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30A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30A
KR20200138930A KR1020190065300A KR20190065300A KR20200138930A KR 20200138930 A KR20200138930 A KR 20200138930A KR 1020190065300 A KR1020190065300 A KR 1020190065300A KR 20190065300 A KR20190065300 A KR 20190065300A KR 20200138930 A KR20200138930 A KR 2020013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body plate
bent
pai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050B1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102019006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0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간격부재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와;, 각 제1마감부재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감부재는 간격부재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양쪽을 몸체 판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만곡부와;, 한 쌍의 만곡부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와;, 한 쌍의 제1절곡부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와;, 제2절곡부의 한쪽을 제1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를 포함하고, 제2마감부재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와;, 제3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면서 제3절곡부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과;, 제1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걸림부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제1절곡부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간격부재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제1마감부재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몸체 판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ceiling and exterior wall}
본 발명은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부착시공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고,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였으며, 단열 및 방수 효과를 증대시켜 왔었다.
그리고,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도록 제작되어 왔었다.
이에, 특허문헌1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일 끝단을 상부로 수직 절곡시켜 제1절곡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단의 끝단을 둥근 형태의 제1원형단이 되도록 절곡하되, 상기 제1원형단의 일부분이 중심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홈이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고정구를 형성하고, 넓은 판 형태의 일 끝단은 상부로 수직 절곡하여 제2절곡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절곡단의 끝단을 제1원형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둥근 형태의 제2원형단이 되도록 절곡하되, 상기 제2원형단의 일부분이 중심을 향해 함몰되어 함몰홈에 끼움되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수결합단을 형성하고, 타 끝단은 상부로 수직 절곡하여 제3절곡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3절곡단의 끝단을 제2원형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둥근 형태의 제3원형단이 되도록 절곡하여 암결합단을 형성하는 마감재를 구성하여, 상기 지붕이나 외벽에 다수 개로 연속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의 제1원형단을 각각의 마감재의 제2원형단의 내부로 연속 끼움하고, 상기 제2원형단을 각각의 마감재의 제3원형단의 내부로 연속 끼움하며, 상기 함몰홈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돌기가 밀착 삽입되어 제1원형단과 제2원형단의 사이로 수분이 침투시 제1원형단의 외주면과 제2원형단의 내주면을 따라 수분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고정구의 제1원형단에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마감재의 제2,3원형단을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해야 했었기 때문에, 마감재의 설치가 간편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303196호(2013년08월28일. 등록.)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고정부재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간격부재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와;, 각 제1마감부재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감부재는 간격부재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양쪽을 몸체 판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만곡부와;, 한 쌍의 만곡부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와;, 한 쌍의 제1절곡부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와;, 제2절곡부의 한쪽을 제1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를 포함하고, 제2마감부재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와;, 제3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면서 제3절곡부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과;, 제1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면서 제1걸림부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제1절곡부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간격부재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제1마감부재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몸체 판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1,2걸림부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제1마감부재의 하나의 제3절곡부에 같이 걸려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서로 이웃한 제2마감부재를 서로 결합하지 않고 종래보다 간편하게 제1마감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1걸림부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제1마감부재의 한 쌍의 제3절곡부에 각각 걸려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서로 이웃한 제2마감부재를 서로 결합하지 않고 종래보다 간편하게 제1마감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1절곡부 및 몸체 판이 서로 결합되지 않고, 제1마감부재의 한 쌍의 제2,3절곡부에 각각 걸려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서로 이웃한 제2마감부재를 서로 결합하지 않고 종래보다 간편하게 제1마감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1절곡부 및 끼움돌기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제1마감부재의 한 쌍의 제1절곡부 및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서로 이웃한 제2마감부재를 서로 결합하지 않고 종래보다 간편하게 제1마감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2고정부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제1마감부재의 한 쌍의 제1걸림부에 각각 걸려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감부재의 삽입공간에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2고정부가 삽입되면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서로 이웃한 제2마감부재를 서로 결합하지 않고 종래보다 간편하게 제1마감부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의 만곡부 및 경사부로 제1절곡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의 무게 및 걸림, 외부충격에 의해 제1절곡부가 휘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의 