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80B1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80B1
KR102086880B1 KR1020157025339A KR20157025339A KR102086880B1 KR 102086880 B1 KR102086880 B1 KR 102086880B1 KR 1020157025339 A KR1020157025339 A KR 1020157025339A KR 20157025339 A KR20157025339 A KR 20157025339A KR 102086880 B1 KR102086880 B1 KR 10208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water container
container
inner cylind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109A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12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원수 용기의 캡의 가이드 통부와 조인트부 사이의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캡(45)은 원수 용기(4)의 내부로 돌출한 수출구(14)를 형성하는 내통(46)과 마개체(47)를 가지고, 내통(46)에, 원수 용기(4)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48), 단차부(48)의 소직경측에 연속하는 조임 플랩부(49)를 형성한다. 마개체(47)는, 내통(46)에 들어맞는 바닥을 갖는 통형부(51), 조임 플랩부(49)에 억지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면(52), 단차부(48)에 걸리는 걸어 맞춤부(53)를 갖는다. 조인트부(15)는, 조임 플랩부(49)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스트레이트부(73),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내측에 들어맞는 선단부(74)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다. 스트레이트부(73)에, 내통(46)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원수 용기(4)의 내부로 개구하는 통수 구멍(75)을 형성한다. 통수 구멍(75)은 스트레이트부(73)를 조임 플랩부(49)에 삽입하는 도중에 조임 플랩부(49)에 걸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한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의 높아짐 때문에,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하기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에 교환식의 원수 용기를 셋트하고, 그 원수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하거나, 펌프로 퍼 올리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원수 용기와 냉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송수로는 원수 용기의 수출구에 착탈하는 조인트부를 갖는다. 원수 용기로서, 캡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캡으로서, 원수 용기의 내부로 돌출하는 수출구를 형성하는 내통과, 이 수출구를 막는 마개체를 갖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마개체는 원수 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캡의 내통에 들어맞는 바닥을 갖는 통형부를 갖는다. 이 캡에 대응하는 조인트부는, 캡의 내통에 끼워맞춰지는 스트레이트부와, 마개체의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내측에 들어맞아 마개체를 안정시키는 선단부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다. 조인트부는 캡의 내통에 삽입됨으로써 수출구에 접속된다. 삽입되는 조인트부의 선단부에 마개체의 바닥을 갖는 통형부가 찔러 넣어짐으로써, 그 선단부가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내측에 들어맞아, 마개체는 조인트부로부터 놀지 않도록 선단부에 의해 안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고 나서, 마개체와 캡의 내통이 분리한다. 바닥을 갖는 통형부가 덮여지는 선단부에는, 원수 용기 내의 원수를 조인트부 내에 취입하기 위한 통수 구멍을 형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인트부의 스트레이트부에는, 캡의 내통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원수 용기의 내부로 개구하는 통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수 구멍의 전체가 원수 용기의 내부로 개구하는 위치까지 조인트부가 삽입하였을 때, 캡의 내통과 조인트부의 스트레이트부는 억지끼워맞춤되고 있으며, 이 끼워맞춤부의 전체 둘레 밀착에 의해 원수 용기의 내부로부터의 누수를 막는 시일 효과가 얻어지게 되어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3, 4).
그 중에서도, 도 11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00)의 내통(101)의 내측 둘레면에, 원수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102)와, 이 단차부(102)의 소직경측에 연속하는 조임 플랩부(1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마개체(104)의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조임 플랩부(103)에 억지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면(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면(105)과 조임 플랩부(103)의 끼워맞춤에 의해 미개봉 시의 시일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외주면에는 단차부(102)에 걸리도록 걸어 맞춤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에 의해, 신품의 원수 용기의 운반 시에 마개체(104)가 용기 내부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단차부(102)의 대직경측에 연속하는 가이드 통부(107)는 조인트부(108)와 내통(101)의 중심 어긋남이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조인트부(108)의 외주를 안내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구멍(109)의 전체가 원수 용기의 내부에 개구하고 있을 때, 조임 플랩부(103)와 스트레이트부(110)의 전체 둘레 밀착에 의해 시일 효과가 얻어진다. 이때, 스트레이트부(110)가 가이드 통부(107)에 대면한다. 스트레이트부(110)와 가이드 통부(107) 사이에 조임 여유(interference)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가이드 통부(107)와 스트레이트부(110) 사이에 조임 여유를 설정하면, 각종 오차로 가이드 통부(107)가 스트레이트부(110)에 의해 정확하지 못하게 내통의 직경 방향으로 눌려, 조임 플랩부(103)가 스트레이트부(110)로부터 도피하여 전체 둘레 밀착이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어, 스트레이트부(110)를 내통(101)에 삽입하는 초기에 삽입이 원활하지 않아 삽입 불량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90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85482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0-8984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10-42859호 공보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 플랩부(103)를 채용한 종래품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통수 구멍(109)의 크기[조인트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사이의 거리(d)]는 10 ㎜ 정도로 설정되어, 충분한 통수량을 확보하기 쉽게 하고 있다. 한편, 조임 플랩부(103)의 플랩 폭(L)은 지나치게 크게 하면 스트레이트부(110)의 삽입을 더디게 하여 접속 불량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소요의 시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가급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L은 일반적으로 10 ㎜ 미만으로 설정되고 있다.
