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405A - 음료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음료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405A
KR20100045405A KR1020097016927A KR20097016927A KR20100045405A KR 20100045405 A KR20100045405 A KR 20100045405A KR 1020097016927 A KR1020097016927 A KR 1020097016927A KR 20097016927 A KR20097016927 A KR 20097016927A KR 20100045405 A KR20100045405 A KR 2010004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ank
air inlet
beverage dispenser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816B1 (ko
Inventor
마사루 시오타니
나나 시오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8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303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11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7259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0004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93Level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저온 탱크(4)의 천장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13)를 마련하고, 공기 도입구(13)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6)를 갖는 에어 챔버(14)를 접속하며, 에어 챔버(14) 내에, 공기 유입구(16)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15)을 마련함으로써, 오존의 우수한 살균 작용에 의해, 공기 도입구(13)에 접속된 에어 챔버(14) 내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음료 디스펜서{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원수(原水)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탱크에 저류하여 추출 밸브로부터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가 충전된 원수 용기의 추출구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하여 접속하는 용기 접속부와, 이 용기 접속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낙하시켜 저류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류된 음료수를 추출하는 추출 밸브를 구비하는 음료 디스펜서에서는,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외부로부터 탱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음료 디스펜서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탱크와, 가열 장치를 구비한 고온 탱크를 구비하여, 냉수와 온수를 따로따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이러한 음료 디스펜서에서는,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세균이 공기와 함께 탱크 내부로 침입하여, 탱크 내의 음료수가 세균으로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원수 용기가 경질이고, 용기 내의 음료수가 낙하할 때에 용기 접속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에서는,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도 세균으로 오염된다. 또한, 원수 용기가 연질이고, 용기 내의 음료수의 낙하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되는 것에서는,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일이 없다.
이러한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의 세균에 의한 오염 대책으로서는, 지금까지, 추출 밸브 바로 앞에 자외선 살균 장치를 마련한 것(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탱크 내에 자외선 램프를 침지시키고, 탱크 외측에 초음파 소자를 장착하여, 탱크 내의 음료수를 교반하면서 살균하는 것(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탱크 내의 음료수를 추출하여 순환시키는 순환 경로를 마련하고, 이 순환 경로에서 자외선 램프 등에 의해 살균하는 것(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저온 탱크와 고온 탱크를 갖는 것을 대상으로 하여, 오염되기 쉬운 저온 탱크 내의 음료수를 살균하는 살균용 가열기를 마련한 것(예컨대, 특허 문헌 4 참조), 오염되기 쉬운 저온 탱크 내부에 고온 탱크 내의 가열된 음료수를 도입하도록 한 것(예컨대, 특허 문헌 5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8589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09992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5006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5049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0432호 공보
특허 문헌 1 내지 5에 기재된 종래의 음료 디스펜서의 세균에 의한 오염 대책은, 모두 공기 중으로부터 음료수에 침입한 후의 세균을 살균하는 것이기 때문에,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의 공기 중에는 세균이 생존하여, 이들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번식한 대량의 세균이 음료수에 침입하여, 충분한 살균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은, 탱크 내의 음료수의 교반 수단을 필요로 하고, 특허 문헌 3 및 5에 기재된 것은, 여분의 순환 경로나 고온 탱크로부터 저온 탱크로의 도입 경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음료 디스펜서가 복잡한 구성으로 되면서, 고가의 것으로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구성은 간단하지만 살균 능력이 불안하고,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것은, 저온 탱크 내의 살균 중에 냉수를 추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료수가 충전된 원수 용기의 추출구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하여 접속하는 용기 접속부와, 이 용기 접속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낙하시켜 저류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류된 음료수를 추출하는 추출 밸브를 구비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부와 상기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에, 상기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를 마련하고, 상기 수평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를 상기 연직부의 하부에 마련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탱크의 상부와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에,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를 마련하고, 수평부에,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마련하며, 공기 유입구를 연직부의 하부에 마련함으로써, 수평부에서 발생시킨 비중이 큰 오존을 연직부로 강하시켜, 연직부 하부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그 우수한 살균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오존 발생 수단을 상기 연직부 바로 위에 설치함으로써, 발생시킨 오존을 신속히 연직부로 강하시켜, 오존 발생 수단을 작동 개시할 때의 살균 작용의 속효성(速效性)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공기가 에어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타이밍에 맞춰 오존 발생 수단을 작동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연직부에, 연직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통기 구멍이 있는 적어도 1장의 구획판을 설치함으로써, 공기 유입구로부터의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느리게 하고, 연직부에서의 오존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보다 긴 시간 오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연직부의 구획판을 상하로 복수장 마련하고, 상하로 인접하는 구획판에, 수평면 내에서 서로 위치를 어긋나게 한 통기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공기 유입구로부터의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보다 느리게 하고, 연직부에서의 오존의 체류 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구획판의 판면에 산재된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함으로써, 이들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오존을 샤워 형상으로 강하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도입구를 상기 에어 챔버의 수평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비중이 큰 오존을 수평부의 바닥부에 체류시켜, 오존이 직접 공기 도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수가 충전된 원수 용기의 추출구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하여 접속하는 용기 접속부와, 이 용기 접속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낙하시켜 저류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류된 음료수를 추출하는 추출 밸브를 구비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부와 상기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를, 교대로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 마루(floor)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의 공기실로 구획하고, 상단측의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하단부측에, 하단측의 공기실과 통기하는 통기부를 마련하며, 최상단의 상기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상단부측에 상기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마련하고, 이 최상단의 공기실에,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최하단의 상기 공기실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의 공기실과의 통기부와 좌우 반대측에 상기 공기 유입구를 마련한 구성도 채용하였다.
