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243A - 오버캡 - Google Patents

오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243A
KR20100044243A KR1020107004882A KR20107004882A KR20100044243A KR 20100044243 A KR20100044243 A KR 20100044243A KR 1020107004882 A KR1020107004882 A KR 1020107004882A KR 20107004882 A KR20107004882 A KR 20107004882A KR 20100044243 A KR20100044243 A KR 2010004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vercap
finger
blade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시 우치다
무쓰시 히라노
히로미쓰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9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169067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7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rupturing a portion of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65D51/224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the outer closure comprising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8Upper closure of the 43-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27NO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메이커 제조의 컵 음료에 대해 시일커버에 탭이나 공기 입구를 용이하고 조용하고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음용시의 마우스피스로서 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컵형 용기용 오버캡을 제공한다. 상단 개구부를 시일커버로 닫은 시일용기에 장착하여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시일용기용의 오버캡(1a)으로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시일용기에 장착하는 오버캡 본체(6)와 상기 오버캡 본체에 힌지(10)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버캡 본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절개부재(7,8)를 갖고, 상기 절개부재(7,8)는 날부재(24)와 상기 날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손가락걸이 부재(25)를 갖고, 또한 절개부재를 둘러싸서 보호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오버캡{OVER-CAP}
이 발명은 음료를 수용하는 컵형 용기에 장착하여 그 개봉을 할 때에 사용하는 오버캡에 관한 것이다.
점포에서 조정한 뜨거운 커피 등의 뜨거운 음료를 점포에서 구입해서 가지고 돌아갈 때 사용하는 컵형 용기에서는, 손님의 주문마다 컵에 뜨거운 커피를 붓고, 이것에 컵 위로부터 간단한 커버캡을 씌우고, 고객에게 건네진다.
이 간단한 커버캡에는, 가장자리부에 탭(tap)과 공기 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손님은 커버캡을 컵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탭을 통해 내용물을 음용한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음료 메이커가 공장에서 조정, 판매하는 컵 음료에서는, 음료 메이커가 음료를 컵에 충전하고, 보존성, 위생성을 유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컵의 상단을 필름형상의 커버재로 시일하여 출하한다. 이 컵 음료도 컵의 상면에 시일커버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캡을 장착하여 시일커버를 덮지만, 이 시일커버를 벗기지 않고 오버캡의 위로부터 컵내의 음료를 마시는 것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2004-123155호 일본특허출원2007-023506호
그러나 점포 판매용 컵용의 커버캡을 공장 조정 음료용의 컵용 오버캡으로서 그대로 전용할 수 없다. 이것을 시일커버를 갖는 컵으로 전용하면, 탭을 형성할 때의 시일커버 개구시에 캡의 떼어벗김, 및 재설치가 필요하고, 별도로 개구 기구가 필요하게 되기도 한다. 또한, 공장 조정 음료용 컵의 경우는 컵 상단에 시일커버가 존재하므로, 마실 때는 시일커버를 개구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내용물이 뜨거운 고온 음료나 유색 음료의 경우는, 내용물이 개구 조작시의 진동으로 물결쳐 컵의 밖으로 넘쳐 나오는 사고를 막기 위해서, 시일커버를 개구시키는 동작을 특히 조용하게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커버를 절개하여 탭을 형성하는 개구구(開口具)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지만, 이들 개구구에서는 컵 상단에 장착한 오버캡에 커터가 힌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고, 이 커터가 스윙하고 시일커버와 접촉하여 절개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일커버에는 내용품의 주출성 향상을 위한 공기를 도통시키는 공기구멍의 필요도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개구부를 크게 형성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생겨, 그 결과, 탭 형성을 위한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새로운 오버캡의 제안도 행하였다(특허문헌 2).
이 새롭게 제안된 오버캡은 절단날을 갖는 절개부재를 천판(天板)에 힌지 결합시켜 구비하고 있고, 손가락걸이 부재(finger-hooking member)를 조작하여 절개부재를 시일커버에 밀어넣어 절개하고 유출구나 공기구멍을 개구시키는 것으로,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유출구나 공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어, 안전성도 높은 것이다.
그러나, 이 새롭게 제안된 오버캡은, 종래의 오버캡에 대해서 개구 조작성의 점 등에서 뛰어난 효과를 갖지만, 조작의 순서나 방법이 소비자에게 전해지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출구나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고, 구조도 간단하며, 구매자가 절개부재의 구조를 본 것만으로, 그 조작 방법도 추측하여, 이해하기 쉬운 오버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대응하여, 이 발명의 오버캡은,
상단 개구부를 시일커버로 닫은 시일용기에 장착하여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시일용기용의 오버캡으로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시일용기에 장착 가능하고, 천판(天板)의 일부에 천공(穿孔)이 형성되어 있는 오버캡 본체와, 상기 오버캡 본체에 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천공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버캡 본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절개부재를 갖고,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날부재(blade member)와, 상기 날부재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돌출되어 있는 손가락걸이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절개부재를 변위시켜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한 경우에, 오버캡 본체의 천판과 절개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액체 또는 공기의 유통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오버캡은, 상단 개구부를 시일커버로 닫은 시일용기에 장착하여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시일용기용의 오버캡으로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시일용기에 장착 가능하고, 천판의 일부에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오버캡 본체와, 상기 오버캡 본체에 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천공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버캡 본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절개부재를 갖고,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날부재와, 상기 날부재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돌출되어 있는 손가락걸이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절개부재를 변위시키고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한 경우에, 오버캡 본체의 천판과 절개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액체 또는 공기의 유통구멍이 되어,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하방으로 내려서 있는 벽형상의 리브를 갖고 상기 천판에 지탱되어 절개부재가 상기 천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단의 위치가 상기 리브의 하단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상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오버캡은,
상하방향의 상단 개구부를 시일커버로 닫은 시일용기에 장착하여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시일용기용 오버캡으로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시일용기에 장착 가능한 부착 가장자리부와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가리는 상기 상하방향에 대략 수직인 천판을 갖는 커버부를 갖고,
상기 커버부에는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에는 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천판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천공을 통과하여 회동 가능한 절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의 상기 힌지쪽 기초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른 입설벽(立設壁)과 상기 입설벽에 그 선단부 근방이 연이어 접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힌지에 연이어 접하고 있고, 상기 절개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는 각각 상기 용기의 중심선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동시에,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상기 천공내에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바깥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액체 또는 공기가 유통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부재를 갖지만, 그 절개부재는 날부재 외에, 날부재에 고정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가지므로, 날부재의 조작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탭,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다. 절개부재는 오버캡 본체와 일체이므로 오버캡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절개동작에 있어서 손가락걸이 부재는 천공에 이르지만, 그것을 조작하는 손가락은 천공 속에까지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천공의 크기를 그만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액체 통로의 크기를 과대하게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뜨거운 음료 등에 있어 유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날부재의 상방으로 돌출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갖는 경우는, 날부재의 조작이 한층 용이하다.
청구항 2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날부재가 천판의 상방으로 나와 있고, 또한 날부재의 상방으로 돌출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가지므로, 날부재의 조작이 한층 용이하다.
청구항 3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날부재로서 시일커버를 자르는 것이 가능한 자름날부재와, 시일커버를 찌르기 가능한 찌름날부재와, 시일커버를 눌러 자르는 것이 가능한 누름날부재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탭이나 공기구멍의 특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날부재를 오버캡 본체에 연속하는 힌지로서 라인형상 힌지 또는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스프링 형상 힌지를 이용하므로, 탭이나 공기구멍의 특징에 따라 날부재의 움직임을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자름날부재를 라인형상 힌지로 연결하고, 찌름날부재를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스프링 형상 힌지로 연결했으므로, 각각의 날부재에 최적의 움직임을 줄 수 있다.
또한, 날부재를 2개 또는 1개 사용하는 경우는, 탭이나 공기구멍의 특징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탭과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다.
청구항 6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천판의 천공의 가장자리와 손가락걸이 부재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액체 또는 공기의 유통로가 형성되게 되므로 뜨거운 커피와 같은 고온 액체에 대해서는 유량 제한을 할 수 있어 안전하다.
