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975A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975A
KR20150124975A KR1020157026506A KR20157026506A KR20150124975A KR 20150124975 A KR20150124975 A KR 20150124975A KR 1020157026506 A KR1020157026506 A KR 1020157026506A KR 20157026506 A KR20157026506 A KR 20157026506A KR 20150124975 A KR20150124975 A KR 2015012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supply pipe
water bottl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12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7Openings for emptying, e.g. taped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 B67D2210/00097Handling of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가지고 형성된 교환식의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퍼낼 때에, 물병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원수 급출관(6)은, 물병(4)에 접속된 상태에서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원수 급출관(6) 내에 도입하는 물 흡입 구멍(72)과,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72)의 위치보다 높을 때에, 물병(4)의 내부의 공기(A)를 원수 급출관(6) 내의 음료수(W)에 기포로서 도입하는 공기 흡입 구멍(73)을 갖는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의 높아짐 때문에,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에 교환식의 물병을 셋트하고 그 물병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물병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와, 그 몸통부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와,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통해 마련된 목부를 가지며, 목부의 선단에 수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물병은 목부의 선단의 수출구가 하향의 상태로 워터 서버에 셋트된다. 또한, 물병의 몸통부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워터 서버는, 물병이 케이스의 상면에 셋트되어 있기 때문에, 물병을 교환할 때에 만수 상태의 물병을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물병은 통상 10리터∼12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어, 10 ㎏ 이상의 중량이 있다. 그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물병의 교환 작업은 큰일이었다.
그래서, 물병의 교환 작업을 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원의 발명자는 워터 서버의 되도록 낮은 부분에 물병을 셋트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물병의 위치가 낮아지면, 상당한 중량을 갖는 만수 상태의 물병을 워터 서버에게 셋트할 때에, 물병을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물병의 교환 작업이 편해진다.
한편, 물병을 워터 서버가 낮은 부분에 셋트된 경우, 물병의 위치가 서버 내부의 냉수 탱크에 대하여 낮아지기 때문에, 물병에 충전된 음료수를 서버 내부의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물병으로부터 냉수 탱크에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퍼내는 펌프가 필요로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3605호 공보
본원의 발명자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고 형성된 물병을 채용하고 또한 그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퍼내는 펌프를 워터 서버에 마련하는 것이면,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중력 낙하시킬 때와 같이 물병의 수출구를 하향으로 할 필요가 없는 것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이 착안에 기초하여, 워터 서버에 물병을 셋트할 때에, 물병을 횡 방향(즉 물병의 수출구가 수평을 향하는 상태)으로 셋트한다고 하는 착상을 얻었다.
물병의 수출구가 수평을 향하도록 물병을 셋트하면, 워터 서버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물병의 수출구가 수평을 향하는 상태로 물병을 수평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물병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물병의 수출구가 원수 급출관과 착탈하도록 서버 내부에 원수 급출관을 고정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급출관의 전체 길이가 짧게 억제되기 때문에, 원수 급출관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본원의 발명자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로 물병(90)을 횡 방향으로 셋트하고, 물병(90)의 내부의 음료수(W)를 펌프(91)로 퍼내는 실험을 반복하여 행한 바, 물병(90)의 내부에 음료수(W)가 많이 남은 상태로, 음료수(W)를 그 이상 퍼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90)의 내부의 수위[공기(A)와 음료수(W)의 경계]가 원수 급출관(92)의 단부(92a)에 마련된 물 흡입 구멍(93)의 위치보다 높을 때는, 원수 급출관(92) 및 펌프(91)가 음료수(W)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펌프(91)의 흡인력이 발휘되어, 물병(90)의 내부의 음료수(W)가 원수 급출관(92)을 통하여 퍼내어진다.
