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554A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554A
KR20100040554A KR1020080099733A KR20080099733A KR20100040554A KR 20100040554 A KR20100040554 A KR 20100040554A KR 1020080099733 A KR1020080099733 A KR 1020080099733A KR 20080099733 A KR20080099733 A KR 20080099733A KR 20100040554 A KR20100040554 A KR 2010004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건
전성화
안근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8009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554A/ko
Publication of KR2010004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한 운전자 식별정보와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AVN 장치의 부팅 및 차량 도어 설정상태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블루투스, AVN 장치, 차량 도어, 편의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COMFORT SYSTEM FOR VEHICLE BY USING BLUETOOTH AND METHOD OF PROVIDING THEREOF}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AVN 장치의 부팅 및 차량 도어를 잠금해제 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원은 자동차의 키 홀에 삽입된 자동차 키의 위치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거나 발전기의 전원을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의 전원공급은 자동차의 키 홀에 삽입된 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LOCK, ACC, ON, START의 각 단계별로 이루어진다.
자동차 키가 LOCK 위치에 있을 경우, 해당 위치는 자동차 키가 키 홀에 단순히 삽입된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자동차 키가 ACC 위치에 있을 경우, 해당 위치는 LOCK 위치에서 해당 키를 한 단계 회전시킨 위치로 일부 전장품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한다.
자동차 키가 ON 위치에 있을 경우, 이 때는 두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첫 번째 경우는 시동 걸기 전 배터리 전원을 자동차 전체의 전장품들에 제공하는 위치(예컨대, 초기 온 위치)이고, 두 번째 경우는 시동이 걸린 후 키가 리턴되는 위치(예컨대, 후기 온 위치 또는 ACC 온 상태)로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원이 전장품들로 공급되는 위치이다.
자동차 키가 START 위치에 있을 경우, 해당 위치는 자동차가 시동을 거는 위치로 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받아 자동차의 점화플러그를 동작시켜 시동을 건다.
시동이 걸린 후 자동차 키의 위치는 START 위치에서 후기 온 위치로 자동 리턴된다.
즉, 후기 온 위치에서는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이 자동차의 전장품들로 공급된다.
자동차 키가 ACC와 초기 온 위치에 놓여 있을 경우를 ACC 오프(OFF)상태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차량에서 자동차 키가 ACC 오프(예컨대, 초기 온 위치) 위치에서 있을 경우, 전장품들은 구동전압으로 배터리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전압을 변환하여 사용한다.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들에 속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는 자동차 키가 ACC 오프 위치에 있을 경우, 배터리의 전원전압을 변환한 구동전압으로 부팅을 시작한다.
자동차의 키가 ACC 온(예컨대, 후기 온 위치) 위치에 있을 경우, 즉 시동이 걸린 후부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원전압이 변환되어 AVN 장치의 구동전압으로 인가된다.
이때, 자동차 키가 ACC 오프 위치에서 START 위치로 이동 한 후 해당 위치에서 시동이 걸린 다음 ACC 온 위치로 리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차량 탑승 후 운전자가 시동을 건 다음 AVN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장치의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량 탑승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도어 잠금을 해제 또는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블루투스 통신으로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AVN 장치의 부팅 및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한 운전자 식별정보와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AVN 장치의 부팅 및 차량 도어 설정상태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운전자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구동전압으로 상기 AVN 장치의 부팅 및 상기 차량 도어의 설정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으로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AVN 장치의 부팅 및 차량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탑승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도어를 잠금해제 또는 설정 하거나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 후 AVN 장치가 부팅을 완료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운전자가 시동 후 AVN 장치의 부팅이 완료될 때 까지 기다려야 했던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AVN 장치의 사용에 따른 출발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와, 통합 제어부(300)와, 저장부(400)와 전원 공급부(500) 및 도어 구동부(70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단말기(100)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일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추가된 리모트 키일 수 있다.
