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168A -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168A
KR20100051168A KR1020080110193A KR20080110193A KR20100051168A KR 20100051168 A KR20100051168 A KR 20100051168A KR 1020080110193 A KR1020080110193 A KR 1020080110193A KR 20080110193 A KR20080110193 A KR 20080110193A KR 20100051168 A KR20100051168 A KR 20100051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drainage device
rainwater drainage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709B1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102008011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7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45Connections between gutter and dow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8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4Means for fixing down pipes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빗물받이의 구조 안정성을 높이며, 빗물받이와 낙수안내부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는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수로부를 건물 벽체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걸림부를 구비한 빗물받이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로부의 처짐이 방지되어 설치 안정성이 높다. 또한, 빗물받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낙수안내부재가 벽체로부터 이격된 유로부와 유로부가 이격되도록 하는 레그부를 구비하고 있어, 레그부를 벽체에 체결부재로 간편하게 고정함으로써 빗물배수장치의 시공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빗물배수장치{Rain Waterspout of knockdow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건물의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받이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낙수안내부재에 관한 것이다.
용마루를 가지는 건축물의 지붕 처마 끝에는 용마루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 배수하기 위해 빗물받이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빗물받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빗물받이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채널(1)을 처마(2) 끝을 따라 길게 설치한다. 채널(1)은 많은 양의 비가 내리거나 장기간 방치로 인해 이물질이 퇴적되는 경우 하중에 의해 처질 수 있으며, 햇빛 등에 의해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빗물받이는 채널(1)을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부재(3)가 필요하였다. 지지부재(3)는 처마(2)에 인접한 벽체(4)에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하였다.
빗물받이로 집수된 빗물은 그 하부에 수직 설치되는 낙수안내부재(5)를 통해 지면의 배수구로 배출된다. 낙수안내부재(5)는 원통형 파이프를 금속 스트랩(6)을 이용하여 벽체(4)에 고정한다. 빗물이 벽체를 타고 흐르면서 얼룩을 남기지 않도록 낙수안내부재(5)는 벽체(4)로부터 이격 설치되는데, 이때 빗물받이와 낙수안내부재(30)를 연통시키고, 벽체(4)와 낙수안내부재(3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트랩(6)을 설치하는 데는 상당한 숙련도가 필요하다. 한편으로, 벽체(4)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낙수안내부재(5)는 다층 건물의 도난에도 사용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받이의 구조 안정성을 높이는 한편, 시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는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수로부와 수로부를 건물 벽체에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를 구비하는 빗물받이와, 빗물받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벽체에 수로부와 연통 설치되며 벽체로부터 이격된 유로를 구비하는 낙수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걸림부는 하향 개구되어 벽체의 두께를 감싸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걸림부는 조립식 건물의 지붕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빗물받이는 수로부의 외측벽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지지체 및 걸림부는 조립식 건물의 지붕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빗물받이는 측면의 개구를 밀폐 하기 위한 마감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마감패널은 수로부의 양측벽과 저면에 각각 체결되는 조립부를 구비하고, 조립부는 패널의 단부를 접철하여 수로부의 양측벽과 저면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낙수안내부재는 제1판재와 제2판재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유로부 및 유로부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레그부를 포함하되, 레그부는 제2판재에 의해 벽체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의 레그부는 제1판재와 제2판재를 겹쳐 마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는 수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로부의 일측벽을 절곡 연장하여 건물 벽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구비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려 빗물받이에 집수된 물을 지면으로 배수하기 위한 유로부 및 유로부를 벽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레그부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를 구비하는 낙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는 벽체에 걸 수 있는 걸림부를 이용하여 처마 끝에 위치하는 수로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빗물받이의 처짐이 방지 되어 설치 안정성이 높다.
또한, 벽체에 설치되는 낙수안내부재는 설치 시 빗물이 흘러내리는 유로부가 이격되도록 레그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레그부는 벽체에 리벳,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배수장치의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빗물배수장치의 빗물받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빗물배수장치의 낙수안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배수장치는 지붕의 처마(2) 끝에 설치되어 용마루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빗물받이(10)와, 빗물받이(10)의 물을 지면으로 배수하기 위해 벽체(4)에 설치되는 낙수안내부재(30)를 구비한다.
빗물받이(10)는 통상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성형하여 제조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로부(11)와, 수로부(11)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16)를 구비한다.