만곡부의 탄성 및, 만곡하게 형성된 가압부재의 가압부 탄성으로 외부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의 몸체 판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수평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 판과 수평부의 사이 간격이 상당히 좁아져서 만곡부 및 경사부보다 탄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의 무게 및 걸림, 외부충격에 의해 제1마감부재의 제1절곡부가 휘어지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의 몸체 판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제1고정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 판과 제1고정부의 사이 간격이 상당히 좁아져서 만곡부 및 경사부보다 탄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의 무게 및 걸림, 외부충격에 의해 제1마감부재의 제1돌출부가 휘어지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압부재의 가압부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를 같이 또는 각각 가압하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를 제1마감부재에 더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의 가압부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를 같이 가압하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를 제1마감부재에 더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압핀으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를 같이 가압하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를 제1마감부재에 더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마감부재의 삽입공간에 제1마감부재의 일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해 제2마감부재가 흔들리면 제1마감부재에 걸리면서 이동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가 와이어 클립을 통해 간격부재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가 체결구멍을 통해 간격부재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1절곡부가, 제1마감부재의 한 쌍의 제1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워지는 효과가 있다.
즉, 외부충격에 의해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의 끼움홈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2마감부재의 제1절곡부가 서로 더 밀착되어 빈틈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를 제1마감부재에 더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마감부재가 제2마감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미감이 달라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2마감부재의 몸체 판이, 건축물의 외벽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제2마감부재의 몸체 판 일부가, 나머지 제2마감부재의 몸체 판보다 건축물의 외벽에서 더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적이 다른 다수의 제2마감부재의 몸체 판이, 건축물의 외벽에서 평평하게 돌출되거나 울퉁불퉁하게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즉, 입체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또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35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다수의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01)과;, 상기 몸체 판(101)의 양쪽을 상기 몸체 판(101)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만곡부(102)와;, 한 쌍의 상기 만곡부(102)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03)와;,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104)와;, 상기 제2절곡부(104)의 한쪽을 제1절곡부(103)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10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몸체 판(101)과 만곡부(102)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0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만곡부(102)는 제1절곡부(103)와 걸림부(106)의 사이를 만곡한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과;, 상기 제1걸림부(11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3)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114)가 포함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 판(111)은 제1절곡부(112)를 형성하기 전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나머지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5)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걸림부(106)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는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한 쌍의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31a)가 양쪽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고정판(131)과;, 하나의 상기 고정부(13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13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제2걸림부(1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클립(120)이 간격부재(3) 및 걸림부(106)를 감싸게 되고, 상기 와이어 클립(120)의 한 쌍의 고정부(121)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와이어 클립(120)에 의해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 다음,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3a)에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5)에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 즉, 제1,2,3절곡부(103)(104)(105)가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고정된 제1걸림부(113)를 이웃한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4a)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3)에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제1걸림부(113)는 제2걸림부(114)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3)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제1걸림부(113)는 제2걸림부(114)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욱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같이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를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몸체 판(1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가 포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1걸림부(113)는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
그래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3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제3절곡부(105)를 각각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지지 않아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마감부재(10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를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편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돌출부(116)는 제2마감부재(1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면,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의 돌출부(116)에 가려지게 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나머지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 판(111)에서 절곡 형성된다.
