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380A - 미닫이문 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380A
KR20100045380A KR1020090099236A KR20090099236A KR20100045380A KR 20100045380 A KR20100045380 A KR 20100045380A KR 1020090099236 A KR1020090099236 A KR 1020090099236A KR 20090099236 A KR20090099236 A KR 20090099236A KR 20100045380 A KR20100045380 A KR 2010004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guide
state
shaf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825B1 (ko
Inventor
요시유키 마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10004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同調)시킬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의 덜거덕 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해결수단으로서, 미닫이문 장치(5)는 좌측 미닫이문(51)과, 상하 한 쌍의 가이드 레일(37)과, 좌측 미닫이문(5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키기 위한 동조기구(55)를 구비한다. 동조기구(55)는 상하방향의 축체(131)를 갖고,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는, 장착체(132)를 설치한다.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는, 좌측 미닫이문(51)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접근상태로 되고 좌측 미닫이문(51)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이반상태로 되는 회동체(136)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각 회동체(136)에는, 가이드 레일(37)을 따라 주행하는 피가이드체(137)를 설치한다.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는, 회동체(136)를 접근상태로 되도록 밀어붙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다.
미닫이문, 덜거덕 거림, 동조기구

Description

미닫이문 장치{SLIDING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동조(同調)기구에 의해 미닫이문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킬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의 덜거덕 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1에 기재된 미닫이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미닫이문 장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미닫이문과, 서로 이간(離間)하여 대향하는 상하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과,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키기 위한 동조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동조기구는 미닫이문에 지지체(支持體)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하방향의 축체(軸體)와, 축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수평롤러와, 축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하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삽입 단부(端部)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표 2006-522882호 공보(도 9 등)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미닫이문 장치에서는, 확실하게 동조기구에 의해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킬 수 있지만, 그 동조기구에는, 미닫이문의 덜거덕 거림을 방지하는 기능이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조기구에 의해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킬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의 덜거덕 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여 개구부를 폐쇄하고, 열림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미닫이문과,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하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키기 위한 동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동조기구는 상하방향의 축체와, 이 축체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문에 장착된 장착체와, 상기 축체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이 축체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장착체에 접근한 접근상태로 되고, 상기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장착체로부터 이반(離反)한 이반상태로 되는 회동체(回動體)와, 이 각 회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피(被)가이드체와, 상기 회동체를 접근상태로 되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단(付勢手段)을 갖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에 있어서, 동조기구는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회동체를 접근상태에 위치 결정하고, 상기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회동체를 이반상태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갖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에 있어서, 위치결정수단은 회동체에 형성된 접근상태용 오목부 및 이반상태용 오목부와,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접근상태용 오목부와 결합하고, 상기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이반상태용 오목부와 결합하는 위치결정체와, 이 위치결정체를 상기 회동체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체(付勢體)를 갖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미닫이문 장치에 있어서, 피가이드체는 회동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피가이드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부재(付勢部材)를 갖는 것이다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동조기구는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장착체에 접근한 접근상태로 되고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장착체로부터 이반한 이반상태로 되는 회동체와, 회동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피가이드체와, 회동체를 접근상태로 되 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단을 갖기 때문에, 이 동조기구에 의해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킬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의 덜거덕 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동조기구의 위치결정수단으로,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회동체를 접근상태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회동체를 이반상태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위치결정수단은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접근상태용 오목부와 결합하고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이반상태용 오목부와 결합하는 위치결정체와, 위치결정체를 회동체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체를 갖기 때문에, 이 위치결정수단으로 회동체를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피가이드체가 승강부재, 피가이드부재 및 부세부재를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조기구를 상하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1은 찬장 등의 수납장치로, 이 수납장치(1)는 전면(前面)에 대략 사각형상의 개구부인 전면 개구부(2)를 갖는 동시에 이 전면 개구부(2)를 통하여 피수납물(도시하지 않음)이 출입되는 수납공간부(3)를 내부에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모양의 수납장치 본체(4)와, 이 수납장치 본체(4)의 전 면 개구부(2)를 개폐하는 미닫이문 장치(5)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장치 본체(4)는 상하에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판(上板)(11) 및 하판(下板)(12)을 구비하고 있다. 상판(11)의 좌단부(左端部)와 하판(12)의 좌단부가 좌측판(13)에 연결되고, 상판(11)의 우단부(右端部)와 하판(12)의 우단부가 우측판(14)에 연결되며, 상판(11)의 후단부와 하판(12)의 후단부가 후판(1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판(12)의 하면은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11)의 상면에는, 전후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좌우측 방향 직사각 형상의 전후 한 쌍의 가이드 레일(21, 22)이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레일(21, 22)은 상판(11)의 좌단부로부터 우단부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전측(前側)의 가이드 레일(21)은 후방으로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안내홈부(23)를 갖고, 후측(後側)의 가이드 레일(22)은 전방으로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안내홈부(24)를 갖고 있다.