그러나, 그 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90)의 내부의 수위가 원수 급출관(92)의 단부(92a)의 물 흡입 구멍(93)의 위치까지 내려가면, 물병(90)의 내부의 공기(A)가 원수 급출관(92)을 통하여 펌프(91)에 들어가기 때문에, 펌프(91)가 공전하여 흡인력이 없어져, 물병(90)의 내부의 음료수(W)를 그 이상 퍼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때, 많을 때는 1리터∼2리터 정도의 음료수(W)가, 펌프(91)로 퍼내기 어려운 음료수(W)로서, 물병(90)에 남게 된다(도 14를 참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가지고 형성된 교환식의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퍼낼 때에, 물병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가지고 형성된 교환식의 물병에 접속되는 원수 급출관과, 그 원수 급출관을 통하여 상기 물병으로부터 음료수를 퍼내는 펌프를 갖는 워터 서버로서,
상기 원수 급출관은,
상기 물병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물병의 내부의 음료수를 원수 급출관 내에 도입하는 물 흡입 구멍과,
상기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상기 물 흡입 구멍의 위치보다 높을 때에, 상기 물병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원수 급출관 내의 음료수에 기포로서 도입하는 공기 흡입 구멍
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공기 흡입 구멍의 위치까지 내려간 상태에서, 물병의 내부의 음료수를 펌프로 더욱 퍼내었을 때에, 물병의 내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 구멍을 통하여 원수 급출관 내에 도입된다. 이때, 원수 급출관 내에 도입된 공기는 펌프에 들어가지만, 이 공기는 기포로서 음료수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의 흡인력은 없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물병으로부터 기포로서 배출된 분만큼, 물병의 내부의 공기의 양은 감소한다. 그 때문에,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의 위치로 내려갔을 때의 물병의 수축량이 커져, 물병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공기 흡입 구멍은 상기 물 흡입 구멍보다 소단면적이 되도록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토출량이 작은 펌프를 사용하여도, 공기 흡입 구멍으로부터 원수 급출관 내에 도입되는 공기를 기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작은 펌프를 채용할 수 있어, 저비용이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공기 흡입 구멍의 위치까지 내려간 상태에서 물병의 내부의 음료수를 펌프로 더욱 퍼내었을 때에, 물병의 내부의 공기가 음료수와 함께 기포로서 배출된다. 그 때문에,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의 위치로 내려갔을 때의 물병의 수축량이 커서, 물병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병 지지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병 지지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원수 펌핑관의 조인트부의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의 선단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에 물병의 수출구를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에, 물병의 수출구에 장착된 마개체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물병의 내부의 음료수가 펌프로 펌핑되어,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원수 급출관의 물 흡입 구멍의 위치까지 내려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내는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공기 흡입 구멍의 위치보다 높은 단계에서 펌프가 작동하였을 때에, 공기 흡입 구멍 및 물 흡입 구멍으로부터 조인트부 내로 음료수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공기 흡입 구멍의 위치보다 낮고 또한 물 흡입 구멍보다 높은 단계에서 펌프가 작동하였을 때에, 공기 흡입 구멍으로부터 조인트부 내에 공기가 기포로 되어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공기 흡입 구멍보다 단면적이 큰 공기 흡입 구멍을 채용하며, 또한, 사이즈가 작은 펌프를 채용하였을 때의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살균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원수 급출관의 조인트부에 공기 흡입 구멍이 없는 워터 서버를 사용하여, 물병의 내부의 음료수를 퍼내었을 때에, 물병의 내부에 음료수가 많이 남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의 위치보다 높은 단계에서 펌프가 작동하였을 때에, 물 흡입 구멍으로부터 조인트부 내에 음료수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물병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의 위치보다 낮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세로로 긴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상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케이스(1)의 하부에 수용된 교환식의 물병(4)과, 물병(4)을 지지하는 병 지지부(5)와, 물병(4)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6)과, 원수 급출관(6)의 도중에 마련된 펌프(7)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8)를 갖는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는, 바닥판(9)과, 바닥판(9)의 주위로부터 세워진 주벽(10)과, 주벽(10)의 상단에 마련된 천장판(11)을 갖는다. 주벽(10)의 전방면 하부에는, 물병(4)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12)와,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전방면 도어(13)가 마련되어 있다.