그래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한 쌍의 제2절곡부(104)에 각각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은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지지 않아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마감부재(10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는 몸체 판(111)을 가압하는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가압하지만,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가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07)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끼움홈(107)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제1절곡부(112)의 한쪽 면을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7)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07)의 양쪽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0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가압부재(130)가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제1절곡부(103) 사이에 억지로 끼우면서, 끼움홈(107)에 끼움돌기(117)를 억지로 끼운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 및 끼움홈(107)의 사이는 억지로 끼워진 한 쌍의 제1절곡부(112) 및 끼움돌기(117)에 의해 벌어지지만, 지지하고 있던 만곡부(102)에 의해 더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에 억지로 끼워지면서, 끼움홈(107)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부(108)의 가압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더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8)에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 즉, 제1,2,3절곡부(103)(104)(105)가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다수의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01)과;, 상기 몸체 판(101)의 양쪽을 상기 몸체 판(101)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경사부(102a)와;, 한 쌍의 상기 경사부(102a)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03)와;,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104)와;, 상기 제2절곡부(104)의 한쪽을 제1절곡부(103)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10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몸체 판(101)과 경사부(102a)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0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102a)는 제1절곡부(103)와 걸림부(106)의 사이를 경사진 사선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과;, 상기 제1걸림부(11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3)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114)가 포함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 판(111)은 제1절곡부(112)를 형성하기 전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나머지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5)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걸림부(106)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는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한 쌍의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31a)가 양쪽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고정판(131)과;, 하나의 상기 고정부(13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13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제2걸림부(1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클립(120)이 간격부재(3) 및 걸림부(106)를 감싸게 되고, 상기 와이어 클립(120)의 한 쌍의 고정부(121)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와이어 클립(120)에 의해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 다음,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3a)에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5)에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 즉, 제1,2,3절곡부(103)(104)(105)가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고정된 제1걸림부(113)를 이웃한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4a)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3)에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제1걸림부(113)는 제2걸림부(114)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3)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제1걸림부(113)는 제2걸림부(114)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욱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같이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를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몸체 판(1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가 포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1걸림부(113)는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
그래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3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제3절곡부(105)를 각각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지지 않아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마감부재(10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를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편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돌출부(116)는 제2마감부재(1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면,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의 돌출부(116)에 가려지게 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나머지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 판(111)에서 절곡 형성된다.
그래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한 쌍의 제2절곡부(104)에 각각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은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지지 않아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마감부재(10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는 몸체 판(111)을 가압하는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가압하지만,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가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07)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끼움홈(107)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제1절곡부(112)의 한쪽 면을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7)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07)의 양쪽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0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가압부재(130)가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제1절곡부(103) 사이에 억지로 끼우면서, 끼움홈(107)에 끼움돌기(117)를 억지로 끼운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 및 끼움홈(107)의 사이는 억지로 끼워진 한 쌍의 제1절곡부(112) 및 끼움돌기(117)에 의해 벌어지지만, 지지하고 있던 경사부(102a)에 의해 더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에 억지로 끼워지면서, 끼움홈(107)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부(108)의 가압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더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8)에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 즉, 제1,2,3절곡부(103)(104)(105)가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다수의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01)과;, 상기 몸체 판(101)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상기 몸체 판(101)의 양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수평부(102b)와;, 한 쌍의 상기 수평부(102b)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03)와;,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104)와;, 상기 제2절곡부(104)의 한쪽을 제1절곡부(103)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10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몸체 판(101)과 수평부(102b)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0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102b)는 제1절곡부(103)와 걸림부(106)의 사이를 수직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과;, 상기 제1걸림부(11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3)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114)가 포함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 판(111)은 제1절곡부(112)를 형성하기 전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나머지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5)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걸림부(106)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는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한 쌍의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31a)가 양쪽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고정판(131)과;, 하나의 상기 고정부(13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13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제2걸림부(1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클립(120)이 간격부재(3) 및 걸림부(106)를 감싸게 되고, 상기 와이어 클립(120)의 한 쌍의 고정부(121)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와이어 클립(120)에 의해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 다음,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3a)에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5)에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 즉, 제1,2,3절곡부(103)(104)(105)가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고정된 제1걸림부(113)를 이웃한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4a)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3)에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제1걸림부(113)는 제2걸림부(114)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3)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제1걸림부(113)는 제2걸림부(114)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욱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같이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제2걸림부(114)를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몸체 판(1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가 포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1걸림부(113)는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
그래서,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3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제3절곡부(105)를 각각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지지 않아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마감부재(10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는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제1걸림부(113)를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편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돌출부(116)는 제2마감부재(1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면,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의 돌출부(116)에 가려지게 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나머지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 판(111)에서 절곡 형성된다.