즉, 탱크의 상부와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를, 교대로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 마루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의 공기실로 구획하고, 상단측의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하단부측에, 하단측의 공기실과 통기하는 통기부를 마련하며, 최상단의 상기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상단부측에 상기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마련하고, 이 최상단의 공기실에,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최하단의 공기실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의 공기실과의 통기부와 좌우 반대측에 공기 유입구를 마련함으로써, 최상단의 공기실에서 발생시킨 비중이 큰 오존을, 경사 마루를 따라 통기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단측의 공기실로 강하시켜, 최하단의 공기실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그 우수한 살균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에어 챔버를, 복수의 경사 마루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의 공기실로 구획하도록 했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태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오존과 접촉하는 경로를 길게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충분히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오존 발생 수단을 상기 최상단의 공기실의 상기 통기부의 상방에 마련함으로써, 발생시킨 오존을 신속히 하단측의 공기실로 강하시켜, 오존 발생 수단이 작동 개시할 때의 살균 작용의 속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공기가 에어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타이밍에 맞춰 오존 발생 수단을 작동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통기부를, 상기 경사 마루의 하단부측 부분에 마련한 통기 구멍으로 함으로써, 공기 유입구로부터의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느리게 하고, 하단측의 각 공기실에서의 오존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보다 긴 시간 오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경사 마루의 하단부측 부분에 산재된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함으로써, 이들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오존을 샤워 형상으로 강하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경사 마루의 하단부측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급각도로 하강 경사지게 함으로써, 이 경사 마루의 급각도로 하강 경사진 부분에 일부의 오존을 체류시켜, 통기 구멍으로부터 상승하는 공기와 효율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최상단의 공기실에, 상기 접속부와 상기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한 부위 사이를 구획하도록, 활성탄을 포함하는 필터를 부착함으로써, 과잉의 오존이 공기 도입구로부터 들어가, 음료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음료 디스펜서는, 탱크의 상부와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에,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를 마련하고, 수평부에,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공기 유입구를 연직부의 하부에 마련했기 때문에, 수평부에서 발생시킨 비중이 큰 오존을 연직부로 강하시켜, 연직부 하부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그 우수한 살균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디스펜서는, 탱크의 상부와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를, 교대로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 마루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의 공기실로 구획하고, 상단측의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하단부측에, 하단측의 공기실과 통기하는 통기부를 마련하며, 최상단의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상단부측에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마련하고, 이 최상단의 공기실에,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최하단의 공기실에 있어서 상단측의 공기실과의 통기부와 좌우 반대측에 공기 유입구를 마련한 구성도 채용했기 때문에, 최상단의 공기실에서 발생시킨 비중이 큰 오존을, 경사 마루를 따라 통기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단측의 공기실로 강하시켜, 최하단의 공기실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그 우수한 살균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탱크 내부나 원수 용기 내부로의 세균의 침입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다. 