청구항 7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손가락걸이 부재에 형성한 관통구멍이 액체 또는 기체의 통로가 되므로 유량 제한이 한층 용이하다.
청구항 8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걸어멈춤용 요철이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의해서 절개 후의 절개부재의 위치 결정을 하므로, 마시는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천판보다 상방으로 융기하는 융기부를 천판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일주(一周)하여 형성하고, 절개부재는 융기부보다 위로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융기부가 가드(guard)가 되어 절개부재에 대한 오조작 등이 일어나기 어렵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 청구항 8에 기재한 오버캡을 보다 지장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서 청구항 11에 기재한 오버캡에 있어서, 스트랩 형상 힌지에 의해서 찌름날부재를 부착한 경우에, 시일용기에 오버캡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찌름날부재의 예리한 선단이 시일커버를 향하여 가장 가까워진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점포 등에서 오버캡을 시일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온하여, 시일용기를 시일커버가 부푼 상태에서 낙하시켜 버리거나, 시일용기가 거꾸로 되어 내용물이 시일부재를 눌러 외측으로 팽출시킨 상태에서 시일용기를 낙하시켜 버리는 등 시일부재가 찌름날의 선단에 가까워진 상태가 출현한 경우는, 낙하시의 충격에 의해,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스프링 형상 힌지가 동작하여, 부주의하게 찌름날부재가 시일부재에 찔려, 개구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런데, 청구항 9에 기재한 개량형의 오버캡에서는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이 통상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찌름날의 선단 위치와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높은 보호리브를 오버캡 내면의 스트랩 형상 힌지의 스트랩 기초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시일커버와 찌름날부재의 접촉을 회피하고, 시일커버가 부주의하게 개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인형상 힌지에 의해서 절개부재인 자름날부재를 오버캡 본체에 부착한 경우에, 절개동작시에 있어서의 자름날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 라인을 시일커버에 접근하여 설치하면 절개부재에 의한 절개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힌지 라인의 설치 위치를 낮게 하면(시일커버측에 가까이하면), 힌지 라인이 시일커버에 의해 근접하게 된다. 그런데, 힌지 라인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에 견디기 어렵고, 특히 힌지 라인에 낙하시의 충격이 집중(응력 집중)하면 힌지 라인의 파단을 초래하기 쉽다. 또한 낙하시에 내용액의 중력이 시일커버를 사이에 두고 힌지 라인에 작용해도 힌지 라인의 파단의 우려가 있다.
그런데 청구항 9에 기재한 개량형의 오버캡에서는 힌지 라인의 주위에 배치한 보호리브에 의해 시일커버와 자름날부재의 접촉을 회피하여, 힌지 라인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리브는 천공의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 혹은 전체 둘레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경우는, 절개부재와 시일커버와의 접촉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라인형상 힌지 또는 찌름날부재를 둘러싸서 보호리브를 형성하는 경우는, 그것들과 시일커버와의 접촉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부재를 갖지만, 그 절개부재는 절단날이 형성된 절단날 유지부재 외에, 날부재에 고정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갖고, 그것이 용기의 중심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했으므로, 절개부재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는 일 없이, 종래품과 같이, 날부재의 조작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탭, 공기구멍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절개부재는 오버캡 본체와 일체이므로 오버캡을 형성할 때의 구조도 간단화된다. 사용자는 손가락걸이 부재를 밀어 눕힐 방향을 추측하여 이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시일커버의 절개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천판의 둘레가장자리에 솟아오른 유출 안내벽부에 근접하여 탭이 되는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내용물의 음용이 극히 용이하다. 사용자는 손가락걸이 부재를 밀어 눕힐 방향을 추측하여 이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시일커버의 절개 조작이 용이하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오버캡은, 손가락걸이 부재가 눕는 각도는 90° 이하이므로, 손가락걸이 부재의 밀어 눕히기가 용이한 동시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유출 안내벽부가 절단날 및 손가락걸이 부재를 가드하고, 또한 절개전에는 날부재를 시일커버로부터 떼어놓아, 날부재가 시일커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절단날은 천공과 유출 안내벽부와의 근접점에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절개되는 시일커버의 구멍과 천공의 선단이 정합(整合)하여, 내용물의 유출이 원활하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복귀방지 스토퍼에 의해서 천공내에서 절개부재의 자세가 유지되므로, 음용시에 절개부재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천공내에 들어간 손가락걸이 부재가 절단날 유지부재를 위로부터 가리게 되는 경우는, 개구 후, 음용시의 오버캡의 외관을 기능적이나 모양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스토퍼편이 천공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내뻗어져 있어 천공에 이른 손가락걸이 부재와 간섭하므로, 손가락걸이 부재가 천공과 면일치가 되는 위치가 확보되어, 내용물의 유출구의 형상이 일정하고 안정된 상태가 되므로, 내용물의 주출류가 안정된다.
또한, 유출 안내벽이 싱글 월 구조가 되고 있는 경우는, 탭으로서의 입에 닿는 느낌이 양호해지고, 또한, 주출시의 액체 고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융기부가 절개부재를 가드하므로, 절개부재의 파손부를 막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절단날 유지부재의 하면에 공기 도입구멍 형성 절단날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동작으로서 절단날 부재를 밀어 눕혔을 때에, 동시에 스플래시 방지용 공기 도입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시일커버를 찌르는 것이 가능한 찌름날부재를 갖는 공기구멍 형성부재를 가지므로,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고, 내용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찌름날부재에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찌름날부재를 시일커버에 찌른 채로도 컵내로의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찌름날부재의 공기 유통로의 상단의 출입구는 바깥쪽으로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플래시 현상이 발생해도, 안전하게 압력을 방출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찌름날부재가 판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사점(上死点)과 하사점(下死点)의 어느 한쪽에 위치결정되므로, 찌름날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절개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보강리브가 설치되었으므로, 절개부재의 강성이 높아져, 손가락걸이 부재의 움직임을 날끝에 양호하게 전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손가락걸이 부재에 손가락걸이표시 마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절개동작을 틀림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한 오버캡에서는,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부재를 갖지만, 그 절개부재는 절단날이 형성된 절단날 유지부재 외에, 날부재에 고정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갖고, 그것이 용기의 중심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했으므로, 절개부재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는 일 없이, 종래품과 같이, 날부재의 조작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탭, 공기구멍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절개부재는 오버캡 본체와 일체이므로 오버캡을 형성할 때의 구조도 간단화된다. 사용자는 손가락걸이 부재를 밀어 눕힐 방향을 추측하여 이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시일화의 절개 조작이 용이하다.
도 1은 절개전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b-b부 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절개부재(7)의 X방향 시시도 및 Y방향 시시도, (d)는 저면도.
도 2는 절개 후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저면도.
도 3은 절개전의 오버캡의 사시도.
도 4는 절개전의 오버캡을 컵형 용기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절개전의 다른 오버캡의 사시도.
도 6은 절개전의 다른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저면도.
도 7은 절개 후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저면도.
도 8은 절개전의 다른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9는 절개 후의 다른 오버캡을 컵형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0은 절개 후의 다른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1은 절개전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2는 절개 후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3은 미절개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4는 절개전의 다른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저면도.
도 15는 컵형 용기에 장착한 절개전의 다른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6은 컵형 용기에 장착한 절개 후의 다른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
도 17은 오버캡을 컵형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오버캡의 종단면도.
도 19는 오버캡의 평면도.
도 20은 오버캡의 저면도.
도 21은 오버캡의 정면도.
도 22는 오버캡의 배면도.
도 23은 오버캡의 우측면도.
도 24는 오버캡의 좌측면도.
도 25는 오버캡의 종단면도.
도 26은 절개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의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27은 오버캡의 절개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종단면도.
도 28은 오버캡의 절개동작시의 종단면도.
도 29는 다른 오버캡을 컵형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다른 오버캡의 평면도
도 31은 다른 오버캡의 저면도.
도 32는 다른 오버캡의 정면도.
도 33은 다른 오버캡의 배면도.
도 34는 다른 오버캡의 우측면도
도 35는 다른 오버캡의 좌측면도
도 36은 다른 오버캡의 종단면도.