그런데, 본원 발명자가 여러가지 사용 상황을 검토한 바, 가이드 통부(107)와 스트레이트부(110)의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신품의 원수 용기를 조인트부(108)에 접속할 때, 내통(101)에 스트레이트부(110)를 삽입하는 도중, d>L이기 때문에, 통수 구멍(109)이 조임 플랩부(103)에 걸치는 순간이 있다. 이때, 가이드 통부(107)와 스트레이트부(110) 사이의 간극이 원수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의 내부의 원수가 화살선으로 나타내는 것 같이 통수 구멍(109)을 지나 상기 간극에 달하고, 원수의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간극에 머무는 경우가 있다. 이곳에 원수가 머물면, 잡균이 번식한다. 다음 원수 용기의 교환 시기까지 간극의 원수가 증발하여 잡균이 사멸하는 경우는 문제 없지만, 여름철과 같이 원수 용기의 소비가 빠르고, 습도가 높은 조건이면, 다음 교환 시기까지 증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잡균이 번식하고 있는 원수가 간극에 머문 상태인 채로, 사용이 끝난 원수 용기를 빼면, 조인트부(108)가 내통(101)으로부터 뽑히는 도중에, 간극의 원수가 스트레이트부(110)에 끌려, 통수 구멍(109)의 주위까지 확장되어 버린다. 이렇게 되면, 즉시 신품의 원수 용기의 내통(101)에 조인트부(108)가 삽입되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부(110)의 통수 구멍(109)의 주위로 확장된 잡균이 신품의 원수 용기의 내부로 들어가 버려,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수 용기의 캡의 가이드 통부와 조인트부 사이의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와, 이 원수 용기와 냉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송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원수 용기에, 상기 원수 용기의 내부로 돌출하는 수출구를 형성하는 내통과, 이 수출구를 막는 마개체를 갖는 캡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 송수로는 상기 수출구에 착탈하는 조인트부를 가지고, 상기 내통의 내측 둘레면에, 상기 원수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와, 이 단차부의 소직경측에 연속하는 조임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체는, 상기 원수 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내통에 들어맞는 바닥을 갖는 통형부와, 상기 조임 플랩부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외주에 형성된 끼워맞춤면과, 상기 단차부에 걸리도록 상기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외주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조임 플랩부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스트레이트부와, 상기 바닥을 갖는 통형부의 내측에 들어맞아 상기 마개체를 안정시키는 선단부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레이트부에, 상기 내통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원수 용기의 내부로 개구하는 통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수 구멍은 상기 스트레이트부를 상기 조임 플랩부에 삽입하는 도중에 상기 조임 플랩부에 걸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신품의 원수 용기에 부착된 캡의 내통에 조인트부를 삽입하는 도중에, 통수 구멍이 조임 플랩부에 걸치지 않아, 가이드 통부와 스트레이트부 사이의 간극이 원수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품의 원수 용기와 조인트부를 접속할 때, 가이드 통부와 스트레이트부 사이의 간극으로의 누수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워진다.
조인트부를 내통에 삽입하면, 통수 구멍이 조임 플랩부를 통과할 때, 원수 용기의 내부의 원수가 조임 플랩부에 접촉한다. 또한, 무거운 신품의 원수 용기가 조인트부에 대하여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고, 스트레이트부가 조임 플랩부에 대하여 정확하지 못하게 기운 상태로 삽입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정확하지 못하게 기운 스트레이트부에 의해 조임 플랩부가 비뚤어져 변형되기 때문에, 조임 플랩부와 스트레이트부의 둘레 방향 일부분에서 조임이 헐거워져, 이곳으로부터 원수가 가이드 통부와 스트레이트부 사이의 간극에 누수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조인트부의 내부에 자외선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트레이트부는 자외선 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통의 내측 둘레면이 상기 스트레이트부를 투과한 상기 자외선원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도록 해 두면, 조임 플랩부에서의 잡균 번식을 막고, 또한, 가이드 통부와 스트레이트부 사이의 간극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누수가 생겼다고 해도, 그 간극에서의 잡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채용에 의해, 신품의 원수 용기에 조인트부를 접속할 때, 가이드 통부와 스트레이트부 사이의 간극으로의 누수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워터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받이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용기 받이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2의 조인트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자외선 반사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c)는 자외선원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에 원수 용기를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조인트부에, 원수 용기의 수출구의 마개체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원수 용기가 점차로 수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용기 받이에 볼록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원수 용기가 점차로 수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살균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 11의 (a)는 종래예의 조인트부의 접속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종래예의 조인트부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세로로 긴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상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케이스(1)의 하부에 수용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4)와, 원수 용기(4)를 배치하는 용기 받이(5)와, 원수 용기(4)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송수로(6)와, 원수 송수로(6)에 마련된 펌프(7)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8)를 갖는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는, 바닥판(9)과, 바닥판(9)의 주위로부터 세워진 둘레벽(10)과, 둘레벽(10)의 상단에 마련된 천장판(11)을 갖는다. 둘레벽(10)의 전방면 하부에는, 원수 용기(4)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12)와,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13)가 마련되어 있다.
원수 송수로(6)의 양수관(6a)의 일단은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착탈하는 조인트부(15)에 접속되고, 양수관(6a)의 타단은 냉수 탱크(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양수관(6a)은, 조인트부(15)보다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조인트부(1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양수관(6a)의 조인트부(15)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7)가 배치되어 있다.
양수관(6a)으로서는,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리콘은 산소의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실리콘을 투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양수관(6a)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양수관(6a)은 금속관(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관이나 구리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양수관(6a)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수관(6a)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온수 순환 시의 내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양수관(6a)으로서 폴리에틸렌 튜브나 내열성 경질 폴리염화 비닐관을 이용하여도, 양수관(6a)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수관(6a)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7)는 양수관(6a) 내의 음료수를 원수 용기(4) 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한다. 펌프(7)로서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펌프는, 도시하지 않는 다이어프램을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용적이 증감하는 펌프실과, 펌프실의 흡입구에 배치되어, 펌프실 내로 유입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흡입측 체크 밸브와, 펌프실의 토출구에 배치되어, 펌프실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토출측 체크 밸브로 이루어진다.
