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126A -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126A
KR20100048126A KR1020080107148A KR20080107148A KR20100048126A KR 20100048126 A KR20100048126 A KR 20100048126A KR 1020080107148 A KR1020080107148 A KR 1020080107148A KR 20080107148 A KR20080107148 A KR 20080107148A KR 20100048126 A KR20100048126 A KR 2010004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semiconductor chip
separation
transfer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길
변규식
Original Assignee
오토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8126A/ko
Publication of KR2010004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후 공정에서 반도체칩을 웨이퍼로부터 분리하여 진공으로 흡착하여 필요한 위치에 이송하는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웨이퍼로부터 칩을 이탈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콜렛이 동기화하여 흡착할 수 있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이퍼, 반도체칩, 분리, 이송, 흡착, 본딩

Description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Simultaneous separating and absorbing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웨이퍼로부터 반도체칩을 분리하는 작업과 다음 공정으로 이송을 위한 흡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칩을 기판(Substrate)에 본딩하는 공정이 메모리 후공정 에서의 주된 공정이다. 특히, 본딩하는 공정 중 본딩 장비의 생산성에 지대한 영향을 차지하는 부분은 웨이퍼로부터 칩을 이탈시켜 분리하는 작업과 이를 이송하여 기판에 본딩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딩공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웨이퍼로부터의 반도체칩 분리 및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매우 큰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후 공정에서 반도체칩을 웨이퍼로부터 분리하여 진공으로 흡착하여 필요한 위치에 이송하는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웨이퍼로부터 칩을 이탈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콜렛이 동기화하여 흡착할 수 있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웨이퍼의 하측으로 접근하여 반도체칩을 상향으로 분리하는 복수의 분리부와, 상기 웨이퍼의 상측으로 접근하여 상기 분리부에 의해 웨이퍼로부터 분리되는 반도체칩을 상기 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와 상기 이송부는 분리흡착의 대상이 되는 동일한 반도체칩의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이다.
상기 이송부의 개수와 상기 분리부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송부의 개수는 상기 이송부의 개수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반도체칩과 접촉하여 진공흡착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이 고정되는 콜렛홀더와, 상기 콜렛홀더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핑거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작동 부는 로봇암에 결합되며, 상기 콜렛에는 부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콜렛홀더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콜렛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리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돌출되는 이젝션핀과, 상기 이젝션핀과 일체인 이젝션핀고정블럭과,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과 작동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모터와,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는 분리부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웨이퍼상의 메모리칩을 분리하여 본딩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본딩 장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상기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는 크게 웨이퍼(미도시)로부터 반도체칩(미도시)을 분리하는 분리부(140,160)와, 상기 분리부(140,160)에 의해 웨이퍼로부터 분리되는 반도체칩을 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100,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00,130)의 개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0)는 반도체칩(미도시)과 접촉하여 흡착하는 콜렛(102)과, 상기 콜렛(102)이 고정되는 콜렛홀더(106)와, 상기 콜렛홀더(106)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슬라이더(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콜렛(102)은 반도체칩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 흡착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콜렛홀더(106)의 하측에는 상기 콜렛(102)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콜렛(102)과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석(10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108)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콜렛(102) 전체 또는 상기 콜렛(102)의 상부로써 상기 콜렛홀더(106)에 삽입되는 접속부(104)가 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콜렛홀더(106)에는 콜렛축(110)이 연결되며, 상기 콜렛축(110)은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116)의 하단부에 형성된 콜렛브라켓(114)과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116)의 내부에는 부압 공급되는 연통관(118)이 형성되 고, 상기 연통관(118)은 상기 콜렛축(110)에 형성된 연통관(112)을 통하여 상기 콜렛홀더(106)를 지나 상기 콜렛(102)까지 전달된다.
상기 연통관(112,118)은 핑거작동부(120)를 통해 부압공급원과 연결되는 연결포트(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핑거작동부(120)는 로봇암에 연결되어 이송부(100,130)를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부(140,160)의 개수는 상기 이송부(100,130)의 수와 동일하다.
상기 분리부는 케이싱(142)과, 상기 케이싱(142)의 상부에 설치되어 돌출되는 이젝션핀(144)과, 상기 이젝션핀(144)과 일체인 이젝션핀고정블럭(148)과,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148)과 작동축(148)에 의해 연결되는 작동모터(150)와, 상기 케이싱(142)와 결합되는 분리부 이송기구(152)를 포함한다.
상기 이젝션핀(144)은 상기 케이싱(142)의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케이싱(142)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젝션핀(144)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시트부재가 서로 이격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젝션핀(144)의 구조, 즉 시트부재간 간격은 반도체칩 또는 기판의 배열에 대응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이젝션핀(144)은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148)에 고정되어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148)과 일체로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148)은 작동축(148)을 통해 상기 작동모터(150)의 상하운동을 전달받게 되며, 상기 작동모터(150)로는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42)은 상기 분리부 이송기구(152)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작동모터(150)는 상기 케이싱(142) 또는 상기 분리부 이송기구(152)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작동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웨이퍼에 배치된 반도체칩에 대한 맵(map)의 정보에 의해 현재 칩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비젼(미도시) 등으로 확인하고, 이 정보에 의해 상기 2개 이상의 분리부(140,160)의 상기 이젝션핀(144)이 상기 반도체칩이 위치에 맞도록 상기 분리부 이송기구(152)에 의해 상기 분리부(140,160)가 변위된다.
또, 이와 동시에 상기 맵(map)의 정보에 의해 현재 칩의 정확한 위치 정보는 상기 이송부(100,130)에도 전달되어, 상기 콜렛(102)이 상기 반도체칩이 위치에 맞도록 상기 로봇암(미도시)에 의해 상기 이송부(140,160)가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콜렛(102)과 상기 이젝션핀(144)은 동기화되어 수직선상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모터(150)에 의해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148)이 상승하여 상기 이젝션핀(144)이 상기 케이싱(142)의 상부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이젝션핀(144)에 의해 웨이퍼로부터 반도체칩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부(140,160)의 콜렛(102)이 핑거작동부(120)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이젝션핀(144)에 의해 밀어올려진 반도체칩을 진공흡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반도체칩은 다음 공정인 본딩공정측으로 이동하여 미리 준비된 기판에 본딩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100,130)와 상기 분리부(140,160)는 웨이퍼에 배치된 반도체칩에 대한 맵(map)의 정보에 의해 다음의 반도체칩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의 작업순서를 반복한다. 따라서, 웨이퍼로부터 순차적으로 반도체칩을 분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이송부(100,130)는 분리된 반도체칩을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흡착을 위해 상기 분리부(140,160)로 복귀하여야 하므로 상기 분리부(140,160)가 상기 이송부(100,130)의 복귀까지 유휴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00,130)는 상기 분리부(140,160)의 수와 동수인 것을 1조로 하여, 복수의 조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휴시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이송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이송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분리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1의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의 분리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30: 이송부 102: 콜렛
104: 접속부 106: 콜렛홀더
108: 자석 110: 콜렛축
112,118: 연통관 114: 콜렛브라켓
116: 가이드 슬라이더 120: 핑거작동부
140,160: 분리부 142: 케이싱
144: 분리핀 146: 핀설치부
148: 작동축 150: 작동모터
160: 분리부 이송기구