이 에어 챔버를, 복수의 경사 마루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의 공기실로 구획하도록 했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태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오존과 접촉하는 경로를 길게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충분히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음료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에어 챔버의 각 구획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에어 챔버의 연직부에 있어서의 오존과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음료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에어 챔버에 있어서의 오존과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2: 용기 접속부
2a: 오목부 2b: 통 형상 돌출부
2c: 주입 구멍 3: 주입 파이프
4: 저온 탱크 5: 접속 파이프
6: 고온 탱크 7a, 7b: 추출 밸브
8a, 8b: 추출 파이프 9: 플로트 밸브
10: 냉각 장치 11: 유출구
12: 가열 장치 13: 공기 도입구
14: 에어 챔버 14a: 수평부
14b: 연직부 15: 오존 발생 수단
16: 공기 유입구 17a, 17b: 활성탄 필터
18a, 18b, 18c: 구획판 19: 작은 구멍
20a, 20b, 20c: 통기 구멍 21: 에어 챔버
22: 호스 23: 훅
24: 경사 마루 24a: 하단부측 부분
25: 공기실 26: 작은 구멍
27: 접속부 28: 오존 발생 수단
29a, 29b: 활성탄 필터 30: 공기 유입구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음료 디스펜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상면에, 음료수가 충전된 원수 용기(A)의 추출구를 하향으로 하여 접속하는 용기 접속부(2)가 마련되고, 용기 접속부의 하방에, 주입 파이프(3)에 의해 용기 접속부(2)에 접속된 저온 탱크(4)와, 저온 탱크(4)의 바닥에 접속 파이프(5)에 의해 접속된 고온 탱크(6)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싱(1)의 앞면에 마련된 냉수와 온수의 각 추출 밸브(7a, 7b)가, 각각 추출 파이프(8a, 8b)에 의해, 저온 탱크(4)의 바닥과 고온 탱크(6)의 천장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용기 접속부(2)는, 원수 용기(A)의 추출구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2a)와, 오목부(2a)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원수 용기(A)의 추출구에 삽입되는 통 형상 돌출부(2b)로 이루어지고, 통 형상 돌출부(2b)에, 원수 용기(A) 내의 음료수를 주입 파이프(3)로 보내는 주입 구멍(2c)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원수 용기(A)는, 내부 음료수의 낙하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되는 연질의 것으로 되어 있으며, 외주가 지지 프레임(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저온 탱크(4)에는 플로트 밸브(9)가 설치되고, 도면 중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저류된 음료수의 수위 저하에 의해 플로트 밸브(9)가 작동하면, 원수 용기(A) 내의 음료수가 주입 파이프(3)로부터 보급된다. 또한, 저온 탱크(4)의 하부 외주에는 냉각 장치(10)가 마련되고, 냉각 장치(10)보다 상방 으로 돌출하는 깔때기 형상의 유출구(11)에, 고온 탱크(6)로의 접속 파이프(5)가 접속되어 있으며, 냉각 장치(10)에 의해 냉각된 바닥부의 냉수가 추출 파이프(8a)에 의해 추출되고, 비교적 따뜻한 음료수가 유출구(11)로부터 고온 탱크(6)로 공급된다. 고온 탱크(6)에는 가열 장치(12)가 마련되어, 접속 파이프(5)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가열하고, 저온 탱크(4)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천장에 접속된 추출 파이프(8b)로부터 추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온 탱크(4)의 천장에는, 내부의 수위 저하에 따라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13)가 마련되고, 이 공기 도입구(13)에 에어 챔버(14)가 접속되어 있다. 에어 챔버(14)는, 공기 도입구(13)에 접속되며, 저온 탱크(4)의 천장을 따르는 수평부(14a)와, 수평부(14a)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저온 탱크(4)의 측벽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직부(14b)로 이루어지며, 연직부(14b) 바로 위의 수평부(14a)에 오존 발생 수단(15)이 설치되고, 연직부(14b)의 하단부에,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존 발생 수단(15)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 중의 산소 가스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로 되어 있으며,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간헐적으로 작동되고, 플로트 밸브(9)와 연동하는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저온 탱크(4) 내의 수위가 저하되어, 공기 유입구(16)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타이밍에 맞춰, 효율적으로 오존이 발생한다.
상기 수평부(14a)의 오존 발생 수단(15)에 의해 발생된 오존은, 비중이 공기의 1.5배 정도로 크기 때문에, 대부분이 바로 아래의 연직부(14b) 안으로 강하하 고, 일부가 수평부(14a)의 공기 도입구(13)측으로 흘러, 수평부(14a)의 하부에 체류한다. 공기 도입구(13)는 수평부(14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부(14a)의 하부에 체류하는 오존이 공기 도입구(13)로 직접 들어가는 일은 없다.
