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678Y1 - 천장패널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패널 고정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678Y1 KR200439678Y1 KR2020070001638U KR20070001638U KR200439678Y1 KR 200439678 Y1 KR200439678 Y1 KR 200439678Y1 KR 2020070001638 U KR2020070001638 U KR 2020070001638U KR 20070001638 U KR20070001638 U KR 20070001638U KR 200439678 Y1 KR200439678 Y1 KR 2004396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panel
- vertical
- vertical side
- horizontal
- leaf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separate retai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2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closed frame around the periphe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패널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는, 제1 수평변, 제1 수평변의 저면에 형성된 제1 수직변, 제1 수평변의 양끝에 형성되는 제1, 제2 하향 수직변, 제1 수직변의 하단 형성되는 제2 수평변, 제1 하향 수직변과 제1 수직변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내향 돌출 변 및 제2 수평변의 한쪽에 형성되고 제1 수직변을 기준으로 제1, 제2 내향 돌출 변이 형성된 방향 쪽에 형성되는 제2 수직변;으로 구성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제1, 제2 내향 돌출 변에 장착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만곡 되어 영문자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어느 한쪽의 측면 모서리에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1 절개부 또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는 판스프링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판스프링이 천장패널의 윙부를 수직하방으로 가압하여 천장패널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프레임, 판스프링, 천장 패널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의 시공 상태를 보인 상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면 및 정면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에서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프레임 11: 제1 수평변
12: 제1 수직변 13, 14: 제1, 제2 하향 수직변
15, 16: 제1, 제2 내향 돌출 변 15a, 16a: 제3, 제4 내향 돌출 변
17: 제2 수평변 18: 제2 수직변
19: 돌출 변 20: 제3 수평변
30: 판스프링 31: 중앙부
32: 제1 단부 32a: 제1 윙부
33: 제2 단부 33a: 제2 윙부
34a, 34b: 제1, 제2 절개부 35a, 35b: 제3, 제4 절개부
40: 지지 채널 50: 고정 클립
51, 52: 고정 편 60: 행거
701, 702, 703: 제1, 제2, 제3 천장 패널
71, 72: 제1, 제2 윙부
본 고안은 천장패널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천장패널 고정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의 천장이나 건물내부의 천장은 천장패널을 고정시켜 마감한다.
본원 출원인은 천장 패널을 더욱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기술을 실용신안을 등록시켰고, 하나의 예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4580호 "천장 패널 장착구조"가 있다.
상술한 천장 패널 장착구조는, 수평변의 아래쪽으로 지지대와 이격시켜 수평 받침지지편을 형성하되 지지대의 하단 한쪽에는 장착요홈을 형성하고, 수평받침지지편의 하단 한쪽에는 받침편을 형성하며, 수평받침편의 받침편은 장착요홈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한 클립바와, 사방을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정면수직변의 단부는 외향절곡 삽입편을 형성하고, 배면수직변의 단부는 내향절곡 삽입편을 형성하며, 좌우 측면수직변의 단부한쪽에는 볼록 돌기를 형성한 천장패널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클립바는 천장에 수평을 유지하여 나란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하고, 한쪽의 클립바의 받침편에 천장패널의 외향절곡 삽입편을 얹힘과 아울러 인접한 다른 클립바의 받침편에 천장패널의 내향절곡 삽입편을 얹히도록 삽입장착하며, 벽면에 근접한 마지막 단계에서는 천장패널의 측면 수직변에 형성한 볼록 돌기를 클립바에 삽입시켜 볼록 돌기가 클립바의 장착요홈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천장 패널 장착구조는 시공이 무척 쉽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은 무척 짧은 이점이 있지만, 실제 시공현상에서는 심각한 진동이나 거센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상술한 수직변의 변형이 발생되어 이로써 볼록 돌기가 클립바의 장착 요홈에서 탈락되어 천장패널의 일부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장 패널을 고정시킴에 있 어서 천장패널의 윙부를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특정 천장패널을 임의로 분리 및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는, 제1 수평변; 상기 제1 수평변의 저면에 형성된 제1 수직변; 상기 제1 수평변의 양끝에 형성된 제1, 제2 하향 수직변; 상기 제1 수직변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수평변; 상기 제1 하향 수직변과 상기 제1 수직변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내향 돌출 변; 및 상기 제2 수평변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변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2 내향 돌출 변이 형성된 방향 쪽에 형성된 제2 수직변;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제1, 제2 내향 돌출 변에 장착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만곡 되어 상측에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배치되도록 영문자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쪽 측면 모서리에 각각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1, 제2 절개부와 제3, 제4 절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하향 수직변과 제1 수직변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제3, 제4 내향 돌출 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변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수평변의 양쪽에 제2 수직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직변은,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에 돌출 변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제3 수평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중에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절곡되어 제1 윙부 또는 제2 윙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는 패널 고정프레임(10)에 판스프링(30)을 장착하여 판스프링(30)에 의해 차후에 설명되는 천장 패널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상술한 프레임(10)은 제1 수평변(11)의 저면에 제1 수직변(12)이 형성되고, 제1 수평변(11)의 양끝 부분에는 제1 하향 수직변(13)과 제2 하향 수직변(14)이 형성되며, 제1 수직변(12)의 하단에는 제2 수평변(17)이 형성된다.