도 37은 다른 오버캡의 절개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종단면도, (d)는 공기구멍 형성부재의 종단면도, (e)는 공기구멍 형성부재의 사시도.
도 38은 다른 오버캡의 절개부재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 설명도.
도 39는 다른 오버캡의 절개부재를 비스듬하게 측방에서 본 사시 설명도.
도 40은 다른 오버캡의 개봉 조작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b-b부 단면도.
도 41은 다른 오버캡의 개봉 조작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b-b부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42는 다른 오버캡의 개봉 조작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b-b부 단면도.
도 43은 다른 실시형태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44는 다른 실시형태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45는 다른 실시형태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46은 다른 오버캡의 평면도
이하,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1a는 이 발명의 오버캡이고, 오버캡(1a)은 컵형 용기(2)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컵형 용기(2)의 상단부는 플랜지(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은 개방하여 개방개구(4)가 되어 있고, 그 개방개구(4)는 플랜지(3)에 히트시일된 필름형상의 시일커버(5)로 닫혀져 있다. 이 시일커버 (5)가 이 발명에 있어서의 절개의 대상이다.
오버캡(1a)은 컵형 용기(2)에 장착 가능한 오버캡 본체(6)와 그 오버캡 본체 (6)에 힌지(10)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절개부재(7)로 이루어져 있다. 오버캡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오버캡 본체(6)는 컵형 용기(2)의 상단부를 가리는 커버부(11)와 이 커버부 (11)를 컵형 용기(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가장자리부(12)를 어깨부(13)를 사이에 두고 오버캡 본체(6)의 중심선(14) 방향으로 동심형상으로 연속시켜 갖는다. 커버부(11)는 통 형상의 통부(15)와 그 상단을 닫는 천판(16)을 갖는다.
부착 가장자리부(12)는 중심선(14) 둘레로 반지름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걸어멈춤부(17)를 갖고, 이 걸어멈춤부(17)가 오버캡 본체(6)가 컵형 용기(2)에 장착한 경우에 어깨부(13)와 협동하여 컵형 용기(2)의 플랜지(3)를 끼워 넣어, 플랜지(3)와 오버캡 본체(6)를 고정시킨다.
이 때, 어깨부(13)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콘택트 링이나 핀 등의 시일부재가 플랜지(3)의 상면과 액밀하게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캡 (1a)과 컵형 용기(2)와의 액밀한 장착이 실현되어 있다.
오버캡 본체(6)는 중앙 위치에 천판(16)의 상방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18)을 갖고, 또한 움푹 들어간 부분(18)을 둘러싸서 중심선(14) 주위로 일주(一周)하는 제방 형상으로 융기하고 있는 통부(1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융기부(21)를 갖는다. 융기부(21) 근처의 움푹 들어간 부분(18)의 저면을 이루는 천판(16)에 액체 유통구멍(22)과 공기 유통구멍(23)이 설치되어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체 유통구멍(22), 공기 유통구멍(23)은 컵형 용기(2)내의 내용액을 유통시키는 구멍 또는 숨쉬기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구멍으로서 이용하는 구멍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유통구멍(22)과 공기 유통구멍(23)은 모두 미리 개구상태로 형성되고, 또한 절개부재(7,8) 또는 절개부재(9)로 닫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개부재(7,8,9)는 모두 시일커버(5)를 절개하기 위한 부재이지만, 이 중 절개부재 (7)는 시일커버(5)를 잘라 절개하는 기능을 주로 갖고, 절개부재(8)는 시일커버(5)를 찔러 절개하는 기능을 주로 갖고, 절개부재(9)는 시일커버(5)를 눌러 자르는 것에 의해서 절개하는 기능을 주로 갖는 것이다.
절개부재(7)는 날부재(24)와 손가락걸이 부재(25)를 가지고 있다. 날부재 (24)의 종류로서는, 시일커버(5)를 잘라 개구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서 갖는 자름날부재(41)와 시일커버(5)를 찔러 개구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서 갖는 찌름날부재(42)와 시일커버(5)를 눌러 잘라 개구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서 갖는 누름날부재(47)가 있지만, 이 절개부재에서는 자름날부재(41)를 가지고 있다. 자름날부재(41)는 판 형상으로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고, 선단에 첨예한 날끝(43)을 갖는다.
자름날부재(41)는 거의 액체 유통구멍(22)과 근사한 형상을 이루고,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자름날부재(41)는 액체 유통구멍(22)내에서 액체 유통구멍(22)을 막은 상태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18)의 저면과 거의 면일치한 상태로 위치한다. 자름날부재(41)는 자름날(44)을 그 양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이 자름날부재(41)의 선단의 날끝(43) 및 측 가장자리의 자름날(44)이 시일커버(5)를 거의 수직으로 찌르거나 또는 잘라, 시일커버(5)를 개구시킨다.
날부재(24)의 기초단부에는 손가락걸이 부재(25)의 기초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손가락걸이 부재(25)는 판 형상을 이루고, 날부재(24)에 대해서 각 θ의 각도를 이루어 고정되어 있다. θ의 크기는 30°∼90°이다. 이러한 각도는 시일커버가 용기내가 감압이 되거나 움푹 패였을 때 등에 있어서도 날부재의 선단이 거의 수직으로 시일커버(5)와 접촉하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손가락걸이 부재(25)의 위가장자리에는 필요에 따라서 손가락걸이 요철(26)이 형성된다. 이 손가락걸이 부재(25)의 위가장자리는 날부재(24)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날부재(24)와 손가락걸이 부재(25)와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보강용의 리브(30)가 설치된다. 절개부재(7)는 라인형상 힌지(27)에 의해서 오버캡 본체(6)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다. 라인형상 힌지(27)는 오버캡 본체(6)상의 고정 위치에 선형상으로 절개부재(7)의 상대회전중심(28)을 갖는 힌지이다. 상대회전중심(28)은 오버캡(1a)의 재료를 얇은 두께로 하여 형성한다.
오버캡 본체(6)의 중심선(14)을 사이에 두고 절개부재(7)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 다른 절개부재(8)가 융기부(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절개부재(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커버(5)를 찔러 절개하는 기능을 주로 갖는 절개부재이고, 절개부재(8)는 원형의 공기 유통구멍(23)과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날부재 (24)와 핸들부재(32)를 갖는다. 날부재(24)로서는, 시일커버(5)를 찔러 개구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서 갖는 찌름날부재(42)를 사용한다.
찌름날부재(42)는 바늘 형상으로 하단이 예리한 첨단으로 이루어지는 날끝 (33)이 되어 있다. 찌름날부재(42)는 상단부에서 핸들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부재(32)는 누름 버튼 형상이고, 찌름날부재(4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핸들부재(32)는 스트랩 형상 힌지(34)에 의해서 오버캡 본체(6)에 가동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스트랩 형상 힌지(34)는 도 1(e)에 확대평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 중심(36) 둘레로 소정의 각도(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20°)의 범위에 배치된 폭이 좁은 가요성의 끈 형상의 3개의 스트랩{35(35a,35b,35c)}을 갖고, 각각의 스트랩 (35a,35b,35c)의 외측단이 공기 유통구멍(23)의 가장자리가 되고 오버캡 본체(6)의 천판(16)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측단에서 핸들부재(3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핸들부재(32) 내지 찌름날부재(42)는 스트랩(35)의 휨에 의해서 가요의 범위에서 힌지 중심(36)의 방향으로 오버캡 본체(6)에 대해서 상대직선 변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버캡(1a)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내용물이 충전되어 시일커버(5)에 의해서 상단의 개방개구(4)가 닫혀진 상태의 컵형 용기(2)의 상단에 오버캡(1a)이 장착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컵형 용기(2)의 상단에 오버캡(1a)을 얹고, 조금 아래로 누르면, 오버캡(1a)의 부착 가장자리부(12)의 걸어멈춤부(17)가 어깨부(13)와의 사이에 컵형 용기(2)의 플랜지(3)를 액밀하게 끼워 장착된다.