상판(11)의 상면에서의 양 가이드 레일(21, 22) 사이의 위치에는, 위쪽으로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는 오목(凹)홈 형상의 전후 2개의 상부 가이드 레일(26, 27), 즉 전측의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과, 이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보다 짧은 후측의 상부 후방 가이드 레일(27)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은 좌우측 방향 직사각 형상의 직선 모양 가이드부(28)와, 이 직선 모양 가이드부(28)의 좌우측 방향 양단부에 연설(連設)된 원호 모양 가이드부(29)를 갖고 있다. 상부 후방 가이드 레일(27)은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의 직선 모양 가이드부(28)보다 짧은 좌우측 방향 직사각 형상의 직선 모양 가이드부(30)와, 이 직선 모양 가이드부(30)의 좌우측 방향 양단부에 연설된 원호 모양 가이드부(31)를 갖고 있다.
또한,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의 좌단부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29)가 상판(11)의 좌단부 근방에 위치하며,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의 우단부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29)가 상판(11)의 우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판(11)의 하면 전단부(前端部) 및 하판(12)의 상면 전단부에는, 상하에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좌우측 방향 직사각 형상의 상하 한 쌍의 가이드 레일(36, 37)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가이드 레일(3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 형상의 것으로, 상판(11)의 하면 좌단부로부터 하면 우단부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하측의 가이드 레일(37)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 형상의 것으로, 하판(12)의 상면 좌단부로부터 상면 우단부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1, 22, 36, 37) 및 상부 가이드 레일(26, 27)로, 미닫이문 장치(5)의 안내수단(42)이 구성되어 있다.
미닫이문 장치(5)는 도 1 내지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장치 본체(4)의 전면 개구부(2)를 개폐하는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의 복수, 즉 예를 들면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측 미닫이문(51) 및 우측 미닫이문(5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면 개구부(2)의 완전 폐쇄시에는, 양쪽 미닫이문(문체)(51, 52)이 좌우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좌우 플래트(flat) 상태(즉, 양쪽 미닫이문(51, 52)의 각 전면(前面)이 좌우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고, 전면 개구부(2)의 개구시에는, 양쪽 미닫이문(51, 52)이 전후방향으로 겹쳐서 위치하는 좌우 열림 상태로 된다.
즉, 좌측 미닫이문(51)은 수납장치 본체(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면서 전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닫힘 동작에 의해 닫힘 위치에 위치하여 전면 개구부(2)의 좌측인 좌반부(左半部)를 폐쇄하며, 열림 동작에 의해 열림 위치에 위치하여 전면 개구부(2)의 좌반부를 개구시킨다. 즉, 좌측 미닫이문(51)은 전면 개구부(2)의 완전 폐쇄시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전면 개구부(2)의 좌반부 전방의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도 2 및 도 6 참조), 전면 개구부(2)의 좌반부 개구시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닫힘 위치의 우측 미닫이문(52)의 전방의 열림 위치에 위치한다 (도 8 참조). 또한, 좌측 미닫이문(51)은 열림 동작 초기시 및 닫힘 동작 종기시에만, 평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의 회동에 의해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부터 좌우측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경사자세(우측 끝 근처 전방에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자세 변경한다(도 3 및 도 7 참조).
마찬가지로, 우측 미닫이문(52)은 수납장치 본체(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면서 전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닫힘 동작에 의해 닫힘 위치에 위치하여 전면 개구부(2)의 우측인 우반부(右半部)를 폐쇄하며, 열림 동작에 의해 열림 위치에 위치하여 전면 개구부(2)의 우반부를 개구시킨다. 즉, 우측 미닫이문(52)은 전면 개구부(2)의 완전 폐쇄시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전면 개구부(2)의 우반부 전방의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전면 개구부(2)의 우반부 개구시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닫힘 위치의 좌측 미닫이문(51)의 전방의 열림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우측 미닫이문(52)은 열림 동작 초기시 및 닫힘 동작 종기시에만,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의 회동에 의해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부터 좌우측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경사자세(좌측 끝 근처 전방에 위치하는 경사자세)로 자세 변경한다.
그리고, 각 미닫이문(51, 52)의 상단부 후면에는, 주행유닛인 상부주행유닛(53)이 장착되며, 각 상부주행유닛(53)은 가이드 레일(21, 22) 및 상부 가이드 레일(26, 27)에 주행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미닫이문(51, 52)의 후면 외단부(外端部)(좌측 미닫이문(51)의 후면 좌단부 및 우측 미닫이문(52)의 후면 우단부)에는, 각 미닫이문(51, 52)의 동작시에 각 미닫이문(51, 5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키기 위한 동조기구(55)가 장착되며, 각 동조기구(55)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 레일(36, 37) 사이에 주행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 미닫이문(51)측의 상부주행유닛(53) 및 동조기구(55)와, 우측 미닫이문(52)의 상부주행유닛(53) 및 동조기구(55)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를 뿐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좌측 미닫이문(51)측의 상부주행유닛(53) 및 동조기구(55)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주행유닛(53)은 도 9 내지 도 1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1, 22)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체(56)와, 주행체(56)의 좌단부에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와 전후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상태 사이에서 상하방 향의 전방 축(종축선)(59)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후방향 직사각 형상의 좌측 안내체(57)와, 주행체(56)의 우단부에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와 전후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상태 사이에서 상하방향의 전방 축(종축선)(6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후방향 직사각 형상의 우측 안내체(5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 안내체(57)와 우측 안내체(58)는 서로 평행상으로 배치되고, 평행 상태를 대략 유지한 채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한다.
