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202B1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202B1
KR102065202B1 KR1020157002411A KR20157002411A KR102065202B1 KR 102065202 B1 KR102065202 B1 KR 102065202B1 KR 1020157002411 A KR1020157002411 A KR 1020157002411A KR 20157002411 A KR20157002411 A KR 20157002411A KR 102065202 B1 KR102065202 B1 KR 10206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container
water container
pumping pipe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142A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05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67D1/0892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being stored in a rack or sh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7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containers with adjustable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 B67D2210/00097Handling of stora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 펌핑관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용기 받침(5)을 갖고, 원수 펌핑관(6)의 단부에는, 용기 받침(5)을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침(5)을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접속하도록 케이스(1) 내에 고정한 조인트부(15)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한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이 높아짐에 때문에,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에 교환식의 원수 용기를 세트하고, 이 원수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가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를 워터 서버에 세트할 때에, 원수 용기를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는, 통상 10 리터~12 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고, 10 ㎏ 이상의 중량이 있다. 이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은 큰일이었다.
그래서,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을 편안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가 제안되어 있다.
이 워터 서버는, 음료수가 충전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와, 이 원수 용기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와, 이 냉수 탱크와 원수 용기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펌핑관과, 이 원수 펌핑관에 마련된 펌프와, 냉수 탱크와 원수 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원수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와 케이스로부터 원수 용기가 나오는 인출 위치와의 사이를 원수 용기를 배치한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용기 받침을 갖는다.
이 워터 서버는, 원수 용기가 냉수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를 워터 서버에 세트할 때에, 원수 용기를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없다. 또한, 원수 용기를 용기 받침과 함께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이 편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90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854820호 공보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에서는, 원수 용기의 수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원수 용기가 용기 받침에 세트되고, 이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퍼올리는 원수 펌핑관의 단부가 용기 받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수 펌핑관으로서 신축 가능한 스파이럴 튜브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 이 용기 받침의 이동에 추종하여 스파이럴 튜브가 신장하여, 원수 용기와 원수 펌핑관이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원수 탱크와 냉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펌핑관의 내부의 음료수는, 통상, 상온이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를 교환할 때에, 약간이라도 잡균이 음료수에 혼입되면, 이 잡균이 원수 펌핑관의 내부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생긴다. 이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수 펌핑관의 전체 길이를 되도록이면 짧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에서는,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 이 용기 받침의 이동에 원수 펌핑관이 추종하도록, 원수 펌핑관으로서 신축 가능한 스파이럴 튜브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원수 펌핑관의 전체 길이가 매우 길게 되어 있어, 원수 펌핑관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스파이럴 튜브 대신에, 용기 받침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느슨함을 갖게 한 플렉시블 튜브를 채용하여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수 펌핑관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워터 서버의 원수 펌핑관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버리는 원인을 검토하고, 그 원인이,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와 원수 펌핑관이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종래 방식을 폐지하고,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가 원수 펌핑관의 단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 원수 펌핑관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와, 이 원수 용기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와, 이 냉수 탱크와 상기 원수 용기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펌핑관과, 이 원수 펌핑관에 마련된 펌프와,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원수 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상기 원수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와 케이스로부터 원수 용기가 나오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원수 용기를 배치한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용기 받침을 갖고,
이 용기 받침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용기 받침의 이동 방향으로 원수 용기의 수출구가 향하도록 상기 원수 용기를 배치하며,
