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242A - 천장 및 벽체패널 - Google Patents

천장 및 벽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242A
KR20100052242A KR1020080111172A KR20080111172A KR20100052242A KR 20100052242 A KR20100052242 A KR 20100052242A KR 1020080111172 A KR1020080111172 A KR 1020080111172A KR 20080111172 A KR20080111172 A KR 20080111172A KR 20100052242 A KR20100052242 A KR 2010005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eiling
panel
hemming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090B1 (ko
Inventor
송우용
송권용
Original Assignee
송우용
송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용, 송권용 filed Critical 송우용
Priority to KR102008011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0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공정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켜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행하지 않더라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있어서, 사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1)는 각 단부측에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서 형성되는 헤밍단부(32)와, 이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된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된다.
판부재, 헤밍단부, 체결부, 가이드단부, 보강부

Description

천장 및 벽체패널{The ceiling and wall panel}
본 발명은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실내외 벽체에는 인테리어 측면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천장패널 또는 벽체패널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패널의 일례로 종래의 천장패널을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천장패널(10)은 천장에 매달린 상태에서 저면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하부판(11)과, 이 하부판(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11)과 브라켓(12)은 별도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11)의 일면에 용접결합되는 볼트(13)에 체결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천장패널(10)은 상기 하부판(11)과 브라켓(12)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또한 별도로 구비되는 두 개의 부재를 상호 결합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부판(11)에는 별도의 볼트(13)를 용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12)은 상기 볼트(13)에 체결되도록 볼트공을 형성된 결합면을 갖도록 펀칭 및 벤딩작업 등이 추가되어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두 개의 부재를 상호 결합되는 별도의 조립작업이 더 추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11)은 그 두께가 너무 얇게 되면 견고함이 떨어지게 되므로 대략 3mm 정도의 판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라 재료를 구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클 뿐만 아니라 절단된 단부는 안전사고 및 미관을 고려하여 별도의 트리밍 작업과 같은 마무리 공정을 더 추가해서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작공정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켜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행하지 않더라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있어서, 사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1)는 각 단부측에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서 형성되는 헤밍단부(32)와, 이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33)에는 그 선단에 하부 및 양단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의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의 일측에는 결합공(35)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30)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거나 또 는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단부(34)가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된 후에, 상기 결합공(35)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부재(31)에는 상기 체결부(33) 사이에 대향 위치되도록 상기 헤밍단부(3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3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부재(31)의 각 단부는 상호 포개지도록 접혀진 헤밍단부(32)가 형성되고, 이 헤밍단부(32)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체결부(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판부재(31)의 단부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판부재(31) 자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더라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얇은 판부재(31)를 사용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재료를 구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밍단부(32)는 단부를 접어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판부재(31)의 단부를 별도로 트리밍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무리 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방법상 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므로 제작 또는 설치시에 손에 상처를 입을 염려가 적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부재을 상호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판부재(31)를 절곡 및 헤밍하여 제작되므로 제작공정 대폭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재를 상호 결합할 때에 형성되는 체결물 또는 결합부위가 형성되지 않아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33)에는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20)에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공(35)이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의 패널(30)을 고정수단(20)에 걸친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패널(30)이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아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단부(34)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에 끼워지도록 구비됨으로써, 각 패널(30)은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된 후에 인접한 패널(30)에 간섭됨이 없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각각의 패널(30)이 모두 액서스 해치(access hatch)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판부재(31)에는 상기 체결부(33)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양측에 