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838A -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838A
KR20100038838A KR20080097966A KR20080097966A KR20100038838A KR 20100038838 A KR20100038838 A KR 20100038838A KR 20080097966 A KR20080097966 A KR 20080097966A KR 20080097966 A KR20080097966 A KR 20080097966A KR 20100038838 A KR20100038838 A KR 20100038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variable
plate
boot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067B1 (ko
Inventor
안영준
김동욱
정병관
박용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9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0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스덕트간에 조인트 키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면서 연결구조체를 접속하여 부스덕트간의 거리에 따라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되어 부스덕트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을 이루는 부스덕트(10)(20)의 사이에 조인트 키트(30)(40)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한쪽 조인트 키트(30)와 연결된 부스덕트(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스덕트(20)의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연결구조체(50)를 연결한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로서,
상기 조인트 키트(30)(40)는 조임부재(31)(41)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속 부스바(32)(42)가 관통, 결합되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조체(50)는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분리된 이동 도체판(51)(52)과, 상기 이동 도체판(51)(52)의 양쪽면에 밀접되면서 한쌍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 도체판(53)과, 상기 고정 도체판(53)의 각각에 독립되게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이동 절연판(54)(55)이 배열되어서 하나의 단위체(U)를 구성하며,
상기 단위체(U)와 고정 절연판(56))이 반복적으로 복수,적층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조임부재(60)(70)가 관통,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부스덕트의 사이에 조인트 키트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구조체를 구비하여 부스덕트간의 접속이 용이하면서도 부스덕트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부스덕트를 접속할 수 있고, 조인트 키트와 접속되는 도체판의 양 면으로 다른 도체판을 구비하여 전류전달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97966
부스덕트, 조인트, 연결, 길이조절, 가변, 용이, 전류, 효율, 간편

Description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Variable Bus Duct Connector }
본 발명은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덕트간에 조인트 키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면서 연결구조체를 접속하여 부스덕트간의 거리에 따라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되어 부스덕트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력 배선 방식으로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일반적이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으로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부스 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과 비교하여 볼 때,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 덕트는 고압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려워서 절연체를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 덕트안에 내장하여서, 부스바를 구성하는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할 수 있으 며, 증설과 이설이 가능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처리가 용이하며, 계통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를 설치하는 경우, 제작오차 또는 시공오차에 의해 부스덕트의 길이가 미리 설정되는 설치길이보다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접속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의 길이조절 접속유닛은 도체의 신장에 수반되는 휨을 받아들이기 위해 각 상의 도체간의 격리거리가 넓어지고, 접속유닛이 대형으로 되며, 넓은 현장 시공 공간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좁은 설치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설치장소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쪽 부스덕트와의 접속시, 부스덕트와 접속유닛의 도체가 일면만으로 접속되기때문에, 도체를 통한 전류의 전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연결구조체를 부스덕트 사이에 연결하여 부스덕트간의 간격에 따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조인트 키트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스덕트와의 도체접속이 양면으로 이루어져서 전류의 전달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을 이루는 부스덕트의 사이에는 조인트 키트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한쪽 조인트 키트와 연결된 부스덕트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스덕트의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연결구조체(50)를 연결한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로서,
상기 조인트 키트는 조임부재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속 부스바가 관통, 결합되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조체는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분리된 이동 도체판과, 상기 이동 도체판의 양쪽면에 밀접되면서 한쌍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 도체판과, 상기 고정 도체판의 각각에 독립되게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이동 절연판이 배열되어서 하나의 단위체를 구성하며,