즉, 블루투스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를 의 미한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는 블루투스 단말기(100)에서 송신한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후술하는 통합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통합 제어부(300)는 수신한 운전자의 식별정보 및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의 고유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AVN 장치(600)의 부팅 및 차량 도어(800)의 설정상태를 제어한다.
예컨대, 통합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식별정보가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일치할 경우, 통합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대략 10초) 후 블루투스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통신 가능 여부 확인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통합 제어부(300)는 블루투스 단말기(100)가 송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를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감지한다.
통합 제어부(300)는 감지된 신호의 세기를 거리로 환산하고, 환산된 거리에 근거하여 블루투스 단말기(100)가 기설정된 근거리 통신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통합 제어부(30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하여 블루투스 단말기(100)로 통신 가능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통합 제어부(300)는 블루투스 단말기(100)로부터 통신 가능 확인 요청 신호 에 대응하는 통신 가능 확인 응답 신호를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가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통신 가능 여부 확인을 앞서 전술한 두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와 다른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대략 10초) 경과 후에도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와 해당 단말기(100) 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
판단결과,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 즉 블루투스 단말기(100)가 기설정된 근거리 통신 영역을 이탈하였을 경우, 통합 제어부(300)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차량 도어(800)를 잠금 설정하도록 도어 구동부(700)를 제어하고,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구동전압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500)를 제어한다.
그러나, 판단결과 통신이 가능한 경우, 통합 제어부(300)는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원공급부(500)를 제어하고, 차량 도어(800)를 잠금 해제하도록 도어 구동부(700)를 제어한다.
한편,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 및 통합 제어부(300)는 자동차 키가 키홀에 삽입 되기 전 블루투스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해야하므로 차량용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차랴용 배터리(미도시)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 및 통합 제어부(300)는 전원절약 모드(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가 블루투스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통합 제어부(300)로 송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고, 통합 제어부(300)가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와 등록된 운전자의 고유정보를 비교 판단할 수 있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전원 모드)로 동작하고, 통합 제어부(30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수신한 운전자의 식별정보가 등록된 운전자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기설정된 편의 기능(예컨대, AVN 장치(600)의 부팅 및 차량 도어(800)의 잠금 해제)을 제공하는 기능제공 모드로 전환한다.
저장부(400)는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의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전원공급부(500)는 차량용 베터리(미도시)로부터 인가된 전원전압을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 각각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고, 통합 제어부(300)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전압을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인가 또는 차단한다.
예컨대, 전원공급부(500)는 통합 제어부(300)로부터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각각의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통합 제어부(220)로부터 구동전압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각각의 구동전압을 차단한다.
도어 구동부(700)는 통합 제어부(300)의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도 어(800)를 잠금 설정 또는 해제한다.
예컨대, 도어 구동부(700)는 통합 제어부(300)로부터 차량 도어(800)를 잠금 설정하는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량 도어(800)를 잠금 설정하고, 통합 제어부(300)로부터 차량 도어(800)를 잠금 해제하는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량 도어(800)를 잠금 해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300)는 운전자 식별정보의 수신 및 비교 판단을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원절약 모드에서 블루투스 통신으로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300).
통합 제어부(300)는 수신한 운전자의 식별정보와 차량에 미리 등록된 운전자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310).
판단결과, 일치할 경우, 기설정된 시간 후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송신한 해당 단말기와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320).
확인결과, 통신 가능할 경우, 통합 제어부(300)는 AVN 장치(600) 및 도어 구동부(700)로 각각의 구동 전압의 인가를 제어하고, 차량 도어(800)를 잠금 해제하도록 도어 구동부(700)를 제어한다(S330).