특히 상술한 제1 하향 수직변(13)과 제1 수직변(12)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2 하향 수직변(14)과 제1 수직변(12)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이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제2 수평변(17)의 한쪽에는 제2 수직변(18)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2 수직변(18)은 제1 수직변(12)을 기준으로 상술한 제1 하향 수직변(13)과 제2 하향 수직변(14)중에 내향 돌출 변이 형성된 쪽에 제2 수직변(18)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수직변(18)은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이렇게 경사지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차후에 설명되는 천장 패널의 측면과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수직변(18)의 상단에는 제3 수평변(20)을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이는 차후에 설명되는 천장 패널의 윙부와 접촉면적을 넓게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3 수평변(20)은 내측이 낮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이렇게 내측이 낮게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차후에 설명되는 천장 패널의 윙부와 결속력을 높여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수직변(18)의 외측에는 돌출 변(19)을 형성시켜 줄 수 있고, 돌출 변(19)은 차후에 설명되는 천장 패널의 측면에 접하도록 하여 천장 패널의 위치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판스프링(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bend)타입으로서 중앙부(31)를 기준으로 만곡 되어 영문자 U자 형태로 구부려져 형성되며, 판스프링(30)의 양측면 모서리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각각 제1, 제2 절개부(34a)(34b)와 제3, 제4 절개부(35a)(35b)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단부(32)의 측면 모서리에는 제1 절개부(34a)와 제2 절개부(34b)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단부(33)의 측면 모서리에는 제3 절개부(35a)와 제4 절개부(3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절개부(34a)와 제2 절개부(34b)가 이루는 폭은 프레임(10)에 형성된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이 이루는 거리와 대응 된다.
또한, 제3 절개부(35a)와 제4 절개부(35b)가 이루는 폭은 프레임(10)에 형성된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이 이루는 거리와 대응된다.
삭제
또한, 상술한 제1 단부(32)는 절곡되어 제1 윙부(32a)를 형성하고, 상술한 제2 단부(33)는 절곡되어 제2 윙부(33a)를 형성한다.
특히 상술한 제1 윙부(32a)와 제2 윙부(33a)는 외측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고 또는 내측 방향으로 구부려져도 무방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단부(32)와 제2 단부(33)중에 어느 한쪽에만 제1 윙부(32a) 또는 제2 윙부(33a)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윙부(32a)(33a)는 상술한 프레임(10)에 장착되었을 때에 임의로 뒤틀리거나 하지 않고 목적한 바대로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임의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판스프링(30)이 가압될 때에 제1 단부(32) 또는 제2 단부(33)가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렸다가 가입되는 힘이 제거되면 처음 위치로 복원되는데 이때 밀리거나 복원될 때에 상술한 제1윙부(32a) 또는 제2 윙부(33a)가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에서 제2 실시예인 프레임(10a)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상술한 프레임(10a)은 제1 수평변(11)의 저면에 제1 수직변(12)이 형성되고, 제1 수평변(11)의 양끝 부분에는 제1 하향 수직변(13)과 제2 하향 수직변(14)이 형성되며, 제1 수직변(12)의 하단에는 제2 수평변(17)이 형성된다.