그래서,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한 쌍의 제2절곡부(104)에 각각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은 제1마감부재(100)의 제3절곡부(105)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지지 않아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부재(130)를 다수의 간격부재(3) 사이로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하여,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30)는 제1마감부재(10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고정판(131)이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한 쌍의 고정부(131a)에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걸림부(10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각각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는 몸체 판(111)을 가압하는 가압부(132)에 의해 가압되어, 제3절곡부(105)에 더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130)가 한 쌍의 제2마감부재(110)를 각각 가압하여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탄성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부(132)는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을 가압하지만,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가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07)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끼움홈(107)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제1절곡부(112)의 한쪽 면을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7)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07)의 양쪽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0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가압부재(130)가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를 제1마감부재(100)의 한 쌍의 제1절곡부(103) 사이에 억지로 끼우면서, 끼움홈(107)에 끼움돌기(117)를 억지로 끼운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 및 끼움홈(107)의 사이는 억지로 끼워진 한 쌍의 제1절곡부(112) 및 끼움돌기(117)에 의해 벌어지지만, 지지하고 있던 수평부(102b)에 의해 더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에 억지로 끼워지면서, 끼움홈(107)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부(108)의 가압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더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110)의 삽입공간(118)에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 즉, 제1,2,3절곡부(103)(104)(105)가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제2마감부재(110)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또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몸체 판(101) 및 수평부(102b)는 간격부재(3)에 고정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01a)(102b')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와이어 클립(120)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판(101)의 체결구멍(101a)과 수평부(102b)의 체결구멍(102b')은 체결부재(4)를 통해 간격부재(3)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다수의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2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2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2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제2마감부재(210)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201)과;, 상기 몸체 판(201)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상기 몸체 판(201)의 양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고정부(202)와;, 상기 몸체 판(201)을 마주보지 않도록 제1고정부(20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돌출부(203)와;, 상기 몸체 판(201)을 마주보도록 제1돌출부(203)의 한쪽을 'ㄱ'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204)와;, 상기 몸체 판(201) 및 제1돌출부(203) 및 제1걸림부(204)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20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 판(201) 및 제1고정부(202)는 간격부재(3)에 고정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201a)(202a)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몸체 판(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몸체 판(201)의 일부를 'ㄷ' 형태로 다수 절개하면서, 삽입공간(205)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다수의 가압부(20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206)는 몸체 판(201)의 일부를 절개하면서 절곡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탄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206)의 한쪽 끝은 몸체 판(201)을 향하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210)는 금속 재질의 몸체 판(211)과;, 상기 몸체 판(2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2돌출부(212)와;, 상기 삽입공간(205)에 삽입되어 제1걸림부(204)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한 쌍의 제2돌출부(212)의 한쪽을 'ㄱ'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2고정부(213)가 포함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는 제2돌출부(21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13)는 가압부(206)에 가압되어 제1걸림부(204)에 밀착되면서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 판(211)은 제2돌출부(212)를 형성하기 전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를 가진다.
그래서,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2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 판(201)의 체결구멍(201a)과 제1고정부(202)의 체결구멍(202a)은 간격부재(3)와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그 다음, 각 상기 제1마감부재(2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2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부(213)를 순차적으로 삽입공간(205)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206)는 몸체 판(201)의 일부를 절개하면서 절곡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몸체 판(201)을 향해 한 쌍의 제2고정부(213)에 밀리게 되면서 압축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2고정부(213)를 한 쌍의 제1걸림부(204)에 걸리게 한다.
여기서, 압축되어 있던 상기 가압부(206)는 원 상태로 복귀된다.