원수 급출관(6)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물병(4)의 수출구(1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조인트부(6a)가 마련되고, 원수 급출관(6)의 하류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원수 급출관(6)은, 조인트부(6a)보다 낮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조인트부(6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원수 급출관(6)의 조인트부(6a)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7)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7)는 원수 급출관(6) 내의 음료수를 물병(4)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하고 이 원수 급출관(6)을 통하여 물병(4)으로부터 음료수를 퍼낸다. 펌프(7)로서는, 예컨대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펌프는, 왕복 운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용적이 증감하는 펌프실과, 이 펌프실에 마련된 흡입구 및 토출구와, 펌프실 내로 유입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흡입구에 마련된 흡입측 체크 밸브와, 펌프실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토출구에 마련된 토출측 체크 밸브를 가지고, 다이어프램의 왕동(往動)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이 증가할 때에 흡입구로부터 음료수를 흡입하며, 다이어프램의 복동(復動)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이 감소할 때에 토출구로부터 음료수를 토출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7)로서 기어 펌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어 펌프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에 수용된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기어와, 이 한쌍의 기어의 맞물림 부분을 통해 구획된 케이싱 내의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고, 각 기어의 이홈과 케이싱의 내면 사이에 갇힌 음료수를 기어의 회전에 의해 흡입실측으로부터 토출실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7)로서 원심 펌프를 이용하여도 좋다. 원심 펌프는, 회전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는 임펠러와, 이 임펠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중앙에 마련된 흡입구와, 케이싱의 외주부에 마련된 토출구를 가지고,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부여되는 원심력으로 음료수를 흡입구측으로부터 토출구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원수 급출관(6)의 펌프(7)의 토출측에는 유량 센서(16)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센서(16)는, 펌프(7)의 작동 시에 원수 급출관(6)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수 급출관(6)의 조인트부(6a)와 펌프(7) 사이에는 제1 전환 밸브(17)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조인트부(6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 전환 밸브(17)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1 전환 밸브(17)는 조인트부(6a)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제1 전환 밸브(17)에는 온수 탱크(3)에 연통하는 제1 바이패스관(18)이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관(18)의 온수 탱크(3)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3)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전환 밸브(17)는, 조인트부(6a)와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고 또한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운전 상태(도 1 참조)와, 조인트부(6a)와 펌프(7) 사이를 차단하고 또한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도 13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수 급출관(6)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온수 살균용의 제2 전환 밸브(19)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전환 밸브(19)에는 온수 탱크(3)에 연통하는 제2 바이패스관(20)이 접속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관(20)의 온수 탱크(3)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3)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바이패스관(20)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관(21)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관(21)의 출구는 플러그(22)로 폐쇄되어 있다. 플러그(22) 대신에 개폐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2 전환 밸브(19)는, 원수 급출관(6)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고 또한 원수 급출관(6)과 제2 바이패스관(20)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운전 상태(도 1 참조)와, 원수 급출관(6)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차단하고 또한 원수 급출관(6)과 제2 바이패스관(20)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도 13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전환 밸브(17)와 제2 전환 밸브(19)를 각각 단일의 삼방밸브(three-way valve)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개폐 밸브을 조합하여 동일한 작용을 갖는 전환 밸브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이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4)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 장치(23)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어,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4)보다 하측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2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25)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7)가 작동하여, 물병(4)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 배플판(24)은, 물병(4)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될 때에, 냉각 장치(23)에서 냉각되어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물병(4)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공급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플판(24)은 그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수하벽(垂下壁)(26)을 가지며, 이 수하벽(26)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공기를 유지함으로써, 배플판(24)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단열 효과를 높이고 있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주출하는 냉수 주출로(27)가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로(27)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28)가 마련되고, 이 냉수 코크(28)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물병(4)의 용량보다 작고 2리터∼4리터 정도이다.
배플판(24)의 중앙에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8)의 상단이 개구하고 있다. 탱크 접속로(8)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측으로부터 온수 탱크(3)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9)가 마련되어 있다. 체크 밸브(29)는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열대류에 의해 냉수 탱크(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억제한다.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30)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31)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31)는, 공기 도입구(32)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33)와, 케이스(33)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34)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34)로서는, 예컨대,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silent discharg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31)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34)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항상, 케이스(33)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공기 도입로(30)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31)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냉수 탱크(2) 내에는, 원수 급출관(6)으로부터 보내오는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음료수의 흐름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확산판(35)을 마련함으로써,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공기 중의 오존[공기 살균 챔버(31)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 것]과 넓은 면적으로 닿도록 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위생을 높이고 있다.