특히, 상술한 제1 하향 수직변(13)과 제1 수직변(12)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이 형성되고, 상술한 제2 하향 수직변(14)과 제1 수직변(12)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제1 내향 돌출 변(15a)과 제2 내향 돌출 변(16a)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수평변(17)의 양쪽에는 각각 제2 수직변(18)(18a)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에서 프레임(10)(10a)과 판스프링(30)의 결합관계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상술한 다른 실시예인 프레임(10a)은 일 실시예의 프레임(10)과 실시와 동일/유사한 작용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동시에 설명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후술한다.
판스프링(3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32)와 제2단부(33)가 모아지는 형태로 가압하여 프레임(10)(10a)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30)을 가합하는 것은 작업자가 판스프링(30)을 쥐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제1 단부(32)와 제2 단부(33)가 가압되어 모아진 형태의 판스프링(30)은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사이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판스프링(30)을 프레임(10)(10a)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로 돌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30)의 제1 절개부(34a)와 제3 절개부(35a)는 제1 내향 돌출 변(15)에 삽입되도록 하고, 판스프링(30)의 제2 절개부(34b)와 제4 절개부(35b)는 제2 내향 돌출 변(16)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판스프링(30)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판스프링(30)의 제1 절개부(34a) 와 제3 절개부(35a)는 제2 내향 돌출 변(16)에 삽입될 수 있고, 판스프링(30)의 제2 절개부(34b)와 제4 절개부(35b)는 제1 내향 돌출 변(15)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판스프링(30)의 제1, 제3 절개부(34a)(35a)는 제1 내향 돌출 변(15)과 제2 내향 돌출 변(16) 중에 어느 한쪽에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판스프링(30)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31)가 제2 수직변(18)의 상면에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제2실시예인 프레임(10a)은 제1 수직변(12)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모두에 상술한 판스프링(30)을 장착할 수 있고, 천장패널을 고정 시공할 때에는 좌우 어느 한쪽에만 선택적으로 판스프링(30)이 장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의 시공 상태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천장 패널을 시공할 때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채널(40)을 수평에 맞게 선(先)시공을 한다.
지지채널(40)은 천장에 여러 개의 행거(60)를 도립장착하고, 여러 개의 행거(6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 정도를 맞추게 된다.
상술한 지지채널(40)에는 고정클립(50)이 장착되고, 이 고정클립(50)의 하단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구조의 프레임(10)(10a)이 장착된다.
즉 상술한 고정클립(50)의 고정편(51)(52)에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10a)의 제1, 제2 하향 수직변(13)(14)이 걸리고 고정클립(50)에서 조절볼트를 고정시킴으로서 지지채널(40)에 프레임(10)(10a)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10)(10a)에 판스프링(30)을 장착시켜주게 되는데, 판스프링(30)의 장착은 프레임(10)(10a)을 지지채널(40)에 고정시키기 전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프레임(10)(10a)을 지지채널(40)에 고정시킨 후에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시켜줄 수도 있다.
프레임(10)(10a)에 판스프링(30)을 장착시킨 직후의 형상은 첨부도면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판스프링(30)의 중앙부(31)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항상 프레임(10)(10a)의 제2 수직변(18)의 상단에 내리 누르는 형태로 가압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천장패널이 조합되어 시공된다.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여러 개의 천장 패널을 제1 천장 패널(701), 제2 천장 패널(702) 및 제3 천장 패널(703)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제2, 제3 천장 패널(701)(702)(703)은 한쪽 측면에 제1 윙부(71)가 내측으로 구부려져 형성되고, 다른 한 쪽 측면에는 제2 윙부(72)가 외측으로 구부려져 형성된다.
결국 상술한 제1 윙부(71)와 제2 윙부(7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 이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려져 형성되는 것이다.
먼저 내측 방향으로 구부려진 제1 윙부(71)를 제2 수직변(18)의 상측에 밀착시켜 장착한다.