즉, 상기 가압부(206)가 한 쌍의 제2고정부(213)를 가압하여, 한 쌍의 제1걸림부(204)에 밀착시키면서 걸려서 고정되게 해준다.
그러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는 몸체 판(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몸체 판(2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제2마감부재(2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1마감부재(200)는 몸체 판(201)과 제1고정부(202)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207)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제2걸림부(207)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제2걸림부(207)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2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220)이 포함된다.
그래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클립(220)이 간격부재(3) 및 제2걸림부(207)를 감싸게 되고, 상기 와이어 클립(220)의 고정부(221)에 제1마감부재(200)의 제2걸림부(207)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와이어 클립(220)에 의해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1돌출부(203)는 끼움구멍(203a)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는 끼움구멍(203a)에 끼워져서 제2고정부(213)를 가압하는 가압핀(230)이 포함된다.
그래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판(201)의 체결구멍(201a)과 제1고정부(202)의 체결구멍(202a)이 간격부재(3)에 체결부재(4)로 체결된 상태에서, 끼움구멍(203a)에 가압핀(230)을 끼운다.
그러면, 상기 가압핀(230)가 한 쌍의 제2고정부(213)를 가압하여, 한 쌍의 제1걸림부(204)에 밀착시키면서 걸려서 고정되게 해준다.
그리고,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와 유사한 제5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는 제1절곡부(112) 및 제2돌출부(212)의 길이가, 나머지 제2마감부재(210)의 제1절곡부(112) 및 제2돌출부(2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는 몸체 판(111)(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210)의 몸체 판(111)(211)보다 더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몸체 판(111)(2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울퉁불퉁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와 유사한 제6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는 몸체 판(111)(211)의 길이가 길이 방향 및 그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 판(111)(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는 상기 몸체 판(111)(211)의 길이가 길이 방향 및 그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면적이 다른 다수의 상기 몸체 판(111)(2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와 유사한 제7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는 몸체 판(111)(211)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 판(111)(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와,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보다 몸체 판(111)(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더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일부는 몸체 판(111)(211)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210) 다른 일부는 몸체 판(111)(211)의 길이가 길이 방향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 판(111)(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다른 일부와,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210) 다른 일부보다 몸체 판(111)(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더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210) 다른 일부는 몸체 판(111)(211)의 길이가 길이 방향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면적이 다른 다수의 상기 몸체 판(111)(21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울퉁불퉁하게 돌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마감부재 101 : 몸체 판
101a : 체결구멍 102 : 만곡부
102a : 경사부 102b : 수평부
102b' : 체결구멍 103 : 제1절곡부
104 : 제2절곡부 105 : 제3절곡부
106 : 걸림부 107 : 끼움홈
108 : 가압부 110 : 제2마감부재
111 : 몸체 판 112 : 제1절곡부
113 : 제1걸림부 113a : 삽입공간
114 : 제2걸림부 114a : 삽입공간
115 : 삽입공간 116 : 돌출부
117 : 끼움돌기 118 : 삽입공간
120 : 와이어 클립 121 : 고정부
130 : 가압부재 131 : 고정판
131a : 고정부 132 : 가압부
200 : 제1마감부재 201 : 몸체 판
201a : 체결구멍 202 : 제1고정부
202a : 체결구멍 203 : 제1돌출부
203a : 끼움구멍 204 : 제1걸림부
205 : 삽입공간 206 : 가압부
207 : 제2걸림부 210 : 제2마감부재
211 : 몸체 판 212 : 제2돌출부
213 : 제2고정부 220 : 와이어 클립
221 : 고정부 230 : 가압핀
1000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Claims (47)

  1.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몸체 판(101)과;, 상기 몸체 판(101)의 양쪽을 상기 몸체 판(101)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만곡부(102)와;, 한 쌍의 상기 만곡부(102)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03)와;,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104)와;, 상기 제2절곡부(104)의 한쪽을 제1절곡부(103)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과;, 상기 제1걸림부(11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3)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114)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몸체 판(111)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몸체 판(101)과 만곡부(102)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걸림부(106)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130)는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한 쌍의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31a)가 양쪽에 형성된 고정판(131)과;,
    하나의 상기 고정부(13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나머지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편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를 포함하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나머지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 판(111)에서 절곡 형성되어 제2절곡부(104)에 밀착되며,