양수관(6a)의 펌프(7)의 토출측에는 유량 센서(16)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센서(16)는, 펌프(7)의 작동 시에 양수관(6a)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수 송수로(6)의 조인트부(15)와 펌프(7) 사이에는, 제1 전환 밸브(17)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조인트부(1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 전환 밸브(17)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1 전환 밸브(17)는 조인트부(15)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제1 전환 밸브(17)에는, 온수 탱크(3)에 연통하는 제1 바이패스관(18)이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관(18)의 온수 탱크(3)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3)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전환 밸브(17)는, 조인트부(15)와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고 또한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운전 상태(도 1 참조)와, 조인트부(15)와 펌프(7) 사이를 차단하고 또한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도 10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수 송수로(6) 중, 냉수 탱크(2)의 상방에 위치하는 타단부에는, 온수 살균용의 제2 전환 밸브(19)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전환 밸브(19)에는, 온수 탱크(3)에 연통하는 제2 바이패스관(20)이 접속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관(20)의 온수 탱크(3)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3)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바이패스관(20)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관(21)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관(21)의 출구는 플러그(22)로 폐쇄되어 있다. 플러그(22) 대신에 개폐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2 전환 밸브(19)는, 양수관(6a)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고 또한 양수관(6a)과 제2 바이패스관(20)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운전 상태(도 1 참조)와, 양수관(6a)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차단하고 또한 양수관(6a)과 제2 바이패스관(20)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도 10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전환 밸브(17)와 제2 전환 밸브(19)를 각각 단일의 삼방 밸브(three-way valve)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개폐 밸브를 조합하여 동일한 작용을 갖는 전환 밸브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4)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 장치(23)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어,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4)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2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25)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7)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 배플판(24)은,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될 때에, 냉각 장치(23)에서 냉각되어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공급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플판(24)은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수하벽(垂下壁)(26)을 가지고, 이 수하벽(26)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공기를 유지함으로써, 배플판(24)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단열 효과를 높이고 있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27)가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로(27)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28)가 마련되고, 이 냉수 코크(28)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원수 용기(4)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배플판(24)의 중앙에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8)의 상단이 개구하고 있다. 탱크 접속로(8)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측으로부터 온수 탱크(3)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9)가 마련되어 있다. 체크 밸브(29)는,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열대류에 의해 냉수 탱크(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한다.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9)가 부착되어 있어,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39)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band heater)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속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3)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3)의 내부를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3)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30)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31)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31)는, 공기 도입구(32)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33)와, 케이스(33)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34)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34)로서는, 예컨대,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silent discharg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31)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34)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항상, 케이스(33)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공기 도입로(30)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31)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냉수 탱크(2) 내에는, 원수 송수로(6)로부터 보내오는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음료수의 흐름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확산판(35)을 마련함으로써,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공기 중의 오존[공기 살균 챔버(31)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 것]과 넓은 면적으로 닿도록 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위생을 높이고 있다.
탱크 접속로(8)는 온수 탱크(3)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3)의 내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탱크 내 배관(36)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36)의 하단은 온수 탱크(3)의 바닥면 근방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열 장치(39)에서 가열된 고온의 음료수의 상승류가 탱크 내 배관(36)의 하단 개구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에 저장된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37)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로(37)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38)가 마련되고, 이 온수 코크(38)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8)를 지나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40)와, 그 몸통부(40)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41)와, 몸통부(40)의 타단에 어깨부(42)를 통해 마련된 목부(43)를 갖는다. 목부(43)의 외주에는 플랜지(44)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원수 용기(4)가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수 용기(4)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원수 용기(4)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선단에는 캡(45)이 부착되어 있다. 캡(45)의 중앙에는, 원수 용기(4)의 내부를 향하여 목부(4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양단이 개구한 내통(46)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6)은 원수 용기(4)의 내부로 돌출한 수출구(14)를 형성한다. 이 수출구(14)를 막는 마개체(47)가 내통(46)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46)의 내측 둘레면에는, 원수 용기(4)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48)와, 단차부(48)의 소직경측에 연속하는 조임 플랩부(49)와, 단차부(48)의 대직경측에 연속하는 가이드 통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47)는, 원수 용기(4)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내통(46)에 들어맞는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와, 조임 플랩부(49)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면(52)과, 단차부(48)에 걸리도록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53)를 갖는다.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내측 둘레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클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47)의 외주면에는, 바닥을 갖는 통형부(51)를 내통(46)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내통(46)의 단부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 부재(55)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면(52)과 조임 플랩부(49)의 끼워맞춤에 의해 원수 용기(4)의 미개봉 시의 시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걸어 맞춤부(53)가 단차부(48)에 걸림으로써, 신품인 원수 용기(4)의 운반 시에 마개체(47)가 원수 용기(4)의 내부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대향 부재(55)가 내통(46)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신품의 원수 용기(4)의 운반 시에 마개체(47)가 원수 용기(4)의 외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이(5)는, 원수 용기(4)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면판과, 원수 용기(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측면판과, 원수 용기(4)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면판과, 원수 용기(4)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면판을 갖는다. 여기서, 전후의 방향은 워터 서버를 향하여 선 사용자로부터 보아 앞쪽측을 전방, 안쪽측을 후방이라고 하고 있다. 용기 받이(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60)로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60)은, 케이스(1)의 바닥판(9)에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측 레일(61)과, 고정측 레일(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 레일(62)과, 중간 레일(6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측 레일(63)로 이루어진다. 이동측 레일(63)은 용기 받이(5)의 하면판에 고정되어 있다. 용기 받이(5)는, 슬라이드 레일(60)을 구성하는 3개의 레일(61, 62, 63)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케이스(1) 내에 원수 용기(4)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도 2의 위치)와, 케이스(1)로부터 원수 용기(4)가 나가는 인출 위치(도 4의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수 용기(4)는 용기 받이(5)가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용기 받이(5)의 이동 방향(여기서는 후방)으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가 향한 상태로 용기 받이(5)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원수 용기(4)는 목부(43)가 수평을 향한 자세로 되어 있다.