주행체(56)는 베이스(base)판(61)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판(61)은 좌우측 방향 직사각 모양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수평판부(62)와, 수평판부(62)의 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일체로 돌출한 좌우측 방향 직사각 모양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전방수직판부(63)와, 수평판부(62)의 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일체로 돌출한 좌우측 방향 직사각 모양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후방수직판부(64)를 갖고 있다.
수평판부(62)의 좌측 끝 가장자리는 전단(前端)측에 위치하여 전후방향을 따른 가장자리부분(62a)와 이 가장자리부분(62a)의 후단(後端)에 연설되어 전후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을 따른 가장자리부분(62b)을 갖고, 또 수평판부(62)의 우측 끝 가장자리는 후단측에 위치하여 전후방향을 따른 가장자리부분(62c)과 이 가장자리부분(62c) 전단에 연설되어 전후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을 따른 가장자리부분(62d)를 갖고 있다 (도 14 등 참조).
수평판부(62)의 좌단부 전측에는, 원형 모양의 좌측 구멍부(65)가 형성되고, 좌단부 후측에는, 좌측 구멍부(65)를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 모양의 좌측 긴구멍부(66)가 형성되며, 이 좌측 긴구멍부(66)는 좌측 끝 가장자리의 가장자리부분(62b)에 개구되어 있다. 수평판부(62)의 우단부 전측에는, 원형 모양의 우측 구멍부(67)가 형성되고, 우단부 후측에는, 우측 구멍부(67)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 모양의 우측 긴구멍부(68)가 형성되며, 이 우측 긴구멍부(68)는 우측 끝 가장자리의 가장자리부분(62c)에 개구되어 있다. 수평판부(62)의 좌우 양측에는, 전후방향 직사각 형상의 긴구멍부(69, 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61) 전방수직판부(63)의 좌우측 방향 양단부에는, 전방롤러(71)가 전후방향의 축(7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각 전방롤러(71)는 전측의 가이드 레일(21)의 안내홈부(23) 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회전하면서 그 안내홈부(23)를 따라 주행한다.
또한, 베이스판(61)의 후방수직판부(64)의 좌우측 방향 양단부 및 좌우측 방향 중간부에는, 후방롤러(73)가 전후방향의 축(74)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각 후방롤러(73)는 후측의 가이드 레일(22)의 안내홈부(24) 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회전하면서 그 안내홈부(24)를 따라 주행한다. 후방수직판부(64)의 좌우측 방향 중앙부에는, 결합핀(7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미닫이문(52)에 장착된 후 주행유닛(53)에서는, 결합핀(75)이 전방수직판부(63)의 좌우측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안내체(57)는 전후방향 직사각 형상의 안내본체(81)와, 안내본체(81) 전측에 장착되고 상단측이 안내본체(8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상하방향 전방축(59)과, 안내본체(81)의 후측에 장착되며 상단측이 안내본체(8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상하방향의 후방축(82)을 갖고 있다.
안내본체(81)에는, 좌측 쪽인 외측 쪽을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향의 안내홈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부(83)는 홈 내상면(84), 홈 내하면(85), 안쪽 측의 홈 내측면(86) 및 바깥쪽 측의 홈 내측면(87)을 갖고 있다 (도 12 참조).
좌측 안내체(57)의 전방축(59)은 주행체(56)의 베이스판(61)의 수평판부(62)의 좌측 구멍부(65)에 끼워 삽입되고, 이 전방축(59) 중 좌측 구멍부(65)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상단부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빠짐방지부재(8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측 안내체(57)의 후방축(82)은 주행체(56)의 베이스판(61)의 수평판부(62)의 좌측 긴구멍부(66) 안에 이 좌측 긴구멍부(66)를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켜지고, 이 후방축(82) 중 좌측 긴구멍부(66)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상단부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빠짐방지부재(89)가 장착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부재(89)는 좌측 안내체(57)의 회동시에 수평판부(62)의 좌단부의 상면 위를 슬라이딩한다.
우측 안내체(58)는 예를 들면, 좌측 안내체(57)와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전후방향 직사각 형상의 안내본체(91)와, 안내본체(91)의 전측에 장착되고 상단측이 안내본체(9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상하방향 전방축(60)과, 안내본체(91)의 후측에 장착되고 상단측이 안내본체(9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상하방향의 후방축(92)을 갖고 있다.
안내본체(91)에는, 우측 쪽인 외측 쪽을 향하여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향의 안내홈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부(93)는 홈 내상면(94), 홈 내하면(95), 안쪽 측의 홈 내측면(96) 및 바깥쪽 측의 홈 내측면(97)을 갖고 있다 (도 12 참조).
우측 안내체(58)의 전방축(60)은 주행체(56)의 베이스판(61)의 수평판부(62)의 우측 구멍부(67)에 끼워 삽입되고, 이 전방축(60) 중 우측 구멍부(67)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상단부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빠짐방지부재(9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우측 안내체(58)의 후방축(92)은 주행체(56)의 베이스판(61)의 수평판부(62) 중 우측 긴구멍부(68) 안으로 이 우측 긴구멍부(68)를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켜지고, 이 후방축(92) 중 우측 긴구멍부(68)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상단부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빠짐방지부재(99)가 장착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부재(99)는 우측 안내체(58)의 회동시에 수평판부(62)의 우단부의 상면 위를 슬라이딩한다. 또한, 전방축(59, 60) 및 후방축(82, 92)의 각 하단부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빠짐방지부재(1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주행유닛(53)은 도 6 내지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안내체(57)의 안내홈부(83)를 따라 전후방향(전후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을 포함함)으로 주행하는 복수, 예를 들면 전후 2개의 좌측롤러(102) 및 우측 안내체(58)의 안내홈부(93)를 따라 전후방향(전후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방향을 포함함)으로 주행하는 복수, 예를 들면 전후 2개의 우측롤러(103)를 갖고 좌측 미닫이문(51)이 장착되어 이 좌측 미닫이문(51)을 지지하는 미닫이문 장착체(101)를 구 비하고 있다.