이때 제1 윙부(71)는 판스프링(30)의 중앙부(31)를 밀어 올린 상태에서 삽입장착하는 것이고, 제1 윙부(71)가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판스프링(30)의 중앙부(31)가 제1 윙부(71)를 가압하게 된다.
이후, 외측 방향으로 구부려진 제2 윙부(71)를 상술한 제1 윙부(71)의 위쪽에 겹치도록 장착한다.
이때 제2 윙부(72)는 판스프링(30)의 중앙부(31)를 밀어 올린 상태에서 삽입장착하는 것이고, 제2 윙부(72)가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판스프링(30)의 중앙부(31)가 제2 윙부(72)를 가압하게 된다.
결국 판스프링(30)의 중앙부(31)는 제1 윙부(71)와 제2 윙부(72)가 겹쳐진 상면에 가압하게 되어 제1 천장 패널(701)과 제2 천장 패널(702)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외측 방향으로 구부려진 제2 윙부(71)를 제2 수직변(18)에 먼저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첨부도면 도 3에서 오른쪽에 천장패널을 장착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판스프링(30)은 프레임(10)(10a)의 제1, 제2 내향 돌출 변(15)(16) 또는 제3, 제4 내향 돌출 변(15a)(16a)에 걸려 있고 임의로 이탈할 수 없도록 억류되어 있으므로 천장패널을 시공할 때에 임의로 판스프링(30)이 분리되 지 않아 더욱 수월하게 천장패널 장착 시공을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2 수직편(18)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 변(19)은 천장패널을 시공할 때에 제2 수직편(18)의 가장 바깥쪽 모서리와 돌출 변(19)의 가장 바깥쪽 모서리가 천장 패널의 측면에 접하여 천장패널을 수평도를 맞출 때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수직편(18)의 가장 바깥쪽 모서리와 돌출 변(19)의 가장 바깥쪽 모서리를 잇는 가상의 선이 수직을 이룰 수 있고 이렇게 수직을 이루는 가상선에 접하는 천장 패널은 수평도를 맞출 때에 직감적으로 더욱 쉽게 수평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2 수직편(18)의 상측에 형성된 제3 수평변(20)은 천장패널의 윙부와 접할 때에 판스프링(30)에 의해 천장패널의 윙부가 가압을 받는데 제3 수평변(20)이 경사짐에 따라 천장패널의 윙부가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이로서 천장 패널의 고정시공이 완료된 후에 천장 패널이 제3 수평변(20)에서 임의로 벗겨지려는 힘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커져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고정 구조는 천장패널을 고정 시공할 때에 판스프링이 임의로 분리이탈하지 않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천장패널 고정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중앙부가 천장패널의 윙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천장패널의 외부의 요인에 의한 외력에 더욱 강한 대항력을 갖게 되어 더욱 견고한 천장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 제1 수평변(11); 상기 제1 수평변(11)의 저면에 형성된 제1 수직변(12); 상기 제1 수평변(11)의 양끝에 형성된 제1, 제2 하향 수직변(13)(14); 상기 제1 수직변(12)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수평변(17); 상기 제1 하향 수직변(13)과 상기 제1 수직변(12)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내향 돌출 변(15)(16); 및 상기 제2 수평변(17)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변(12)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2 내향 돌출 변(15)(16)이 형성된 방향 쪽에 형성된 제2 수직변(18);으로 구성된 프레임(10)(10a);과상기 제1, 제2 내향 돌출 변(15)(16)에 장착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만곡 되어 상측에 제1 단부(32)와 제2 단부(33)가 배치되도록 영문자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쪽 측면 모서리에 각각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1, 제2 절개부(34a)(34b)와 제3, 제4 절개부(35a)(35b)가 형성된 판스프링(30);을 포함하는 천장패널 고정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10a)은,상기 제2 하향 수직변(14)과 제1 수직변(12)이 서로 대향하는 면(面)에 각각 제3, 제4 내향 돌출 변(15a)(16a);이 형성되고,상기 제1 수직변(12)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수평변(17)의 양쪽에 제2 수직변(18)(18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고정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2 수직변(18)(18a)은,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에 돌출 변(19)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제3 수평변(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고정 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판스프링(30)은,상기 제1 단부(32)와 상기 제2 단부(33) 중에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절곡되어 제1 윙부(32a) 또는 제2 윙부(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고정 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1638U KR200439678Y1 (ko) | 2007-01-30 | 2007-01-30 | 천장패널 고정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1638U KR200439678Y1 (ko) | 2007-01-30 | 2007-01-30 | 천장패널 고정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678Y1 true KR200439678Y1 (ko) | 2008-04-28 |
