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046A -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046A
KR20100048046A KR1020080107037A KR20080107037A KR20100048046A KR 20100048046 A KR20100048046 A KR 20100048046A KR 1020080107037 A KR1020080107037 A KR 1020080107037A KR 20080107037 A KR20080107037 A KR 20080107037A KR 20100048046 A KR20100048046 A KR 20100048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external vehicle
sig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751B1 (ko
Inventor
손교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8010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7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는 대상 차량의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수신부;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부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3개 이상의 안테나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대상 차량과 인접한 외부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대상 차량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인터페이싱할 수 있어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차량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사건 경위 등에 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EACH VEHICLES}
본 발명은 대상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개별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상 차량과 주변 차량이 송수신하는 3개 이상의 무선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방향과 거리를 포함하는 주변 차량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응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주행하는 사용자는 주변 차량의 위치 또는 교통 흐름 등을 시각에 의존하여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차량에 구비된 측면 또는 후방 미러(MIRROR)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시각이 직접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영역을 보완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한 인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미러 등을 통한 확인은 사용자의 시각범위를 벗어나는 사각지대를 발생시키게 함은 물론 주변 차량의 거리 또는 방향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송신된 적외선 신호가 회신되는 시간을 측 정하여 선행 차량과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선행 차량에 반사되거나 회절되는 등 신호 자체가 부정확하다는 본질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송신되는 신호의 특성상 직진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확인할 수 있는 방향성에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커브길 등에서는 전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인간의 시각 체계는 140도 내외 범위의 사물을 인지할 수 밖에 없으므로 다양한 각도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인하고자 하는 방향마다 시선을 돌려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시선이 향하지 않는 방향의 주변 환경은 비록 짧은 시간이나 인지될 수 없으므로 사고 발생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근자에는 차량의 비약적인 증대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차량 사고 및 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나, 사고가 발생되는 시점의 사고 경위 등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장치 또는 장비가 존재하지 않아 끊임없는 시시비비의 발생은 물론 미해결 사고 및 사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효과적으로 주변 차량의 위치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는 대상 차량의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수신부; 및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부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신호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되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 차량에 근접할수록 상기 주기를 감소시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은 대상 차량의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3개 이상의 수신모듈이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모듈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더욱 신뢰성 높게 확인할 수 있다는 기본적인 효과는 물론, 상기 확인 결과를 차량의 운행자 등에게 통합적으로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운행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주변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건 또는 사고 경위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근접 정도에 따라 전송 신호의 주기가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싱할 대상의 중요도를 다원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차량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 또는 안개 등 기상환경이 열악하거나 시각 분별력이 떨어지는 야간에도 효과적으로 주변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고층 빌딩이나 도 로 인접 구조물 등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된 주변 차량 확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이하 위치확인장치)(10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00)는 전송부(110), 수신부(120-1, 120-2, 120-3), 위치정보생성부(130), 출력부(140), 이동정보생성부(150), 저장부(160), 감지부(170), 작동제어부(180) 및 알람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전송부(110)은 대상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한다. 상기 대상 차량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특정 차량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주변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주체에 해당하는 차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주변 차량과 대비하기 위한 개념의 용어이며, 상기 식별코드는 차량을 구별할 수 있도록 차량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코드를 의미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차량을 식별하기 위하여 고유하게 부여되는 코드에 해당하므로, 차종, 연식, 엔진 등의 고유 번호 등과 같이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신호는 대상 차량 주변의 외부 차량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므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루비(RuBee), MMWave(millimeter wave) 등 다양한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송신호에는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전송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가 함께 수록되도록 하여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회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전송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후 회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신신호에 해당하는 전송신호를 소정의 식별 인자 등으로 파싱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저장 데이터 중 상기 파싱된 전송신호에 해당하는 전송 시간을 독출함으로써 상기 회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신부(120)는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주변 외부 차량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수신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에서는 3개의 수신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4개 이상의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전송신호 및 회신신호에 대한 데이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2를 통하여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a)가 전송신호에 해당하며, (b), (c) 및 (d)가 회신신호에 해당한다. 도 2의 (a)와 같이 전송신호에는 대상 차량의 식별코드 ABCKESE와 전송시간에 대한 정보 10시30분13초05가 수록된다. 상기 수록되는 데이터는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 등에 부합되는 스펙으로 2진수, 16진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은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운행 정보를 확보할 거리 및 장기간 사용 등의 저전력 환경 등을 고려한다면 지그비(ZIGBEE)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2의 (a)와 같이 전송신호가 대상 차량에서 전송되면,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차량(A, B, C)은 이를 수신하고, 상기 각 외부 차량(A, B, C)은 외부 차량에 수신된 (a) 신호에 자신의 식별 코드(LEOFJ(외부 차량A), CDFEGH(외부 차량B), ERGHE(외부차량 C))가 추가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전송한다.