상기 공기 도입구(13)의 상단부와 연직부(14b)의 하단부의 공기 유입구(16)에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활성탄 필터(17a, 17b)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활성탄 필터(17a, 17b)는, 오존 발생 수단(15)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산소 가스로 환원하여, 과잉의 오존이 공기 도입구(13)로부터 저온 탱크(4) 내부로 들어가거나, 공기 유입구(16)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직부(14b)에는, 연직부(14b)를 상하로 구획하는 3장의 구획판(18a, 18b, 18c)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획판(18a, 18b, 18c)은, 통기용의 다수의 작은 구멍(19)이 판면 내에 산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단(上段)과 하단(下段)의 구획판(18a, 18c)은, 각각 중심부에 약간 큰 통기 구멍(20a, 20c)이 마련되어 있으며, 중간단의 구획판(18b)은, 외주부에 원호 형상의 통기 구멍(20b)이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연직부(14b)를 강하하는 오존의 흐름과, 하단부의 공기 유입구(16)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오존은,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가 각 구획판(18a, 18b, 18c)의 작은 구멍(19)으로부터 샤워 형상으로 강하하고, 나머지가 각 통기 구멍(20a, 20b, 20c)을 통해, 우회하면서 강하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구획판(18a, 18b, 18c)의 위치에서 체류하면서, 각각의 작은 구멍(19)과 각 통기 구멍(20a, 20b, 20c)을 통해 상승한다. 따라서, 연직부(14b)를 강하하는 오존과 상승하는 외부 공기가, 시간을 들여 효율적으로 접촉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이 오존의 살균 작용에 의해 살균된다.
도 5 내지 도 8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음료 디스펜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온 탱크(4)의 천장에 마련된 공기 도입구(13)에 접속된 에어 챔버(21)의 형태만이 다르며, 이 에어 챔버(21)는, 호스(22)를 통해 공기 도입구(13)에 접속되고, 훅(23)에 의해 케이싱(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챔버(21)는, 상하, 좌우로 긴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교대로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 마루(24)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의 공기실(25)로 구획되며, 상단측의 공기실(25)의 경사 마루(24)의 하단부측 부분(24a)이 급각도로 하강 경사지고, 이 하단부측 부분(24a)에, 하단측의 공기실(25)과 통기되는 통기부로서의 다수의 작은 구멍(26)이 산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최하단의 공기실(25)의 마루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 챔버(21)의 최상단의 공기실(25)의 경사 마루(24)의 경사 상단부측에는, 공기 도입구(13)와 호스(22)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27)가 마련되고, 이 최상단의 공기실(25)에 있어서 작은 구멍(26)이 형성된 통기부의 상방에는 오존 발생 수단(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부(27)와 오존 발생 수단(28)을 설치한 부위 사이를 구획하도록, 활성탄을 포함하는 활성탄 필터(29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최하단의 공기실(25)에 있어서 상단(上段)측의 공기실(25)과의 통기부와 반대측의 측면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30)가 마련되고, 이 공기 유입구(30)에도 활성탄 필터(29b)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활성탄 필터(29a, 29b)는, 오존 발생 수단(28)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산소 가스로 환원하여, 과잉의 오존이 접속부(27)로부터 저온 탱크(4) 내부로 들어가거나, 공기 유입구(30)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오존 발생 수단(28)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 중의 산소 가스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로 되어 있으며,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간헐적으로 작동되고, 플로트 밸브(9)와 연동하는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저온 탱크(4) 내의 수위가 저하되고, 공기 유입구(30)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타이밍에 맞춰, 효율적으로 오존이 발생한다.