상기 원수 펌핑관의 단부에는, 상기 용기 받침을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의 수출구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침을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의 수출구에 접속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한 조인트부가 마련되는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였을 때는, 원수 용기가 원수 펌핑관의 단부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침을 케이스에 수용하였을 때는, 원수 용기가 원수 펌핑관의 단부에 접속된다. 즉, 원수 펌핑관을, 용기 받침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원수 펌핑관을 짧게 하여, 원수 펌핑관에서 잡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만약 전체에 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원수 용기를 채용한 경우, 이 원수 용기의 수출구를 수평을 향하게 하면, 이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펌프로 퍼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비하여, 상기 구성의 워터 서버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원수 용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의 수출구를 수평을 향하게 하여도, 이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펌프로 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용기 받침에, 상기 원수 용기의 수출구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용기의 수출구가 조인트부에 접속할 때에, 유연성을 갖게 한 원수 용기의 변형에 의해 수출구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수 펌핑관을, 상기 조인트부보다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마련하고, 이 원수 펌핑관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보다 낮은 부분에 상기 펌프를 배치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펌핑관의 단부의 조인트부로부터 원수 용기의 수출구를 분리하였을 때에, 원수 펌핑관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으로 조인트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수 용기로서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목부와, 이 목부의 선단에 부착된 캡과, 이 캡의 중앙에 마련한 상기 수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감입된 마개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로서는, 원수 용기의 수출구에 감합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체로서, 조인트부가 원수 용기의 수출구에 감합한 상태에서 원수 용기의 내부에 개구되는 통수 구멍을 갖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통수 구멍은, 조인트부의 하반부의 영역에만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통수 구멍이 조인트부의 비교적 낮은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가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때에도, 이 음료수를 가능한 한 마지막까지 퍼낼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의 상반부의 영역에 통수 구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조인트부로부터 원수 용기를 분리하였을 때에, 조인트부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인트부의 내부의 음료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개체는, 통부와, 통부의 일단에 형성된 폐색 단부와, 통부의 타단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클로부를 갖는 형상의 것을 채용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마개체의 클로부가 걸어 맞춰지는 둘레홈을 외주에 갖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마개체가 감입된 수출구에 조인트부가 감합하였을 때에, 클로부와 둘레홈의 걸어 맞춤에 의해, 조인트부의 선단에 마개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로부가 상기 둘레홈에 걸어 맞춰진 상태로 상기 마개체에 둘러싸이는 상기 조인트부의 선단부에, 조인트부를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조인트부의 선단부에 마개체가 감합할 때에, 마개체와 조인트부의 선단부 사이에 둘러싸이는 공기가, 관통 구멍을 지나 조인트부의 내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조인트부의 선단부에 마개체를 원활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부의 선단의 관통 구멍의 직경은 1.0 ㎜ 이하로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조인트부로부터 원수 용기를 분리하였을 때에, 관통 구멍으로부터 조인트부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물의 표면 장력으로 방지하여, 조인트부의 내부의 음료수가 통수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받침이, 상기 원수 용기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면판을 갖고, 이 하면판의 상면에, 상기 원수 용기가 수축할 때에 원수 용기의 몸통부의 하면판에 접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지게 하는 볼록부가 마련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를 용기 받침에 배치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의 몸통부의 하면판에 접하는 부분이, 볼록부에 의해 절곡된 상태로 되어, 버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의 내부의 음료수를 펌프로 퍼내었을 때에, 원수 용기의 몸통부의 하면판에 접하는 부분이, 원수 용기의 내부의 감압에 의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지도록 변형된다. 그 결과, 원수 용기가 수축하였을 때에, 하면판을 따른 영역에 음료수가 모이기 어려워져, 원수 용기의 교환 시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볼록부는, 예컨대, 상기 원수 용기의 몸통부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원수 용기를 케이스 내에 수용할 때에 원수 용기의 목부를 조인트부를 향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면을 조인트부의 주위에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용기를 조인트부에 접속할 때에, 그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였을 때는, 원수 용기가 원수 펌핑관의 단부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침을 케이스에 수용하였을 때는, 원수 용기가 원수 펌핑관의 단부에 접속된다. 즉, 원수 펌핑관을, 용기 받침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원수 펌핑관을 짧게 하여, 원수 펌핑관에서 잡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받침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용기 받침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에 원수 용기를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에, 원수 용기의 수출구의 마개체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원수 용기가 점차로 수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용기 받침에 볼록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원수 용기가 점차로 수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워터 서버의 살균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세로로 긴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상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케이스(1)의 하부에 수용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4)와, 원수 용기(4)를 배치하는 용기 받침(5)과, 원수 용기(4)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펌핑관(6)과, 원수 펌핑관(6)에 마련된 펌프(7)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8)를 갖는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는, 바닥판(9)과, 바닥판(9)의 주위로부터 기립하는 둘레벽(10)과, 둘레벽(10)의 상단에 마련된 상판(11)을 갖는다. 둘레벽(10)의 전방면 하부에는, 원수 용기(4)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12)와,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전방면 도어(13)가 마련되어 있다.
원수 펌핑관(6)의 일단은,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착탈하는 조인트부(15)에 접속되고, 원수 펌핑관(6)의 타단은 냉수 탱크(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원수 펌핑관(6)은, 조인트부(15)보다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조인트부(1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원수 펌핑관(6)의 조인트부(15)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7)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7)는, 원수 펌핑관(6) 내의 음료수를 원수 용기(4)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한다. 펌프(7)로서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펌프는, 도시하지 않는 다이어프램을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용적이 증감하는 펌프실과, 펌프실의 흡입구에 배치되며, 펌프실 내에 유입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흡입측 역지 밸브와, 펌프실의 토출구에 배치되며, 펌프실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토출측 역지 밸브로 이루어진다.