상기 외부 차량에서 다시 대상 차량으로 전송되어 상기 대상 차량이 수신하 는 신호를 회신신호로 지칭하는 경우 외부 차량 A, B, C로부터 회신되는 신호는 도 2의 (b), (c), (d)가 된다.
상기 회신신호(b), (c), (d)에는 최초 대상 차량에서 전송된 시간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신신호 (b), (c), (d)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확인하면 대상 차량에서 발송되어 주변 차량에 도착한 후 다시 대상 차량으로 회신되는데 소요된 소요시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위치정보생성부(130)는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부(120)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상당히 작은 크기이나 데이터 처리 등의 시간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 시간을 감안하여 상기 소요 시간을 보정하면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은 외부 차량으로부터의 회신신호가 수신되는데 소요된 시간과 외부 차량의 거리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소요시간은 외부 차량의 거리와 함수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요시간이 △t1<△t2<△t3인 경우 외부 차량의 거리는 d1<d2<d3의 관계를 가지게 된다.
즉, 회신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근접한 곳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면 실제 외부 차량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확히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3개의 수신부(#1, #2, #3)에서 신호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거리와 외부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상 차량에 수신부(120)를 3개 구비하게 되는데, 각 수신부(#1, #2, #3)에서 수신된 회신신호가 회신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거리로 환산하게 되면 d1, d2, d3가 되고 상기 각 거리에 해당하는 동일 지점은 각 수신부(#1, #2, #3)를 중심으로 d1, d2, d3를 반지름으로 하는 3개의 동심원으로 표현가능하다.
상기 3개의 동심원을 도식화하면 상기 도 4의 A지점과 같이 3개의 원이 만나는 하나의 지점이 생성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실제 상기 회신신호를 전송한 외부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차량이 존재하는 위치인 A지점은 대상차량과의 거리가 D, 대상 차량의 전면을 중심으로 θ방향 선상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출력부(140)는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소정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와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외부 차량의 매 시간별 위치 정보의 변화 정도를 상호 연계시키면 외부 차량의 속도 정보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인 외부 차량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정보생성부(150)는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대상차량을 중심으로 특정 시점의 외부 차량의 정적 개념의 정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이동정보는 대상차량을 중심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외부 차량에 대한 동적 개념의 정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전송되는 신호의 주기 등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와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면 외부 차량의 동적 정보인 이동정보를 상기 설정된 주기와 연계된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 또는 이동 정보는 본 발명의 출력부(140)를 통하여 사용자 시각 인지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차량의 위치 또는 속도 정보 등을 사용자(운행자)에게 인터페이싱하게 된다. 도 5의 중심에 도시된 차량이 대상차량에 해당하며, 점선으로 표기된 차량이 외부 주변 차량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부(160)는 상기 위치정보생성부(130) 또는 이동정보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또는 이동정보와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 등을 소정 주기별로 시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60)에 대한 구성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소정 저장 매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착탈이 용이한 이동식 저장 매체로 구현하여 정보 이동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향후 사고 등이 발생된 경우 사고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저장된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저장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저장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정 명령 신호가 본 발명의 수신부(120) 등을 통하여 수신되면 본 발명의 전송부(110)는 상기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독출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주변 차량의 정보를 차량간 데이터 통신으로 상호 공유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넓은 대역의 교통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데이터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코드는 차량마다 구별가능하게 고유하게 부여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활용하여 자신 또는 인접 차량에 저장된 정보와의 데이터 매칭을 통하여 도난 차량 또는 사고 차량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식별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감지부(170)는 차량의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본 발명의 작동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70)가 대상 차량의 진동 등을 감지한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위치확인장치(100)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대상 차량의 시동 키가 작동되어 차량의 구동이 개시되는 경우 자동으로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00)가 작동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주차 상태 등과 