수로부(11)와 걸림부(16)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수로부(11)는 상향으로 개구되고 걸림부(16)는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수 로부(11)와 걸림부(16)는 일측벽(12)을 공유한다. 수로부(11)의 폭은 걸림부(16)의 폭보다 넓게 마련되며, 수로부(11)의 외측벽(13)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비드(14)가 설치된다.
걸림부(16)는 통상 100~150mm의 두께를 갖는 조립식 판넬을 이용하여 조립식 건물을 시공할 때 벽체(4)의 상단에 빗물받이(10)를 걸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걸림부(16)의 일측벽(12)은 벽체(4)의 외측에서 수로부(11)를 지지하게 되며, 타측벽(17)은 벽체(4)의 내측에서 수로부(11)를 지지하게 된다. 걸림부(16)의 일측벽(12)과 타측벽(17)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타측벽(17)을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빗물받이(10)가 금속재인 경우, 걸림부(16)는 수로부(11)의 일측벽(12)을 절곡 연장하여 마련된다.
빗물받이(10)의 개방된 양단에는 마감패널(20)이 설치된다. 마감패널(20)은 수로부(11)의 양측벽(12,13)과 저면에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조립부(22)를 구비한다. 조립부(22)는 도 4와 같이 수로부(11)의 양측벽(12,13)과 저면이 각각 끼워지도록 패널(24)의 단부를 접철하여 마련된다. 결합된 부위에는 솔더링이나 코킹 등을 한 후 실란트 등의 방수재를 도포한다.
낙수안내부재(3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금속재의 낙수안내부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판재(31)와 제2판재(32)를 결합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된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판재(31)와 내측에 위치하는 제2판재(32)는 A자 형태로 결합하여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1판재(31)와 제2판재(32)가 형성하는 상부공 간(A)은 빗물이 흘러내리기 위한 유로부가 되며, 제2판재(32)와 벽체가 형성하는 하부공간(B)은 레그부(33)를 형성하여 소음이 건물 내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레그부(33)는 제1판재(31)와 제2판재(32)를 시밍(seaming) 가공과 같이 겹쳐서 마련할 수 있다. 제1판재(31)의 외곽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비드(34)가 설치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배수장치를 조립식 건물에 시공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빗물배수장치의 빗물받이(10)는 벽체(4)에 지붕을 얹기 전에 시공한다. 예컨대, 건물 벽체가 먼저 세워지면 걸림부(16)를 벽체의 상단에 걸고, 지붕의 처마(2) 끝은 수로부(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시공한다. 이 상태에서는 벽체(4)에 밀접하고 있는 걸림부(16)의 일측벽(12)이 수로부(11)를 지지하기 때문에, 빗물받이(1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10)는 지붕과 벽체(4)를 통상 체결하는 리벳,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0)가 걸림부(16)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빗물받이(10)를 처마 끝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로부(11)의 외측벽(13)에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된 비드(14)에 지지체(18)의 일단을 걸고, 지지체(18)의 타단에 체결부재(30)를 고정하게 되면, 더욱 견고한 빗물받이(10)를 설치할 수 있다.
낙수안내부재(30)는 레그부(33)를 벽체(4)에 리벳,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설치한다. 레그부(33)를 벽체(4)에 고정함으로써 유로부(A)는 자연스럽게 벽체(4)로부터 이격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해진다.
빗물받이(10)와 낙수안내부재(30)는 빗물받이(10)의 수로부(11) 바닥 일부를 절개하거나 또는 미리 마련되어 있는 절개부(19)를 파괴함으로써 연통시킬 수 있다. 절개부(19)의 절단된 날개는 배수구 가이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 역할도 한다.