탱크 접속로(8)는 온수 탱크(3)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3)의 내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탱크 내 배관(36)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36)의 하단은 온수 탱크(3)의 바닥면 근방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3) 내의 상부에 모인 고온의 음료수가 탱크 내 배관(36)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7)가 부착되어 있어,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37)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band heater)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속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3)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3)의 내부를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3)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에 모인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38)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로(38)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39)가 마련되고, 이 온수 코크(39)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8)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40)와, 그 몸통부(40)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41)와, 몸통부(40)의 타단에 어깨부(42)를 통해 마련된 목부(43)를 가지고, 이 목부(43)에 수출구(14)가 마련되어 있다. 어깨부(42)는 몸통부(40)로부터 목부(43)를 향하여 점차로 오므라지는 부분이다. 목부(43)의 외주에는 플랜지(44)가 형성되어 있다. 물병(4)의 몸통부(40)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물병(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물병(4)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 물병(4)의 내부에는, 음료수(W)와, 물병(4)에 음료수(W)를 충전할 때에 배제할 수 없었던 공기(A)가 수용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 지지부(5)는, 물병(4)의 수출구(14)가 수평을 향하는 상태로 물병(4)의 몸통부(4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병 배치판(45)과, 물병(4)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측면판(46)과, 물병(4)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면판(47)과, 물병(4)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면판(48)을 갖는다. 여기서, 전후의 방향은 워터 서버를 향하여 선 사용자로부터 보아 전방을 전방, 안쪽측을 후방으로 하고 있다. 병 지지부(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49)로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 지지부(5)의 후방면판(48)에는, 후방면판(48)의 상측 가장자리로 개방하는 절결(50)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50)은, 후방면판(48)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폭이 좁아는 도입부(51)와, 그 도입부(51)의 하방으로 연속하여, 물병(4)의 목부(43)의 외주에 반원형의 구속부(52)로 이루어진다. 구속부(52)는 목부(43)의 플랜지(44)보다 몸통부(40)측의 부분에 끼워맞춰지고 있다.
구속부(52)는 물병(4)의 목부(43)의 플랜지(44)의 외직경보다 소직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속부(52)는 목부(43)의 외주에 끼워맞춰져 목부(43)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물병(4)을 조인트부(6a)에 접속할 때에, 물병(4)의 수출구(14)의 위치가 조인트부(6a)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부(52)는 목부(43)의 플랜지(44)와 걸려 목부(43)를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물병(4)의 수출구(14)가 조인트부(6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49)은, 케이스(1)의 바닥판(9)에 고정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측 레일(53)과, 고정측 레일(5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레일(54)과, 중간 레일(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측 레일(55)로 이루어진다. 이동측 레일(55)은 병 지지부(5)의 병 배치판(45)에 고정되어 있다. 병 지지부(5)는, 슬라이드 레일(49)을 구성하는 3개의 레일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케이스(1) 내에 물병(4)이 수용되는 수용 위치(도 2의 위치)와, 케이스(1)로부터 물병(4)이 나가는 인출 위치(도 4의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병(4)의 수출구(14)는 병 지지부(5)가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병 지지부(5)의 이동 방향(여기서는 후방)을 향하고 있다.
조인트부(6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 지지부(5)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물병(4)의 수출구(14)로부터 분리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 지지부(5)를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물병(4)의 수출구(14)에 접속하도록 케이스(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물병(4)의 수출구(14)가 조인트부(6a)에 접속할 때, 물병(4)은 수출구(14)가 수평을 향한 상태로 병 지지부(5)에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전방면 도어(13)는 병 지지부(5)와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병 지지부(5)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방면 도어(13)를 앞쪽으로 당겨 개구부(12)를 개방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에 연동하여 병 지지부(5)가 케이스(1)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전방면 도어(13)를 안쪽으로 복귀시켜 개구부(12)를 폐쇄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에 연동하여 병 지지부(5)가 케이스(1) 내에 수용된다.
전방면 도어(13)의 하부에는, 케이스(1)의 배치면에 구름 접촉하는 차륜(56)이 부착되어 있다. 이 차륜(56)은, 케이스(1)로부터 병 지지부(5)를 인출한 상태에서 병 지지부(5)에 하중[예컨대 만수 상태의 물병(4)의 중량이나 사람의 체중 등]이 작용하였을 때에, 그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의 전도를 방지한다. 케이스(1)의 바닥판(9)에는 차륜(56)을 수납하는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의 목부(43)의 선단에는 캡(60)이 부착되어 있다. 캡(60)의 중앙에는, 물병(4)의 내부를 향하여 목부(4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양단이 개구한 내통(61)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61)의 내부의 영역은 물병(4)의 수출구(14)를 형성하고 있다. 수출구(14)에는 마개체(62)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캡(60)은 폴리에틸렌 수지(PE)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61)의 내주면에는, 물병(4)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62)는, 통부(64)와, 통부(64)의 일단에 형성된 폐색 단부(65)와, 통부(64)의 타단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클로(66)을 갖는 바닥을 갖는 통형이다. 이 바닥을 갖는 통형의 마개체(62)는 물병(4)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내통(61)에 끼워맞춰진다. 통부(64)의 외주면에는, 내통(61)의 단차부(63)에 걸리는 돌기(67)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64)의 물병(4)의 내측의 단부에는, 내통(61)의 단부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 부재(68)가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6a)는 물병(4)의 수출구(14)에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된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체이다. 