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049B1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049B1
KR102280049B1 KR1020190049722A KR20190049722A KR102280049B1 KR 102280049 B1 KR102280049 B1 KR 102280049B1 KR 1020190049722 A KR1020190049722 A KR 1020190049722A KR 20190049722 A KR20190049722 A KR 20190049722A KR 102280049 B1 KR102280049 B1 KR 10228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building
fitting
pair
cei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136A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102019004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0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천장 및 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간격부재에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와;, 각 제1마감부재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감부재는 간격부재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몸체 판과;, 서로 인접하도록 제1몸체 판의 중앙을 절곡하여 형성한 내부공간을 가진 한 쌍의 끼움부와;, 한 쌍의 끼움부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을 포함하고, 제2마감부재는 제1몸체 판보다 큰 제2몸체 판과;, 한 쌍의 끼움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2몸체 판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의 한쪽 면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돌출부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간격부재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제1마감부재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한 쌍의 끼움부 사이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돌출부가 끼워지면서,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끼워지고,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제2몸체 판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ceiling and exterior wall}
본 발명은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천장 및 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부착시공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고,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축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였으며, 단열 및 방수 효과를 증대시켜 왔었다.
그리고,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간편한게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도록 제작되어 왔었다.
이에, 특허문헌1은 건축물의 외벽면에 외장재를 결합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공간의 내측을 향하며 중앙에 제1탄성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과 제1탄성단의 반대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공간의 내측을 향하며 중앙에 제2탄성단이 형성되는 중앙끼움단을 판 형태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중앙끼움단과 연장되어 제1,2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는 제1,2끝단지지단을 판 형태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구를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마주보게 결합시켜 구성하여, 상기 제1,2공간에 연속배치되는 외장재의 끝단이 삽입 걸림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결합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건축물에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이 전달되면, 한 쌍의 외장재의 끝단과 제1,2탄성단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한 쌍의 외장재의 끝단이 제1,2공간에서 벗어나 이동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즉, 외장재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377647호(2014년03월18일. 등록.)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천장 및 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고정부재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간격부재에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와;, 각 제1마감부재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감부재는 간격부재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몸체 판과;, 서로 인접하도록 제1몸체 판의 중앙을 절곡하여 형성한 내부공간을 가진 한 쌍의 끼움부와;, 한 쌍의 끼움부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을 포함하고, 제2마감부재는 제1몸체 판보다 큰 제2몸체 판과;, 한 쌍의 끼움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2몸체 판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부의 한쪽 면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돌출부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간격부재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제1마감부재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한 쌍의 끼움부 사이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돌출부가 끼워지면서,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끼워지고, 다수의 제2마감부재는 제2몸체 판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돌출부가 한 쌍의 끼움부에 탄성 지지되면서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부가 내부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탄성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외장재에 해당하는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천장 및 외벽에 설치된 제2마감부재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제1마감부재로 종래보다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몸체 판의 테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에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의 