Claims (6)

  1. 웨이퍼의 하측으로 접근하여 반도체칩을 상향으로 분리하는 복수의 분리부와, 상기 웨이퍼의 상측으로 접근하여 상기 분리부에 의해 웨이퍼로부터 분리되는 반도체칩을 상기 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와 상기 이송부는 분리흡착의 대상이 되는 동일한 반도체칩의 상하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개수와 상기 분리부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개수는 상기 이송부의 개수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반도체칩과 접촉하여 진공흡착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이 고정되는 콜렛홀더와, 상기 콜렛홀더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핑거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작동부는 로봇암에 결합되며,
    상기 콜렛에는 부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홀더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콜렛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돌출되는 이젝션핀과, 상기 이젝션핀과 일체인 이젝션핀고정블럭과, 상기 이젝션핀고정블럭과 작동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모터와,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는 분리부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KR1020080107148A 2008-10-30 2008-10-30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KR20100048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48A KR20100048126A (ko) 2008-10-30 2008-10-30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148A KR20100048126A (ko) 2008-10-30 2008-10-30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26A true KR20100048126A (ko) 2010-05-11

Family

ID=4227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148A KR20100048126A (ko) 2008-10-30 2008-10-30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81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09B1 (ko) * 2012-10-31 2014-06-26 세메스 주식회사 픽업 유닛의 수평 상태 검사 방법
KR101422356B1 (ko) * 2012-11-23 2014-07-23 세메스 주식회사 다이 픽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KR101422350B1 (ko) * 2012-10-31 2014-07-23 세메스 주식회사 픽업 헤드에 콜릿을 장착하는 방법
CN109244007A (zh) * 2018-09-01 2019-01-18 温州市科泓机器人科技有限公司 制造芯片的高速流水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09B1 (ko) * 2012-10-31 2014-06-26 세메스 주식회사 픽업 유닛의 수평 상태 검사 방법
KR101422350B1 (ko) * 2012-10-31 2014-07-23 세메스 주식회사 픽업 헤드에 콜릿을 장착하는 방법
KR101422356B1 (ko) * 2012-11-23 2014-07-23 세메스 주식회사 다이 픽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CN109244007A (zh) * 2018-09-01 2019-01-18 温州市科泓机器人科技有限公司 制造芯片的高速流水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4768B (zh) 矽片傳輸系統
CN107611058B (zh) 接合装置
KR102350553B1 (ko) 반도체 칩을 픽업하기 위한 피커
US8857486B2 (en) Flip arm module for a bonding apparatus incorporating changeable collet tools
KR20100048126A (ko) 반도체칩 동시 분리흡착장치
JP2004088109A (ja) ウェーハテ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製造装置
KR101422356B1 (ko) 다이 픽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KR101422355B1 (ko) 버퍼 스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JP2001351930A (ja) ダイ及び小物部品の移送装置
JP2013207159A (ja) 剥離装置
JP2011040691A (ja) 基板ホルダ、ステージ装置、貼り合わせ装置および積層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77523A (ko) 웨이퍼 이송 아암
KR20090010441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치
KR102559271B1 (ko) 다이 본딩 장치
JP6135113B2 (ja) 基板貼合装置、基板貼合方法および基板貼合プログラム
JP5493713B2 (ja) 基板ホルダ、基板貼り合わせ装置、基板ホルダ対および搬送装置
KR0161436B1 (ko) 다이 본딩 장치
KR20160149723A (ko) 다이 이젝팅 장치
CN216836094U (zh) 一种玻璃基板的取料装置
JP2011192674A (ja) 基板ホルダ、ステージ装置および基板貼り合せ装置
CN212947866U (zh) 晶圆片柔性定位平台
CN220526187U (zh) 曝光设备
JP2013179207A (ja) 電子部品の載置テーブルと同テーブルを備えたダイボンダ
KR20190028861A (ko) 다이 픽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CN115431294A (zh) 机械手用精密吸附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