    상기 몸체 판(111)은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07)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끼움홈(107)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제1절곡부(112)의 한쪽 면을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07)의 양쪽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4.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몸체 판(101)과;, 상기 몸체 판(101)의 양쪽을 상기 몸체 판(101)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경사부(102a)와;, 한 쌍의 상기 경사부(102a)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03)와;,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104)와;, 상기 제2절곡부(104)의 한쪽을 제1절곡부(103)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과;, 상기 제1걸림부(11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3)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114)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5. 제14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몸체 판(111)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몸체 판(101)과 경사부(102a)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걸림부(106)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130)는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한 쌍의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31a)가 양쪽에 형성된 고정판(131)과;,
    하나의 상기 고정부(13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나머지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편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를 포함하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나머지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 판(111)에서 절곡 형성되어 제2절곡부(104)에 밀착되며,
    상기 몸체 판(111)은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07)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끼움홈(107)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제1절곡부(112)의 한쪽 면을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07)의 양쪽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7.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몸체 판(101)과;, 상기 몸체 판(101)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상기 몸체 판(101)의 양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수평부(102b)와;, 한 쌍의 상기 수평부(102b)의 한쪽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03)와;,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한쪽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2절곡부(104)와;, 상기 제2절곡부(104)의 한쪽을 제1절곡부(103)를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제3절곡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과;, 상기 제1걸림부(11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4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113)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114)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1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8. 제27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제1절곡부(112)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제1절곡부(1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몸체 판(1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110) 일부는 몸체 판(111)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110)의 몸체 판(1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몸체 판(101)과 수평부(102b)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걸림부(106)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130)는 몸체 판(101)에 밀착되고, 한 쌍의 걸림부(106)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31a)가 양쪽에 형성된 고정판(131)과;,
    하나의 상기 고정부(13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마감부재(110)를 가압하는 가압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2)는 만곡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나머지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상기 제3절곡부(105)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3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한쪽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편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를 포함하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12)는 나머지 한 쌍의 제1절곡부(112)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 판(111)에서 절곡 형성되어 제2절곡부(104)에 밀착되며,
    상기 몸체 판(111)은 제3절곡부(105)에 걸려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07)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몸체 판(111)과;, 상기 몸체 판(1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1절곡부(112)와;, 끼움홈(107)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제1절곡부(112)의 한쪽 면을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한 쌍의 제1절곡부(103)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07)의 양쪽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절곡부(103)의 사이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절곡부(11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110)는 제1마감부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절곡부(1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삽입공간(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판(101) 및 수평부(102b)는 간격부재(3)에 체결되는 체결구멍(101a)(102b')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1.