상기 단위체와 고정 절연판이 반복적으로 복수,적층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조임부재가 관통,결합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 키트의 조임부재는 볼트와, 이 볼트에 끼워져서 복수의 접속부스바를 탄지하도록 하는 판스프링과, 최종적으로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구조체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각각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이 구비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 도체판과 고정 절연판에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이동 도체판과 이동 절연판에는 각각 단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접속부스바의 각 단부에는 절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접속부스바의 종방향으로의 간격에는 절연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구조체의 조임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서 이동 도체판, 고정 도체판, 이동 절연판을 이루는 단위체와 덮개판을 고정시키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 볼트의 상부에는 판스프링이 탄지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구조체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고정 절연판을 기준으로, 최상단에는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하고, 그 아래층에는 단위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에서 이동 절연판을 제외하여 그 아래에 배치하고, 다시 그 아래층에는 단위체의 구성요소중에서 2개조로 이루어지는 이동 절연판중 한조를 제거하여 배치하며, 마지막층에는 단위체의 구성요소를 모두 갖춘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구조체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각각 단공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이 구비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 도체판과 고정 절연판에는 단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이동 도체판과 이동 절연판에는 각각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스덕트의 사이에 조인트 키트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구조체를 구비하여 부스덕트간의 접속이 용이하면서도 부스덕트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부스덕트간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인트 키트를 통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데, 조인트 키트와 접속되는 연결구조체의 도체판의 양면으로 다른 도체판이 구비되어서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전류전달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의 조인트 키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중 연결구조체만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구조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와 조인트 키트 및 연결구조체의 접속상태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을 이루는 부스덕트(10)(20)의 사이에 하나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조인트 키트(30)(40)를 연결하고, 상기 한쪽 조인트 키트(30)와 연결된 부스덕트(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스덕트(20)의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연결구조체(50)를 연결한 구조이다.
상기 조인트 키트(30)(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재(31)(41)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속 부스바(32)(42)가 관통, 결합되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키트(30)(40)의 조임부재(31)(41)는 볼트(31a)(41a)와, 이 볼트(31a)(41a)에 끼워져서 복수의 접속부스바(32)(42)를 탄지하도록 하는 판스프링(31b)(41b)과, 최종적으로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너트(31c)(41c)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접속부스바(32)(42)의 각 단부에는 절연부재(32a)(42a)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접속부스바(32)(42)의 종방향으로의 간격에는 절연 스페이서(33)(43)가 구비된 구조이다. 조인트 키트(30)(4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각각 패널(34)(4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조체(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분리된 이동 도체판(51)(52)과, 상기 이동 도체판(51)(52)의 양쪽면에 밀접되면서 한쌍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 도체판(53)과, 이 고정 도체판(53)의 각각에 독립되게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이동 절연판(54)(55)이 배열되어서 하나의 단위체(U)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단위체(U)는, 고정 절연판(56)을 기준으로 순차적이면서 반복적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단위체(U)로 구성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연결구조체(5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각각 덮개판(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57)에는 장공(5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도체판(53)과 고정 절연판(56)에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장공(53a)(5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도체판(51)(52) 및 이동 절연판(54)에는 각각 단공(51a)(52a)(54a)이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단공(51a)(52a)(54a)에는 볼트(61)(71)이 통과되므로, 볼트(61)(71)의 이동에 따라 이동 도체판(51)(52) 및 이동 절연판(54)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다른 구조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도체판(51)(52) 및 이동 절연판(54)(55)에는 각각 장공(51b)(52b)(54b)(55b)이 형성되고, 고정 도체판(53) ,고정 절연판(56) 및 덮개판(57)에는 단공(53b)(56b)(57b)이 형성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상기 도 5에서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구성요소에 형성된 단공 및 장공을 서로 반대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간격 조절시, 조임부재인 볼트와 너트를 느슨하게 한 다음, 이동도체판(52) 및 이동 절연판(55)을 적절히 이동시켜서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체(U)가 고정 절연판(56)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복수,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단위체(U)로 구성된 연결구조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단위체(U)와 고정 절연판(56) 및 덮개판(57)이 복수,적층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조임부재(60)(70)가 관통,결합되어 하나의 연결구조체(50)를 구성한다. 