다음에 컵형 용기(2)의 시일커버(5)에 유출구(37)를 절개하는 동작으로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재(7)의 손가락걸이 부재(25)를 손가락으로 잡고 앞으로 액체 유통구멍(22)을 향해서 당기면, 손가락걸이 부재(25)와 일체가 되어 있는 날부재(24){절단날부재(41)}가 변위 이동하여 액체 유통구멍(22)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힌지 중심선(14)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한다. 오버캡 본체(6)의 아래에는 시일커버(5)가 있으므로, 자름날부재(41)의 선단의 날끝(43) 및 양측의 자름날(44)이 시일커버(5)를 절개하여 간극이 유출구(37)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날부재 끝단면의 돌기와 구멍 끝단면의 요철이 걸어맞춤하여 당겨 눕힘이 종료되면 클릭감이 생겨 종료한다.
이어서 시일커버(5)에 공기구(空氣口)(38)를 절개하는 동작으로서는, 다른 절개부재(8)의 버튼형상의 핸들부재(32)를 아래로 누르면, 스트랩 형상 힌지(34)의 각 스트랩{35(35a,35b,35c)}이 휘어 변형되어 늘어나, 날끝(33)의 변위가 허용되고, 날끝(33)은 힌지 중심(36)의 방향으로 직선변위하여 시일커버(5)를 향하여 하강하고, 날끝(33)이 시일커버(5)를 찔러 개구시킨다. 핸들부재(32)를 누르는 손가락을 떼면 스트랩 형상 힌지(34)의 탄성적 복원에 의해, 날끝(33)이 시일커버(5)로부터 빠져나와, 공기구(38)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시일커버(5)에 유출구(37), 공기구(38)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컵형 용기를 기울이면 컵형 용기(2)내의 내용물은 유출구(37)로부터 액체 유통구멍(22)을 통해 유출되므로, 이것을 음용할 수 있다. 숨쉬기용 공기는 공기 유통구멍(23), 공기구(38)를 통해 유입된다.
스트랩 형상 힌지(34)는 스트랩(35) 대신에 도 30에 도시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판스프링 형상 힌지{판스프링 지지부재(53)}으로 바꿔 놓아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버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부터 도 7에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1b)이 도시되어 있다. 오버캡(1b)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1a)과는 상이하게 절개부재 (7)의 손가락걸이 부재(25b)의 손가락걸이 요철(26b)이 2개의 요철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걸이 요철(26b)이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핸들부재(25b)에 대한 손가락걸기가 한층 용이하게 된다.
도 8부터 도 9에는,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1c)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오버캡(1c)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1a)과는 상이하게 절개부재(7)의 날부재(24c)와 손가락걸이 부재(25c)를 고정 연결하는 보강용의 리브(30)가 각각의 기초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도 10부터 도 13에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1d∼1g)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오버캡(1d)은 시일커버(5)에 형성하는 유출구(37)와 공기구(38)를 형성하는 절개부재로서, 주로 시일커버(5)를 자르는 기능을 갖는 날부재 (24)를 라인형상 힌지(27)로 오버캡 본체(6)에 연결한 형식의 절개부재(7)를 2개 구비하고, 유출구(37)도 공기구(38)도 절개부재(7,7)로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오버캡(1e)은 시일커버(5)에 유출구(37)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재로서 시일커버(5)를 주로 눌러 자르는 절개부재(9)를 사용하는 것이다. 절개부재(9)는 원형의 액체 유통구멍(22)과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날부재(24)와 핸들부재(32)를 갖는다. 날부재(24)로서는 시일커버(5)를 눌러 잘라 개구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서 갖는 누름날부재(47)를 사용한다.
누름날부재(47)는 하단의 절단날(48)을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누름날부재(47)는 핸들부재(32)의 아래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부재(32)는 누름 버튼 형상이고, 누름날부재(47)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핸들부재(32)는 스트랩 형상 힌지(34)에 의해서 오버캡 본체(6)에 가동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컵형 용기(2)에 유출구(37)를 절개하는 동작으로서는, 절개부재(9)의 핸들부재(32)를 아래로 눌러 내리면 스트랩 형상 힌지(34)의 휨에 수반하여 하방으로 직선 변위하고, 절단날(48)이 시일커버(5)를 눌러 잘라 절개하여, 유출구(37)가 개구된다. 눌러 잘려진 시일커버(5)의 절편은 속이 빈 절단날(48) 또는 핸들부재(32)내에 유지된다. 핸들부재(32)를 눌러 내리고 있는 손가락의 힘을 제거하면 스트랩 형상 힌지(34)의 탄성 복원에 의해, 절단날(48) 및 핸들부재(32)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오버캡(1f)은 시일커버(5)에 유출구(37)만을 절개하고, 그 유출구(37)에 숨을 쉬기 위한 공기구(38)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하여, 그것을 위한 절개부재로서 라인형상 힌지(27)로 연결되는 절개부재(7)를 1개만 설치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오버캡(1g)도 시일커버(5)에 유출구(37)만을 절개하고, 그 유출구(37)에 숨쉬기를 위한 공기구(38)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하여, 그것을 위한 절개부재로서 스트랩 형상 힌지(34)로 연결하는 절개부재(9)를 1개만 설치한 것이다.
도 14부터 도 16에는 이상 설명한 오버캡(1a∼1g)에 대해서 개량을 더한 개량형의 오버캡(1h)이 도시되어 있다.
즉 오버캡(1h)은 천판(16)에 액체 유통구멍(22), 공기 유통구멍(23)이 개구 상태로 형성되어, 그 액체 유통구멍(22), 공기 유통구멍(23)내에 배치된 절개부재 (7), 절개부재(8)에 의해서 닫혀진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지만, 액체 유통구멍(22)의 가장자리의 둘레 중 전체둘레 혹은 중심선(14) 가까이의 약 반 둘레 부분에서는, 천판(16)으로부터 높이 h1의 벽형상의 보호리브(51)가 내려 설치되어 있다.
절개부재(7)는 라인형상 힌지(27)에 의해서 보호리브(51)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힌지 중심(36)의 높이 위치는 천판(16)보다 높이 h1만큼 낮아져 있고 보호리브(51)의 하단과 같은 높이에 있다.
한편, 공기 유통구멍(23)의 둘레가장자리에서는 천판(16)으로부터 높이 h2의 벽형상의 보호리브(52)가 설치되어 있다. 절개부재(8)는 스트랩 형상 힌지(34)에 의해서 천판(16)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것이지만, 보호리브(52)의 하단의 높이 위치는 찌름날부재(42)의 하단의 날끝(33)과 같은 높이 위치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버캡(1h)에서는, 절개동작시에 있어서의 자름날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라인형상 힌지(27)를 시일커버(5)에 접근하여 배치한 경우에도 라인형상 힌지(27)의 주위에 배치한 보호리브(51)에 의해 컵형 용기(2)가 낙하한 경우 등에 내용물의 중량에 눌려 변형된 시일커버(5)가 보호리브(51)에 닿아 자름날부재(41)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므로 시일커버(5)와 자름날부재(41)와의 접촉을 작게 하여 라인형상 힌지(27)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찌름날부재(42)에 대해서는, 변형된 시일커버가 보호리브 (52)에 닿아 찌름날부재(42)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므로, 시일커버(5)와 찌름날부재 (42)와의 접촉을 작게 하여 시일커버(5)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메이커 조정의 컵 음료에 대해 시일커버에 탭이나 공기 입구를 용이하게, 조용하게 또한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용시의 마우스피스로서 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컵형 용기 개봉용의 오버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개량된 오버캡(1h)에서는 라인형상 힌지, 찌름날부재를 둘러싸서 보호리브가 형성되므로, 용기가 낙하해도, 시일커버나 힌지의 파손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1i는 이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이고, 오버캡(1i)은 컵형 용기(2)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컵형 용기(2)의 상단부는 플랜지(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은 개방하여 개방개구(4)가 되어 있고, 그 개방개구(4)는 플랜지(3)에 히트시일된 필름형상의 시일커버(5)로 닫혀져 있다. 이 시일커버(5)가 이 발명에 있어서의 절개의 대상이다.
오버캡(1i)은 컵형 용기(2)에 장착 가능한 오버캡 본체(106)와 그 오버캡 본체(106)에 힌지(110)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절개부재(107)를 가지고 있다. 오버캡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성형하는 것이 좋다.