원수 펌핑관(6)의 펌프(7)의 토출측에는, 유량 센서(16)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센서(16)는, 펌프(7)의 작동 시에 원수 펌핑관(6)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원수 펌핑관(6)의 조인트부(15)와 펌프(7)의 사이에는, 제1 스위칭 밸브(17)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조인트부(1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 스위칭 밸브(17)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1 스위칭 밸브(17)는, 조인트부(15)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제1 스위칭 밸브(17)에는, 온수 탱크(3)에 연통시키는 제1 바이패스관(18)이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관(18)의 온수 탱크(3)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3)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칭 밸브(17)는, 조인트부(15)와 펌프(7)의 사이를 연통하면서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의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운전 상태(도 1 참조)와, 조인트부(15)와 펌프(7)의 사이를 차단하면서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도 10 참조)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수 펌핑관(6)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온수 살균용의 제2 스위칭 밸브(19)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스위칭 밸브(19)에는, 온수 탱크(3)에 연통시키는 제2 바이패스관(20)이 접속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관(20)의 온수 탱크(3)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3)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바이패스관(20)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관(21)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관(21)의 출구는 플러그(22)로 폐쇄되어 있다. 플러그(22) 대신에 개폐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2 스위칭 밸브(19)는, 원수 펌핑관(6)과 냉수 탱크(2)의 사이를 연통하면서 원수 펌핑관(6)과 제2 바이패스관(20)의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운전 상태(도 1 참조)와, 원수 펌핑관(6)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차단하면서 원수 펌핑관(6)과 제2 바이패스관(20)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도 10 참조)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스위칭 밸브(17)와 제2 스위칭 밸브(19)를 각각 단일의 3방향 밸브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개폐 밸브를 조합하여 동일한 작용을 갖는 스위칭 밸브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4)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 장치(23)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고,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4)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2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25)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이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7)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 배플판(24)은,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될 때에, 냉각 장치(23)에서 냉각되어 냉수 탱크(2)의 하부에 모인 저온의 음료수가,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공급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플판(24)은, 그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현수벽(26)을 갖고, 이 현수벽(26)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공기를 유지함으로써, 배플판(24)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단열 효과를 높이고 있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27)가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로(27)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콕(28)이 마련되고, 이 냉수 콕(28)을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원수 용기(4)의 용량보다 작고, 2 리터~4 리터 정도이다.
배플판(24)의 중앙에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8)의 상단이 개구되어 있다. 탱크 접속로(8)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측으로부터 온수 탱크(3)측에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에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9)가 마련되어 있다. 체크 밸브(29)는,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열 대류에 의해 냉수 탱크(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한다.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9)가 부착되어 있고,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39)에 시스 히터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속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3)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3)의 내부를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3)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30)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31)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31)는, 공기 취입구(32)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33)와, 케이스(33)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34)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34)로서는, 예컨대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인 대향 한 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31)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34)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시(常時), 케이스(33)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공기 도입로(30)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31)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냉수 탱크(2) 내에는, 원수 펌핑관(6)으로부터 송입되는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음료수의 흐름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확산판(35)을 마련함으로써,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공기 중의 오존[공기 살균 챔버(31)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 것]과 넓은 면적으로 닿도록 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위생을 높이고 있다.
탱크 접속로(8)는, 온수 탱크(3)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3)의 내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탱크 내 배관(36)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36)의 하단은, 온수 탱크(3)의 바닥면 근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열 장치(39)에서 가열된 고온의 음료수의 상승류가, 탱크 내 배관(36)의 하단 개구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에 저장된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37)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로(37)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콕(38)이 마련되고, 이 온수 콕(38)을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이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8)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 리터~2 리터 정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40)와, 이 몸통부(40)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41)와, 몸통부(40)의 타단에 어깨부(42)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목부(43)를 갖는다. 목부(43)의 외주에는 플랜지(44)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원수 용기(4)가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수 용기(4)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원수 용기(4)의 용량은, 만수 상태로 10 리터~20 리터 정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선단에는 캡(45)이 부착되어 있다. 캡(45)의 중앙에는, 원수 용기(4)의 내부를 향하여 목부(4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통(46)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6)의 내부의 영역은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형성하고, 이 수출구(14)에 마개체(47)가 착탈 가능하게 감입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46)의 내주면에는, 원수 용기(4)의 내부를 향해 갈수록 소직경이 되는 단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47)는, 통부(49)와, 통부(49)의 일단에 형성된 폐색 단부(50)와, 통부(49)의 타단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클로부(51)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이다. 마개체(47)는, 원수 용기(4)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방향으로 내통(46)에 감합한다. 통부(49)의 외주면에는, 내통(46)의 단부(48)에 걸리는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49)의 원수 용기(4)의 내측의 단부에는, 내통(46)의 단부와 축방향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은, 원수 용기(4)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면판(54)과, 원수 용기(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측면판(55)과, 원수 용기(4)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면판(56)과, 원수 용기(4)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면판(57)을 갖는다. 여기서, 전후의 방향은, 워터 서버를 향하여 서는 사용자로부터 보아 앞쪽을 전방, 안쪽을 후방으로 하고 있다. 용기 받침(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60)로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60)은, 케이스(1)의 바닥판(9)에 고정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측 레일(61)과, 고정측 레일(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레일(62)과, 중간 레일(6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측 레일(63)로 이루어진다. 이동측 레일(63)은, 용기 받침(5)의 하면판(54)에 고정되어 있다. 용기 받침(5)은, 슬라이드 레일(60)을 구성하는 3개의 레일(61, 62, 63)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케이스(1) 내에 원수 용기(4)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도 2의 위치)와, 케이스(1)로부터 원수 용기(4)가 나오는 인출 위치(도 4의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수 용기(4)는, 용기 받침(5)이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용기 받침(5)의 이동 방향(여기서는 후방)으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가 향한 상태로 용기 받침(5)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원수 용기(4)는, 목부(43)가 수평을 향한 자세로 되어 있다.