Family
ID=4164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1638U KR200439678Y1 (ko) | 2007-01-30 | 2007-01-30 | 천장패널 고정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678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04625C2 (ru) * | 2008-12-09 | 2014-01-20 | Юэсджи Интериорс, Инк. |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
KR101666118B1 (ko) * | 2015-07-29 | 2016-10-14 | 주식회사 조은데코 | 천장 마감 몰딩 |
CN106193415A (zh) * | 2016-08-30 | 2016-12-07 | 冯文 | 一种型材及吊顶结构 |
KR20190044213A (ko) | 2017-10-20 | 2019-04-30 | 양종택 | 건축용 프레임, 그 건축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 구조 및 그 건축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된 천장 구조 |
KR20200138930A (ko) * | 2019-06-03 | 2020-12-11 | 유재욱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
KR20230039020A (ko) | 2021-09-13 | 2023-03-21 | 신성한 |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
-
2007
- 2007-01-30 KR KR2020070001638U patent/KR20043967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04625C2 (ru) * | 2008-12-09 | 2014-01-20 | Юэсджи Интериорс, Инк. |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
KR101666118B1 (ko) * | 2015-07-29 | 2016-10-14 | 주식회사 조은데코 | 천장 마감 몰딩 |
CN106193415A (zh) * | 2016-08-30 | 2016-12-07 | 冯文 | 一种型材及吊顶结构 |
KR20190044213A (ko) | 2017-10-20 | 2019-04-30 | 양종택 | 건축용 프레임, 그 건축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 구조 및 그 건축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된 천장 구조 |
KR20200138930A (ko) * | 2019-06-03 | 2020-12-11 | 유재욱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
KR102280050B1 (ko) * | 2019-06-03 | 2021-07-20 | 유재욱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
KR20230039020A (ko) | 2021-09-13 | 2023-03-21 | 신성한 |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9678Y1 (ko) | 천장패널 고정 구조 | |
RU2504625C2 (ru) |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 |
US20080010922A1 (en) | Curtain-Type Facade Structure | |
US8683768B2 (en) | Ceiling panel clip | |
CN106760132B (zh) | 一种机场航站楼网架屋面吊顶的条形铝板天花 | |
CA2597186A1 (en) |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US20190203467A1 (en) | Suspension ceiling support clip | |
KR101029151B1 (ko) |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 |
EP1585407B1 (en) |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 |
CN211114248U (zh) | 改进结构的面板连接器及所应用的挂装式间隔墙 | |
KR101102368B1 (ko) |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 |
KR200436794Y1 (ko) | 천장용 패널 | |
KR200374580Y1 (ko) | 천장패널 장착구조 | |
KR20210006265A (ko) |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 |
KR102142209B1 (ko) | 셋톱박스 및 tv 주변기기 고정용 거치대 | |
JP6071507B2 (ja) | 天井板 | |
CN111945997A (zh) | 一种装配式墙板安装结构 | |
KR102461959B1 (ko) | 외장 마감패널 | |
CN215442642U (zh) | 一种无框卡扣式蜂窝板 | |
CN210685258U (zh) | 一种快装体系的公区挂板安装结构 | |
CN109826378A (zh) | 一种用于护栏立柱玻璃可转角度的免开孔玻璃夹具 | |
KR20180003387U (ko) |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 |
KR20110027465A (ko) | 탄성고정형 패널 | |
RU220442U1 (ru) | Монтажный профиль для навесной вентилируемой фасадной системы стены здания | |
CN102003062A (zh) | 自锁式地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