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755A -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755A
KR20100042755A KR1020080101888A KR20080101888A KR20100042755A KR 20100042755 A KR20100042755 A KR 20100042755A KR 1020080101888 A KR1020080101888 A KR 1020080101888A KR 20080101888 A KR20080101888 A KR 20080101888A KR 20100042755 A KR20100042755 A KR 20100042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eveloper
unit
casing
auger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755A/ko
Priority to US12/561,543 priority patent/US20100098442A1/en
Publication of KR2010004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 폐현상제 수집유닛은, 폐현상제가 수집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폐현상제를 평활시키는 오거와; 폐현상제의 수집량 증가에 따라서 상기 회전하는 오거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폐현상제가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SCRAPPED TONER COLLEC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린팅 작업 시 인쇄매체에 현상되지 않은 폐현상제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폐현상제의 수집량을 감지하여 이를 알릴 수 있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현상제 또는 잉크 등을 사용하여 인쇄매체 상에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 상에 전위차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한 후, 이를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킨다.
이 때, 인쇄매체 상에 전사되지 못하는 폐현상제가 프린팅 작업 시 마다 소정 양이 발생하며,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폐현상제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이 구비된다.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은 수집한 폐현상제를 케이싱 내에 저장하며, 이 케이싱의 폐현상제 저장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에 의해 적절히 교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폐현상제 수집유닛은 폐현상제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은 케이싱 일측에 투명창을 형성하고, 케이싱 외측에 포토 센서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포토 센서가 투명창을 통해 케이싱 내측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감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케이싱 내측에서 폐현상제가 비산하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투명창이 오염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포토 센서에 의한 폐현상제의 감지가 곤란하게 되어, 폐현상제 수집유닛의 폐현상제 수집량을 정확하게 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폐현상제의 수집량을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은, 폐현상제가 수집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현상제를 평활시키는 오거와; 상기 폐현상제의 수집량 증가에 따라서 상기 회전하는 오거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오거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수집된 상기 폐현상제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가 기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돌기 및 홈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오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터럽트부와; 상기 인터럽트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돌기 및 홈에 의한 간섭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돌기 및 홈에 의한 간섭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오거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수집된 상기 폐현상제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가 기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럽트부는, 복수의 상기 돌기 및 홈이 교대로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돌기 및 홈은 그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상기 오거의 회전축과 맞물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오거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중간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럽트부는, 상기 오거의 회전축 또는 상기 중간기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복수의 홀을 따라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공급된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형성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부터 폐현상제를 수집하는 상기한 구조에 따른 폐현상제 수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거의 부하를 검출하여 이 검출값으로부터 폐현상제의 저장량을 판단함으로써, 폐현상제 및 오물 등에 의한 오염 여부와 무관하게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케이싱의 교체 주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산의 우려가 있는 폐현상제를 포토 센서로 판단하는 구성이 아닌,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오거의 회전 주기를 기초로 판단하므로, 폐현상제의 저장량을 일관성 있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럽트부, 센서 및 시간 주기를 판단하여 알리는 구성과 같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폐현상제의 저장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가 아닌 오거 자체의 회전 주기를 기초로 판단함으로써, 모터와 오거 사이의 구동전달기어의 마모 등에 따른 부정합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은 CMYK 컬러 현상제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은 흑백 모노톤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은 인쇄매체에 전사되지 않은 폐현상제를 화상형성부(미도시)로부터 수집하는 구성으로서, 수집되는 폐현상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케이싱(100)과, 케이싱(100) 내의 폐현상제를 평활시키는 오거(auger)(200)와, 폐현상제의 수집량 증가에 따라서 오거(2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부(500)와,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폐현상제가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은 검출부(500)가 오거(200)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고, 제어부(600)가 이 검출된 회전 주기에 기초하여 케이싱(100) 내의 폐현상제 저장량을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은 오거(200)를 회전시키는 모터(30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600)의 판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화상형성부(미도시)로부터 폐현상제를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의 하위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싱(100)은 화상형성부(미도시)로부터 수집되는 폐현상제를 그 내부에 저장된다. 폐현상제는 케이싱(100) 상측에 관통 형성된 수집홀(110)을 통해 케이싱(100) 내측에 수집되어 저장된다. 화상형성장치가 컬러 화상을 형성 가능한 경우, CMYK 컬러의 각 폐현상제를 수집하므로, 케이싱(100)은 도 1과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수집홀(110)은 각 폐현상제를 수집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싱(100)의 연장 방향 및 수집홀(110)의 배치는 각 컬러의 현상제에 해당하는 현상유닛(미도시)의 배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거(200)는 케이싱(10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거(200)는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케이싱(100) 내측의 폐현상제를 평활시킨 다.
오거(200)는 케이싱(100) 내측을 따라서 연장된 회전축(210)과, 이 회전축(210)을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폐현상제를 평활시키는 블레이드(220)와, 케이싱(100)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210) 단부에 형성된 오거기어부(230)를 포함한다.