조인트부(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을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로부터 분리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을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접속하도록 케이스(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전방면 도어(13)는, 용기 받침(5)과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용기 받침(5)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방면 도어(13)를 앞쪽으로 당겨 개구부(12)를 개방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용기 받침(5)이 케이스(1)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전방면 도어(13)를 안쪽으로 되밀어 개구부(12)를 폐쇄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용기 받침(5)이 케이스(1) 내에 수용된다.
전방면 도어(13)의 하부에는, 케이스(1)의 배치면에 구름 접촉하는 차륜(6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차륜(64)은, 케이스(1)로부터 용기 받침(5)을 인출한 상태에서 용기 받침(5)에 하중[예컨대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의 중량이나 사람의 체중 등]이 작용하였을 때에, 그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의 전도(轉倒)를 방지한다. 케이스(1)의 바닥판(9)에는, 차륜(64)을 수납하는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의 하면판(54)에는,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볼록부(66)가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66)의 상면에는, 볼록부(66)의 정상으로부터 조인트부(15)측으로 내려오는 사면(斜面)(67)과, 볼록부(66)의 정상으로부터 조인트부(15)와는 반대측으로 내려오는 사면(68)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15)와는 반대측의 사면(68)은, 조인트부(15)측의 사면(67)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면(68)의 경사각은 30°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의 후방면판(57)에는, 후방면판(57)의 상측 가장자리에 개방하는 노치(70)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70)는, 후방면판(57)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도입부(71)와, 그 도입부(71)의 하측에 연속하여,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외주에 감합하는 반원형의 구속부(72)로 이루어진다. 구속부(72)는, 목부(43)의 플랜지(44)보다 몸통부(40)측의 부분에 감합하고 있다.
구속부(72)는,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플랜지(44)의 외직경보다 소직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속부(72)는, 목부(43)의 외주에 감합하여 목부(43)를 직경 방향에서 위치 결정함으로써, 원수 용기(4)를 조인트부(15)에 접속할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위치가 조인트부(15)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부(72)는, 목부(43)의 플랜지(44)와 걸려 목부(43)를 축방향에서 위치 결정함으로써, 조인트부(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는,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감합하도록 형성된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체이다. 조인트부(15)는, 외주가 원통면의 스트레이트부(73)와, 반구형의 선단부(74)를 갖는다. 스트레이트부(73)의 직경은,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즉, 내통(46)]에 여유값을 가지고 감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73)에는, 조인트부(15)가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감합한 상태에서 원수 용기(4)의 내부에 개구되는 통수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통수 구멍(75)은, 조인트부(15)의 하반부의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고, 상반부의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74)의 중심에는, 조인트부(15)를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76)의 직경은 1.0 ㎜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부(15)의 외주에는, 스트레이트부(73)와 선단부(74)의 경계 위치에, 마개체(47)의 클로부(51)가 걸어 맞춰지는 둘레홈(77)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의 근원에는, 자외선 발광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자외선 발광부(78)는, 조인트부(15)의 내부의 음료수 및 조인트부(15)의 내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한다. 자외선 발광부(78)로서는, 자외선 LED나 수은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조인트부(15)는, 조인트부(15)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컵부(80)에 고정되어 있다. 컵부(80)는, 원수 용기(4)를 향하여 개구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부를 조인트부(15)가 관통하고 있다. 컵부(80)의 개구 돌기에는, 원수 용기(4)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면(81)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81)은, 도 4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를 케이스(1) 내에 수용할 때에,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위치가 조인트부(15)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이 목부(43)를 조인트부(15)를 향하여 유도한다.