헤밍단부(3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36)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한 보강정도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판부재(31)의 휨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와 단면도 그리고 다양한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널(30)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1)의 각 단부는 상호 포개지도록 접혀진 헤밍단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된 격벽 형태의 체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31)의 다른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33)에 유사한 형태로 상기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되고, 그 선단에는 하부 및 양단이 개방된 채널형상의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며, 이 가이드단부(34)에는 대략 그 중앙부에 장공형태의 결합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패널(30)은 하나의 판부재(31)를 펀칭하거나 절곡 또는 헤밍(hemming)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대략적인 제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판부재(3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알루미늄 또는 스틸재의 원판을 프레스공정 등에 의해 정해진 규격대로 펀칭하여 모서리 부분을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공(35)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판부재(31)의 전면에 걸쳐 일정 패턴의 타공(37)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에, 벤딩공정에 의해 상기 가이드단부(34)를 절곡 형성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의 형성 이후에는 헤밍공정에 의해 상기 판부재(31)를 접어서 헤밍단부(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33)를 절곡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은 필요에 따라 전후의 제작공정이 바뀔 수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프레스공정과 벤딩공정 그리고 헤밍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제작공정은 대개 수작업에 의하기보다는 각 공정에 해당되는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되므로, 종래처럼 용접이나 조립과 같은 수작업을 수반하지 않게 되어 제작상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패널(30)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실내외의 벽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례로 천장에 설치될 때의 다양한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는 패널(3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20)은 프레임(21)과 이 프레임(21)에 결합된 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브라켓(22)은 본 고안의 패널(30)의 체결부(33)에 대응되도록 간격을 두고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단부(34)에 대응되는 채널형상의 단부가 형성되고, 그 단부의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단부(34)에 형성된 결합공(35)에 대응된 결합돌기(23)가 형성되어 본 고안의 패널(30)이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은 상기 고정수단(20)의 브라켓(22) 단부에 걸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고, 이후에 패널(30)을 고정할 때에는 작업자가 소정의 높이로 패널(30)을 들어서 상기 결합공(35)의 위치를 상기 결합돌기(23)에 맞추어 상호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체결부(33)의 돌출높이(H)(도 5에 도시됨)는 상기 브라켓(22) 단부의 돌출높이(h)(도 5에 도시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30)이 상기 브라켓(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은 상기 고정수단(20)의 브라켓(22)에 상하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에 상기 체결부(33)는 전술된 바와 같이 브라켓(22) 단부의 돌출높이(h)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돌출높이(H)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22)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는 상기 브라켓(22)에 걸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채널폭(W)을 형성하여 내향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도 5의 (a) 내지 (d)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패널(30)을 브라켓(22)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패널(30)의 가이드단부(34)에 형성된 결합공(35)이 브라켓(22)의 결합돌기(23)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도 5의(a))로 설치되고, 이를 분리해 낼 때에는 패널(30)을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결합돌기(23)로부터 패널(30)을 분리하게 되며(도 5의(b)), 이 패널(30)을 밀어 올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인 후에(도 5의(c)), 패널(30)의 일측의 브라켓(22)의 하부로 빼내어 분리하게 된다(도 5의(d)). 이는 패널(30)을 분리하는 과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된 바와 같은 분리방법의 역순으로 하면 패널(30)을 결합할 때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패널(30)은 인접된 다른 패널(30)에 간섭됨이 없이 상하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방향의 착탈구조는 패널(30) 설치된 이후에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는 각각의 패널(30)이 모두 액서스 해치(access hatch)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인테리어 측면뿐만 아니라 전기배선 등의 점검 및 보수작업 측면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패널(30)이 고정수단(20)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태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수단(20)에 결합된 경우에도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체결부(33)가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수직 연장되므로, 저면에서 볼 때에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판부재(31)에 의해 상기 체결부(33)가 가려진 상태가 되므로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33)와 보강부(36)는 수직 연장된 상태로 구비된 것이어서 판부재(31)의 상부를 가려주는 차단막 역할을 더 할 수 있어 천장을 포함한 실내외 인테리어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패널(30)은 종래처럼 3mm 정도의 후판을 사용하여 제작하기보다는 그 절반에 해당하는 1.5mm 정도의 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mm 정도의 박판을 사용하더라도 본 고안의 헤밍단부(32)에 의해 박판 이 상호 겹쳐지면서 판부재(31)의 단부는 3mm를 형성하게 되므로, 종래의 후판에 상응하는 견고함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33)와 보강부(36)에 의해 판부재(31)의 휨이나 변형 등을 방지하여 견고한 패널(30)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후판 대신 박판의 판부재(31)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패널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결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Claims (3)