특히 도 19부터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버캡 본체(106)는 컵형 용기 (2)의 상단부를 가리는 커버부(111)와 이 커버부(111)를 컵형 용기(2)에 설치하기 위한 부착 가장자리부(112)를 어깨부(113)를 사이에 두고 오버캡 본체(106)의 중심선(114) 방향으로 동심형상으로 연속시켜 갖는다. 커버부(111)는 통 형상의 통부(115)와 그 하단을 닫는 천판(116)을 갖는다.
부착 가장자리부(112)는 중심선(114) 둘레로 반지름 방향으로 볼록하게 나오는 언더커트 형상의 걸어멈춤부(117)를 갖고, 이 걸어멈춤부(117)가 오버캡 본체 (106)가 컵형 용기(2)에 장착한 경우에 어깨부(113)와 협동하여 컵형 용기(2)의 플랜지(3)를 끼워넣어, 플랜지(3)와 오버캡 본체(106)를 고정시킨다. 이 때, 어깨부 (113)의 하면에는 콘택트 링이나 핀(118)(도 25) 등의 시일부재가 플랜지(3)의 상면과 액밀하게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캡(1i)의 컵형 용기(2)와의 액밀한 장착이 실현되어 있다.
오버캡 본체(106)는 중앙 위치에 천판(116)의 상방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 (121)을 갖고, 또한 움푹 들어간 부분(121)을 둘러싸고 중심선(114) 주위로 일주하여 솟아올라 있는 통부(115)를 갖는다.
천판(116)의 직경 방향의 일단부에 상당하는 가장자리부에는 통부(115)의 유출 안내벽(138)에 근접하여 천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천공(122)은 컵형 용기(2)내의 내용액을 유통시키는 구멍 또는 숨귀기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구멍으로서 이용하는 구멍이다. 천공(122)의 양측에서는 천판(116)이 상방을 향하여 융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23)는 천공(122)으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이 가로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여 음용자의 구강에 흐름을 집중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경사면으로 한 것에 의해, 음용시에 음용자의 코나 입술에 닿지 않는다.
천공(122)내에는 절개부재(107)가 배치되어 있고, 기초단부에서 얇은 두께의 힌지(110)를 사이에 두고 천판(116)에 연결되어 있다.
절개부재(107)는 시일커버(5)를 절개하기 위한 부재이고, 시일커버(5)를 잘라 절개하는 기능을 갖는 갖는다.
절개부재(107)는 힌지(110) 주위로 회동하여 천공(122)을 통해 변위 가능하다.
절개부재(107)는 시일커버(5)를 절개 가능한 날부재(124)와 그 날부재(124)를 돌출시키고 있는 절단날 유지부재(125)와 손가락걸이 부재(126)로 이루어져 있다.
절단날(124)은 절단날 유지부재(125)의 선단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절단날(124)은 예리한 하단을 가지고 있고 시일커버(5)를 절개 가능하다.
절단날 유지부재(125)는 평면에서 보아 천공(122)과 거의 근사한 형상을 이루지만, 크기는 천공(122)보다 약간 작아, 천공(122)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천공 (122)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절단날 유지부재(125)의 상방에 있어 선단부에서 입설벽(174)을 사이에 두고 절단날 유지부재(125)에 고정되어 있고, 이 때 손가락걸이 부재(126)와 절단날 유지부재(125)는 컵형 용기(2)의 중심선과 오버캡 본체(106)의 움푹 들어간 부분(121)의 가장 안쪽 부분에 형성된 천공(122)이 이루는 각도 9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고 있다. 손가락걸이 부재 (126)가 힌지(110) 주위로 회동하여 천공(122)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천공(122)의 선단부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내용물의 유출구(128)를 형성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의 위가 되는 면에는, 조작순서나 조작방법을 도시하는 지표(131)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131)는 요철이나 평면도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자가 시각에 의한 확인 또는 촉각에 의한 확인이 가능하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부재(124)와 절단날 유지부재(125)와 손가락걸이 부재(126)와 입설벽(174)은 보강리브(132,133,134)로 상호의 연결이 보강되어 있다.
오버캡 본체(106)의 통부(115)는 천판(116)의 둘레가장자리를 일주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그 중 천공(122)의 선단에 대면하는 부분(135)과 그 외의 부분(136)과는 구성이 차이가 나고, 천공(122)의 선단에 대면하는 부분은 입에 닿는 마우스피스가 되는 부분이고, 이 부분은 내주면이 다른 부분보다 외측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 물받이 형상이 되어 있는 액체 통로(137)를 갖는 동시에 다른 통부(115)보다 높은 유출 안내벽(138)을 구성하고 있다. 이 유출 안내벽(138)은 속이 꽉 찬 구조의 싱글 월 구조가 되어 있다. 한편, 그 외의 부분(136)은 전체둘레에 걸쳐서 같은 두께이고, 또한 속이 빈 이중구조의 더블 월 구조가 되어 있다.
천공(122)의 측가장자리로부터는 안쪽으로 스토퍼편(141)이 설편(舌片)형상으로 내뻗어져 있다. 이 스토퍼편(141)은 천공(122)에 이른 손가락걸이 부재(126)와 간섭 가능하고, 이 간섭에 의해 손가락걸이 부재(126)가 천공(122)을 빠져나가 컵형 용기(2)측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버캡(1i)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도 27,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재(107)의 손가락걸이 부재(126)를 지표(131)에 따라서 손가락으로 밀어 올리면, 손가락걸이 부재(126) 및 이것과 일체가 된 날부재(124)가 힌지(110)의 주위로 회전하여 하강하고, 날부재(124)가 시일커버(5)를 절개하고 유출구(128)가 개구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가 천공 (122)의 높이와 일치하면 손가락걸이 부재(126)가 천공(122)의 가장자리의 스토퍼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유출구(128)의 개구가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 컵형 용기(2)를 입가에서 기울이면, 내용액은 유출구(128)로부터 유출되어, 천공(122)의 가장자리와 손가락걸이 부재(126)의 바깥가장자리와의 사이의 빈틈을 통해 주출되고, 또한 통부(115)의 물받이 형상의 유출 안내벽(138)의 액체 통로(137)에 안내되어 보내져, 마실 수 있다.
도 29로부터 도 37에는 이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오버캡(1j)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1j)에서는,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 (1i)의 절개부재(107)와는 별도로, 공기 유통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만의 공기구멍 형성부재(15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천판(116)에 원형의 개구(152)가 개설되어 있고, 그 중에 판스프링 지지부재(153)를 사이에 두고 공기구멍 형성부재(151)가 지지되어 있다. 공기구멍 형성부재(151)는 정수리부에 누름 버튼부(154)를 갖고, 누름 버튼부(154)의 하면으로부터, 찌름 바늘(155)이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찌름 바늘(155)은 하단에 시일커버(5)를 찔러 개구 가능한 예리한 절단날(15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찌름 바늘 (155)의 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누름 버튼부(154)의 바로 아래까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은 공기 유통로(157)를 구성한다. 공기 유통로(157)의 상단부는 닫히고 옆쪽을 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찌름 바늘(155)을 속이 비게 하고, 그 속이 빈 부분을 공기 유통로(157)로 할 수도 있다.
판스프링 지지부재(153)는 양단이 얇은 두께의 힌지(161)를 갖고 지지부재 (153) 자체가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천판(116)과 공기구멍 형성부재 (15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버캡(1j)에 있어서의 공기구멍 형성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절개부재(107)에 의한 개구부의 형성과는 별도의 조작으로 공기구멍을 형성한다. 이 공기구멍을 형성하면, 그곳으로부터 공기가 유통되므로 절개부재(107)에 의한 개구부에 있어서는 공기의 유통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천공(122)과 이것을 통과하는 절개부재는 작게 할 수 있다.
공기구멍의 형성 조작으로서, 공기구멍 형성부재(151)의 누름 버튼부(154)를 아래로 누른다.