조인트부(6a)는, 외주가 원통면인 스트레이트부(70)와, 반구형의 선단부(71)를 갖는다. 스트레이트부(70)의 직경은 물병(4)의 수출구(14)[즉 내통(61)]에 억지끼워맞춤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70)에는, 조인트부(6a)가 물병(4)의 수출구(14)에 접속된 상태에서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원수 급출관(6) 내에 도입하는 물 흡입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물 흡입 구멍(72)은 조인트부(6a)의 하반부의 영역[도면에서는 조인트부(6a)의 하단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조인트부(6a)에는, 물 흡입 구멍(72)보다 상방[도면에서는 조인트부(6a)의 상단 위치]에 공기 흡입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흡입 구멍(73)은 조인트부(6a)의 내외를 연통하고 있으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72)의 위치보다 높을 때에, 물병(4)의 내부의 공기(A)를 조인트부(6a) 내의 음료수(W)에 기포로서 도입한다. 공기 흡입 구멍(73)은 물 흡입 구멍(72)보다 소단면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 흡입 구멍(73)은 물 흡입 구멍(72)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개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물 흡입 구멍(72)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유입된 음료수의 흐름에 의해,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전단하여 효율적으로 기포화할 수 있다. 공기 흡입 구멍(73)은 조인트부(6a)의 물 흡입 구멍(72)보다 하류측(도시하는 위치보다 좌측)에서 개구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물 흡입 구멍(72)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유입된 음료수의 흐름에 의해,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전단하여 기포화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공기 흡입 구멍(73)의 직경(d1)은 0.3 ㎜ 이상 2.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1.5 ㎜ 이하이다. 공기 흡입 구멍(73)의 직경(d1)을 0.3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토출 압력이 작은 펌프(7)를 사용하여도,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공기(A)를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공기 흡입 구멍(73)의 직경(d1)을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도입된 공기(A)를 확실하게 기포화할 수 있다.
또한, 물 흡입 구멍(72)의 직경(d2)은 3 ㎜ 이상 1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8 ㎜ 이하이다. 물 흡입 구멍(72)의 직경(d2)을 3 ㎜ 이상,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인트부(6a) 내의 음료수(W)의 유량을 확보하여,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들어 가는 공기(A)를 확실하게 기포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 흡입 구멍(72)의 직경(d2)을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 ㎜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펌프(7)의 흡인력으로 조인트부(6a) 내를 부압으로 유지하여,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들어가는 공기(A)를 확실하게 기포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선단부(71)의 중심에는, 조인트부(6a)를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74)의 직경은 1.0 ㎜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부(6a)의 외주에는, 스트레이트부(70)와 선단부(71)의 경계 위치에, 마개체(62)의 클로(66)가 걸어 맞춰지는 둘레홈(7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74)은,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6a)의 선단부(71)에 마개체(62)가 끼워맞춰질 때에, 마개체(62)와 선단부(71) 사이에 둘러싸이는 공기를 조인트부(6a)의 내부로 밀어내고, 이에 의해, 조인트부(6a)의 선단부(71)에의 마개체(62)의 끼워맞춤을 원활하게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6a)는 조인트부(6a)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컵부(80)에 고정되어 있다. 컵부(80)는 물병(4)을 향하여 개구하는 바닥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부를 조인트부(6a)가 관통하고 있다. 컵부(80)의 개구 돌기에는, 물병(4)을 향하여 직경 확장하는 테이퍼면(81)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81)은, 도 4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을 케이스(1) 내에 수용할 때에, 물병(4)의 목부(43)의 위치가 조인트부(6a)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도, 그 목부(43)를 조인트부(6a)를 향하여 유도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6a)의 근원에는, 자외선 발광부(82)가 마련되어 있다. 자외선 발광부(82)는 조인트부(6a)의 내부의 음료수(W) 및 조인트부(6a)의 내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한다. 자외선 발광부(82)로서는, 자외선 LED나 수은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6a)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명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인트부(6a) 내의 자외선 발광부(82)에서 발생한 자외선은 물병(4)의 수출구(14)의 내면에도 조사되어, 수출구(14)와 조인트부(6a)의 끼워맞춤면 사이를 살균한다. 이에 의해, 물병(4)의 착탈 시[즉 빈 물병(4)의 수출구(14)로부터 조인트부(6a)를 뽑아내고, 신품의 물병(4)의 수출구(14)를 조인트부(6a)에 접속하였을 때]에, 신품의 물병(4)의 내부에 잡균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수 급출관(6)[조인트부(6a)의 부분을 제외함]으로서는,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리콘은 산소의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실리콘을 투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원수 급출관(6)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원수 급출관(6)은 금속관(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관이나 구리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급출관(6)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수 급출관(6)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온수 순환 시의 내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원수 급출관(6)으로서 폴리에틸렌 튜브나 내열성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을 이용하여도, 원수 급출관(6)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수 급출관(6)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통상 운전 상태에 있어서,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코크(28)를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코크(39)를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여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8)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25)가 검출하면, 펌프(7)가 작동하여 물병(4)으로부터 음료수(W)를 퍼내어, 원수 펌핑관을 통하여 냉수 탱크(2)에 음료수(W)를 퍼올린다.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에 달한 것을 수위 센서(25)가 검출하면, 펌프(7)가 정지한다.