상기 조임부재(60)(70)는 앞뒤로 각각 설치하여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조체(50)의 조임부재(60)(70)는 볼트(61)(71)와 너트(62)(72)로 이루어져서 이동 도체판(51)(52), 고정 도체판(53), 이동 절연판(54)(55)을 이루는 단위체(U)와 덮개판(57)을 고정시키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보다 견고한 조립을 위해서, 상기 볼트(61)(71)의 상부에는 판스프링(63)(73)이 탄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조체(5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체(U)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 일부를 배제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고정 절연판(56)을 기준으로, 최상단에는 하나의 단위체(U)로 구성하고, 그 아래층에는 단위체(U)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에서 이동 절연판(54)(55)을 제외하여 그 아래에 배치하고, 다시 그 아래층에는 단위체(U)의 구성요소중에서 2개조로 이루어지는 이동 절연판(54)(55)중 한조를 제거하여 배치하며, 마지막층에는 단위체(U)의 구성요소를 모두 갖춘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연결구조체(50)의 배치구조를 달리하여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 키트(30)(40) 및 연결구조체(50)의 외부에는 하우징(80)이 감싸져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60)의 외부로 조임부재(51)(52)의 헤드가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6은 부스덕트,조인트 키트 및 연결구조체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편의상 한쪽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부스덕트(10)와 조인트 키트(30)간의 접속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스덕트(10)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는 4개의 도체부재(11)가 조인트 키트(30)의 조임부재(31)를 기준으로 한쪽 부분의 접속 부스바(32)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조임부재(31)의 다른쪽 부분의 접속부스바(32) 사이에는 연결구조체(50)의 이동 도체판(51)이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부스덕트(20)에도 도체부재(21)가 연장, 형성되어서 조인트 키트(40)의 접속 부스바(42) 사이에 접속되고, 연결구조체(50)의 이동 도체판(52)도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부스덕트(10)(20)의 사이에 조인트키트(30)(40)를 접속한 상태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구조체(50)를 연결하도록 한 것으로서, 부스덕트(10)(20)간의 거리가 시공과정에서 원래의 규격과 맞지 않는 경우에,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50)를 통해 적절히 대응하여 간격을 맞출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5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조를 이루는 조임부재(60)(70)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재(60)(70)를 이루는 너트(62)(72)를 풀어서 느슨하게 한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우측으로 볼트(61)(71)를 이동시키면, 이동도체판(51)(52)과 이동절연판(54)(55)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도체판(53), 고정절연판(56) 및 덮개판(57)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53a)(56a)(57a)이 형성되어 있어 이 장공(53a)(56a)(57a)의 범위내에서 볼트(61)(71)가 이동가능하다.
이렇게 볼트(61)(71)를 통해 이동도체판(51)(52)과 이동절연판(54)(55)이 함께 이동하여 적정한 간격이 이루어지면, 풀었던 너트(62)(72)를 다시 조여서 결합,고정되도록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연결구조체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와 마찬가지로 몇가지 구성요소만이 제거된 상태이고,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도 각 구성요소별 색상은, 동일한 색상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스덕트(10)(20)간의 간격이 원하는 간격으로 설정되지 못하는 현장상황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구조체(50)를 통해 간편하게 간격을 맞추어서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의 조인트 키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중 연결구조체만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와 조인트 키트 및 연결구조체의 접속상태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연결구조체의 길이가 가변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0,20 : 부스덕트
30,40 : 조인트 키트
31,41 : 조임부재
32,42 : 접속 부스바
31a,41a : 체결부재
31b,41b : 탄성부재
31c,41c : 너트
32a,42a : 절연부재
33,43 : 절연 스페이서
34,44 : 패널
50 : 연결 구조체
51,52 : 이동도체판
51a,52a : 단공
51b,52b : 장공
53 : 고정 도체판
53a : 장공
53b : 단공
54,55 : 이동절연판
54a,55a : 단공
54b,55b : 장공
56 : 고정절연판
56a : 장공
56b : 단공
57 : 덮개판
57a : 장공
57b : 단공
60,70 : 조임부재
61,71 : 볼트
62,72 : 너트
63,73 : 판스프링
80 : 하우징

Claims (13)

  1. 한쌍을 이루는 부스덕트(10)(20)의 사이에는 조인트 키트(30)(40)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한쪽 조인트 키트(30)와 연결된 부스덕트(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스덕트(20)의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연결구조체(50)를 연결한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로서,