도 8은 상기 최상단의 공기실(25)에서 발생한 오존의 흐름과, 공기 유입구(30)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비중이 공기의 1.5배 정도로 큰 오존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이 하방 통기부로서의 다수의 작은 구멍(26)으로부터 샤워 형상으로 하단측의 공기실(25)로 강하하고, 하단측의 경사 마루(24)를 따라 비스듬히 하강하며, 그 하단부측 부분(24a)의 각 작은 구멍(26)으로부터 또한 순차적으로 하단측의 공기실(25)로 샤워 형상으로 강하한다. 또한, 최하단의 공기실(25)의 공기 유입구(3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경사 마루(24)의 상단부측에서 체류하면서, 다수의 작은 구멍(2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단측의 공기실(25)로 상승한다. 따라서, 하단측의 공기실(25)로 강하하는 오존과 상단측의 공기실(25)로 상승하는 외부 공기가, 시간을 들여 효율적으로 접촉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이 오존의 살균 작용으로 살균된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용기를 연질의 것으로 하고, 저온 탱크에 마련한 공기 도입구에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한 에어 챔버를 접속하였으나, 원수 용기를 공기가 주입되는 경질의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용기 접속부에 마련된 공기 도입구에도 에어 챔버를 접속할 수 있고, 이들 저온 탱크와 용기 접속부의 공기 도입구에 접속하는 에어 챔버를 공용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디스펜서를 저온 탱크와 고온 탱크를 구비하고, 음료로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를 구비한 것이면 되고, 공급하는 음료도 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음료수가 충전된 원수(原水) 용기의 추출구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하여 접속하는 용기 접속부와, 이 용기 접속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낙하시켜 저류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류된 음료수를 추출하는 추출 밸브를 구비하는 음료 디스펜서로서,
    상기 탱크의 상부와 상기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에, 상기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를 마련하고, 상기 수평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를 상기 연직부의 하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 수단을 상기 연직부 바로 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부에, 연직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통기 구멍이 있는 적어도 1장의 구획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부의 구획판을 상하로 복수장 마련하고, 상하로 인접하는 구획판에, 수평면 내에서 서로 위치를 어긋나게 한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구획판의 판면에 산재된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음료 디스펜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구를 상기 에어 챔버의 수평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7. 음료수가 충전된 원수 용기의 추출구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하여 접속하는 용기 접속부와, 이 용기 접속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낙하시켜 저류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류된 음료수를 추출하는 추출 밸브를 구비하는 음료 디스펜서로서,
    상기 탱크의 상부와 상기 용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탱크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탱크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를 마련하고, 이 공기 도입구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챔버를 접속하며, 이 에어 챔버를, 교대로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 마루(floor)에 의해 상하로 복수 단(段)의 공기실로 구획하고, 상단(上段)측의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하단부측에, 하단측의 공기실과 통기하는 통기부를 마련하며, 최상단의 상기 공기실의 경사 마루의 경사 상단부측에 상기 공기 도입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마련하고, 이 최상단의 공기실에,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하며, 최하단의 상기 공기실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의 공기실과의 통기부와 좌우 반대측에 상기 공기 유입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 수단을 상기 최상단의 공기실의 상기 통기부의 상방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를, 상기 경사 마루의 하단부측 부분에 마련된 통기 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경사 마루의 하단부측 부분에 산재된 다수의 작은 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경사 마루의 하단부측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급각도로 하강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의 공기실에, 상기 접속부와 상기 오존 발생 수단을 설치한 부위 사이를 구획하도록, 활성탄을 포함하는 필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KR1020097016927A 2008-08-27 2009-01-30 음료 디스펜서 KR101065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8098 2008-08-27
JP2008218098A JP4253036B1 (ja) 2008-08-27 2008-08-27 飲料ディスペンサ
WOPCT/JP2008/071528 2008-11-27
PCT/JP2008/071528 WO2010023770A1 (ja) 2008-08-27 2008-11-27 飲料ディスペンサ
JPJP-P-2009-011697 2009-01-22
JP2009011697A JP4317259B1 (ja) 2009-01-22 2009-01-22 飲料ディスペ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405A true KR20100045405A (ko) 2010-05-03
KR101065816B1 KR101065816B1 (ko) 2011-09-20

Family

ID=4172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27A KR101065816B1 (ko) 2008-08-27 2009-01-30 음료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8492B2 (ko)
EP (1) EP2189414B1 (ko)
KR (1) KR101065816B1 (ko)
CN (1) CN101848854B (ko)
WO (1) WO20100239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111A (ko) * 2013-03-04 2015-11-16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워터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3601A1 (en) * 2010-05-03 2013-06-20 Guglielmo Martelli Drinking-water dispenser