원수 펌핑관(6)으로서는,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리콘은 산소의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실리콘을 투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원수 펌핑관(6)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원수 펌핑관(6)은, 금속관(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관이나 구리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펌핑관(6)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수 펌핑관(6)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온수 순환 시의 내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원수 펌핑관(6)으로서 폴리에틸렌 튜브나 내열성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을 이용하여도, 원수 펌핑관(6)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수 펌핑관(6)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통상 운전 상태에 있어서,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콕(28)을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콕(38)을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여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8)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25)가 검출하면, 펌프(7)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올린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또는 온수 탱크(3)의 음료수의 사용에 따라, 원수 용기(4)의 음료수가 점차로 감소하여, 빈 상태가 된다. 원수 용기(4)가 빈 상태가 되면, 펌프(7)가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 펌핑관(6)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량 센서(16)에서 검지하고, 케이스(1)의 정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를 점등시켜, 원수 용기(4)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원수 용기(4)가 빈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원수 용기(4)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면 도어(13)를 앞쪽으로 당겨서, 케이스(1)로부터 용기 받침(5)을 인출한다. 이때, 용기 받침(5)과 일체로 원수 용기(4)가 이동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4)가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15)로부터 빠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용기 받침(5)으로부터 빈 상태의 원수 용기(4)를 취출한다. 그 후,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가로 방향의 상태로 용기 받침(5)에 배치한다. 이때,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용기 받침(5)의 노치(70)에 감합시킨다. 끝으로, 전방면 도어(13)를 눌러, 케이스(1) 내에 용기 받침(5)을 수용한다. 이때, 용기 받침(5)과 일체로 원수 용기(4)가 이동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4)가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15)에 접속된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는, 내부의 음료수가 펌프(7)로 퍼내어짐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한다. 이때, 상기 워터 서버는, 용기 받침(5)의 하면판(54)에 볼록부(66)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의 수축의 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원수 용기(4)의 내부의 음료수를 가능한 한 마지막까지 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의 하면판(54)의 상면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볼록부(66)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를 용기 받침(5)에 배치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4)의 내부의 음료수의 중량에 의해,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54)에 접하는 부분이 버티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4)의 내부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내고, 원수 용기(4)의 내부가 감압되어도,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54)에 접하는 부분이 변형되기 어렵다. 또한, 원수 용기(4)의 어깨부(42)도, 목부(43)가 용기 받침(5)의 후방면판(57)의 구속부(72)에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9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가 수축할 때,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상측 부분 및 바닥부(41)가 우선적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원수 용기(4)가 수축하여도, 하면판(54)을 따른 영역에 음료수가 저장된 채가 되어, 원수 용기(4)의 교환 시에 잔수량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많을 때는, 400 ㏄~500 ㏄ 정도 남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침(5)의 하면판(54)의 상면에 볼록부(66)를 마련한 경우,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를 용기 받침(5)에 배치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54)에 접하는 부분이, 볼록부(66)를 따라 절곡된 상태로 되어, 버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4)의 내부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내었을 때에,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54)에 접하는 부분이, 원수 용기(4)의 내부의 감압에 의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지도록 변형된다(도 8의 쇄선 참조). 그 결과, 원수 용기(4)가 수축하였을 때에, 하면판(54)을 따른 영역에 음료수가 모이기 어려워져, 원수 용기(4)의 교환 시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원수 용기(4)가 수축할 때에, 변형된 원수 용기(4)가 볼록부(66)에 걸려 원수 용기(4)의 수축이 방해될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66)의 사면(68)의 경사를 완만하게 설정함으로써, 원수 용기(4)가 볼록부(66)에 걸리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워터 서버는, 용기 받침(5)을 케이스(1)로부터 인출하였을 때에, 그 용기 받침(5)의 이동에 원수 펌핑관(6)이 추종하도록, 원수 펌핑관(6)에 신축 가능한 스파이럴 튜브를 채용하거나, 용기 받침(5)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느슨함을 갖게 한 플렉시블 튜브를 채용하거나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원수 펌핑관(6)의 전체 길이가 매우 길게 되어 있어, 원수 펌핑관(6)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상기 워터 서버는, 용기 받침(5)을 케이스(1)로부터 인출하였을 때는, 원수 용기(4)가 원수 펌핑관(6)의 단부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침(5)을 케이스(1)에 수용하였을 때는, 원수 용기(4)가 원수 펌핑관(6)의 단부에 접속된다. 즉, 원수 펌핑관(6)을, 용기 받침(5)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원수 펌핑관(6)을 짧게 하여, 원수 펌핑관(6)에서 잡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수 펌핑관(6)을 용기 받침(5)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수 펌핑관(6)에 스파이럴 튜브나 플렉시블 튜브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원수 펌핑관(6)으로서 경질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원수 펌핑관(6)으로서, 산소 배리어성 및 내열성이 매우 우수한 금속관(스테인리스 스틸관, 구리관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정기적으로 살균 운전을 행함으로써 원수 펌핑관(6)을 살균하여, 장기간에 걸쳐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살균 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밸브(17)를 전환하여,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의 사이를 연통하며, 제2 스위칭 밸브(19)를 전환하여, 원수 펌핑관(6)과 제2 바이패스관(20)의 사이를 연통한다. 그리고, 펌프(7)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제1 바이패스관(18), 제1 스위칭 밸브(17), 원수 펌핑관(6), 제2 스위칭 밸브(19), 제2 바이패스관(20)을 순서대로 지나, 온수 탱크(3)로 되돌아간다. 즉,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원수 펌핑관(6)을 통해 순환한다. 이때, 온수 탱크(3)의 가열 장치(39)를 통전함으로써,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를 살균에 알맞은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수 펌핑관(6)의 내부의 음료수, 원수 펌핑관(6)의 내면, 펌프(7)의 내부를 열 살균할 수 있다.