상하좌우 즉, 사방이 제1마감부재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외장재에 해당하는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감부재에 의해 제2마감부재가 위치가 잘 잡혀져서 설치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에 비뚤어지지 않게 반듯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끼움부와 제1몸체 판의 인접한 부분 즉, 만곡부를 지지부가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가 간격부재에 지지되기 때문에, 한 쌍의 끼움부와 제1몸체 판의 인접한 부분 즉, 만곡부를 더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끼움부 및 끼움홈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외장재에 해당하는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더욱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돌출부가 한 쌍의 끼움부 사이로 깊숙히 끼워지면서, 끼움홈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빈틈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제2마감부재를 제1마감부재에 더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서 흔들리는 것을 막아서 소음 발생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몸체 판이 체결구멍을 통해 간격부재에 체결되어서, 제1마감부재가 간격부재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격부재 및 걸림부를 감싸는 와이어 클립의 양쪽에 걸림부가 걸려서 고정되기 때문에, 제1마감부재가 간격부재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2마감부재의 제2몸체 판이, 건축물의 외벽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제2마감부재의 제2몸체 판 일부가, 나머지 제2마감부재의 제2몸체 판보다 건축물의 외벽에서 더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적이 다른 다수의 제2마감부재의 제2몸체 판이, 건축물의 외벽에서 평평하게 돌출되거나 울퉁불퉁하게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즉, 입체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및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는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는 다수의 간격부재(3)에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제1몸체 판(11)과;,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제1몸체 판(11)의 중앙을 절곡하여 형성한 내부공간(12a)을 가진 한 쌍의 끼움부(12)와;,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3)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 판(11)은 간격부재(3)에 고정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한 쌍의 끼움부(12)와 제1몸체 판(11)의 인접한 부분을 만곡하게 절곡하여 형성한 만곡부(14)와;, 상기 만곡부(14) 및 간격부재(3)에 밀착되도록, 한 쌍의 끼움부(12)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지지부(15)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5)는 한 쌍의 끼움부(12)와 제1몸체 판(11)의 인접한 부분 즉, 만곡부(14)를 지지하게 되면서, 간격부재(3)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한 쌍의 끼움부(12)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3)의 양쪽으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돌출부(2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7)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20)는 제1몸체 판(11)보다 큰 금속 재질의 제2몸체 판(21)과;,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2몸체 판(2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22)와;, 상기 끼움홈(13)에 끼워지도록 돌출부(22)의 한쪽 면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끼움돌기(23)가 포함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는 돌출부(2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 판(21)은 돌출부(22)를 형성하기 전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홈이 형성된다.
그래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 판(11)의 체결구멍(11a)은 간격부재(3)와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그 다음,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2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를 순차적으로 한 쌍의 끼움부(12) 사이에 억지로 끼우면서, 끼움홈(13)에 끼움돌기(23)를 억지로 끼운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 및 끼움홈(13)의 사이는 억지로 끼워진 한 쌍의 돌출부(22) 및 끼움돌기(23)에 의해 벌어졌기 때문에,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와 제1몸체 판(11)의 인접한 부분 즉, 만곡부(14)를 지지부(15)가 더 강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5)가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서 상기 간격부재(3)에 지지되기 때문에, 한 쌍의 끼움부(12)와 제1몸체 판(11)의 인접한 부분 즉, 만곡부(14)를 상기 지지부(15)가 더욱 더 강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15)는 한 쌍의 끼움부(12) 및 끼움홈(13)의 사이가 더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22)는 한 쌍의 끼움부(12)에 억지로 끼워지면서, 끼움홈(13)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부(17)의 가압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더 고정된다.
그러면,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는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제2몸체 판(2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의 제1마감부재(10)는 제1몸체 판(11)의 양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는 간격부재(3) 및 걸림부(16)를 감싸는 와이어 클립(30)이 포함된다.
그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클립(30)이 간격부재(3) 및 걸림부(16)를 감싸게 되고, 상기 와이어 클립(30)의 양쪽에 제1마감부재(10)의 걸림부(16)가 각각 걸려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와이어 클립(30)에 의해 간격부재(3)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돌출부(22)의 길이가, 나머지 제2마감부재(20)의 돌출부(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20)의 제2몸체 판(21)보다 더 돌출된다.