미닫이문 장착체(101)은 베이스판(106)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판(106)은 좌우측 방향 직사각 모양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수평판부(107)와, 수평판부(107)의 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일체로 돌출한 좌우측 방향 직사각 모양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미닫이문 장착부인 전방수직판부(108)와, 수평판부(107)의 좌단부 후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대략 사각형상의 좌측 수직판부(109)와, 수평판부(107)의 우단부 후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의 우측 수직판부(110)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판(106)의 수평판부(107)의 하면의 좌우 양측으로부터는, 상하방향의 롤러용 축(111, 112)이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주행체(56)의 수평판부(62)의 긴구멍부(69, 70)에 삽입 통과시켜져, 이 롤러용 축(111, 112)의 하단부에 수평롤러(113, 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수평롤러(113)는 전측 가이드 레일(26) 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회전하면서 그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을 따라 주행하고, 우측의 수평롤러(114)는 상부 후방 가이드 레일(27) 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회전하면서 그 상부 후방 가이드 레일(27)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베이스판(106)의 전방 수직판부(108)의 좌우 양측에는, 문 매달기 도구(115)가 장착되어, 이 문 매달기 도구(115)를 통하여 좌측 미닫이문(51)이 베이스판(106)의 전방 수직판부(108)에 아래로 향하여 매달린 상태로서 장착되어 있다. 이 문 매달기 도구(115)의 기본적 구성은 예를 들면, 일본특허출원 제2007-114648 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고, 좌우 조정용 나사 및 상하 조정용 나사 등을 갖고 있다.
또한,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전방 수직판부(108)에 문 매달기 도구(115)를 장착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좌측 미닫이문(51)의 상단부에 문 매달기 도구(115)를 장착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베이스판(106)의 좌측 수직판부(109)의 전후방향 양단부에는, 좌측롤러(102)가 좌측 수직판부(109)의 내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좌우측 방향의 축(11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들 전후 2개의 좌측롤러(102)는 좌측 안내체(57) 안에 전후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한 상태로 수납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좌측롤러(102)는 좌측 안내체(57)의 안내홈부(83) 안에 외측 쪽으로 빠지지 않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좌측 미닫이문(51)의 열림 동작 초기시 및 닫힘 동작 종기시에는,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안내홈부(83)를 따라 주행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미닫이문(51)의 열림 동작 초기시에는, 전측의 좌측롤러(102)는 하단이 안내홈부(83)의 홈 내하면(85)에 압접(壓接)한 상태에서 소정방향(도 13 중, 시계회전)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주행하고, 후측의 좌측롤러(102)은 상단이 안내홈부(83)의 홈 내상면(84)에 압접한 상태에서 소정방향(도 13 중, 반시계회전)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주행한다. 또한, 각 좌측롤러(102)는 안쪽 측의 홈 내측면(86)과의 맞닿음에 의해 안쪽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바깥쪽 측의 홈 내측면(87)과의 맞닿음에 의해 바깥쪽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판(106)의 우측 수직판부(110)의 전후방향 양단부에는, 우측롤러(103)가 우측 수직판부(110)의 내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좌우측 방향의 축(117)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 전후 2개의 우측롤러(103)는 우측 안내체(58) 안에 전후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한 상태로 수납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우측롤러(103)는 우측 안내체(58)의 안내홈부(93) 안에 외측 쪽으로 빠지지 않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좌측 미닫이문(51)의 열림 동작 초기시 및 닫힘 동작 종기시에는,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안내홈부(93)를 따라 주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우측롤러(103)는 좌측롤러(102)와 같도록, 예를 들면, 좌측 미닫이문(51)의 열림 동작 초기시에는, 전측의 우측롤러(103)는 하단이 홈 내하면(95)에 압접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주행하고, 후측의 우측롤러(103)는 상단이 홈 내상면(94)에 압접한 상태로 전측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주행하고, 또 안쪽 측의 홈 내측면(96)과의 맞닿음에 의해 안쪽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바깥쪽 측의 홈 내측면(97)과의 맞닿음에 의해 바깥쪽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상부주행유닛(53)은 도 11 및 도 1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체(56)와 미닫이문 장착체(101) 사이에 장착되고 미닫이문 장착체(101)를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부세수단인 인장코일 스프링(121)을 구비하고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121)의 일단부인 전단부가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베이스판(106)의 수평판부(107)의 하면에 장착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121)의 타단부인 후단부가 주행 체(56)의 베이스판(61)의 수평판부(62)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주행체(56)의 베이스판(61)의 수평판부(62)의 상면에는, 좌측 미닫이문(51)의 닫힘 동작 종기시에 인장 코일 스프링(121)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한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속도(좌측 미닫이문(51)의 닫힘 동작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가스 스프링(gas spring) 등의 완충수단(12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완충수단(122)은 본체부(123)와 이 본체부(123) 안에 대하여 출입하는 로드(rod)부(124)를 갖고,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베이스판(106)의 수평판부(107)의 하면에는, 로드부(124)의 선단이 맞닿는 로드수용부재(125)가 장착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후측의 가이드 레일(22)의 안내홈부(24) 안에는, 좌측 미닫이문(51)의 닫힘 동작 종기시 및 열림 동작 종기시 주행체(56)의 결합핀(75)과의 결합에 의해 주행체(56)의 속도(좌측 미닫이문(51)의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완충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측의 가이드 레일(21)의 안내홈부(23) 안에는, 우측 미닫이문(52)의 닫힘 동작 종기시 및 열림 동작 종기시에 주행체(56)의 결합핀(75)과의 결합에 의해 주행체(56)의 속도(우측 미닫이문(52)의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완충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동조기구(55)는 도 17 내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 길이 치수가 좌측 미닫이문(51)의 상하방향 길이 치수와 대략 같은 원통형상 파이프(pipe)로 구성된 상하방향의 축체(131)와, 이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장착체(132)를 갖고 있다. 