그리고,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가 펌프(7)로 퍼내질 때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이 대기압에 의해 수축하고, 이 물병(4)의 수축에 따라 물병(4)의 내부의 수위는 점차로 내려간다.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원수 급출관(6)의 물 흡입 구멍(72)의 위치까지 내려가면, 물병(4)의 내부의 공기(A)가 원수 급출관(6)을 통하여 펌프(7)에 들어가기 때문에, 펌프(7)가 공전하여 흡인력이 없어져,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그 이상 퍼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때, 펌프(7)가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 급출관(6) 내의 음료수(W)의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량 센서(16)로 검지하여, 케이스(1)의 정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를 점등시켜, 물병(4)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퍼내는 과정에 있어서, 이 워터 서버는, 물병(4)의 내부의 공기(A)를 음료수(W)와 함께 기포로서 배출함으로써, 물병(4)의 수축량을 크게 하고, 물병(4)의 내부의 잔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의 내부의 수위[즉 공기(A)와 음료수(W)의 경계의 위치]가 조인트부(6a)에 마련된 공기 흡입 구멍(73)의 위치보다 높을 때는, 펌프(7)의 흡인력에 의해 공기 흡입 구멍(73)과 물 흡입 구멍(72)의 양방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음료수(W)가 도입된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조인트부(6a)에 마련된 공기 흡입 구멍(73)의 위치까지 내려갔을 때에, 펌프(7)를 작동시키면, 펌프(7)의 흡인력에 의해 조인트부(6a) 내가 부압으로 유지되어,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가 물 흡입 구멍(72)을 통하여 조인트부(6a) 내에 도입됨과 동시에, 물병(4)의 내부의 공기(A)가 공기 흡입 구멍(73)을 통하여 조인트부(6a) 내의 음료수(W)에 기포로서 도입된다.
이때, 조인트부(6a) 내에 도입된 공기(A)는 원수 급출관(6)을 통하여 펌프(7)에 들어가지만, 이 공기(A)는 기포로서 음료수(W)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7)의 흡인력은 없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물병(4)으로부터 기포로서 배출된 분만큼 물병(4)의 내부의 공기(A)의 양은 감소한다. 그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72)의 위치로 내려갔을 때의 물병(4)의 수축량이 커져, 물병(4)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이 워터 서버는,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공기 흡입 구멍(73)의 위치까지 내려간 상태에서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펌프(7)로 더욱 퍼내었을 때에, 물병(4)의 내부의 공기(A)가 음료수(W)와 함께 기포로서 배출된다. 그 때문에,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물 흡입 구멍(72)의 위치로 내려갔을 때의 물병(4)의 수축량이 커서, 물병(4)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공기 흡입 구멍(73)은 물 흡입 구멍(72)보다 소단면적이 되도록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토출량이 작은 펌프(7)를 사용하여도,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원수 급출관(6) 내에 도입되는 공기(A)를 기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작은 펌프(7)를 채용할 수 있어, 저비용이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흡입 구멍(73)을 물 흡입 구멍(72)과 동일한 단면적이나 그 이상의 단면적을 갖는 크기로 한 경우, 펌프(7)의 토출량이 작으면,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조인트부(6a) 내에 도입된 공기(A)가 기포로는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펌프(7)로 퍼낼 때에, 물병(4)의 내부의 공기(A)를 배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흡입 구멍(73)을 물 흡입 구멍(72)보다 소단면적이 되도록 형성하면, 토출량이 작은 펌프(7)를 사용하여도, 공기 흡입 구멍(73)으로부터 원수 급출관(6) 내에 도입되는 공기(A)를 기포로 할 수 있어, 물병(4)의 내부의 공기(A)를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공기 흡입 구멍(73)의 위치까지 내려갔을 때, 즉, 물병(4)이 빈 상태가 되었을 때,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물병(4)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면 도어(13)를 앞쪽으로 당겨, 케이스(1)로부터 병 지지부(5)를 인출한다. 이때, 병 지지부(5)와 일체로 물병(4)이 이동하기 때문에, 물병(4)의 수출구(14)가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6a)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병 지지부(5)로부터 빈 상태의 물병(4)을 취출한다. 그 후, 만수 상태의 물병(4)의 목부(43)를 횡방향의 상태로 병 지지부(5)에 배치한다. 이때, 물병(4)의 목부(43)를 병 지지부(5)의 절결(50)에 끼워맞춘다. 마지막으로, 전방면 도어(13)를 눌러, 케이스(1) 내에 병 지지부(5)를 수용한다. 이때, 병 지지부(5)와 일체로 물병(4)이 이동하기 때문에, 물병(4)의 수출구(14)가 조인트부(6a)에 끼워맞춰져 접속된다.