같이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 치(100)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불필요한 데이터의 누적 저장 또는 전력 사용의 효율성 등의 관점에서 운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00)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즉, 주차된 상태의 경우에도 외부 차량에 의한 접촉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고 발생 차량이 도주하면 사고 발생 차량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접촉 사고 등과 같이 대상 차량에 진동 등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00)가 작동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촉 사고를 발생시킨 차량의 정보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지부(170)는 대상 차량의 구동 개시 시(엔진 작동)시의 진동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주차 등의 경우에 외부 충격 등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70)에서 구동하는 감지 메커니즘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생성하는 센서, 자이로 센서와 같이 외부 진동 또는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전기적 신호로 생성하는 센서, 자기력에 의한 힘의 평형 상태에 놓여져 있는 이동추가 외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상기 힘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추가 물리적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물리적 이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생성하는 센서 등 당업자 간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70)에 채용되는 센서의 감도 또한 진동이나 충격의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와 같이 센서의 감도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경우 미세한 진동이나 충격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구동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외부 환경 조건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더욱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하여 본 발명의 알람부(190)는 상기 위치정보생성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가 상기 대상 차량으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소정 시각 또는 청각 수단에 의한 알람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기준 거리는 운행자(사용자)의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한 소정 기준이 되는 기준값으로서 대상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등으로부터 설정 및 변경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된 도 6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은 x축이 본 발명의 전송부(110)가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주기에 해당하며, y축은 외부 차량과 대상 차량의 상대적 거리에 해당한다.
통상적으로 주변 차량 정보의 필요도는 차량이 드문 도로를 운행하는 경우와 차량이 밀집된 도로를 운행하는 경우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차량이 밀집된 도로 또는 차량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사고 발생의 위험도가 높으므로 관련 정보의 빠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차량이 드물거나 차량 간 거리가 먼 경우 사고 발생의 위험도 및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송부(110)는 차량 간 거리가 먼 경우(d3)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주기를 S3으로 다소 길게 설정하고, 차량 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d1) 상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주기를 S1으로 빠르게 설정하도록 구성한다.
무선 통신에서는 통상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킬 때 많은 전력이 소모되므로 상기와 같은 차량 간 거리와 전송신호 전송 주기와의 상관 관계를 활용하면 더욱 장기간 저전력으로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00)를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와 관련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나 본 발명의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개별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 방법은 우선 대상 차량의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한다(S100).
상기 전송된 신호가 외부 차량 등에 수신되면 상기 외부 차량은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 자신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발송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발송된 회신신호를 3개 이상의 수신모듈이 수신한다(S110).
상기와 같이 3개 이상의 수신모듈이 각각의 회신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모듈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S120)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외부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출력한다(S1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별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도 8에 표기된 단계에 대한 참조부호는 설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7에 표기된 단계에 대한 참조부호와 동일하지 않게 표기되었을 뿐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단계에 해당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차량의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되는지 판단하여(S200)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싱이 개시되도록 제어한다(S210).
작동이 개시되면, 대상 차량의 식별코드 또는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 전송신호가 전송되며(S220) 상기 전송신호를 수신한 대상 차량 주변의 외부 차량으로부터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코드가 부가된 회신신호를 3개 이상의 수신 모듈이 수신한다(S230).