조인트부(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이(5)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로부터 분리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이(5)를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에 접속하도록 케이스(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1)의 도어(13)는 용기 받이(5)와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용기 받이(5)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어(13)를 앞쪽으로 당겨 개구부(12)를 개방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용기 받이(5)가 케이스(1)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도어(13)를 안쪽으로 되밀어 개구부(12)를 폐쇄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용기 받이(5)가 케이스(1) 내에 수용된다.
도어(13)의 하부에는, 케이스(1)의 배치면에 구름 접촉하는 차륜(6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차륜(64)은, 케이스(1)로부터 용기 받이(5)를 인출한 상태로 용기 받이(5)에 하중[예컨대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의 중량이나 사람의 체중 등]이 작용하였을 때에, 그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의 전도를 방지한다. 케이스(1)의 바닥판(9)에는, 차륜(64)을 수납하는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이(5)의 하면판에는,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볼록부(66)가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66)의 상면에는, 볼록부(66)의 정상으로부터 조인트부(15)측으로 내려가는 사면(67)과, 볼록부(66)의 정상으로부터 조인트부(15)와는 반대측으로 내려가는 사면(68)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15)와는 반대측의 사면(68)은 조인트부(15)측의 사면(67)보다 경사가 완만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면(68)의 경사각은 30°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받이(5)의 후방면판에는, 후방면판의 상부 가장자리에 개방하는 절결(70)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70)은, 후방면판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도입부(71)와, 그 도입부(71)의 하측에 연속하여,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는 반원형의 구속부(72)로 이루어진다. 구속부(72)는 목부(43)의 플랜지(44)보다 몸통부(40)측의 부분에 끼워맞춰지고 있다.
구속부(72)는 플랜지(44)의 외직경보다 소직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속부(72)는, 목부(43)의 외주에 끼워맞춰져 목부(43)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원수 용기(4)를 조인트부(15)에 접속할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위치가 조인트부(15)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부(72)는, 플랜지(44)와 걸려 목부(43)를 축 방향에 위치시킴으로써,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조인트부(15)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는, 원통형의 외벽면을 갖는 스트레이트부(73)와, 스트레이트부(73)로부터 외직경을 감소시킨 선단부(74)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다. 조인트부(15)의 축 방향의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73)의 외직경은 조임 플랩부(49)의 내직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부(73)는 조임 플랩부(49)에 억지끼워맞춤된다. 스트레이트부(73)와 가이드 통부(50) 사이에 조임 여유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스트레이트부(73)에는, 내통(46)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원수 용기(4)의 내부로 개구하는 통수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통수 구멍(75)은 조인트부(15)의 하반부의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고, 상반부의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통수 구멍(75)의 전체가 원수 용기(4)의 내부에 개구할 때, 스트레이트부(73)가 조임 플랩부(49)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하도록 끼워맞춰지고 있기 때문에, 시일 효과가 얻어진다. 이때, 스트레이트부(73)가 가이드 통부(50)에 대면하고 있다. 조임 플랩부(49)는, 돌출한 내통(46)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부(73)의 삽입에 의해 조임 플랩부(49)가 직경 방향으로 눌리면, 내통(46)이 원수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직경 확장측으로 쓰러진다. 그 결과, 조임 플랩부(49)의 특히 단차부(48) 부근에서 스트레이트부(73)와의 접촉 압력이 높아져, 우수한 시일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의해, 스트레이트부(73)와 조임 플랩부(49) 사이의 조임 여유를 억제하면서, 스트레이트부(73)의 삽입의 용이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74)는 반구형의 머리를 갖는다. 선단부(74)의 머리 중심에는, 조인트부(15)를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76)의 직경은 1.0 ㎜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74)는, 스트레이트부(73)와의 경계 위치에, 마개체(47)의 클로부(54)가 걸어 맞춰지는 둘레홈형의 턱목(7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통부(50)는 조인트부(15)와 내통(46)의 중심 어긋남이 소정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조인트부(15)의 외측 둘레를 안내한다. 이 안내에 의해, 선단부(74)의 머리가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내측에 들어맞는 위치에 안정되고, 스트레이트부(73)가 조임 플랩부(49)에 끼워맞춰지는 위치에 안정된다. 삽입되는 조인트부(15)의 선단부(74)의 머리가 클로부(54)에 찔러 넣어져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내측에 끼워지면, 턱목(77)에 클로부(54)가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마개체(47)가 선단부(74)에 의해 조인트부(15)로부터 유리하지 않도록 안정된다. 이 상태가 되고 나서, 마개체(47)와 내통(46)이 분리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구멍(75)은 스트레이트부(73)를 조임 플랩부(49)에 삽입하는 도중에 조임 플랩부(49)에 걸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조인트부(15)의 축 방향에서 생각하여, 통수 구멍(75)의 가장 선단부(74)측의 단과, 통수 구멍(75)의 가장 조인트부(15)의 근원측의 단 사이의 거리(d)는 조임 플랩부(49)의 축 방향의 플랩 폭(L)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품인 원수 용기(4)의 내통(46)에 조인트부(15)를 삽입하는 도중에, 통수 구멍(75)이 조임 플랩부(49)에 걸치지 않아,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이 원수 용기(4)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품인 원수 용기(4)와 조인트부(15)를 접속할 때,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으로의 누수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워진다.