회전축(210)은 케이싱(100) 내측을 따라서 연장되지만, 모터(3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용이하게 일단부가 케이싱(100) 외측으로 돌출된다. 회전축(210)은 수집홀(110)의 배치를 따라서 연장됨으로써, 각 컬러 별 폐현상제가 불균일하게 수집홀(110)로 인입되더라도 케이싱(1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평활될 수 있도록 한다.
블레이드(220)는 회전축(210)을 따라서 나선 형상을 가지며, 그 나선 방향에 따라서 폐현상제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중앙의 수집홀(110)을 중심으로 하여 블레이드(220)의 나선 방향이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케이싱(100) 양측의 폐현상제를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오거기어부(230)는 모터(3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210)이 회전하도록 한다. 오거기어부(230)는 회전축(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오거기어부(230)가 모터(300)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오거기어부(230)는 중간기어부(310)에 맞물린다.
모터(300)는 구동력을 생성하여 이를 중간기어부(310) 및 오거기어부(230)를 통해 회전축(210)에 전달함으로써, 오거(200)가 회전하도록 한다. 모터(300)는 정 량적으로 일정한 구동력을 출력함으로써, 검출부(500)가 검출하는 부하의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중간기어부(310)는 모터(300) 및 오거기어부(23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상호 맞물림을 통해 모터(300)의 구동력을 회전축(210)에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제어부(600)의 판단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외측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폐현상제가 케이싱(100)에 기 설정량 수집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함으로써,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검출부(500)는 케이싱(100)의 폐현상제 수집량 증가에 따라서, 회전하는 오거(2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한다. 케이싱(100)에 폐현상제의 저장량이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를 비교하면, 폐현상제가 오거(200)에 가하는 부하는 전자의 경우보다 후자의 경우가 더 크다. 따라서, 모터(30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일정하면, 케이싱(100)의 폐현상제 저장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거(200)의 회전 속도는 점차 느려지게 된다. 즉, 오거(200)의 회전 주기는 길어진다.
검출부(500)는 이러한 오거(200)의 회전 주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검출부(500)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폐현상제 수집유닛(10)에서 검출부(500)를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500)는 오거(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터럽트부(510)와, 인터럽트부(510)의 회전 주기를 감지하는 센서(520)를 포함한다.
인터럽트부(510)는 중간기어부(310) 일측으로부터 오거(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형성된 돌기 및 홈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인터럽트부(510)는 중간기어부(310)에 형성된 것으로 표현하나, 회전축(210)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인터럽트부(510)는 적어도 한 쌍의 돌기 및 홈에 대하여 그 폭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됨으로써, 제어부(600)가 인터럽트부(510)의 회전 주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520)는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가 상호 이격되고, 오거(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터럽트부(510)가 이 상호 이격 영역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럽트부(510)가 회전함에 따라서, 인터럽트부(510)의 돌기 및 홈에 의하여 센서(520)의 발광부(미도시)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부(미도시)에 대해 간섭 및 통과가 반복된다.
센서(520)는 이와 같이 인터럽트부(510)에 의한 간섭 및 통과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제어부(600)는 센서(5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폐현상제가 케이싱(100)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00)는 센서(52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오거(200)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며, 이 검출된 회 전 주기가 기 설정 시간 이상이면 폐현상제가 케이싱(100)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600)는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폐현상제가 케이싱(100)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이러한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케이싱(100)을 교체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폐현상제 수집유닛(10)에서 케이싱(100)에 수집된 폐현상제의 양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폐현상제 수집유닛(10)에서 인터럽트부(51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럽트부(510)는 중간기어부(310) 상에, 그 회전방향을 따라서 돌기(511) 및 홈(513, 515)이 교대로 배치된다. 돌기(511) 사이로 한 쌍의 제1홈(513) 및 한 쌍의 제2홈(515)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된다.
제1홈(513)은 제2홈(515)보다 그 폭이 넓으며, 이에 따라서 센서(520)에 의해 감지되는 시간 주기는 제1홈(513)이 제2홈(515)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돌기와 홈이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가장 간단하게는 인터럽트부(510)는 하나의 돌기 또는 하나의 홈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시간 주기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교대로 배치되고, 적어도 한 쌍의 돌기 또는 홈은 그 폭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인터럽트부(510)의 회전에 따라서, 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듀티 비(duty ratio)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A 그래프 및 하측의 B 그래프는 시간에 따라서 인터럽트부(510)의 회전 주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에는 제1홈(513) 및 제2홈(515)이 상이한 시간 폭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B 그래프의 경우가 A 그래프의 경우에 비해, 케이싱(100)에 수집된 폐현상제의 양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폐현상제에 의해 오거(200)에 부하가 가해지므로 오거(200)의 회전 속도는 폐현상제의 수집량에 반비례한다.