또한, 축체(131)는 원통형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속이 찬 둥근 축봉(軸棒), 단면 D형의 축봉, 혹은 단면 직사 각형상의 축봉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상측의 장착체(132)는 좌측 미닫이문(51)의 후면 좌단부의 상단부에 고정하여 장착되고, 하측의 장착체(132)는 좌측 미닫이문(51)의 후면 좌단부의 하단부에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다. 좌측 미닫이문(51)의 후면 좌단부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지지체(133)가 고정하여 장착되고, 각 지지체(133)의 구멍부(134)에 축체(131)가 끼워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축체(131)는 장착체(132) 및 지지체(133)를 통하여 좌측 미닫이문(51)의 후면 좌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각 장착체(132)는 예를 들면,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의 것으로, 전면에 장착면(135)을 갖고, 이 장착면이 좌측 미닫이문(51)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동조기구(55)는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이 축체(131)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좌측 미닫이문(51)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선단(先端)측이 장착체(132)에 접근한 접근상태로 되며 좌측 미닫이문(51)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선단측이 장착체(132)로부터 이반한 이반상태로 되는 회동체(136)와, 이 각 회동체(136)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36, 37)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피가이드체(137)와,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각 회동체(136)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대응하는 회동체(136)를 접근상태로 되도록 장착체(132)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수단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138)을 갖고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축체(13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측의 회동체(136)에는, 상측의 가이드 레일(36)에 결합하여 이 가이드 레일(36) 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측의 피가이드체(137)가 설치되고, 또한 축체(13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의 회동체(136)에는, 하측의 가이드 레일(37)에 결합하여 이 가이드 레일(37)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하측의 피가이드체(13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측의 회동체(136) 및 피가이드체(137)와, 하측의 회동체(136) 및 피가이드체(137)는, 상하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를 뿐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하측의 회동체(136) 및 피가이드체(137)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38)은 모두 축체(131)의 단부 외주측에 배치되어, 각 비틀림 코일 스프링(138)의 일단측이 장착체(132)에 맞닿아 타단측이 회동체(136)에 맞닿고 있다.
회동체(136)는, 도 18 내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착체(132)보다 약간 긴 대략 사각형 판 형상의 것으로, 기단부(基端部)가 축체(131)의 상하방향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에 피가이드체(137)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체(136)의 기단부 둘레면에는, 도 20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볼(ball)형상의 일부와 끼워 맞추는 형상을 이루는 동일 형상의 접근상태용 오목부(141) 및 이반상태용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근상태용 오목부(141) 및 이반상태용 오목부(142)는 축체(131)의 축심(軸芯)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假想圓) 위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또한, 회동체(136)는 상하에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수평 모양의 상하 한 쌍의 대향판부(143)를 선단부에 갖고, 각 대향판부(143)에는 관통구멍(144)이 상하면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가이드체(137)는 회동체(136)의 선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방향을 따른 축 형상의 승강부재(146)와, 승강부재(146)의 상하방향 단부인 하단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37)과 결합하여 이 가이드 레일(37)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주행하는 피가이드부재(147)와, 승강부재(146)를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37)측인 아래쪽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148)을 갖고 있다. 승강부재(146)는 회동체(136)의 양쪽 대향판부(143)의 관통구멍(144)에 삽입 통과시킨 축부(149)와, 이 축부(149)의 상단부에 설치된 빠짐방지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149)의 하단부에 피가이드부재(147)가 장착되며, 또한 승강부재(146)의 축부(149) 중 양쪽 대향판부(14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14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조기구(55)는 각 회동체(136) 마다 설치되어, 좌측 미닫이문(51)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대응하는 회동체(136)를 접근상태에 위치 결정하고, 또한 좌측 미닫이문(51)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대응하는 회동체(136)를 이반상태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151)을 갖고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151)은 좌측 미닫이문(51)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접근상태용 오목부(141)와 끼워 맞춤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좌측 미닫이문(51)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이반상태용 오목부(142)와 끼워 맞춤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 형상의 위치결정체(152)와, 이 위치결정체(152)를 회동체(136)의 기단부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체인 압축 코일 스프링(153)을 갖고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153)은 장착체(132)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부(155)에 수납되어, 이 압축 코일 스프링(153)과 회동체(136)의 기단부 사이에 위치결정체(152)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결정체(152)는 그 일부가 수납부(155)의 개구면(155a)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오목부(141, 142)와 결합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미닫이문(51)의 전면 우단부 및 우측 미닫이문(52)의 전면 좌단부에는, 손잡이(12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장치(1)의 작용 등을 설명한다.