절개부(19)는 합성수지재의 경우 복수개를 수로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마련해 놓을 수도 있으며, 금속재의 경우 필요한 개소를 절개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10)와 낙수안내부재(30)를 일례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종래의 빗물받이에 본 발명의 낙수안내부재(30)를 연결 설치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빗물받이(10)에 종래의 낙수파이프를 연결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빗물배수장치의 빗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빗물배수장치의 빗물받이와 마감패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빗물배수장치의 낙수안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빗물배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처마 4..벽체
10..빗물받이 11..수로부
16..걸림부 20..마감패널
22..조립부 30..낙수안내부재
31..제1판재 32..제2판재
33..레그부 34,14..비드
40..체결부재

Claims (11)

  1.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수로부와, 수로부를 건물 벽체에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를 구비하는 빗물받이와,
    빗물받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벽체에 상기 수로부와 연통 설치되며, 벽체로부터 이격된 유로를 구비하는 낙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하향 개구되어 벽체의 두께를 감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조립식 건물의 지붕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는 수로부의 외측벽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 걸림부는 조립식 건물의 지붕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는 측면의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수로부의 양측면과 저면에 각각 체결되는 조립부를 구비하고, 조립부는 패널의 단부를 접철하여 수로부의 양측벽과 저면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안내부재는 제1판재와 제2판재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유로부 및 유로부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레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그부는 제2판재에 의해 벽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제1판재와 제2판재를 겹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10.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는 수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로부의 일측벽을 절곡 연장하여 건물 벽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11.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려 빗물받이에 집수된 물을 지면으로 배수하기 위한 유로부 및 유로부를 벽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레그부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를 구비하는 낙수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KR1020080110193A 2008-11-07 2008-11-07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KR10114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193A KR101144709B1 (ko) 2008-11-07 2008-11-07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193A KR101144709B1 (ko) 2008-11-07 2008-11-07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168A true KR20100051168A (ko) 2010-05-17
KR101144709B1 KR101144709B1 (ko) 2012-05-11

Family

ID=4227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193A KR101144709B1 (ko) 2008-11-07 2008-11-07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7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27B1 (ko) * 2014-09-30 2016-03-07 정의영 선홈통 구조
KR101636260B1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벽체 고정 장치 일체형 선홈통
KR200486458Y1 (ko) * 2017-09-22 2018-05-21 박기덕 물받이용 낙엽 방지 커버
CN108130990A (zh) * 2017-12-26 2018-06-0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雨篷有组织排水结构及方法
KR101974006B1 (ko) * 2017-12-18 2019-04-3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구조물에 구비된 집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927B1 (ko) 2018-07-09 2018-10-11 주앤보주식회사 막 재인장 장치가 적용된 조립형 거터시스템
KR102021791B1 (ko) 2019-04-26 2019-09-17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0760B2 (ja) * 1994-07-08 1999-01-27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出 窓
JP2001049701A (ja) * 1999-08-06 2001-02-20 Sekisui Chem Co Ltd 雨水集水装置
JP2003082822A (ja) * 2001-09-05 2003-03-19 Sumitomo Forestry Co Ltd 無落雪屋根の集排水溝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27B1 (ko) * 2014-09-30 2016-03-07 정의영 선홈통 구조
KR101636260B1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벽체 고정 장치 일체형 선홈통
KR200486458Y1 (ko) * 2017-09-22 2018-05-21 박기덕 물받이용 낙엽 방지 커버
KR101974006B1 (ko) * 2017-12-18 2019-04-3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구조물에 구비된 집수장치
CN108130990A (zh) * 2017-12-26 2018-06-0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雨篷有组织排水结构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709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709B1 (ko)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US7544288B1 (en) Gutter filtering device
US8528262B2 (en) Gutter-locking gutter protection
US6223474B1 (en) Gutter drainer assembly
KR101371242B1 (ko) 보수보강용 옥상 방수 구조
US20120272586A1 (en) Low-profile rain gutter screen
CN204850273U (zh) 一种钢结构建筑中的钢板天沟
EP3231956B1 (en) Telescopic gutter, especially for roof windows
US20050102927A1 (en) Downpipe connector system
JP5588556B1 (ja) コーナー水切り材、屋根パネル及び建物の屋根構造
JPH07305463A (ja) 軒先構造
KR200490589Y1 (ko) 빗물받이
US8832999B1 (en) Roofing panel screen assembly
JPH11100953A (ja) 樋装置
JP7131973B2 (ja) 軒樋構造および建物
JP3117279U (ja) 連棟型ユニットハウスの連結部における内樋構造
KR101011271B1 (ko) 처마 물받이 조립체
GB2549842A (en) Roof system
JP3166276U (ja) 雨樋を設けた建物
JPH10266476A (ja) 軒先屋根材
KR200323623Y1 (ko) 빗물받이용 홈통
JP7357919B2 (ja) 軒先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6871033B2 (ja) 雪止部材、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4090586B2 (ja) 樋の設置構造
JPS5827644Y2 (ja) 農業用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