예컨대, 통수 구멍(75)을 둥근 구멍으로 하는 경우, 통수 구멍(75)의 내직경이 거리(d)에 상당하기 때문에, d<L로 설정해 두면 좋다. L-d의 차분은, 스트레이트부(73)가 조임 플랩부(49)에 삽입되는 기간을 걸쳐, 조임 플랩부(49)와 스트레이트부(73)의 어딘가에서 전체 둘레에 미치는 시일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조인트부(15) 내로의 원수 취입에 지장이 없는 한, 적절한 크기로 설정하면 좋다. 예컨대, 펌프(7)로 퍼 올리는 경우, 통수 구멍(75)의 유로 단면적을 작게 하여도, 원수를 빨아 들일 수 있기 때문에, d를 5 ㎜ 이하로 설정하여도, 원수 취입성에 지장은 없다. 일반적으로, L은 5 ㎜를 초과하고 10 ㎜ 미만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d를 5 ㎜ 이하로 함으로써,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으로의 누수를 피하는 데 유효한 시일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의 내부의 근원측 바닥면에는, 자외선원(78)이 마련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73)는 자외선 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내통(46)의 내측 둘레면은 스트레이트부(73)를 투과한 자외선원(78)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다. 따라서, 조임 플랩부(49)에서의 잡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에 바람직하지 못한 누수가 생겼다고 해도, 그 간극에서의 잡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조인트부(15)의 내부도 자외선원(78)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다.
자외선원(78)으로서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나 수은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투과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원(78)으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중, 내통(46)을 향하여 직진하지 않는 선을 반사하여 내통(46) 쪽을 향하는 선량을 늘리기 위해, 자외선 반사부(79)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5의 (a)와 같이 자외선원(78)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외선원(78)으로부터의 조사 범위가 한정되기 때문에, 내통(46) 쪽으로 직진하는 자외선을 충분히 얻는 것이 어려워, 자외선 반사부(79)를 채용하는 편이 좋다. 또한, 자외선 반사부(79)는 수은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채용할 수 있다.
조인트부(15)의 내부 중, 내통(46)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 한하여, 자외선 반사부(79)를 마련함으로써, 내통(46)을 향하여 직진하지 않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예컨대, 반구형의 선단부(74)를 채용하는 경우, 자외선 반사부(79)를 선단부(74)의 반구형 내면을 따르도록 마련하면, 내통(46) 쪽을 향하는 선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반사부(79)를 내통(46)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는 부분의 전체 영역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통수 구멍(75)의 형성에 지장이 있는 경우 등은 선단부(74)의 내면에 한하여 자외선 반사부(79)를 마련하면 좋다.
자외선 반사부(79)는, 예컨대, 조인트부(15)를 수지 성형할 때, 금속박을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조인트부(15)의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반사부(79)는 진공 증착이나 도금에 의해 조인트부(15)의 내면에 부착시킨 금속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된 조인트부(15)의 요철면에 금속층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반사부(79)는, 그 요철면을 따른 반사면을 갖기 때문에, 자외선원(78)으로부터 나온 자외선의 난반사를 야기한다. 이 난반사는, 도 5의 (a)와 같이 매끄러운 자외선 반사부(79)에 비하여, 내통(46) 쪽을 향하는 반사광의 선량을 늘리는 데 유효하다.
내통(46) 중, 적어도 가이드 통부(50)를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임 플랩부(49)도 살균하는 편이 좋다. 자외선은 가이드 통부(50)의 단차부(48)의 가까운 측에서 조사량이 최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원(78)이 수은 램프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외선원(78)은 내통(46)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자외선원(78)으로부터,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이나 조임 플랩부(49)로 직진하는 선량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비교하여 많아져, 자외선 반사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5의 (a), (b)와 같이 자외선 반사부(79)를 마련하여도, 반사광의 일부는 단차부(48)에 방해되어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에 도달할 수 없다. 특히 가이드 통부(50)나 단차부(48) 부근에서의 살균성을 요구하는 경우,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은 램프로 이루어지는 자외선원(78)을 조임 플랩부(49)로부터 가이드 통부(50)에 걸치는 범위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는 조인트부(15)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컵부(80)에 고정되어 있다. 컵부(80)는 원수 용기(4)를 향하여 개구하는 바닥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부를 조인트부(15)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컵부(80)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원수 용기(4)를 향하여 직경 확장하는 테이퍼면(81)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81)은, 도 4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를 케이스(1) 내에 수용할 때에, 원수 용기(4)의 목부(43)의 위치가 조인트부(15)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그 목부(43)를 조인트부(15)를 향하여 유도한다.