도 2, 도 6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장치 본체(4)의 전면 개구부(2)의 완전 폐쇄시에는, 양쪽 미닫이문(51, 52)은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닫힘 위치에 위치하여 좌우 플래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좌측 안내체(57) 및 우측 안내체(58)는 모두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좌측 안내체(57)의 후방축(82)은 좌측 긴구멍부(66)의 좌단에 위치하며, 우측 안내체(58)의 후방축(92)은 우측 긴구멍부(68)의 좌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수평롤러(113, 114)는 상부 가이드 레일(26, 27)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29, 31)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동조기구(55)에 관하여는, 도 18 내지 도 2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회동체(136)가 볼 형상의 위치결정체(152)의 일부와 접근상태용 오목부(141)와의 결합에 의해 소망의 접근상태에 위치 결정되며, 또한 상하의 피가이드체(137)의 피가이드부재(147)가 가이드 레일(36, 37)과 결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수납장치 본체(4)의 전면 개구부(2)의 좌반부(左半部)를 개구시키는 경우, 조작자는 손잡이(128)를 파지하여 인장 코일 스프링(121)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좌측 미닫이문(51)을 앞으로 당긴다.
그러면, 도 3, 도 7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미닫이문(51)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하여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부터 좌우측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한다.
즉, 상부 주행유닛(53)의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수평롤러(113, 114)이 상부 가이드 레일(26, 27)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29, 31)를 따라 주행함으로써, 미닫이문 장착체(101, 126)가 좌측 미닫이문(51)과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한다.
이 때, 정지상태의 주행체(56)에 대하여 좌측 안내체(57)가 전방축(59)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축(82)이 좌측 긴구멍부(66)를 따라 이동하도록 우측방향으로 회동하여,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좌측롤러(102)가 그 회동 중의 좌측 안내체(57)의 안내홈부(83)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하며, 또한 정지상태의 주행체(56)에 대하여 우측 안내체(58)가 전방축(60)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축(92)이 우측 긴구멍부(68)를 따라 이동하도록 우측방향으로 회동하여,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우측롤러(103)가 그 회동 중의 우측 안내체(58)의 안내홈부(93)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한다. 이 때문에, 미닫이문 장착체(101)는 좌측 미닫이문(51)의 중량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우의 롤러(102, 103)의 회전에 의해 좌우의 안내체(57, 58)를 따라 전방으로 부드럽게 주행하여,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원활한 움직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동조기구(55)의 상하의 회동체(136)가 장착체(132)에 대하여 축체(131)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위치결정체(152)의 일부가 압축 코일 스프링(153)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접근상태용 오목부(141) 안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어서, 조작자는 손잡이(128)를 파지한 채, 좌측 미닫이문(51)을 우측으로 민다. 그러면, 도 4, 도 8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미닫이문(51)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하여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복귀한 후, 열림 위치까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양쪽 미닫이문(51, 52)이 전후방향으로 겹치는 좌우 열림상태로 되고, 전면 개구부(2)의 좌반부가 개구된다.
즉,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수평롤러(113, 114)가 상부 가이드 레일(26, 27)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29, 31) 및 직선 모양 가이드부(28, 30)를 따라 주행함과 아울러 주행체(56)가 가이드 레일(21, 22)을 따라 주행하며, 또한 동조기구(55)의 피가이드부재(147)가 가이드 레일(36, 37)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미닫이문 장착체(101, 126)가 좌측 미닫이문(51)과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한 후,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주행중의 주행체(56)에 대하여 좌측 안내체(57)가 원래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로 될 때까지 좌측방향으로 회동하고,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좌측롤러(102)가 그 회동 중의 좌측 안내체(57)의 안내홈부(83)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하며, 또한 주행 중의 주행체(56)에 대하여 우측 안내체(58)가 원래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태로 될 때까지 좌측방향으로 회동하고,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우측롤 러(103)가 그 회동 중의 우측 안내체(58)의 안내홈부(93)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한다. 이 때문에, 미닫이문 장착체(101)는 좌측 미닫이문(51)의 중량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우의 롤러(102, 103)의 회전에 의해 좌우의 안내체(57, 58)를 따라 전방으로 부드럽게 주행하여,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원활한 움직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동조기구(55)에 의해 좌측 미닫이문(51)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조되어, 좌측 미닫이문(51)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같이 이동한다. 그리고, 좌측 미닫이문(5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21 내지 도 2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회동체(136)는 볼 형상의 위치결정체(152)의 일부와 이반상태용 오목부(142)와의 결합에 의해 소망의 이반상태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전면 개구부(2)의 좌반부를 폐쇄하는 경우는, 좌측 미닫이문(51)을 조작하여 닫힘 동작을 행하게 하고, 이 닫힘 동작 종기시에는, 상술한 열림 동작 초기시와 마찬가지로, 미닫이문 장착체(101)는 좌우의 롤러(102, 103)의 회전에 의해 좌우의 안내체(57, 58)를 따라 후방으로 부드럽게 주행하여,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원활한 움직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면 개구부(2)의 우반부(右半部)를 개폐하는 경우는, 우측 미닫이문(52)을 조작하면 좋다.