즉, 면적이 같은 다수의 상기 제2몸체 판(2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울퉁불퉁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제2몸체 판(21)의 길이가 길이 방향 및 그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상기 제2몸체 판(21)의 길이가 길이 방향 및 그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면적이 다른 다수의 상기 제2몸체 판(2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평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1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제2몸체 판(21)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일부와,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일부보다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더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제2몸체 판(21)의 길이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다른 일부는 제2몸체 판(21)의 길이가 길이 방향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다른 일부와,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다른 일부보다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더 돌출된 다수의 제2마감부재(20) 다른 일부는 제2몸체 판(21)의 길이가 길이 방향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면적이 다른 다수의 상기 제2몸체 판(21)은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울퉁불퉁하게 돌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제1마감부재 11 : 제1몸체 판
11a : 체결구멍 12 : 끼움부
12a : 내부공간 13 : 끼움홈
14 : 만곡부 15 : 지지부
16 : 걸림부 17 : 가압부
20 : 제2마감부재 21 : 제2몸체 판
22 : 돌출부 23 : 끼움돌기
30 : 와이어 클립 100 :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Claims (7)

  1.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 고정부재(2)를 통해 다수 설치된 간격부재(3)에 설치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마감부재(1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마감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간격부재(3)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몸체 판(11)과;,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제1몸체 판(11)의 중앙을 절곡하여 형성한 내부공간(12a)을 가진 한 쌍의 끼움부(12)와;,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의 마주보는 한쪽 면을 절곡하여 형성한 끼움홈(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20)는 제1몸체 판(11)보다 큰 제2몸체 판(21)과;,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2몸체 판(21)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22)와;, 상기 끼움홈(13)에 끼워지도록 돌출부(22)의 한쪽 면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홈 형태로 가압하여 형성한 끼움돌기(23)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는 돌출부(2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간격부재(3)에 다수의 제1마감부재(10)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에 다수의 제2마감부재(20)를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한 쌍의 상기 끼움부(12) 사이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돌출부(22)가 끼워지면서, 끼움홈(13)에 끼움돌기(23)가 끼워지고,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는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며,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한 쌍의 끼움부(12)와 제1몸체 판(11)의 인접한 부분을 만곡하게 절곡하여 형성한 만곡부(14)와;,
    상기 만곡부(14) 및 간격부재(3)에 밀착되도록, 한 쌍의 끼움부(12)의 인접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지지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돌출부(22)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20)의 돌출부(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제2몸체 판(21)이 건축물의 천장 및 외벽(1)에서, 나머지 제2마감부재(20)의 제2몸체 판(21)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 일부는 제2몸체 판(21)의 길이를, 나머지 제2마감부재(20)의 제2몸체 판(2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판(11)은 간격부재(3)에 체결되는 체결구멍(11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제1몸체 판(11)의 양쪽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6)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부재(3) 및 걸림부(16)를 감싸면서, 상기 걸림부(16)가 양쪽에 걸려서 고정되는 와이어 클립(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부재(10)는 한 쌍의 끼움부(12)의 마주보는 한쪽 면에 끼움홈(13)의 양쪽으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돌출부(22)를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0190049722A 2019-04-29 2019-04-29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Active KR10228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722A KR102280049B1 (ko) 2019-04-29 2019-04-29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722A KR102280049B1 (ko) 2019-04-29 2019-04-29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136A KR20200126136A (ko) 2020-11-06
KR102280049B1 true KR102280049B1 (ko) 2021-07-20

Family

ID=7357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722A Active KR102280049B1 (ko) 2019-04-29 2019-04-29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3659B (en) * 2020-07-13 2023-03-22 Acs Facades Holdings Ltd Construction of an Ar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47Y1 (ko) * 2008-05-14 2009-08-28 (주)동일테크 마감재 체결구조
KR101136350B1 (ko) * 2010-12-28 2012-04-18 주식회사 대한강재 천정판 고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47B1 (ko) 2012-12-20 2014-03-25 주신기업(주) 건축물 외장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47Y1 (ko) * 2008-05-14 2009-08-28 (주)동일테크 마감재 체결구조
KR101136350B1 (ko) * 2010-12-28 2012-04-18 주식회사 대한강재 천정판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136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557B1 (ko) 건축용 외장패널 내진장치
CN113404204B (zh) 用于线性天花板镶板的托架
KR101970309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0256390B1 (ko) 조립식벽과 그벽보드 및 프로파일
KR102280049B1 (ko)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20015746A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KR101765673B1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KR101548326B1 (ko) 새들 결합용 클립이 탄성 복원에 의하여 새들용 강재에 결합되는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KR20080088160A (ko) 데크 결합용 부재 및 데크자재의 결합구조
WO2009145367A1 (en)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KR101221964B1 (ko) 엠바 조립체
KR20220015745A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KR20070072097A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102280050B1 (ko)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015503B1 (ko) 엠바 브라켓
KR101852985B1 (ko)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JP5329509B2 (ja) 建築用壁面板の取付金具及び建築用壁面構造
KR20030088187A (ko) 스프링강클립을 이용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한 플러시캡 판넬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6479137B1 (ja) 壁目地の防水構造
KR100705393B1 (ko) 미장판넬 연결구조
KR101838527B1 (ko) 외장패널 결합체
KR200399554Y1 (ko) 벽체 조립용 클립
KR100949550B1 (ko) 건축용 패널
KR102431460B1 (ko) 마감재 건식 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