제어부(600)는 검출부(50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 5와 같은 그래프를 작성하며, 기 설정된 소정 시간 주기를 검출한다. 도 5에서는 상호 대향하는 제1홈(513) 사이의 시간 주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한정된 것이 아니다.
제어부(600)는 기준이 되는 시간 주기인 Tr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검출된 시간 주기를 Tr과 비교한다.
A 그래프의 경우, 검출된 시간 주기 T1을 Tr과 비교하여 T1<Tr이면, 제어부(600)는 케이싱(100)에 수집된 폐현상제의 양이 기 설정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B 그래프의 경우, 검출된 시간 주기 T2를 Tr과 비교하여 T2>Tr이면, 제어부(600)는 케이싱(100)에 수집된 폐현상제의 양이 기 설정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제어부(600)는 이러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함으로써, 폐현상제의 수집량이 기 설정값 이상임을 알린다.
이와 같이, 폐현상제의 수집량 증가에 따라서, 오거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출함으로써, 폐현상제의 수집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가 적재 및 공급되는 매체공급유닛(20)과,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여 매체공급유닛(2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 상에 전사하는 화상형성유닛(30, 40, 50)과, 화상형성유닛(30. 40. 50)으로부터 폐현상제를 수집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60)과, 전사된 미정착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유닛(30, 40, 50)은 CMYK의 컬러의 현상제 각각에 대응하는 현상유닛(30)과, 각 현상유닛(30)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40)과, 각 컬러의 현상제에 의해 형성된 가시 화상을 중첩시켜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벨트(5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다.
폐현상제 수집유닛(60)은 각 컬러 별 현상유닛(30)과 중간전사벨트(50)로부터 수집되는 폐현상제를 수집한다. 폐현상제 수집유닛(6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현상제 수집유닛(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에서 검출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에서 인터럽트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인터럽트부의 회전 주기에 대응하는 듀티 비 그래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 : 폐현상제 수집유닛
100 : 케이싱 110 : 수집홀
200 : 오거 210 : 회전축
220 : 블레이드 230 : 오거기어부
300 : 모터 310 : 중간기어부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검출부
510 : 인터럽트부 520 : 센서
600 : 제어부

Claims (13)

  1. 화상형성장치의 폐현상제 수집유닛에 있어서,
    폐현상제가 수집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현상제를 평활시키는 오거와;
    상기 폐현상제의 수집량 증가에 따라서 상기 회전하는 오거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오거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수집된 상기 폐현상제의 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가 기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 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돌기 및 홈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오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인터럽트부와;
    상기 인터럽트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돌기 및 홈에 의한 간섭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돌기 및 홈에 의한 간섭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오거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수집된 상기 폐현상제의 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주기가 기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부는,
    복수의 상기 돌기 및 홈이 교대로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돌기 및 홈은 그 폭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오거의 회전축과 맞물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오거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중간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부는,
    상기 오거의 회전축 또는 상기 중간기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복수의 홀을 따라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상제 수집유닛.
  12.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공급된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형성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부터 폐현상제를 수집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폐현상제 수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현상제가 상기 케이싱에 기 설정량 이상 수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01888A 2008-10-17 2008-10-17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20100042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888A KR20100042755A (ko) 2008-10-17 2008-10-17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2/561,543 US20100098442A1 (en) 2008-10-17 2009-09-17 Waste developer collec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888A KR20100042755A (ko) 2008-10-17 2008-10-17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755A true KR20100042755A (ko) 2010-04-27

Family

ID=4210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888A KR20100042755A (ko) 2008-10-17 2008-10-17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98442A1 (ko)
KR (1) KR201000427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3183B2 (ja) * 2010-03-17 2015-07-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629033B2 (ja) 2015-10-09 2020-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廃トナー検出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7080635B2 (ja) * 2017-12-26 202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3407B2 (en) * 2006-05-15 2009-11-03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loads associated with one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driven by a shared motor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8442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9537B2 (ja) 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JP2001166648A (ja) 取替え可能カートリッジのような消耗品の状態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6030963A (ja) ユニット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0002815A (ja) 状態判別方法、状態判別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344743A (zh) 图像形成设备
JPH08248838A (ja) 画像形成装置
JP4816721B2 (ja) 廃棄粉体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42755A (ko) 폐현상제 수집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7742708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in which an amount of developer is detectable
JP51712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79066A (ja) 画像形成装置
JP5304819B2 (ja) 画像形成装置
JP50243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22368A (ja) 廃棄粉体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8467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3210573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2018081165A (ja) 画像形成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US92682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07123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39451A (ja) 印刷装置
KR20080033758A (ko) 현상기용 토너감지 센서의 에러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51848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8466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203821A (ja) 画像形成装置
US114423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ransfer unit and capable of determining lifetime of transf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