상기와 같이 3개 이상의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각 회신신호의 수신에 소요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차량의 대상 차량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와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 여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를 생성한다(S240).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 또는 이동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고(S250), 소정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상기 위치정보 또는 이동정보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80).
상기의 과정에서 외부 차량 등으로부터 저장된 정보의 전송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260)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S270)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 정보 요청신호의 확인과정 및 저장된 정보의 외부 전송 과정에 대한 도 8의 구성은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과정은 시계열적인 구성과 관계없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과정임은 자명하다.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가 생성된 후 상기 위치 정보가 대상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 기준 이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285) 소정 기준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싱을 위하여 시각 또는 청각 알람 수단의 작동을 개시한다(S29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차량의 위치확인 장치 및 방법 등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개별 차량의 위치확인 장치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인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 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신호 및 회신신호에 대한 데이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3은 외부 차량으로부터의 회신신호가 수신되는데 소요된 시간과 외부 차량의 거리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예시된 3개의 수신부(#1, #2, #3)에서 신호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거리와 외부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싱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주기와 차량 간 거리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8)

  1. 대상 차량의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수신부; 및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부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와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시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전송부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정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진동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를 상기 전송신호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생성부는,
    상기 회신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회신신호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 여 상기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소요시간에 따른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 차량으로부터의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알람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신호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되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 차량에 근접할수록 상기 주기를 감소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10. 대상 차량의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송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전송신호에 외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추가된 회신신호를 3개 이상의 수신모듈이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회신신호가 상기 3개 이상의 수신모듈에 수신되는 각각의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와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정보생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이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시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소정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상기 진동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작동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전송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정보를 상기 전송신호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생성단계는,
    상기 회신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상기 회신신호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소요시간에 따른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 차량으로부터의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 알람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알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전송신호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되 상기 외부 차량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 차량에 근접할수록 상기 주기를 감소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방법.
KR1020080107037A 2008-10-30 2008-10-30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10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037A KR101100751B1 (ko) 2008-10-30 2008-10-30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037A KR101100751B1 (ko) 2008-10-30 2008-10-30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46A true KR20100048046A (ko) 2010-05-11
KR101100751B1 KR101100751B1 (ko) 2011-12-30

Family

ID=4227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037A KR101100751B1 (ko) 2008-10-30 2008-10-30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550A (ko) * 2012-04-26 2014-11-13 인텔 코포레이션 상대적 위치 정보의 결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550A (ko) * 2012-04-26 2014-11-13 인텔 코포레이션 상대적 위치 정보의 결정
CN104169738A (zh) * 2012-04-26 2014-11-26 英特尔公司 确定相对定位信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751B1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7033B2 (en) Vehicle locat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US9997068B2 (en) Method for conveying driving conditions for vehicular control
WO2019210314A1 (en) Correcting location data of connected vehicle
JP2016212675A (ja) 物体認識システム
WO2016113814A1 (ja) 車載機
KR20140061179A (ko) 차량 간 통신을 통한 주변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EP3560218A1 (en) Activation of wireless module utilizing magnetic field data
JP6352010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CN10949364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提供系统和信息提供方法
US11062603B2 (en) Object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and objec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KR101100751B1 (ko) 개별 차량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JP2015005113A (ja) 判定装置、受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6463005B (zh) 用于车辆的远程信息监控系统
KR20070020652A (ko) 절대좌표를 이용한 차량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85133A (ja) 判定装置、受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357266B2 (ja) レーダ装置及びレーダ装置の異常判定方法
US11688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hen a security system is armed and a mobile device is left inside
JP6451352B2 (ja)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車載情報処理装置
EP1155286B1 (en) Vehicle speed sensor for navigation system
KR20180029705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US107358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mbedded device localization-based fault indication
KR101428380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 제어 시스템
US20230022638A1 (en) Crash analysis device and methods of use
JP2007213428A (ja) 車両感知システム
US20230056419A1 (en) Trigger for use with vehicle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