그리고, 이러한 수납장치(1)에 따르면, 좌우의 동조기구(55)는 미닫이문(51, 52)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장착체(132)에 접근한 접근상태로 되고 미닫이문(51, 52)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장착체(132)로부터 이반한 이반상태로 되는 상하의 회동체(136)와, 각 회동체(136)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36, 37)을 따라 주행하는 상하의 피가이드체(137)와, 회동체(136)를 접근상태로 되도록 밀어붙이는 상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38)을 갖기 때문에, 이 동조기구(55)에 의해 미닫이문(51, 52)의 동작시에 미닫이문(51, 5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시킬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51, 52)의 덜거덕 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미닫이문(51, 52)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51, 52)을 열림 위치까지 적절하게 열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동조기구(55)의 위치결정수단(151)으로 미닫이문(51, 52)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회동체(136)를 접근상태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미닫이문(51, 52)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회동체(136)를 이반상태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미닫이문(51, 52)의 덜거덕 거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조기구(55)의 피가이드체(137)가 승강부재(146), 피가이드부재(147) 및 압축 코일 스프링(148)을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미닫이문(51, 52)을 수납장치 본체에 조립할 때 등에, 미닫이문(51, 52)에 장착한 동조기구(55)를 상하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36, 37) 사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동조기구(55)의 축체(131)는 미닫이문(51, 52)의 후면에 장착체(132) 및 지지체(133)를 통하여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축체(131)에 무리한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아, 축체(131)의 비틀림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치 본체(4)의 하판(12)의 하면과 바닥면 등의 피재치면(被載置 面) 사이에 공간이 불필요하여, 수납공간부(3)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수납장치 본체(4)를 매달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판(12)의 하면에 금속이 노출하지 않아 외관이 좋다.
또 한편, 주행체(56)에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좌측 안내체(57) 및 우측 안내체(58)와, 좌측 안내체(57)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좌측롤러(102) 및 우측 안내체(58)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우측롤러(103)를 갖는 미닫이문 장착체(101)를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미닫이문(51, 52)의 열림 동작 초기시 및 닫힘 동작 종기시에,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원활한 움직임을 얻을 수 있어, 미닫이문(51, 52)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좌측롤러(102)는 좌측 안내체(57)의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안내홈부(83) 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회전하면서 그 안내홈부(8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고,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우측롤러(103)는 우측 안내체(58)의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안내홈부(93) 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회전하면서 그 안내홈부(9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좌측롤러(102) 및 우측롤러(103)가 안내홈부(83, 93) 안으로부터 외측 쪽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또한 좌측롤러(102) 및 우측롤러(103)의 회전 주행에 의해 미닫이문 장착체(101)의 더욱 원활한 움직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미닫이문(51), 미닫이문(52)을 구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1개의 미닫이문 혹은 3개 이상의 미닫이문을 구비한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26)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29)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후방 가이드 레일(27)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31)보다 큰 곡률반경의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원호 모양 가이드부(29)의 곡률반경을 원호 모양 가이드부(31)의 곡률반경의 5∼7.5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레일(26, 27)이 원호 모양 가이드부를 갖지 않고, 예를 들면 좌우측 방향 직사각형 형상의 직선 모양 가이드부와, 이 직선 모양 가이드부의 좌우측 방향 양단부에 연설된 전후방향으로 약간 직사각형 형상의 전후 가이드부를 갖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미닫이문(51, 52)은 좌우측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경사자세로는 되지 않고, 항상 좌우측 방향을 따른 자세로 열림 동작 및 닫힘 동작을 행한다.
동조기구(55)는 예를 들면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장착체(132)와, 축체(131)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이 축체(131)를 중심으로 하여 이 축체(131)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136)와, 이 각 회동체(136)에 설치된 피가이드체(137)를 갖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조작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28)를 좌측 미닫이문(51)의 전면 좌단부 및 우측 미닫이문(52)의 전면 우단부에 설치한 구성 등이라도 좋고, 또한 예를 들면, 미닫이문(51, 52)의 전면에 오목형상의 손잡이를 형성한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5(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51, 52) 의 닫힘 동작 종기시에, 상부 주행유닛(53)의 완충수단(122)과 협동하여 미닫이문(51, 52)의 닫힘 동작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가스 스프링 등의 완충수단(댐퍼(damper)장치)(161)을 동조기구(55)의 하측의 회동체(136)에 설치한 구성이라도 좋다. 완충수단(161)은 하측의 회동체(136)에 고정 설치된 본체부(162)와, 이 본체부(162) 안에 대하여 출입하는 로드부(16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수단(161)의 로드부(163)는 미닫이문(51, 52)의 닫힘 동작 종기시에 피맞닿음부인 측판(13, 14)의 내면에 맞닿아 그 내면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본체부(162) 안으로 서서히 들어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미닫이문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치의 위쪽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수납장치의 개구부의 완전 폐쇄시의 위쪽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수납장치의 좌측 미닫이문의 열림 동작 초기시의 위쪽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수납장치의 개구부의 개구시의 위쪽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수납장치의 개구부의 완전 폐쇄시의 아래쪽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수납장치의 개구부의 완전 폐쇄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수납장치의 좌측 미닫이문의 열림 동작 초기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수납장치의 개구부의 개구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수납장치 상부주행유닛의 위쪽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아래쪽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배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개구부의 완전 폐쇄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좌측 미닫이문의 열림 동작 초기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상부주행유닛의 개구부의 개구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수납장치의 동조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동조기구의 회동체의 접근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동조기구의 회동체의 접근상태일 때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동조기구의 도 19의 A-A단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동조기구의 회동체의 이반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동조기구의 회동체의 이반상태일 때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동조기구의 도 22의 B-B단면도이다.
