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692A -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692A
KR20100044692A KR1020090078204A KR20090078204A KR20100044692A KR 20100044692 A KR20100044692 A KR 20100044692A KR 1020090078204 A KR1020090078204 A KR 1020090078204A KR 20090078204 A KR20090078204 A KR 20090078204A KR 20100044692 A KR20100044692 A KR 2010004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shaft support
base frame
support bracket
mobil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442B1 (ko
Inventor
윤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랙스
Priority to KR102009007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2Adaptations of bearings or couplings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72Loading or unloading skips
    • B65G2812/0681Loading or unloading skips by reciprocating skips along guiding means
    • B65G2812/069Loading or unloading skips by reciprocating skips along guiding means for vertical shaft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모빌랙의 하부에 배치되며 수직벽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중앙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회전축 지지브라켓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랙바퀴와,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의 바깥 외주변으로 비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설치부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회전축 지지브라켓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에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전동모빌랙, 구동부, 회전축, 회전축 지지브라켓, 회전축 지지구조

Description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Structure For Supporting Shift In Electric Mobile Rack}
본 발명은 물류를 수납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 지지브라켓 베어링 설치부의 돌출부가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회전축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베어링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은 산업 발전에 따라 물류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물품을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각종시설 등에 장착되어 공간 절약, 환경 개선, 작업능률 증대와 같은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모빌랙은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대별되는데, 이동식 모빌랙은 복수의 레일 상부를 이동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 위에 결합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대차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하는 수동식과 전기를 이용하는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전동 모빌랙은 규모가 큰 물류관리를 행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전동 모빌랙은 대차에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장착하여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므로 이동작동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1은 종래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는 전동모빌랙(10)의 하부 베이스프레임(20)에 설치되며 중앙에 베어링(4)이 장착되는 회전축 지지브라켓(3)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과, 상기 회전축(5)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랙바퀴(6)와, 상기 회전축(5)이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의 베어링(4)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은 타원형의 형태로 주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베어링(4)을 장착하여 전동모빌랙(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에 볼트(3a)와 너트(3b)로 체결고정되어 상기 회전축(5)과 랙바퀴(6)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회전축 지지브라켓(3)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수직벽부(21)에 볼트(3a)와 너트(3b)의 체결만으로 장착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납프레임의 하중과 물류 하중이 무거울 경우 하중의 지지가 어렵고 심할 경우에는 베어링(4)이 파손되거나 또는 주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지지브라켓(3)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축 지지브라켓 베어링 설치부의 돌출부가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축을 통해 베어링과 회전축 지지브라켓에 가해지는 하중을 베이스프레임이 흡수하도록 구성하여 회전축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바퀴의 회전운동이 원활하면서도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모빌랙의 하부에 배치되며 수직벽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중앙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회전축 지지브라켓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랙바퀴와,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의 바깥 외주변으로 비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설치부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회전축 지지브라켓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에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따르면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베어링 설치부의 돌출부가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축을 통해 베어링과 회전축 지지브라켓에 가해지는 하중을 베이스프레임이 흡수하여 회전축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바퀴의 회전운동이 원활하면서도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긴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는 전동모빌랙(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수직벽부(21)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과, 중앙에 베어링(40)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설치되는 회전축 지지브라켓(30)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0)과, 상기 회전축(50)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랙바퀴(60)와, 상기 회전축(50)이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베어링(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33)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의 바깥 외주변으로 비드부(35)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32a)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돌출부(32a)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직벽부(21)에는 소정의 크기로 관통공(22)이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공(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은 중앙에 축공(33)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의 바깥 외주변으로 비드부(35)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32a)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몸체(31)는 금속판을 소재로 사각의 판상체 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은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축공(33)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3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의 내경은 베어링(4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의 바깥 외주변으로는 비드부(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비드부(35)는 베어링 설치부(32)의 바깥 외주변에 형성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비드부(3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32a)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밀착되어 삽입되어 가해지는 하중이 베이스프레임(20)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32) 중앙에는 회전축(30)이 삽입되는 축공(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31)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23)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32)에는 베어링(40)이 수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삽입공(22)에 상기 베어링 설치부(32)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34)과 볼트공(23)을 통해 볼트(36)와 너트(37)로 체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삽입공(22)에 상기 베어링 설치부(32)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에 수용된 베어링(40)에는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랙바퀴(60)가 설치된 회전축(50)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동모빌랙(10) 베이스프레임(20)의 수직벽부(21)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22)과 다수의 볼트공(2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중앙에 축공(33)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의 바깥 외주변으로 비드부(35)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32a)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돌출부(32a)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베어링 설치부(32)에 베어링(4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베어링(40)에 랙바퀴(60)가 설치된 회전축(50)을 회전 가능하 도록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베어링 설치부가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축을 통해 베어링과 지지브라켓에 가해지는 하중을 베이스프레임이 흡수 분산시켜줌으로써 베어링과 회전축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베어링과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랙바퀴의 회전운동이 원활하면서도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긴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동모빌랙 20 : 베이스프레임
21 : 수직벽부 22 : 삽입공
23 : 볼트공 30 : 회전축 지지브라켓
31 : 몸체 32 : 베어링 설치부
33 : 축공 34 : 체결공
35 : 비드부 36 : 볼트
37 : 너트 40 : 베어링
50 : 회전축 60 : 랙바퀴