눌러 내려진 누름 버튼부(154)는 판스프링 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지지부재 (153)가 반전하여 하강하고, 누름 버튼부(154)의 하면에 설치된 절단날(156)의 선단이 시일커버를 찔러 용기내에 들어간다. 공기구멍 형성부재(151)는 찌름 바늘 (155){절단날(156)}이 시일커버에 찔린 채로의 자세를 유지하지만 공기는 찌름 바늘(155)에 형성된 공기 유통로(157)를 통과하여 유통하여, 공기흐름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공기 유통로(157)의 상단은 바깥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으므로, 컵 용기내의 내압이 높아져 개구시에 내용액이 분출하는 스플래시 현상이 생겨도, 그 분출이 직접 조작자를 향하여 내뿜어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버캡(1j)에서는, 시일커버를 찌르는 것이 가능한 찌름날부재를 갖는 공기구멍 형성부재를 가지므로,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고, 내용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찌름 바늘에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찌름 바늘을 시일커버에 찌른 채로도 컵내로의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다.
또한 찌름 바늘은 판스프링 기능을 갖는 판스프링 지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시일커버에 찌르기 전후에 있어서, 각각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해서 누름버튼부(154)가 어느 자세(위치)인지를 명시할 수 있다.
이 공기구멍 형성부재(151), 지지부재(157)는 다른 형식의 절개부재를 갖는 다른 형식의 오버캡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도시한 특허문헌 2의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오버캡에서는 절개부재(8)를 공기구멍 형성부재로 하여 스트랩 형상 힌지(34)를 지지부재로 하는 스트랩 형상 힌지 형식의 공기구멍 형성부재 및 지지부재가 절개부재(7)와 조합되어 구비되어 있지만 이 스트랩 형상 힌지 형식의 공기구멍 형성부재 및 지지부재로 바꾸어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 형식의 공기구멍 형성부재(151) 및 지지부재(157)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8부터 도 42에는 이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오버캡(1k)이 도시되어 있다.
오버캡(1k)은 컵형 용기에 장착 가능한 오버캡 본체(106k)와 그 오버캡 본체 (106k)에 힌지(110k)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재 (107k)로 이루어져 있다.
오버캡 본체(106k)는 컵형 용기의 상단부를 가리는 커버부(111k)와 이 커버부(111k)를 컵형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가장자리부(112k)를 어깨부(113k)를 사이에 두고 오버캡 본체(106k)의 중심선(114k)방향으로 동심형상으로 연속시켜 갖는다. 커버부(111k)는 통 형상의 통부(115k)와 그 하단을 닫는 천판(116k)을 갖는다.
오버캡 본체(106k)는 중앙 위치에 천판(116k)의 상방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 (121k)을 갖고, 또한 움푹 들어간 부분(121k)을 둘러싸고 중심선(114k) 주위로 일주하여 솟아올라 있는 통부(115k)를 갖는다.
천판(116k)의 직경방향의 일단부에 상당하는 가장자리부에는 통부(115k)의 유출 안내벽부(138k)의 바로 앞에 천공(122k)이 형성되어 있다. 천공(122k)은 컵형 용기내의 내용액을 유통시키는 구멍 또는 숨쉬기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구멍으로서 이용하는 구멍이다. 천공(122k)의 양측에서는 천판(116k)이 상방으로 부풀어올라 융기부(123k)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23k)는 유출 안내벽부(138k) 쪽의 내리막 경사면부(171k)와 반대쪽의 오르막 경사면부(172k)로 이루어져 있고, 내리막 경사면부(171k)와 오르막 경사면부(172k)와의 경계선(173k)이 가장 높아져 있고, 이 경계선(173k)이 후술하는 절개부재(107k)의 손가락걸이 부재(126k)와 입설벽(174k)과의 경계의 측방에 위치한다. 이 내리막 경사면부(171k) 및 오르막 경사면부(172k)도 내측의 천공(122k) 측의 부분보다 외측의 통부(115k)측의 부분이 약간 높아져 있다.
이 융기부(123k)는 절개부재(107k)를 따라서 위치하고 있고, 절개부재(107k)가 다른 것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막는 가드로서의 기능을 갖고, 또한, 천공 (122k)으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이 가로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여 음용자의 구강으로 흐름을 집중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천공(122k)내에는 절개부재(107k)가 배치되어 있고, 기초단부에서 힌지 (110k)를 사이에 두고 천판(116k)에 연결되어 있다. 힌지(110k)는 얇은 두께로서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재(107k)는 힌지(110k) 주위로 회동하여 천공(122k)을 통하여 변위 가능하다.
절개부재(107k)는 시일커버(5)를 절개 가능한 날부재(124k)와 그 날부재 (124k)를 돌출시키고 있는 절단날 유지부재(125k)와 절단날 유지부재(125k)의 힌지 (110k)쪽 기초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른 입설벽(174k)과 이 입설벽 (174k)에 그 근방이 연이어 접하는 동시에 타단이 힌지에 연달아 설치되고, 절개부재(107k)를 회동시키는 압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손가락걸이 부재(126k)로 이루어져 있다.
날부재(124k)는 절단날 유지부재(125k)의 선단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날부재(124k)는 예리한 하단을 가지고 있어, 시일커버(5)를 절개 가능하다.
절단날 유지부재(125k)는 평면에서 보아 천공(122k)과 거의 근사한 형상을 이루지만, 크기는 천공(122k)보다 약간 작아, 천공(122k)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천공(122k)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k)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절단날 유지부재(125k)의 상방에 있어서 선단부에서 입설벽(174k)을 사이에 두고 절단날 유지부재(125k)에 고정되어 있고, 이 때 손가락걸이 부재(126k)와 절단날 유지부재(125k)는 컵형 용기(2)의 중심선에 대해서 9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고 있다. 손가락걸이 부재 (126k)가 힌지(110k) 주위로 회동하여 천공(122k)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천공(122k)의 선단부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내용물의 유출구(128k)를 형성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k)의 위가 되는 면에는, 조작 순서나 조작 방법을 도시하는 지표(131k)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131k)는 요철이나 평면도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자가 시각에 의한 확인 또는 촉각에 의한 확인이 가능하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재(107k)의 상면에 있어서 입설벽(174k)과 절단날 유지부재(125k)는 보강리브(132k)에서 상호의 연결이 보강되고, 절개부재(107k)의 하면에 있어서 날부재(124k)와 절단날 유지부재(125k) 및 입설벽(174k)과 손가락걸이 부재(126k)는 보강리브(133k,134k)에서 상호의 연결이 보강되어 있다.
절개부재(107k)와 천공(122k)과의 사이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종류의 스토퍼구조, 즉, 통과방지 스토퍼구조(175k)와 복귀방지 스토퍼구조(176k)를 구비하고 있다. 통과방지 스토퍼구조(175k)는, 절개부재(107k)의 기초단부에 있어서 손가락걸이 부재(126k)로부터 측방으로 내뻗어진 판 형상의 스토퍼편(177k)이 설치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k)와 스토퍼편(177k)과의 사이는 보강리브(178k)가 설치되어 양자를 연결하여, 보강하고 있다.
통과방지 스토퍼구조(175k)는 절개부재(107k)가 절개동작으로서 천공(122k)내에 밀어넣어졌을 때에, 절개부재(107k)가 과도하게 천공(122k)을 지나쳐 컵형 용기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구조이며, 복귀방지 스토퍼구조 (176k)는, 반대로, 천공(122k)내에 밀어넣어진 절개부재(107k)가 힌지(110k)의 탄성 복원에 의해서 천공(122k)내에서 멈추지 않고, 천공(122k)내로부터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되어 나와 버리는 것을 절개부재(107k)를 억제하여 막기 위한 스토퍼구조이다.