  1.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있어서, 사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1)는 각 단부측에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서 형성되는 헤밍단부(32)와, 이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3)에는 그 선단에 하부 및 양단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의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의 일측에는 결합공(35)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30)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단부(34)가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된 후에, 상기 결합공(35)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31)에는 상기 체결부(33) 사이에 대향 위치되도록 상기 헤밍단부(3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3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
KR1020080111172A 2008-11-10 2008-11-10 천장 및 벽체패널 KR10106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72A KR101065090B1 (ko) 2008-11-10 2008-11-10 천장 및 벽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72A KR101065090B1 (ko) 2008-11-10 2008-11-10 천장 및 벽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242A true KR20100052242A (ko) 2010-05-19
KR101065090B1 KR101065090B1 (ko) 2011-09-16

Family

ID=4227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172A KR101065090B1 (ko) 2008-11-10 2008-11-10 천장 및 벽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58B1 (ko) * 2012-01-16 2014-01-22 광건티앤씨(주)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KR20200138930A (ko) * 2019-06-03 2020-12-11 유재욱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US20220136243A1 (en) * 2019-02-28 2022-05-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eiling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8962A (zh) * 2012-10-10 2013-01-23 浙江宝兰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集成吊顶的组合式电器面板
CN105569252B (zh) * 2015-12-25 2017-10-31 浙江久达门业有限公司 一种3d实木吊顶及其安装方法
KR101948469B1 (ko) * 2018-01-15 2019-02-14 성기인 건축용 다공패널 및 이의 고정구조
KR102480050B1 (ko) * 2021-03-22 2022-12-22 신중남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1149B2 (en) * 2006-10-16 2010-11-30 Chicago Metallic Corporation Concealed ceiling panel system
KR200436794Y1 (ko) * 2006-10-24 2007-10-04 주식회사 유 창 천장용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58B1 (ko) * 2012-01-16 2014-01-22 광건티앤씨(주)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US20220136243A1 (en) * 2019-02-28 2022-05-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eiling panel
US11781318B2 (en) * 2019-02-28 2023-10-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eiling panel
KR20200138930A (ko) * 2019-06-03 2020-12-11 유재욱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090B1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90B1 (ko) 천장 및 벽체패널
KR101548905B1 (ko)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KR20080012824A (ko) 개조가능한 천장 타일 시스템
ITVI20060046A1 (it) Struttura di tetto modulare per edifici
JP2018066151A (ja) 板材の端面取付具、壁構造及び板材の施工方法
KR20070082479A (ko) 고층용 창호
JP4013879B2 (ja) 棚付き間仕切パネル
JPS6235786Y2 (ko)
JP6915997B2 (ja)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CN212198055U (zh) 装潢轿厢
KR102344870B1 (ko) 엘리베이터 카월 장식판 고정장치
CN212403106U (zh) 轿厢装饰顶
JP5266137B2 (ja) ドア
CN211393428U (zh) 电梯系统的厅外人机装置
JP6675994B2 (ja) 手摺ユニット及びバルコニー
KR101140266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JP4465086B2 (ja) 建築物
JP2009108485A (ja) シャッターボックスの取付構造
JP4509017B2 (ja) 壁下端水切り構造
JP6119980B2 (ja) 外壁の仕上げ材取付方法
JP2577238Y2 (ja) ガラスパネル及びガラス間仕切り構造
JP3546555B2 (ja) 窓シャッターの枠体構造
JP5237890B2 (ja) 収納部付浴室出窓の構造
JP2018053570A (ja) 板材の取付具及び板材の施工方法
JP5439399B2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浴室の改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