자외선원(78)의 온·오프 제어는, 워터 서버의 전원 투입 시에 항상 온하여도 좋고, 적절한 타이머 제어, 예컨대 정기적으로 온·오프 전환을 행하여도 좋다. 온·오프 전환은 원수 용기의 교환 시에 자외선이 작업자의 눈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냉수 탱크(2)는 케이스(1)의 상부에 수용되고, 케이스(1)의 둘레벽(10)의 하부에, 원수 용기(4)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12)와,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13)가 마련되며, 도어(13)를 포함하는 둘레벽(10)은 자외선원(78)의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는 벽으로 이루어지고, 조인트부(15)는 케이스(1)의 개구부(12)의 안쪽에서 수출구(14)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수 용기(4)를 케이스(1)의 하부에 수용한 상태는 물론, 원수 용기(4)의 교환 작업 시, 작업자는 개구부(12)의 안쪽 존재하는 조인트부(15)를 눈으로 보기 어려워, 자외선원(78)이 온이어도, 자외선이 작업자의 눈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15)는 개구부(12)의 내부에서 수출구(14)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양태는, 이 실시형태와 같은 고정식의 조인트부(15)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개구부(12)의 안쪽으로 진행하는 용기 받이(5)의 슬라이드 운동이 조인트부(15)의 승강 운동으로 변환되어, 케이스(1)의 개구부(12)의 안쪽에 들어가는 원수 용기(4)의 내통(46)에 조인트부(15)가 삽입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어(13)를 포함하는 둘레벽(10)은, 금속판이나 착색 수지로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원(78)의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통상 운전 상태에 있어서,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코크(28)를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코크(38)를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여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8)를 지나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25)가 검출하면, 펌프(7)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린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또는 온수 탱크(3)의 음료수의 사용에 따라, 원수 용기(4)의 음료수가 점차로 감소하여, 빈 상태가 된다. 원수 용기(4)가 빈 상태가 되면, 펌프(7)가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 송수로(6)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량 센서(16)로 검지하고, 케이스(1)의 정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를 점등시켜, 원수 용기(4)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원수 용기(4)가 빈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원수 용기(4)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13)를 앞쪽으로 당겨, 케이스(1)로부터 용기 받이(5)를 인출한다. 이때, 용기 받이(5)와 일체로 원수 용기(4)가 이동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4)가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15)로부터 뽑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용기 받이(5)로부터 빈 상태의 원수 용기(4)를 취출한다. 그 후,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횡방향의 상태로 용기 받이(5)에 배치한다. 이때,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용기 받이(5)의 절결(70)에 끼워맞춘다. 마지막으로, 도어(13)를 눌러, 케이스(1) 내에 용기 받이(5)를 수용한다. 이때, 용기 받이(5)와 일체로 원수 용기(4)가 이동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4)가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15)에 접속된다.
이 접속의 동안, 상기 워터 서버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구멍(75)이 조임 플랩부(49)에 걸치지 않아, 가이드 통부(50)와 스트레이트부(73) 사이의 간극이 원수 용기(4)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아, 그 간극으로의 누수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간극에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는, 내부의 음료수가 펌프(7)로 퍼 내짐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한다. 이때, 상기 워터 서버는, 용기 받이(5)의 하면판에 볼록부(66)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의 수축의 방식이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원수 용기(4)의 내부의 음료수를 되도록 마지막까지 퍼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4)를 용기 받이(5)에 배치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에 접하는 부분이, 볼록부(66)를 따라 접어 꺽인 상태가 되어, 떠받쳐지지 못한다. 그 때문에, 원수 용기(4)의 내부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 내었을 때에, 원수 용기(4)의 몸통부(40)의 하면판에 접하는 부분이, 원수 용기(4)의 내부의 감압에 의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지도록 변형한다(도 8의 쇄선 참조). 그 결과, 원수 용기(4)가 수축하였을 때에, 하면판을 따른 영역에 음료수가 저장되기 어려워져, 원수 용기(4)의 교환 시의 잔수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받이(5)를 케이스(1)로부터 인출하였을 때, 원수 용기(4)가 원수 송수로(6)의 양수관(6a)의 단부인 조인트부(15)로부터 분리되고, 용기 받이(5)를 케이스(1)에 수용하였을 때, 원수 용기(4)가 조인트부(15)에 접속된다. 즉, 양수관(6a)을 용기 받이(5)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워터 서버는, 양수관(6a)을 짧게 하여, 양수관(6a)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양수관(6a)을 용기 받이(5)의 이동에 추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수관(6a)에 스파이럴 튜브나 플렉시블 튜브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양수관(6a)으로서 경질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양수관(6a)으로서, 산소 배리어성 및 내열성이 매우 우수한 금속관(스테인레스 스틸관, 구리관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정기적으로 살균 운전을 행함으로써 양수관(6a)을 살균하여, 장기간에 걸쳐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살균 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환 밸브(17)를 전환하여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며, 제2 전환 밸브(19)를 전환하여 양수관(6a)과 제2 바이패스관(20) 사이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펌프(7)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제1 바이패스관(18), 제1 전환 밸브(17), 양수관(6a), 제2 전환 밸브(19), 제2 바이패스관(20)을 순서대로 지나, 온수 탱크(3)로 되돌아간다. 즉,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양수관(6a)을 통해 순환한다. 이때, 온수 탱크(3)의 가열 장치(39)를 통전함으로써,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를 살균에 알맞은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양수관(6a)의 내부의 음료수, 양수관(6a)의 내면, 펌프(7)의 내부를 열 살균할 수 있다. 