통과방지 스토퍼구조(175k)에서는 융기부(123k)의 천공(122k)을 향한 측면 (181k)으로부터 스토퍼(182k)가 천공(122k)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또한 복귀방지 스토퍼구조(176k)에서는 같은 측면(181k)으로부터 스토퍼(183k)가 천공 (122)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182k,183k)는 모두 절개동작으로서 손가락걸이 부재(126)가 천공(122k)에 비집고 들어갔을 때에 손가락걸이 부재(126)와 간섭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통과방지용의 스토퍼(182k)는, 융기부(123k)의 측면(181k)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고, 굵기도 굵고, 강성이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재(107k)의 스토퍼편 (177k)과 접촉한 경우에도, 스토퍼편(177k)이 스토퍼(182k)를 타고 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절개부재(107k)의 이동은 천공(122k)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복귀방지 스토퍼구조(176k)의 스토퍼(183k)는 돌출량도 작고, 굵기도 가늘고, 강성이 작고, 탄성 휨을 일으키기 쉬운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재(107k)의 절개동작일 때에는, 절개부재(107k)의 스토퍼편(177k)은 복귀방지용의 스토퍼 (183k)와 접촉했을 때에는, 스토퍼(183k)를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하여 복귀방지 스토퍼구조(176k)를 타고 넘어 천공(122)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이를 수 있지만, 이 때에는, 복귀방지 스토퍼구조(176k)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하고 있으므로, 그 복원한 스토퍼구조(176k)가 절개부재(107k)의 스토퍼편(177k)과 접촉하여 절개부재 (107k)의 복귀 빠져 나옴을 억제한다.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개부재(107k)의 손가락걸이 부재(126k)를 지표(131k)에 따라서 손가락으로 밀어 올리면, 손가락걸이 부재(126k) 및 이것과 일체가 된 절단날(124k)이 힌지(110k)의 주위로 회전하여 하강하고, 절단날(124k)이 시일커버(5)를 절개하여 유출구(128k)가 개구된다. 손가락걸이 부재(126k)가 천공 (122k)의 높이와 일치하면 손가락걸이 부재(126k)가 천공(122k)의 가장자리의 스토퍼(182k,183k)에 구속되어 자세를 유지하고, 유출구(128k)의 개구가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 컵형 용기를 입가로 기울이면, 내용액은 유출구(128k)로부터 유출되어, 천공(122k)의 가장자리와 손가락걸이 부재(126k)의 바깥가장자리와의 사이의 빈틈 (142k)을 통하여 주출되어, 마실 수 있다.
이 오버캡(1k)에서도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부재를 갖지만, 그 절개부재는 날부재 외에, 날부재에 고정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가지므로, 날부재의 조작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탭,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다. 절개부재는 오버캡 본체와 일체이므로 오버캡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오버캡은 상방으로 솟아오른 유출 안내벽을 가지므로, 그것이 음용시의 마우스피스로서 기능하여, 내용물의 음용이 극히 용이하다. 또한 절개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손가락걸이 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가락걸이 부재를 밀어 눕힐 방향을 추측하여 이해하는 것이 용이하여, 시일커버의 절개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손가락걸이 부재가 눕는 각도는 90° 이하이므로, 손가락걸이 부재의 밀어 눕히는 방향을 가리키는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절단날의 선단이 시일커버 (5)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절단날의 선단이, 시일커버(5)를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손가락걸이 부재에 시각에 의한 확인 가능 또는 촉각에 의한 확인 가능한 지표가 설치되므로, 조작의 내용을 한층 명확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손가락걸이 부재 자체가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고, 지표가 설치된 손가락걸이 부재의 측면이 위로부터 잘 보이므로, 조작 내용의 이해가 일정하고 확실하다.
또한, 절단날 유지부재를 손가락걸이 부재가 가리게 되어, 위에서는 손가락걸이 부재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동작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조작자에게 이해시킬 수 있어 조작자에게 불안을 주는 일이 없다.
게다가, 스토퍼편이 천공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내뻗어져 있어 천공에 이른 손가락걸이 부재와 간섭하므로, 손가락걸이 부재가 천공과 면일치가 되는 위치가 확보되어, 내용물의 유출구의 형상이 일정하고 안정된 상태가 되므로, 내용물의 주출 흐름이 안정된다.
게다가, 유출 안내벽이 싱글 월 구조가 되어 있으므로, 탭으로서의 입에 닿는 느낌이 양호해지고, 또한, 주출시의 액체 고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 안내벽의 내측 벽면은 외측에 있기 때문에, 내측 벽면이 물받이 형상이 되어, 내용물의 음용이 원활하다.
도 43으로부터 도 45는 제 12, 제 13 및 제 14 실시형태에 관한 오버캡 (1l,1m,1n)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오버캡(1l,1m,1n)에 공통되는 특징은 커버부(111)의 통 형상의 둘레벽 (115)이 중심선(144) 주위의 전체둘레길이에 걸쳐서 같은 높이인 점과, 천공(12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내뻗어진 스토퍼편(141)의 폭을 크게 하여 천공 (122)에 이른 손가락걸이 부재(126l,126m,126n)와 간섭하여 손가락걸이 부재 (126l,126m,126n)가 천공(122)을 빠져나가 컵형 용기(2)측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확실히 한 점에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 9로부터 제 14 실시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유출구나 공기구멍의 형성이 용이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구매자가 절개부재의 구조를 본 것만으로, 그 조작방법도 추측하여, 이해하기 쉬운 오버캡을 얻을 수 있다.
1a, 1b, 1c, 1d, 1e, 1f, 1g, 1h, 1i, 1j, 1k, 1l, 1m, 1n : 오버캡
2 : 컵형 용기
3 : 플랜지
4 : 개방개구
5 : 시일커버
6, 106, 106k : 오버캡 본체
17, 107, 107k : 절개부재(절단)
8 절개부재(찌름)
9 절개부재(누름)
10, 110, 110k : 힌지
11, 111, 111k : 커버부
12, 112, 112k : 부착 가장자리부
13, 113, 113k : 어깨부
14, 114, 114k : 중심선
15, 115, 115k : 통부
16, 116, 116k : 천판
17, 117 : 걸어멈춤부
18 : 움푹 들어간 부분
21 : 융기부
22 : 액체 유통구멍
23 : 공기 유통구멍
24, 24c : 날부재
25, 25b, 25c : 손가락걸이 부재
26, 26b : 손가락걸이 요철
27 : 라인형상 힌지
28 : 상대회전중심
30 : 보강용의 리브
32 : 핸들부재
33 : 날끝
34 : 스트랩 형상 힌지
35, 35a, 35b, 35c : 스트랩
36 : 힌지 중심
37 : 유출구
38 : 공기구
41 : 자름날부재
42 : 찌름날부재
43 : 날끝
44 : 자름날
47 : 누름날부재
48 : 절단날
51 : 보호리브
52 : 보호리브
115, 115k : 통부
118 : 핀
121, 121k : 움푹 들어간 부분
122, 122k : 천공
123, 123k : 융기부
124, 124k : 날부재
125, 125k : 절단날 유지부재
126, 126k : 손가락걸이 부재
128 : 유출구
131, 131k : 지표
132 : 보강리브
133 : 보강리브
134 : 보강리브
135 : 대면하는 부분
136 : 다른 부분
137 : 유체 통로
138, 138k : 유출 안내벽
141 : 스토퍼편
142 : 빈틈
151 : 공기구멍 형성부재
152 : 개구
153 : 판스프링 지지부재
154 : 누름 버튼부
155 : 찌름 바늘
156 : 절단날
157 : 공기 유통로
171k : 내리막 경사면부
172k : 오르막 경사면부
173k : 경계선
174, 174k : 입설벽(立設壁)
175k : 통과방지 스토퍼
176k : 복귀방지 스토퍼
77k : 스토퍼편
178k : 보강리브
181k : 측면
182k : 스토퍼
183k : 스토퍼

Claims (21)

  1. 상단 개구부를 시일커버로 닫은 시일용기에 장착하여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시일 용기용의 오버캡으로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시일용기에 장착 가능하고, 천판(天板)의 일부에 천공(穿孔)이 형성되어 있는 오버캡 본체와, 상기 오버캡 본체에 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천공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버캡 본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절개부재를 갖고,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날부재(blade member)와, 상기 날부재와 일정한 각도를 갖고 돌출되어 있는 손가락걸이 부재(finger-hooking memb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절개부재를 변위시키고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한 경우에, 오버캡 본체의 천판과 절개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액체 또는 공기의 유통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재의 상기 날부재는, 상기 오버캡의 천판보다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재의 손가락걸이 부재는 상기 날부재보다 한층 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자르는 것이 가능한 자름날부재 또는 상기 시일커버를 찌르는 것이 가능한 찌름날부재이고, 또는 상기 시일커버를 눌러 자르는 것이 가능한 누름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스프링 형상 힌지 또는 천판을 얇은 두께로 하여 회동 가능한 회전 중심부를 형성한 라인형상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름날부재를 갖는 절개부재는 상기 라인형상 힌지로 상기 오버캡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찌름날부재를 갖는 절개부재는 상기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스프링 형상 힌지로 상기 오버캡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누름날부재를 갖는 절개부재는 상기 스트랩 형상 힌지 혹은 판스프링 형상 힌지로 상기 오버캡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름날부재를 갖는 절개부재는,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선단이 볼록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절개부재를 변위시켜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한 경우에, 상기 볼록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의 손가락걸이 부재 선단과, 상기 오버캡 천판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벽부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액체 또는 공기의 유통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름날부재를 갖는 절개부재는,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선단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절개부재를 변위시켜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한 경우에,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관통구멍도 액체 또는 공기의 유통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름날부재를 갖는 절개부재의 측단면에 돌기 또는 움푹 들어간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오버캡의 천공의 측단면 또는 근방에, 상기 절개부재의 돌기 또는 움푹 들어간 부분과 걸어맞춤 가능한 움푹 들어간 부분 또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하방으로 