilizer coating for machine embroidering
US2022017019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enetration-preventing double-layer fabric and double-layer fabric
JPH0512032Y2 (ko)
JPH03164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