살균 운전이 종료된 후, 펌프(7)를 정지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밸브(17)를 전환하여, 조인트부(15)와 펌프(7) 사이를 연통하며, 제2 스위칭 밸브(19)를 전환하여, 원수 펌핑관(6)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하여, 통상 운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살균 운전이 종료하고 나서 통상 운전 상태로 되돌아가기 전에, 제1 스위칭 밸브(17)를,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의 사이를 연통한 살균 운전 상태로 하는 한편, 제2 스위칭 밸브(19)를, 원수 펌핑관(6)과 냉수 탱크(2)의 사이를 연통한 통상 운전 상태로 하고, 이 상태로 펌프(7)를 소정 시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펌핑관(6)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고온의 음료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원수 펌핑관(6)의 제2 스위칭 밸브(19)와 냉수 탱크(2) 사이의 부분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냉수 탱크(2)에 소정량의 고온의 음료수가 유입되지만, 배플판(24)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교반을 방지하고, 또한 배플판(24)의 현수벽(26)으로 둘러싸인 공기가 배플판(24)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의 전열을 억제하기 때문에,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음료수는 저온으로 유지된다.
이상의 살균 운전을 정기적으로 행함으로써, 통상 운전 시에 상온의 음료수가 흐르는 원수 펌핑관(6)을 살균하여, 장기간에 걸쳐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만약 원수 용기(4)로서, 전체에 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타입의 것을 채용한 경우, 이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수평을 향하게 하면, 이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비하여, 상기 워터 서버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원수 용기(4)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수평을 향하게 하여도, 이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용기 받침(5)의 구속부(72)에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가 조인트부(15)에 접속할 때에, 유연성을 갖게 한 원수 용기(4)의 변형에 의해 수출구(14)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원수 펌핑관(6)을, 조인트부(15)보다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마련하고, 이 원수 펌핑관(6)의 조인트부(15)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7)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인트부(15)로부터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분리하였을 때에, 원수 펌핑관(6)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으로 조인트부(15)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워터 서버는, 조인트부(15)의 통수 구멍(75)이, 조인트부(15)의 비교적 낮은 부분(하반부의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가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때라도, 그 음료수를 가능한 한 마지막까지 퍼낼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15)의 상반부의 영역에 통수 구멍(75)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조인트부(15)로부터 원수 용기(4)를 분리하였을 때에, 조인트부(15)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인트부(15)의 내부의 음료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조인트부(15)의 선단에 관통 구멍(7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의 선단부(74)에 마개체(47)가 감합될 때에, 마개체(47)와 선단부(74)의 사이에 둘러싸이는 공기가, 관통 구멍(76)을 지나 조인트부(15)의 내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문에, 조인트부(15)의 선단부(74)에 마개체(47)를 원활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관통 구멍(76)의 직경을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로 설정하면, 조인트부(15)로부터 원수 용기(4)를 분리하였을 때에, 관통 구멍(76)으로부터 조인트부(15)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물의 표면 장력으로 방지하여, 조인트부(15)의 내부의 음료수가 통수 구멍(75)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조인트부(15)의 주위에,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조인트부(15)를 향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면(81)이 마련되기 때문에, 원수 용기(4)를 조인트부(15)에 접속할 때에, 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용기(4)의 목부(43)에 플랜지(44)를 형성하였지만, 플랜지(44)는, 목부(43)에 장착하는 캡(45)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원수 용기(4)의 목부(43)에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고, 이 목부(43)를 파지하는 클램프 수단을 용기 받침(5)에 마련하며, 이 클램프 수단으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용기 받침(5)을 케이스(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출납하도록 하면, 워터 서버의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지만, 용기 받침(5)을 케이스(1)로부터 출납하는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받침(5)이 수평으로 이동할 때의 「수평」이란, 엄밀한 의미로 수평일 필요는 없고, 예컨대 케이스(1)로부터 인출한 상태의 용기 받침(5)이 자연히 그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인출 위치를 수용 위치보다 약간 낮게 하는 구배나, 케이스(1)로부터 인출한 상태의 용기 받침(5)이 자연히 케이스(1)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인출 위치를 수용 위치보다 약간 높게 하는 구배를 허용하는 의미에서의 수평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용기(4)로서, 중공 통형의 몸통부(40)와, 이 몸통부(40)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41)와, 몸통부(40)의 타단에 어깨부(42)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목부(43)를 가지고, 이 목부(43)에 캡(45)을 장착한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원수 용기(4)로서, 수출구를 갖는 접속구를 열 용착 등으로 접착한 수지필름 제조의 주머니나, 이 주머니를 마분지 상자에 수용한 것(소위 백 인 박스)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 케이스 2 : 냉수 탱크