살균 운전이 종료한 후, 펌프(7)를 정지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환 밸브(17)를 전환하여 조인트부(15)와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며, 제2 전환 밸브(19)를 전환하여 양수관(6a)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켜, 통상 운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살균 운전이 종료하고 나서 통상 운전 상태로 되돌아가기 전에, 제1 전환 밸브(17)를 제1 바이패스관(18)과 펌프(7)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운전 상태로 하고, 한편, 제2 전환 밸브(19)를 양수관(6a)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상 운전 상태로 하고, 이 상태로 펌프(7)를 소정 시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양수관(6a)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고온의 음료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양수관(6a)의 제2 전환 밸브(19)와 냉수 탱크(2) 사이의 부분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냉수 탱크(2)에 소정량의 고온의 음료수가 유입되지만, 배플판(24)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교반을 방지하며, 또한 배플판(24)의 수하벽(26)으로 둘러싸인 공기가 배플판(24)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의 전열을 억제하기 때문에,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음료수는 저온으로 유지된다. 이상의 살균 운전을 정기적으로 행함으로써, 통상 운전 시에 상온의 음료수가 흐르는 양수관(6a)을 살균하여, 장기간에 걸쳐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수 용기(4)로서, 전체에 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타입의 것을 채용한 경우, 그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수평을 향하게 하면, 그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 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대하여, 상기 워터 서버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원수 용기(4)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수평을 향하게 하여도, 그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를 펌프(7)로 퍼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용기 받이(5)의 구속부(72)에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가 조인트부(15)에 접속할 때에, 유연성을 갖게 한 원수 용기(4)의 변형에 의해 수출구(14)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양수관(6a)을 조인트부(15)보다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마련하고, 그 양수관(6a)의 조인트부(15)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7)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인트부(15)로부터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를 분리하였을 때에, 양수관(6a)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으로 조인트부(15)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조인트부(15)의 통수 구멍(75)이, 조인트부(15)의 비교적 낮은 부분(하반부의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가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때에도, 그 음료수를 되도록 마지막까지 퍼 낼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15)의 상반부의 영역에 통수 구멍(75)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조인트부(15)로부터 원수 용기(4)를 분리하였을 때에, 조인트부(15)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인트부(15)의 내부의 음료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조인트부(15)의 선단에 관통 구멍(7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15)의 선단부(74)에 마개체(47)가 끼워맞춰질 때에, 마개체(47)와 선단부(74) 사이에 둘러싸이는 공기가 관통 구멍(76)을 지나 조인트부(15)의 내부로 도피한다. 그 때문에, 조인트부(15)의 선단부(74)에 마개체(47)를 원활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여기서, 관통 구멍(76)의 직경을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로 설정하면, 조인트부(15)로부터 원수 용기(4)를 분리하였을 때에, 관통 구멍(76)으로부터 조인트부(15)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물의 표면 장력으로 방지하여, 조인트부(15)의 내부의 음료수가 통수 구멍(75)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조인트부(15)의 주위에, 원수 용기(4)의 목부(43)를 조인트부(15)를 향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면(81)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4)를 조인트부(15)에 접속할 때에, 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워터 서버에서는, 원수 용기(4)의 목부(43)에 플랜지(44)를 형성하였지만, 플랜지(44)는 목부(43)에 장착하는 캡(45)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원수 용기(4)의 목부(43)에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고, 그 목부(43)를 파지하는 클램프 수단을 용기 받이(5)에 마련하고, 그 클램프 수단으로 원수 용기(4)의 수출구(14)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와 같이, 용기 받이(5)를 케이스(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출납하도록 하면, 워터 서버의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지만, 용기 받이(5)를 케이스(1)로부터 출납하는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용기(4)로서, 중공 통형의 몸통부(40)와, 그 몸통부(40)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41)와, 몸통부(40)의 타단에 어깨부(42)를 통해 마련된 목부(43)를 가지고, 그 목부(43)에 캡(45)을 장착한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원수 용기(4)로서, 수출구를 갖는 접속구를 열 용착 등으로 접착한 수지 필름제의 주머니나, 그 주머니를 마분지 상자에 수용한 것(소위 백 인 박스)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기인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4와 같이, 원수 용기의 수출구를 하향으로 배치하여도 좋고, 중력 송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2 냉수 탱크
4 원수 용기
6 원수 송수로
14 수출구
15 조인트부
43 목부
45 캡
46 내통
47 마개체
48 단차부
49 조임 플랩부
50 가이드 통부
51 바닥을 갖는 통형부
52 끼워맞춤면
53 걸어 맞춤부
73 스트레이트부
74 선단부
75 통수 구멍
78 자외선원

Claims (2)

  1. 교환식의 원수 용기(4)와, 이 원수 용기(4)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송수로(6)를 구비하고,
    상기 원수 용기(4)에, 상기 원수 용기(4)의 내부로 돌출한 수출구(14)를 형성하는 내통(46)과, 이 수출구(14)를 막는 마개체(47)를 갖는 캡(45)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 송수로(6)는 상기 수출구(14)에 착탈하는 조인트부(15)를 가지며,
    상기 내통(46)의 내측 둘레면에, 상기 원수 용기(4)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48)와, 이 단차부(48)의 소직경측에 연속하는 조임 벨트부(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체(47)는, 상기 원수 용기(4)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내통(46)에 들어맞는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와, 상기 조임 벨트부(49)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면(52)과, 상기 단차부(48)에 걸리도록 상기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53)를 가지고,
    상기 조인트부(15)는, 상기 조임 벨트부(49)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스트레이트부(73)와, 상기 바닥을 갖는 통형부(51)의 내측에 들어맞아 상기 마개체(47)를 안정시키는 선단부(74)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레이트부(73)에, 상기 내통(46)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원수 용기(4)의 내부로 개구하는 통수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수 구멍(75)은, 조인트부(15)의 축 방향에서 생각하여, 상기 조임 벨트부(49)의 축 방향의 벨트 폭(L)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5)의 내부에 자외선원(78)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트레이트부(73)는 자외선 투과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통(46)의 내측 둘레면이 상기 스트레이트부(73)를 투과한 상기 자외선원(78)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는 것인 워터 서버.