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2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20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몸체 판(201)과;, 상기 몸체 판(201)을 마주보면서 근접하도록 상기 몸체 판(201)의 양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고정부(202)와;, 상기 몸체 판(201)을 마주보지 않도록 제1고정부(20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돌출부(203)와;, 상기 몸체 판(201)을 마주보도록 제1돌출부(203)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1걸림부(204)와;, 상기 몸체 판(201) 및 제1돌출부(203) 및 제1걸림부(204)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205)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210)는 몸체 판(211)과;, 상기 몸체 판(21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제2돌출부(212)와;, 상기 삽입공간(205)에 삽입되어 제1걸림부(204)에 걸려서 설치되도록 한 쌍의 제2돌출부(212)의 한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고정부(213)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는 제2돌출부(21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200)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상기 제1마감부재(20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21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는 몸체 판(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2. 제4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 일부는 제2돌출부(212)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210)의 제2돌출부(2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 일부는 몸체 판(21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210)의 몸체 판(211)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10) 일부는 몸체 판(211)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210)의 몸체 판(2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판(201) 및 제1고정부(202)는 간격부재(3)에 체결되는 체결구멍(201a)(202a)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몸체 판(201)의 일부를 절개하면서 삽입공간(205)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한 가압부(206)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206)는 제2고정부(213)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200)는 몸체 판(201)과 제1고정부(202)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제2걸림부(207)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부재(3) 및 한 쌍의 제2걸림부(207)를 감싸면서, 한 쌍의 상기 제2걸림부(207)가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221)가 양쪽에 형성된 와이어 클립(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203)는 끼움구멍(203a)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끼움구멍(203a)에 끼워져서 제2고정부(213)를 가압하는 가압핀(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0190065300A 2019-06-03 2019-06-03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28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00A KR102280050B1 (ko) 2019-06-03 2019-06-03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00A KR102280050B1 (ko) 2019-06-03 2019-06-03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30A true KR20200138930A (ko) 2020-12-11
KR102280050B1 KR102280050B1 (ko) 2021-07-20

Family

ID=7378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00A KR102280050B1 (ko) 2019-06-03 2019-06-03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929A (ko) * 2021-02-05 2022-08-12 유재욱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538A (ja) * 1996-03-25 1997-09-30 Sekisui Chem Co Ltd 天井パネル構造
KR200439678Y1 (ko) * 2007-01-30 2008-04-28 (주) 마노이엔씨 천장패널 고정 구조
KR200445747Y1 (ko) * 2008-05-14 2009-08-28 (주)동일테크 마감재 체결구조
KR20100052242A (ko) * 2008-11-10 2010-05-19 송우용 천장 및 벽체패널
KR20120000316U (ko) * 2010-07-05 2012-01-11 이종호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천정판 지지바.
KR101303196B1 (ko) 2012-01-09 2013-09-04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751649B1 (ko) * 2016-11-04 2017-06-28 (주)유창 내진 성능이 향상된 금속 타일 및 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538A (ja) * 1996-03-25 1997-09-30 Sekisui Chem Co Ltd 天井パネル構造
KR200439678Y1 (ko) * 2007-01-30 2008-04-28 (주) 마노이엔씨 천장패널 고정 구조
KR200445747Y1 (ko) * 2008-05-14 2009-08-28 (주)동일테크 마감재 체결구조
KR20100052242A (ko) * 2008-11-10 2010-05-19 송우용 천장 및 벽체패널
KR20120000316U (ko) * 2010-07-05 2012-01-11 이종호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천정판 지지바.
KR101303196B1 (ko) 2012-01-09 2013-09-04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751649B1 (ko) * 2016-11-04 2017-06-28 (주)유창 내진 성능이 향상된 금속 타일 및 그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929A (ko) * 2021-02-05 2022-08-12 유재욱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050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015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US8966849B1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US3545154A (en) Surface panel assembly with rigid strips to conceal fasteners
US2229064A (en) Means for suspending insulating ceilings, etc.
KR101973319B1 (ko)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US3605368A (en) Ceiling system with masking strips at panel joints
KR20200138930A (ko)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280049B1 (ko)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751649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금속 타일 및 그 체결구조
KR20100131845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1346573B1 (ko) 커튼 박스
KR200410233Y1 (ko) 천정판 및 천정판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221964B1 (ko) 엠바 조립체
KR101564199B1 (ko) 천장재 이탈방지 마감몰딩
JP5329509B2 (ja) 建築用壁面板の取付金具及び建築用壁面構造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20210083156A (ko)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KR20220015746A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JP7189837B2 (ja) 建材固定金具
RU225433U1 (ru) 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CN212201136U (zh) 一种用于墙板安装的收口件
KR100705393B1 (ko) 미장판넬 연결구조
KR102532942B1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KR200449484Y1 (ko) 케이블 고정구
KR100949550B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