4 : 원수 용기 5 : 용기 받침
6 : 원수 펌핑관 7 : 펌프
14 : 수출구 15 : 조인트부
40 : 몸통부 41 : 바닥부
42 : 어깨부 43 : 목부
45 : 캡 47 : 마개체
49 : 통부 50 : 폐색 단부
51 : 클로부 54 : 하면판
66 : 볼록부 72 : 구속부
75 : 통수 구멍 74 : 선단부
76 : 관통 구멍 77 : 둘레홈
81 : 테이퍼면

Claims (10)

  1.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가지고 형성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4)와, 이 원수 용기(4)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2)와, 이 냉수 탱크(2)와 상기 원수 용기(4)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펌핑관(6)과, 이 원수 펌핑관(6)에 마련된 펌프(7)와, 상기 냉수 탱크(2)와 상기 원수 용기(4)를 수용하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 내에 상기 원수 용기(4)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와 케이스(1)로부터 원수 용기(4)가 나오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원수 용기(4)를 배치한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용기 받침(5)을 갖고,
    이 용기 받침(5)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용기 받침(5)의 이동 방향으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가 향하도록 상기 원수 용기(4)를 배치하며,
    상기 원수 펌핑관(6)의 단부에는, 상기 용기 받침(5)을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침(5)을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접속하도록 상기 케이스(1) 내에 고정한 조인트부(1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받침(5)에, 상기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72)를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펌핑관(6)을, 상기 조인트부(15)보다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마련하고, 상기 원수 펌핑관(6)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5)보다 낮은 부분에 상기 펌프(7)를 배치한 것인 워터 서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용기(4)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40)와, 이 몸통부(40)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41)와, 상기 몸통부(40)의 타단에 어깨부(42)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목부(43)와, 이 목부(43)의 선단에 부착된 캡(45)과, 이 캡(45)의 중앙에 마련한 상기 수출구(14)에 착탈 가능하게 감입된 마개체(47)로 이루어지는 것인 워터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5)는,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감합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체이며, 상기 조인트부(15)가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감합한 상태에서 원수 용기(4)의 내부에 개구되는 통수 구멍(75)을 조인트부(15)의 하반부의 영역에만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47)는, 통부(49)와, 통부(49)의 일단에 형성된 폐색 단부(50)와, 통부(49)의 타단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클로부(51)를 갖는 형상이며,
    상기 조인트부(15)는, 상기 마개체(47)의 클로부(51)가 걸어 맞춰지는 둘레홈(77)을 외주에 갖고,
    상기 클로부(51)가 상기 둘레홈(77)에 걸어 맞춰진 상태로 상기 마개체(47)에 둘러싸이는 상기 조인트부(15)의 선단부(74)에, 조인트부(15)를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6)을 형성한 것인 워터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76)의 직경을 1.0 ㎜ 이하로 설정한 것인 워터 서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받침(5)은, 상기 원수 용기(4)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면판(54)을 갖고, 이 하면판(54)의 상면에, 상기 원수 용기(4)가 수축할 때에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54)에 접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지게 하는 볼록부(66)가 마련된 것인 워터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66)는, 상기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워터 서버.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용기(4)를 케이스(1) 내에 수용할 때에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조인트부(15)를 향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면(81)을 조인트부(15)의 주위에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KR1020157002411A 2012-09-18 2013-08-12 워터 서버 KR102065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4110 2012-09-18
JP2012204110A JP5529227B2 (ja) 2012-09-18 2012-09-18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3/071800 WO2014045763A1 (ja) 2012-09-18 2013-08-12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142A KR20150058142A (ko) 2015-05-28
KR102065202B1 true KR102065202B1 (ko) 2020-01-10

Family

ID=5034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411A KR102065202B1 (ko) 2012-09-18 2013-08-12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217984A1 (ko)
EP (1) EP2899155A4 (ko)
