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858A -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858A
KR20100046858A KR1020080105887A KR20080105887A KR20100046858A KR 20100046858 A KR20100046858 A KR 20100046858A KR 1020080105887 A KR1020080105887 A KR 1020080105887A KR 20080105887 A KR20080105887 A KR 20080105887A KR 20100046858 A KR20100046858 A KR 2010004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eed conveyor
reinforcing bars
rebars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206B1 (ko
Inventor
최동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2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개수에 따라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을 풀링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피드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 풀링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철근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기준시간 동안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철근개수에 따라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 정리대, 컨베이어, 철근 속도, 카운터

Description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CONVEYOR VELOCITY CONTROL DEVICE OF ARRANGEMENT STAND}
본 발명은 정리대에 구비된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개수에 따라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 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돼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로 들어가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기로 제조되는 선재형 코일 또는 철근은 이후 정정설비를 통해 이송되어 정렬된 후 밴딩장치로 묶여져 완제품으로 출고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한 철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밴딩장치에 의해 일정 개수로 묶여 철근 번들(Bundle)로 출고되어 외부로 이송되거나 보관된다. 여기서, 철근 번들은 묶음 개수가 판매되는 규격에 따라 일정하게 묶여진다.
이러한 철근 번들이 제품으로 판매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 번들로 묶여지기 전에 일정한 규격에 따라 분리된 후, 다시 적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소정 길이의 철근을 절단한 후, 이를 다시 동일한 길이의 철근끼리 구분하여 동일한 길이의 철근끼리 적재되어 제품으로 판매된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철근 번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철근을 절단한 후, 정리대를 통해 동일한 길이의 철근을 적재하기 위해 스태커(stacker)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스태커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장치 상에 철근이 일정하게 이 송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철근 개수를 눈으로 확인한 후, 그 철근 개수에 따라 정리대의 컨베이어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직접 조작하여 적절한 철근 개수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항시 대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게다가, 작업자가 직접 컨트롤러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작업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정리대의 피드 컨베이어를 거쳐 스태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철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 철근 개수에 따라 피드 컨베이터의 속도를 제어하여 철근이 폴링 컨베이어로 빠르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지연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리대 피드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는 철근을 풀링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피드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 상기 풀링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철근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기준시간 동안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철근개수에 따라 상기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근개수가 기준개수 이하이면, 상기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피드 컨베이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정리대의 피드 컨베이어를 거쳐 스태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철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이때 철근 개수에 따라 피드 컨베이터의 속도를 제어하여 철근이 폴링 컨베이어로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피드 컨베이어의 속도를 임의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지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 구조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는 정리대의 피드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한다.
먼저, 정리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80)을 밴딩장치로 묶어 완 제품으로 출고하는 과정에서, 트래버서(Traverser)(10)로부터 철근을 그 규격에 따라 스태커(Stacker)(50)에 적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리대는 트래버서(10), 피드 컨베이어(20), 풀링 컨베이어(30), 카운트 컨베이어(40), 카운터(42), 분리 컨베이어(50) 및 분리기(52)를 구비한다.
트래버서(10)는 철근(80)이 설정된 개수만큼 안착되면 철근을 업시킨 후 시프트 시킨 다음 다운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철근을 런아웃 롤러 테이블(12)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런아웃 롤러 테이블(12)은 철근(80)을 피드 컨베이어(20)로 이송시키고, 피드 컨베이어(20)는 도 2 에 도시된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70)의 구동에 의해 풀링 컨베이어(30)로 이송시킨다.
풀링 컨베이어(30)는 피드 컨베이어(20)로부터 이송된 철근(80)을 이송시키는데, 스토퍼(32)를 구비하여 이 스토퍼(32)의 구동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철근 이송을 정지시킨 후 이송시킨다.
즉, 스토퍼(32)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동하여 피드 컨베이어(20)로부터 이송된 철근(80)을 풀링 컨베이어(30) 상에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일정한 간격으로 선입선출 방식으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철근(80)은 카운트 컨베이어(40)로 한 개씩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32)를 통과한 철근(8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카운트 컨베이어(40)로 이송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스토퍼(32)의 구동에 의해 계속 반복된다.
한편, 카운트 컨베이어(40)는 풀링 컨베이어(30)로부터 이송된 철근(80)을 카운터(42)로 이송시킨다. 카운터(42)는 철근(80)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도 2 에 도시된 제어부(60)로 입력한다.
이 후, 철근(80)은 분리 컨베이어(50)로 이송되어 분리기(52)에 의해 그 규격에 따라 분리되어 스태커(50)에 적치된다.
제어부(60)는 카운터(42)에 의해 카운트된 철근 개수에 따라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70)를 제어한다.
상기한 철근 이송 과정에서, 피드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는 철근(80)은 스토퍼(32)에 의해 풀링 컨베이어(30) 상에서 일시 정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뒤이어 이송되던 다수개의 철근(80)도 풀링 컨베이어(30) 상에 정지된다.
이때, 스토퍼(32)가 일정한 간격으로 동작하게 되면서 철근(80)이 순차적으로 1개씩 이송되므로서, 카운터(42)가 이 철근(80)을 카운트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어부(60)는 기준시간 동안 카운터(42)에 의해 카운트된 철근 개수가 기준개수 이하인지를 체크하고 기준개수 이하이면,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70)를 제어하여 피드 컨베이어(20)의 속도를 증가시켜 철근(80)을 빠르게 이송시킨다.
즉, 제어부(60)는 피드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철근의 개수가 적어 풀링 컨베이어(30)로부터 적절한 개수의 철근(80)이 카운터(42)로 이송되지 않는 상태임을 기준 시간 동안 카운터(42)에 의해 카운트된 철근 개수가 기준 개수 이하인 지를 통해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드 컨베이어(20)의 속도를 증가시켜 피 드 컨베이어(20) 상에 있는 철근(80)을 풀링 컨베이어(30)로 빠르게 이송시킴으로써, 철근(80)이 스태커(50)에 적절히 적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60)는 피드 컨베이어(20)의 속도를 증가시킨 후 설정시간 이상 철근(80)이 카운터(42)에 의해 연속적으로 계속 카운트되면, 피드 컨베이어(30)의 속도를 감소시켜 정상적인 속도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는 우선 트래서버(10), 피드 컨베이어(20), 풀링 컨베이어(30), 카운트 컨베이어(40) 및 분리 컨베이어(50)가 구동하여 철근(80)을 이송시키고, 이와 함께, 스토퍼(32)에 의해 풀링 컨베이어(30)에 정지하고 있던 철근(32)이 스토퍼(32)의 동작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카운터(42)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42)가 철근 개수를 계속 카운트하고(S10), 제어부(60)는 기준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 즉, 제어부(60)는 기준시간 동안 철근 개수를 카운트한다.
한편, 제어부(60)는 기준시간이 경과하면, 기준시간 동안 카운터(42)에 의해 카운트된 철근 개수가 기준개수 이하인 지를 확인한다(S30).
확인 결과, 철근 개수가 기준개수 이하이면,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22)를 제어하여(S40) 피드 컨베이어(20)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철근(80)을 피드 컨베이어(20)로부터 풀링 컨베이어(30)로 빠르게 이송시킨다.
따라서, 피드 컨베이어(22)는 철근(80)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풀링 컨베이어(30)에 철근(80)이 적절한 개수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 후, 제어부(60)는 피드 컨베이어(20)의 속도를 증가시킨 후 철근(80)이 카운터(42)에 의해 연속적으로 계속 카운트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피드 컨베이어(30)의 속도를 감소시켜 정상적인 속도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의 설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감지부 20: 제2감지부
30: 제어부 40: 제1컨베이어 구동부
50: 제2컨베이어 구동부