JP5487164B2 (ja) * 2011-07-08 2014-05-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空気殺菌チャンバ
JP5529174B2 (ja) 2012-01-06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186B2 (ja) 2012-02-14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9560934B2 (en) * 2014-11-10 2017-02-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US20160338526A1 (en) * 2015-05-18 2016-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Reservoir assemblies and docking station assemblies for beverage dispensers
US20160362287A1 (en) * 2015-06-09 2016-12-15 George Yui Top-loading bottled water dispensers with hot water sanitizing features
JP6723729B2 (ja) * 2015-11-17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US9986871B1 (en) 2017-04-27 2018-06-05 Soclean, Inc. Technologies for sanitizing beverage makers
US9962627B1 (en) 2017-04-27 2018-05-08 Soclean, Inc. Dual channel connector unit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9956309B1 (en) 2017-04-27 2018-05-01 Soclean, Inc. Technologies for sanitizing humidifiers
US10524613B2 (en) * 2017-04-27 2020-01-07 Soclean, Inc. Technologies for sanitizing beverage makers
CN114072354A (zh) * 2019-05-21 2022-02-18 三得利控股株式会社 饮料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666A (ja) 1981-07-10 1983-01-18 Ricoh Co Ltd シリアルドツトプリンタの双方向印字方式
JPS588666U (ja) * 1981-07-10 1983-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バタンク
JP2654696B2 (ja) 1989-09-14 1997-09-17 株式会社ゼクセル 自動車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H0636677Y2 (ja) 1990-01-31 1994-09-28 文胤 市川 屋上庭園
JP3099926B2 (ja) 1993-04-30 2000-10-16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5868944A (en) * 1997-06-19 1999-02-09 Oxygen8, Inc. Oxygenated water cooler
FR2772366B1 (fr) * 1997-12-11 2000-05-19 Dujardin Icofranc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au en bouteille a debit eleve
JP2000085892A (ja) * 1998-09-17 2000-03-28 Fuji Electric Co Ltd 飲料水ディスペンサ
US6561382B2 (en) * 2001-06-15 2003-05-13 S.I.P.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water cooler reservoir and its dispensing spigot(s)
JP2001201989A (ja) * 2000-01-20 2001-07-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43871A (ja) * 2000-11-09 2002-05-21 Matsushita Refrig Co Ltd 殺菌装置
US6607672B2 (en) * 2001-10-31 2003-08-19 Koslow Technologie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ed use of ultraviolet and ozone in appliances
US20040028572A1 (en) * 2002-08-12 2004-02-12 Sham John C.K. Ozone deodorizer for waste receptacles
JP2004315049A (ja) * 2003-04-17 2004-11-11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JP3099926U (ja) * 2003-08-19 2004-04-22 株式会社 ヒート 飲料水用サーバー
JP2005170432A (ja) * 2003-12-10 2005-06-30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JP2005350067A (ja) * 2004-06-08 2005-12-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飲料水の殺菌方法及びウォータサーバ
JP2006341915A (ja) * 2005-06-10 2006-12-21 Ohnit Co Ltd 飲料水ディスペンサ
US20070196244A1 (en) * 2006-02-22 2007-08-23 Croft Carlton R Air/water sterilization system for ice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111A (ko) * 2013-03-04 2015-11-16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워터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9414A1 (en) 2010-05-26
WO2010023967A1 (ja) 2010-03-04
CN101848854B (zh) 2014-02-19
US8298492B2 (en) 2012-10-30
US20120000861A1 (en) 2012-01-05
KR101065816B1 (ko) 2011-09-20
CN101848854A (zh) 2010-09-29
EP2189414A4 (en) 2011-12-14
EP2189414B1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16B1 (ko) 음료 디스펜서
JP4253036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RU2371375C2 (ru) Разливной автомат для напитка
CN105008265B (zh) 饮水机
KR102086881B1 (ko) 워터 서버
JP552918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150048116A1 (en) Water server
JP2013018500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空気殺菌チャンバ
TW201420977A (zh) 開飲機
KR101070406B1 (ko) 탱크형 냉온 정수기
JP4317259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70142434A (ko) 정수기
TWI624632B (zh) 開飲機
JP2007320586A (ja) 冷温水機
KR101143791B1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CN106565039A (zh) 水处理系统、水处理系统的杀菌方法以及杀菌杯
KR101184099B1 (ko) 음료수 공급기
KR20150124975A (ko) 워터 서버
JP2007057165A (ja) 貯湯槽
KR200291102Y1 (ko) 냉온수기의 오존 살균장치
KR20130051063A (ko) 해수정화장치
CN217868514U (zh) 饮用水供给装置和饮用水供给系统
KR101355880B1 (ko) 국소가열구조의 살균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음용수 공급장치
KR101405522B1 (ko)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JP2005230696A (ja) 水の除菌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