상기 워터 서버는, 정기적으로 살균 운전을 행함으로써 원수 급출관(6)을 살균하여, 장기간에 걸쳐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살균 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환 밸브(17)를 전환하여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며, 제2 전환 밸브(19)를 전환하여 원수 급출관(6)과 제2 바이패스관(20) 사이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펌프(7)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제1 바이패스관(18), 제1 전환 밸브(17), 원수 급출관(6), 제2 전환 밸브(19), 제2 바이패스관(20)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온수 탱크(3)로 되돌아간다. 즉,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6)을 통해 순환한다. 이때, 온수 탱크(3)의 가열 장치(37)에 통전함으로써,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를 살균에 알맞은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수 급출관(6)의 내부의 음료수, 원수 급출관(6)의 내면, 펌프(7)의 내부를 열 살균할 수 있다.
살균 운전이 종료한 후, 펌프(7)를 정지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환 밸브(17)를 전환하여 조인트부(6a)와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며, 제2 전환 밸브(19)를 전환하여 원수 급출관(6)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켜, 통상 운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살균 운전을 정기적으로 행함으로써, 통상 운전 시에 상온의 음료수가 흐르는 원수 급출관(6)을 살균하여, 장기간에 걸쳐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병 지지부(5)를 케이스(1)로부터 인출하였을 때는 물병(4)이 원수 급출관(6)의 단부로부터 분리되고, 병 지지부(5)를 케이스(1)에 수용하였을 때는 물병(4)이 원수 급출관(6)의 단부에 접속된다. 즉, 원수 급출관(6)을 병 지지부(5)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원수 급출관(6)을 짧게 하여, 원수 급출관(6)으로 잡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원수 급출관(6)을 병 지지부(5)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수 급출관(6)에 스파이럴 튜브나 플렉시블 튜브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원수 급출관(6)으로서 경질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원수 급출관(6)으로서, 산소 배리어성 및 내열성이 매우 우수한 금속관(스테인레스 스틸관, 구리관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병 지지부(5)의 구속부(52)에서 물병(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물병(4)의 수출구(14)가 조인트부(6a)에 접속할 때에, 유연성을 갖게 한 물병(4)의 변형에 의해 수출구(14)가 도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인트부(6a)의 접속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원수 급출관(6)을 조인트부(6a)보다 낮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마련하며, 그 원수 급출관(6)의 조인트부(6a)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7)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인트부(6a)로부터 물병(4)의 수출구(14)를 분리하였을 때에, 원수 급출관(6)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음료수(W)가 그 자신의 중량으로 조인트부(6a)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병 지지부(5)를 케이스(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출납하도록 하면, 워터 서버의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지만, 병 지지부(5)를 케이스(1)로부터 출납하는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물병(4)의 수출구(14)가 수평을 향하는 상태로 물병(4)을 셋트하고 그 수출구(14)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조인트부(6a)를 접속하는 워터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물병(4)의 수출구(14)가 경사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물병(4)을 셋트하는 워터 서버나, 물병(4)의 수출구(14)가 경사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물병(4)을 셋트하는 워터 서버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4 물병
6 원수 급출관
7 펌프
72 물 흡입 구멍
73 공기 흡입 구멍
W 음료수

Claims (2)

  1.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고 형성된 교환식의 물병(4)에 접속되는 원수 급출관(6)과, 이 원수 급출관(6)을 통하여 상기 물병(4)으로부터 음료수(W)를 퍼내는 펌프(7)를 갖는 워터 서버로서,
    상기 원수 급출관(6)은,
    상기 물병(4)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물병(4)의 내부의 음료수(W)를 원수 급출관(6) 내에 도입하는 물 흡입 구멍(72)과,
    상기 물병(4)의 내부의 수위가 상기 물 흡입 구멍(72)의 위치보다 높을 때에, 상기 물병(4)의 내부의 공기(A)를 상기 원수 급출관(6) 내의 음료수(W)에 기포로서 도입하는 공기 흡입 구멍(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구멍(73)은 상기 물 흡입 구멍(72)보다 소단면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워터 서버.