내려서 있는 벽형상의 리브를 갖고, 상기 천판에 지지되어 절개부재가 상기 천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단의 위치가 상기 리브의 하단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상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의 상기 힌지쪽 기초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른 입설벽(立設壁)과 상기 입설벽에 그 선단부 근방이 연이어 접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힌지에 연이어 접하고 있고, 상기 절개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는 각각 상기 용기의 중심선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동시에,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상기 천공내에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바깥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액체 또는 공기가 유통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는, 각각 상기 용기의 중심선과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절단날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상단부까지의 상하방향의 폭은, 상기 유출 안내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내뻗어져 있고 상기 천공에 도달한 손가락걸이 부재와 간섭하여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상기 천공으로부터의 복귀 이탈을 억제하는 복귀방지 스토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내뻗어져 있고 상기 천공내에 회동한 손가락걸이 부재와 간섭하는 스토퍼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의 양측에 상기 천판이 상방으로 융기한 융기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융기부의 상면은 상기 천공 근처의 내측 부분보다 상기 둘레벽 근처의 외측 부분 쪽의 높이가 높은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의 상기 힌지 근방 부위에,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공기 도입구멍 형성 절단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 본체의 상기 천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시일커버를 찌르는 것이 가능한 찌름날부재를 구비한 공기구멍 형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찌름날부재에는, 상부가 지름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하부가 아래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는 단면 역 L자형상의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찌름날부재는 힌지를 사이에 두고 천판에 연달아 설치되는 복수의 판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찌름날부재의 상사점(上死點)과 하사점(下死點)을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설벽의 앞쪽및 뒤쪽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보강용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20. 제 10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상기 용기의 상면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시각에 의한 확인이 가능 혹은 촉각에 의한 확인이 가능한 손가락걸이 표시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21. 상하방향의 상단 개구부를 시일커버로 닫은 시일용기에 장착하여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하는 시일용기용 오버캡으로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시일용기에 장착 가능한 부착 가장자리부와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상기 상하방향에 대략 수직인 천판을 갖는 커버부를 갖고,
    상기 커버부에는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에는 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천판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천공을 통과하여 회동 가능한 절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시일커버를 절개 가능한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의 상기 힌지쪽 기초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른 입설벽과 상기 입설벽에 그 선단부 근방이 연이어 접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 힌지에 연이어 접하고 있고, 상기 절개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손가락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날 유지부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는 각각 상기 용기의 중심선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동시에,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를 상기 천공내에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천공의 가장자리와 상기 손가락걸이 부재의 바깥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액체 또는 공기가 유통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용 오버캡.
KR1020107004882A 2007-08-10 2008-08-11 오버캡 KR20100044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9417A JP5169067B2 (ja) 2007-02-01 2007-08-10 オーバーキャップ
JPJP-P-2007-209417 2007-08-10
JPJP-P-2008-156277 2008-06-16
JP2008156277A JP5212800B2 (ja) 2008-06-16 2008-06-16 オーバーキャッ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243A true KR20100044243A (ko) 2010-04-29

Family

ID=4035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882A KR20100044243A (ko) 2007-08-10 2008-08-11 오버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12800B2 (ko)
KR (1) KR20100044243A (ko)
CN (1) CN101784459B (ko)
WO (1) WO2009022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84844U (en) * 2010-01-27 2010-07-21 Qi-Rui Hong Cup lid structure
US8469217B2 (en) 2010-10-13 2013-06-25 Dart Container Corporation Vented container
WO2012110335A1 (de) 2011-02-14 2012-08-23 Hirschmann Automotive Gmbh Wiederverschliessbare trinkdose
JP5835695B2 (ja) * 2012-03-23 2015-12-24 森永乳業株式会社 蓋体付きカップ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US8881938B2 (en) 2012-08-08 2014-11-11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beverage container
JP5997976B2 (ja) * 2012-08-29 2016-09-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カップ容器用蓋体
USD736623S1 (en) 2013-08-08 2015-08-18 Harl-Bella Holdings, Llc Lid with egg shaped basin
USD739729S1 (en) 2013-08-08 2015-09-29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737142S1 (en) 2013-08-08 2015-08-25 Harl-Bella Holdings, Llc Lid with triangular shaped basin
USD756773S1 (en) 2013-08-08 2016-05-24 Harl-Bella Holdings, Llc Lid with tear line
WO2015101403A1 (en) * 2013-12-31 2015-07-09 Danone S.A. Topper for a container
JP6232343B2 (ja) * 2014-05-30 2017-11-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カップ容器
CN105501650A (zh) * 2015-12-08 2016-04-20 无锡万能胶粘剂有限公司 一种胶粘剂的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00699A (zh) * 2002-11-13 2004-06-02 陈永康 一种穿膜容器
JP4300882B2 (ja) * 2003-06-06 2009-07-22 凸版印刷株式会社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JP2005022757A (ja) * 2003-06-12 2005-01-27 Toyo Seikan Kaisha Ltd カップ型容器の開封部材
JP2006069642A (ja) * 2004-09-03 2006-03-16 Toyo Seikan Kaisha Ltd カップ型容器の開封部材
JP2006069658A (ja) * 2004-09-06 2006-03-16 Mikasa Sangyo Kk カップ型容器の開封補助具
JP4802590B2 (ja) * 2005-07-27 2011-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開封機能付キャップ及び包装体
JP4906069B2 (ja) * 2006-04-21 2012-03-28 大和製罐株式会社 開封機能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4459A (zh) 2010-07-21
JP5212800B2 (ja) 2013-06-19
CN101784459B (zh) 2012-08-01
JP2009298449A (ja) 2009-12-24
WO2009022745A1 (ja)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243A (ko) 오버캡
US20180065333A1 (en) Spill resistant disposable travel cup lid
JP5169067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
US20170071379A1 (en) Container Lid Assemblies for Directing Liquid Flow
US20170253396A1 (en) Dual drink mode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US20100133272A1 (en)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KR20170117320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US8602252B2 (en) Liquid dispensing cover for container
JP6027647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US20130146593A1 (en) Reusable beverage cup
US20100264143A1 (en) Splash resistant lids, container assemblies including such lids and related methods
US20190053649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Non-Circular Shape
JP2005022757A (ja) カップ型容器の開封部材
EP3257779A2 (en) Drinking container with sliding closure
CN109562872B (zh) 用于受控的液体输送的液体容器盖组件
JP6639241B2 (ja) 飲料容器の蓋体
JP201706134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12062090A (ja) スプレー容器のノズル安全装置
JP2006069642A (ja) カップ型容器の開封部材
CA2457244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one-way valve assembly
JP2003038989A (ja) 液体噴出容器
KR200407253Y1 (ko) 꿀병뚜껑
US8215512B2 (en) Cap for a consumable liquid container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US6983861B2 (en)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