JP (1) JP5529227B2 (ko)
KR (1) KR102065202B1 (ko)
CN (1) CN104640803B (ko)
HK (1) HK1209718A1 (ko)
TW (1) TWI613143B (ko)
WO (1) WO2014045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9233B2 (ja) * 2012-10-19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237B2 (ja) * 2012-10-25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702013B1 (ja) * 2014-05-02 2015-04-1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789334B1 (ja) * 2014-08-25 2015-10-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7922179B (zh) * 2015-09-01 2019-10-25 豪威株式会社 出水口的消毒结构和含有该消毒结构的水处理装置
CN105919437B (zh) * 2016-06-27 2019-04-12 苏州华爱电子有限公司 一种水瓶下置式饮水机的可抛弃式水路系统
KR102519052B1 (ko) 2016-07-19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브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6814052B2 (ja) 2017-01-18 2021-01-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003804B1 (ko) * 2017-08-04 2019-07-25 오비맥주 주식회사 생맥주 냉각장치
US10266426B1 (en) * 2017-12-07 2019-04-23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UV water treatment in portable water tank
JP7354163B2 (ja) * 2021-01-14 2023-10-02 プレミアムウォーター株式会社 蓋及び容器
US11814279B1 (en) * 2022-06-10 2023-11-14 Quench Usa, Inc. Water dispensing line recircu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523A (ja)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US20090242585A1 (en) 2008-03-26 2009-10-01 Mtn Products, Inc. Bottom load water cooler
JP2012171679A (ja) 2011-02-24 2012-09-10 Tech Corporation:Kk 飲用水供給装置へのボトルウォーター挿入装置および挿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711743L (sv) * 1977-10-18 1979-04-19 Bostrom Erik Gosta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utskenkning av drycker sasom mjolk, juice etc
US6453955B1 (en) * 2001-03-06 2002-09-24 Jonathan D. Lee Liquid dispensing system
KR100439432B1 (ko) * 2001-11-19 2004-07-09 주식회사 크로버 이중마개용 물통지지분배장치
US6926170B2 (en) * 2002-12-12 2005-08-09 R. Clay Groesbeck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JP4388902B2 (ja) * 2003-05-14 2009-12-24 株式会社九州開発企画 飲料用給水器
US20060032864A1 (en) * 2004-08-16 2006-02-16 Jung Suk D Water dispenser
GB2436828A (en) * 2006-04-07 2007-10-10 Marios Josephidou Dispensing system for retaining carbonation
CN101007665A (zh) * 2007-01-26 2007-08-01 梁佳明 饮水机自动臭氧消毒灭菌器
JP2009196655A (ja) * 2008-02-20 2009-09-03 Pmc Corporation:Kk ボトルの栓構造及び該栓構造を具えたボトル
JP5235092B2 (ja) 2008-04-11 2013-07-10 株式会社Osgコーポレーション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JP4317262B1 (ja) * 2009-03-30 2009-08-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11235905A (ja) * 2010-05-06 2011-11-24 Sakagami Kogyo Kk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における合成樹脂製ボトルの浮上防止装置
JP3161411U (ja) * 2010-05-19 2010-07-29 修治 菊地 水供給装置
WO2012098690A1 (ja) 2011-01-20 2012-07-26 株式会社オーケンウォーター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ターサーバー
IL211021A (en) * 2011-02-02 2014-05-28 Neviot Nature Galilee Ltd Water facility that includes a bag unit in a box
JP2012171651A (ja) *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ボトルウォーターを原水とする飲用水供給装置におけるボトルウォーターの挿入方法および挿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523A (ja)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US20090242585A1 (en) 2008-03-26 2009-10-01 Mtn Products, Inc. Bottom load water cooler
JP2012171679A (ja) 2011-02-24 2012-09-10 Tech Corporation:Kk 飲用水供給装置へのボトルウォーター挿入装置および挿入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6141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9718A1 (en) 2016-04-08
CN104640803B (zh) 2017-08-22
WO2014045763A1 (ja) 2014-03-27
TW201420486A (zh) 2014-06-01
TWI613143B (zh) 2018-02-01
KR20150058142A (ko) 2015-05-28
JP2014058332A (ja) 2014-04-03
EP2899155A4 (en) 2016-03-16
CN104640803A (zh) 2015-05-20
JP5529227B2 (ja) 2014-06-25
US20150217984A1 (en) 2015-08-06
EP2899155A1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202B1 (ko) 워터 서버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JP5529233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0403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044580B1 (ko) 워터 서버
WO2014065078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0844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5026303B (zh) 饮水机
EP2980012A1 (en) Water server
JP5520404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