Claims (3)

  1. 철근을 풀링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피드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
    상기 풀링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철근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기준시간 동안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철근개수에 따라 상기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근개수가 기준개수 이하이면, 상기 피드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피드 컨베이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 컨베이어의 속도를 증가시킨 후 상기 철근이 설정시간 이상 상기 카운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카운트되면, 상기 피드 컨베이어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KR1020080105887A 2008-10-28 2008-10-28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KR10104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87A KR101042206B1 (ko) 2008-10-28 2008-10-28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87A KR101042206B1 (ko) 2008-10-28 2008-10-28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58A true KR20100046858A (ko) 2010-05-07
KR101042206B1 KR101042206B1 (ko) 2011-06-16

Family

ID=4227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887A KR101042206B1 (ko) 2008-10-28 2008-10-28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57A (ko) 2015-03-13 2016-09-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컨베이어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123B2 (ja) * 1987-06-11 1995-06-14 鹿島建設株式会社 自動鉄筋配筋方法
JPH05248091A (ja) * 1992-03-06 1993-09-24 Toa Harbor Works Co Ltd 鉄筋の加工および供給装置
JP3411831B2 (ja) * 1998-08-06 2003-06-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振り分け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261802A (ja) * 2006-03-30 2007-10-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ベア駆動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57A (ko) 2015-03-13 2016-09-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컨베이어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206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901B2 (en) Compact plant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ars and/or profiles
US51828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ot-rolled strips or sections from continuously cast primary material
JP2011516268A (ja) 鋳造・圧延・複合設備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764523B2 (ja) 連続運転モードで運転可能な生産設備と故障発生時の生産設備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US201902830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metallic strip in a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process
JP5801042B2 (ja) 熱間圧延方法
KR101042206B1 (ko) 정리대 컨베이어 속도 제어 장치
RU264048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метод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овмещенной с прокаткой
KR101585800B1 (ko) 이송 테이블의 이송 속도 제어 장치
JP6645451B2 (ja) 冷間圧延方法
JP5957963B2 (ja) ミルペーシング制御装置およびミルペーシング制御方法
KR101676138B1 (ko)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KR20090133032A (ko) 열간 마무리 압연 방법
JP6299673B2 (ja) 圧延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949039B1 (ko) 쌍롤형 주조장치의 주편 인발장치
JP5459620B2 (ja) 鋼板搬送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JP5929545B2 (ja) リバース圧延装置及びリバース圧延方法
KR100572644B1 (ko) 압연기의 상류측 경로와 하류측 경로 사이에서 길이가 긴제품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291540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20100046854A (ko) 세퍼레이터 운전 제어 장치
JP2012161832A (ja) 矯正機での鋼板矯正速度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3038A (ja) 加熱炉抽出時刻決定方法
JP2003062601A (ja) 圧延鋼帯の製造設備及び同設備を用いた長尺スラブの半成処理方法
JP2005118795A (ja) 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