도 24는 상부 전방 가이드 레일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의 곡률반경을 상부 후방 가이드 레일의 원호 모양 가이드부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a) 및 (b)는 완충수단을 하측의 회동체에 마련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개구부인 전면 개구부
5 : 미닫이문 장치
36, 37 : 가이드 레일
51 : 미닫이문인 좌측 미닫이문
52 : 미닫이문인 우측 미닫이문
55 : 동조기구
131 : 축체
132 : 장착체
136 : 회동체
137 : 피가이드체
138 : 부세수단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
141 : 접근상태용 오목부
142 : 이반상태용 오목부
146 : 승강부재
147 : 피가이드부재
148 : 부세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
151 : 위치결정수단
152 : 위치결정체
153 : 부세체인 압축 코일 스프링

Claims (4)

  1. 닫힘 위치에 위치하여 개구부를 폐쇄하고, 열림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미닫이문과,
    서로 이간(離間)하여 대향하는 상하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과,
    상기 미닫이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조(同調)시키기 위한 동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동조기구는
    상하방향의 축체(軸體)와,
    이 축체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문에 장착된 장착체와,
    상기 축체의 상하방향 양단부에 이 축체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장착체에 접근한 접근상태로 되고, 상기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장착체로부터 이반(離反)한 이반상태로 되는 회동체와,
    이 각 회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피(被)가이드체와,
    상기 회동체를 접근상태로 되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조기구는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회동체를 접근상태에 위치 결정하고, 상기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회동체를 이반상태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위치결정수단은
    회동체에 형성된 접근상태용 오목부(凹部) 및 이반상태용 오목부와,
    미닫이문이 닫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접근상태용 오목부와 결합하고, 상기 미닫이문이 열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이반상태용 오목부와 결합하는 위치결정체와,
    상기 위치결정체를 상기 회동체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가이드체는
    회동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피가이드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측으로 향하여 밀어붙이는 부세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장치.
KR1020090099236A 2008-10-23 2009-10-19 미닫이문 장치 KR101162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73179 2008-10-23
JP2008273179A JP2010101058A (ja) 2008-10-23 2008-10-23 引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380A true KR20100045380A (ko) 2010-05-03
KR101162825B1 KR101162825B1 (ko) 2012-07-05

Family

ID=4227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236A KR101162825B1 (ko) 2008-10-23 2009-10-19 미닫이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01058A (ko)
KR (1) KR101162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27B1 (ko) * 2010-06-30 2012-05-25 이영일 방풍자동도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5922A (ja) * 2014-08-08 2014-1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Δς変調器及び通信装置
KR101674346B1 (ko) * 2016-03-31 2016-11-08 정용일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KR102132173B1 (ko) * 2019-01-22 2020-07-10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가스실린더의 가스공급장치용 캐비닛
CN110439434A (zh) * 2019-08-23 2019-11-12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家具用稳定开闭结构
KR200491563Y1 (ko) * 2019-08-28 2020-04-27 주식회사 골드밀러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991Y2 (ja) * 1990-04-14 1997-10-15 松下電工株式会社 蝶 番
JP3426217B2 (ja) 2001-01-31 2003-07-14 オーリス株式会社 引き違い戸装置
JP3594240B2 (ja) * 2001-04-10 2004-11-24 オーリス株式会社 引き違い戸装置
JP3504645B2 (ja) * 2001-10-29 2004-03-08 オーリス株式会社 引き違い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27B1 (ko) * 2010-06-30 2012-05-25 이영일 방풍자동도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825B1 (ko) 2012-07-05
JP2010101058A (ja)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25B1 (ko) 미닫이문 장치
JP2005023615A (ja) 引戸の戸閉装置
WO2006011294A1 (ja) 引戸の戸閉装置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JPH0377918B2 (ko)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KR101183724B1 (ko) 미닫이 장치
JP2017048502A (ja) 引き違い戸装置
JP4634335B2 (ja) フラット引戸装置
JPH0710345U (ja) フラップ扉の扉水平保持装置
JP2017031793A (ja) 引戸装置
KR10087910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5495755B2 (ja) 窓用開閉調節器
JP6461669B2 (ja) 揺動窓のロック操作装置
JP3773004B2 (ja) 保管庫
JP6662964B2 (ja) 引き戸装置
CN215255485U (zh) 一种家具折叠门的铰链辅助装置
JP3242334B2 (ja) スイング引き戸
JP5288582B2 (ja) 引き違い戸装置
JP2008267077A (ja) 軸受装置
JPH0649787Y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抽斗の二重引出し防止装置
JP3557923B2 (ja) スイング引き戸
JP6108638B2 (ja) 引き違い戸装置
JP3596319B2 (ja) スイング引き戸
JP3551021B2 (ja) スイング引き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