Claims (3)

  1. 전동모빌랙(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수직벽부(21)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과, 중앙에 베어링(40)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설치되는 회전축 지지브라켓(30)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0)과, 상기 회전축(50)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하는 랙바퀴(60)와, 상기 회전축(50)이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베어링(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축공(33)을 형성하면서 일측에서 내측으로 함몰시켜 베어링 설치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의 바깥 외주변으로 비드부(35)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32a)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에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돌출부(32a)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의 비드부(35)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브라켓(30)은 중앙에 축공(33)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함몰되어 베어링 설치부(32)를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설치부(32)에 의해 구성되는 돌출부(32a)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KR1020090078204A 2009-08-24 2009-08-24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KR10101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04A KR101018442B1 (ko) 2009-08-24 2009-08-24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04A KR101018442B1 (ko) 2009-08-24 2009-08-24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692A true KR20100044692A (ko) 2010-04-30
KR101018442B1 KR101018442B1 (ko) 2011-03-02

Family

ID=4221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04A KR101018442B1 (ko) 2009-08-24 2009-08-24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501B1 (ko) * 2021-05-18 2021-09-28 정연국 전동 모빌랙용 대차
KR102306479B1 (ko) * 2021-05-18 2021-09-28 정연국 모빌랙용 일체형 대차프레임
KR102306489B1 (ko) * 2021-05-18 2021-09-28 정연국 모빌랙용 전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32Y1 (ko) * 1998-12-09 2001-04-02 손정보 전동모빌랙의 하부대차 구동장치
KR100674003B1 (ko) 2005-09-26 2007-01-25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의 대차 어셈블리
KR100844179B1 (ko) * 2006-12-05 2008-07-04 이춘기 컨베이어용 롤러의 베어링 시일장치
KR200439544Y1 (ko)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501B1 (ko) * 2021-05-18 2021-09-28 정연국 전동 모빌랙용 대차
KR102306479B1 (ko) * 2021-05-18 2021-09-28 정연국 모빌랙용 일체형 대차프레임
KR102306489B1 (ko) * 2021-05-18 2021-09-28 정연국 모빌랙용 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442B1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442B1 (ko) 전동모빌랙 구동부의 회전축 지지구조
WO2016136608A1 (ja) 自在キャスター
KR101220119B1 (ko)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KR101457990B1 (ko) 모빌랙
KR101704981B1 (ko) 모빌랙용 대차
WO2014013753A1 (ja) 自在キャスター
CN202245852U (zh) 一种复合回转支承
CN202265347U (zh) 起重机
JP2005192952A (ja) 移動棚
CN211695637U (zh) 一种超洁净擦拭布烘干机
JP5644407B2 (ja) 直動装置のボール掬い上げ構造
JP2009063145A (ja) コロ支承
JP2006051861A (ja) 運搬台車
CN103545755A (zh) 电缆放线车的轨道换向装置
JP2014237371A (ja) 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200449821Y1 (ko) 전동모빌랙 대차용 비임 체결브라켓
KR20220000558U (ko)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CN102689585B (zh) 驱动轮轭
KR200359213Y1 (ko) 모노레일형 운반 대차
KR20110098313A (ko) 차량의 공기조화기용 전동식압축기의 마운팅구조
JP2015116851A (ja) 搬送台車
CN213225193U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加工翻转装置
CN212579904U (zh) 一种建筑施工用钢筋运输装置
CN218431313U (zh) 一种工具小车
CN211168422U (zh) 一种可移动式物流货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