그러나, 단계 310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거나 단계 320 확인결과,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경우, 통합 제어부(300)는 차량 도어(800)를 잠금 설정하도록 도어 구동부(700)를 제어하고, AVN 장치(600)와 도어 구동부(700)로 각각의 구동전압을 차단 하도록 제어한다(S340).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단말기(100)와, AVN 장치(200)와, 통합 제어부(300)와 전원 공급부(400) 및 도어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도 2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0)와 저장부(220)가 AVN 장치(200)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블루투스 단말기 200 :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300 : 통합 제어부 400 : 저장부
500 : 전원 공급부 600 : AVN 장치
700 : 도어 구동부 800 : 도어

Claims (8)

  1.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한 운전자 식별정보와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에 AVN 장치의 부팅 및 차량 도어 설정상태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단말기,
    상기 운전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에 등록된 운전자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합 제어부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VN 장치로 구동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도어를 잠금 설정 또는 해제하는 도어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할 경우,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시, 상기 차량 도어를 잠금 설정으로 제어하고, 상기 AVN 장치와 도어 구동부로 구동전압의 차단을 제어하는 것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식별정보의 수신 및 비교 판단을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원절약 모드 및 상기 수신한 운전자 식별정보가 상기 등록된 운전자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기설정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제공 모드로 제어하는 것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5.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운전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운전자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구동전압으로 상기 AVN 장치의 부팅 및 상기 차량 도어의 설정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 식별정보의 수신 및 비교 판단을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원절약 모드인 것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식별정보 및 차량에 등록된 상기 운전자의 고유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할 경우, 기설정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제공 모드로의 전환 및 기설정된 시간 후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가능할 경우, 상기 AVN 장치로 구동전압 인가 및 차량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AVN 장치로 구동전압 차단 및 상기 차량 도어를 잠금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제공 방법.
KR1020080099733A 2008-10-10 2008-10-10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00040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733A KR20100040554A (ko) 2008-10-10 2008-10-10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733A KR20100040554A (ko) 2008-10-10 2008-10-10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554A true KR20100040554A (ko) 2010-04-20

Family

ID=4221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733A KR20100040554A (ko) 2008-10-10 2008-10-10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5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1998B2 (en) 2009-04-29 2014-06-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erarchical recognition of vehicle driver and select activation of vehicle settings based on the recognition
US10055382B2 (en) 2011-12-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by using mobile terminal
US10318313B2 (en) 2015-09-21 2019-06-11 Hyundai Moto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power in vehicle
US10377346B2 (en) * 2017-05-16 2019-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nticipatory vehicle state manag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1998B2 (en) 2009-04-29 2014-06-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erarchical recognition of vehicle driver and select activation of vehicle settings based on the recognition
US10055382B2 (en) 2011-12-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by using mobile terminal
US10318313B2 (en) 2015-09-21 2019-06-11 Hyundai Moto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power in vehicle
US10377346B2 (en) * 2017-05-16 2019-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nticipatory vehicle state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5841B2 (en) Charging system including user proximity detection to start or stop charging
US7813773B2 (en) Electronic key apparatus for vehicle
GB2496847A (en) Vehicle access system using a wired data connection between the key and vehicle
JP2007118899A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US115306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in-vehicle power source
JP2005515330A (ja) 自動車のロック装置
JP2014205978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用携帯機
KR10101700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avn 시스템의 전원전압 공급 장치 및 방법
JP2018145615A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JP2015055107A (ja) キー使用可否切替システム
KR20100040554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편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4807506B2 (ja) 建物の電気錠制御システム
EP1339026B1 (en) Electronic key apparatus for vehicle and arrest cancellation method for rotation arresting device
JP7060058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JP2004025938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7009625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方法
KR101350892B1 (ko) 차량의 터미널 천이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000329041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5290735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装置
JPH11117586A (ja) 車載機器遠隔操作装置
JP662968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CN111497779A (zh) 汽车电子钥匙控制装置、汽车电子钥匙控制方法及系统
JP2006299798A (ja) スマートカードによる車両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7364508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040560B1 (ko) 전계 통신과 lf 통신을 융합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시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시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