KR1020157025339A 2013-03-04 2013-12-02 워터 서버 KR102086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1945 2013-03-04
JP2013041945A JP5529311B1 (ja) 2013-03-04 2013-03-04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3/082349 WO2014136332A1 (ja) 2013-03-04 2013-12-02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109A KR20150127109A (ko) 2015-11-16
KR102086880B1 true KR102086880B1 (ko) 2020-03-09

Family

ID=5117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339A KR102086880B1 (ko) 2013-03-04 2013-12-02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40840B2 (ko)
EP (1) EP2966026A4 (ko)
JP (1) JP5529311B1 (ko)
KR (1) KR102086880B1 (ko)
CN (1) CN105008265B (ko)
TW (1) TWI624631B (ko)
WO (1) WO2014136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182A1 (it) * 2015-04-02 2017-10-01 Alessandro Garini Erogatore di bevande
FR3044653B1 (fr) * 2015-12-08 2017-12-01 10-Vins Installation pour la preparation a la degustation de boisson et procede d'ouverture d'un contenant de boisson a l'aide d'une telle installation
KR20180066579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0354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T519758B1 (de) * 2017-06-26 2018-10-15 Dietmar Gombotz Bbsc Wasserspenderzwischenteil
EP3718129B8 (en) 2017-11-29 2023-07-19 Comet Technologies USA, Inc Retuning for impedance matching network control
US11527385B2 (en) 2021-04-29 2022-12-13 COMET Technologies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capacitors of matching networks
US11114279B2 (en) 2019-06-28 2021-09-07 COMET Technologies USA, Inc. Arc suppression device for plasma processing equipment
US11596309B2 (en) 2019-07-09 2023-03-07 COMET Technologies USA, Inc. Hybrid matching network topology
US11107661B2 (en) 2019-07-09 2021-08-31 COMET Technologies USA, Inc. Hybrid matching network topology
KR20220053547A (ko) 2019-08-28 2022-04-29 코멧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인크. 고전력 저주파 코일들
US11830708B2 (en) 2020-01-10 2023-11-28 COMET Technologies USA, Inc. Inductive broad-band sensors for electromagnetic waves
US11521832B2 (en) 2020-01-10 2022-12-06 COMET Technologies USA, Inc. Uniformity control for radio frequency plasma processing systems
US11887820B2 (en) 2020-01-10 2024-01-30 COMET Technologies USA, Inc. Sector shunts for plasma-based wafer processing systems
US11670488B2 (en) 2020-01-10 2023-06-06 COMET Technologies USA, Inc. Fast arc detecting match network
US11961711B2 (en) 2020-01-20 2024-04-16 COMET Technologies USA, Inc. Radio frequency match network and generator
US11605527B2 (en) 2020-01-20 2023-03-14 COMET Technologies USA, Inc. Pulsing control match network
JP7455370B2 (ja) * 2020-04-02 2024-03-26 アクア株式会社 容器接続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US11373844B2 (en) 2020-09-28 2022-06-28 COMET Technologies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etitive tuning of matching networks
US11923175B2 (en) 2021-07-28 2024-03-05 COMET Technologies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gain tuning of matching networks
US11657980B1 (en) 2022-05-09 2023-05-23 COMET Technologies USA, Inc. Dielectric fluid variable capaci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270A (en) 1991-10-08 1994-12-06 Portola Packaging, Inc. Non-spill bottle cap used with water dispensers
US6921113B1 (en) 1999-05-10 2005-07-26 Casparus Pds B.V.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5335713A (ja) 2004-05-24 2005-12-08 Amekaze:Kk 飲料水供給装置用ボトル容器
JP2011235905A (ja) 2010-05-06 2011-11-24 Sakagami Kogyo Kk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における合成樹脂製ボトルの浮上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855A (en) * 1988-10-14 1994-03-01 Elkay Manufacturing Co. Liquid container support and probe-type hygienic liquid dispensing system
US5232125A (en) * 1991-10-08 1993-08-03 Portola Packaging, Inc. Non-spill bottle cap used with water dispensers
US5868281A (en) * 1995-05-15 1999-02-09 Portola Packaging, Inc. Non-spill bottle cap
FR2769004B1 (fr) * 1997-10-01 1999-12-10 Rical Sa Dispositif de bouchage pour une bonbonne destinee a un distributeur de liquide du type fontaine a eau
US6167921B1 (en) * 1998-10-01 2001-01-02 Oasis Corporation Mounting adapter and related bottle cap for a bottled water cooler
US7081225B1 (en) * 1999-07-20 2006-07-25 Hollander Brad 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fluid using ultraviolet radiation
US6419821B1 (en) * 2000-02-25 2002-07-16 Waterhealth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low cost water disinfection
CN2668018Y (zh) * 2003-12-26 2005-01-05 深圳新世纪饮水科技有限公司 紫外线杀菌饮水机
GB2429452A (en) * 2005-08-27 2007-02-28 Ebac Ltd Bottle cap and valve assembly for a bottled water station
US20070267100A1 (en) * 2006-05-08 2007-11-22 Spear Gregory N Bottle Cap and Method of Use With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System
JP5235092B2 (ja) 2008-04-11 2013-07-10 株式会社Osgコーポレーション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JP5253085B2 (ja) 2008-07-18 2013-07-31 株式会社ウォーターダイレクト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JP2010089842A (ja) 2010-01-27 2010-04-22 Helthy Water Co Ltd 液体容器用蓋
WO2012098690A1 (ja) 2011-01-20 2012-07-26 株式会社オーケンウォーター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270A (en) 1991-10-08 1994-12-06 Portola Packaging, Inc. Non-spill bottle cap used with water dispensers
US6921113B1 (en) 1999-05-10 2005-07-26 Casparus Pds B.V.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5335713A (ja) 2004-05-24 2005-12-08 Amekaze:Kk 飲料水供給装置用ボトル容器
JP2011235905A (ja) 2010-05-06 2011-11-24 Sakagami Kogyo Kk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における合成樹脂製ボトルの浮上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6332A1 (ja) 2014-09-12
JP5529311B1 (ja) 2014-06-25
US9440840B2 (en) 2016-09-13
EP2966026A4 (en) 2016-07-27
KR20150127109A (ko) 2015-11-16
CN105008265B (zh) 2018-04-10
US20160002020A1 (en) 2016-01-07
JP2014169109A (ja) 2014-09-18
TWI624631B (zh) 2018-05-21
EP2966026A1 (en) 2016-01-13
TW201435279A (zh) 2014-09-16
CN105008265A (zh)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KR102119920B1 (ko) 워터 서버
KR102065202B1 (ko) 워터 서버
KR102068864B1 (ko) 워터 서버
US20150048116A1 (en) Water server
TW201437560A (zh) 開飲機
JP5529310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TWI624632B (zh) 開飲機
TW201420977A (zh) 開飲機
KR20150124975A (ko) 워터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