KR1020157026506A 2013-03-05 2013-12-12 워터 서버 KR20150124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2947 2013-03-05
JP2013042947A JP5520404B1 (ja) 2013-03-05 2013-03-05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3/083330 WO2014136346A1 (ja) 2013-03-05 2013-12-12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975A true KR20150124975A (ko) 2015-11-06

Family

ID=5103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506A KR20150124975A (ko) 2013-03-05 2013-12-12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9536A1 (ko)
EP (1) EP2966028A4 (ko)
JP (1) JP5520404B1 (ko)
KR (1) KR20150124975A (ko)
CN (1) CN105189332A (ko)
TW (1) TW201441141A (ko)
WO (1) WO20141363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371A (ko) * 2016-03-17 2017-09-27 최병철 음료기기의 착탈식 급수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438B2 (en) * 2013-12-11 2017-11-07 Quickflow Beverage Technology (Pty) Ltd.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system
DE102018209743A1 (de) * 2018-06-18 2019-1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Wasserversorgungsanlage für ein Schienen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497A (en) * 1980-06-23 1982-03-09 Nalco Chemical Company Corrugated shipping container for viscous refractory slurries and discharge apparatus therefor
US4375864A (en) * 1980-07-21 1983-03-08 Scholle Corporation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fluid
JPH01267195A (ja) * 1988-04-05 1989-10-25 Kirin Brewery Co Ltd ディスペンサ
JP2519134B2 (ja) * 1991-06-07 1996-07-3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飲料供給装置
FR2732003B1 (fr) * 1995-03-20 1997-06-06 Mistral Distribution Fontaine distributrice de boisson
FR2785601B1 (fr) * 1998-11-09 2001-06-08 Dieau Distributeur autonome par gravite de boisson fraiche en gobelet a partir d'une bonbonne a orifice percutable
SE0203129D0 (sv) * 2002-10-24 2002-10-24 Asept Int Ab Anslutningsanordning
US20040251277A1 (en) * 2003-06-13 2004-12-16 Tang Chang Kuei Water inlet and venting pipe of water dispenser
BRPI0405365B1 (pt) * 2004-11-29 2012-05-29 conjunto reutilizável para envase, distribuição e consumo de água mineral.
ES2358211T3 (es) * 2005-04-15 2011-05-06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agua para el abastecimiento de un preparador de cubitos de hielo y/o de un dispensador de agua de un aparato refrigerador y/o congelador.
CN2920112Y (zh) * 2006-07-03 2007-07-11 于乔治 带有热水杀菌系统的桶装水饮水机
JP2008273605A (ja) * 2007-05-02 2008-11-13 Cosmo Life:Kk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の支持具
CN201330148Y (zh) * 2009-01-07 2009-10-21 魏延恕 光电式自动供饮装置
JP5529190B2 (ja) * 2012-03-02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371A (ko) * 2016-03-17 2017-09-27 최병철 음료기기의 착탈식 급수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1141A (zh) 2014-11-01
JP5520404B1 (ja) 2014-06-11
US20160009536A1 (en) 2016-01-14
CN105189332A (zh) 2015-12-23
EP2966028A4 (en) 2016-07-20
WO2014136346A1 (ja) 2014-09-12
JP2014169119A (ja) 2014-09-18
EP2966028A1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81B1 (ko) 워터 서버
KR102065202B1 (ko) 워터 서버
KR102089823B1 (ko) 워터 서버
TWI591012B (zh) 開飲機
JP5571218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50127109A (ko) 워터 서버
TW201400398A (zh) 飲水機
KR20150070188A (ko) 워터 서버
WO2014136331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TW201437560A (zh) 開飲機
JP5529310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64763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212859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50124975A (ko) 워터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