    상기 조인트 키트(30)(40)는 조임부재(31)(41)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속 부스바(32)(42)가 관통, 결합되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조체(50)는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분리된 이동 도체판(51)(52)과, 상기 이동 도체판(51)(52)의 양쪽면에 밀접되면서 한쌍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 도체판(53)과, 상기 고정 도체판(53)의 각각에 독립되게 이동가능하도록 분리된 이동 절연판(54)(55)이 배열되어서 하나의 단위체(U)를 구성하며,
    상기 단위체(U)와 고정 절연판(56)이 반복적으로 복수,적층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조임부재(60)(70)가 관통,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키트(30)(40)의 조임부재(31)(41)는 볼트(31a)(41a)와, 이 볼트(31a)(41a)에 끼워져서 복수의 접속부스바(32)(42)를 탄지하도록 하는 판스프 링(31b)(41b)과, 최종적으로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너트(31c)(41c)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체(5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각각 장공(57a)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57)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도체판(53)과 고정 절연판(56)에는 장공(53a)(5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도체판(51)(52)과 이동 절연판(54)(55)에는 각각 단공(52a)(54a)(55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스바(32)(42)의 각 단부에는 절연부재(32a)(4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스바(32)(42)의 종방향으로의 간격에는 절연 스페이서(33)(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체(50)의 조임부재(60)(70)는 볼트(61)(71)와 너트(62)(72)로 이루어져서 이동 도체판(51)(52), 고정 도체판(53), 이동 절연판(54)(55)을 이루는 단위체(U)와 덮개판(57)을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트(61)(71)의 상부에는 판스프링(63)(73)이 탄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체(5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고정 절연판(56)을 기준으로, 최상단에는 하나의 단위체(U)로 구성하고, 그 아래층에는 단위체(U)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중에서 이동 절연판(54)(55)을 제외하여 그 아래에 배치하고, 다시 그 아래층에는 단위체(U)의 구성요소중에서 2개조로 이루어지는 이동 절연판(54)(55)중 한조를 제거하여 배치하며, 마지막층에는 단위체(U)의 구성요소를 모두 갖춘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체(5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각각 단공(57b)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57)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도체판(53)과 고정 절연판(56)에는 단공(53b)(5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도체판(51)(52)과 이동 절연판(54)(55)에는 각각 장공(51b)(52b)(54b)(5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KR20080097966A 2008-10-07 2008-10-07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KR10099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966A KR100996067B1 (ko) 2008-10-07 2008-10-07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966A KR100996067B1 (ko) 2008-10-07 2008-10-07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838A true KR20100038838A (ko) 2010-04-15
KR100996067B1 KR100996067B1 (ko) 2010-11-22

Family

ID=4221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7966A KR100996067B1 (ko) 2008-10-07 2008-10-07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2622A (zh) * 2016-06-27 2016-09-07 江苏华鹏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密集绝缘母线槽
CN107887871A (zh) * 2017-12-28 2018-04-06 江苏向荣电气有限公司 一种新型母线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039A (ja) 2001-02-02 2002-08-1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方式
JP4218927B2 (ja) 2001-11-16 2009-02-04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寸法調整接続ユニット
JP2006121866A (ja) 2004-10-25 2006-05-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寸法調整接続ユニット
KR100897340B1 (ko) 2007-04-06 2009-05-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절연 샤프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스 덕트 연결용조인트 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2622A (zh) * 2016-06-27 2016-09-07 江苏华鹏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密集绝缘母线槽
CN105932622B (zh) * 2016-06-27 2018-11-23 江苏华鹏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密集绝缘母线槽
CN107887871A (zh) * 2017-12-28 2018-04-06 江苏向荣电气有限公司 一种新型母线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067B1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8025A (ko)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 구조체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US10958023B2 (en) Electrical devic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EP2507881B1 (en) Busbar joint
US9705300B1 (en) Electrical busway joint with laminated bracing system
US9979164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US9705299B1 (en) Electrical busway joint with external vise braces
US9590406B1 (en) Busway joint coupling having a splice plate with a longitudinal rib
US11056861B2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JP4231001B2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CA2471901C (en) Load configurable electrical distribution bus
JPH03190075A (ja) 電気回路の組立および接続機構
KR100996067B1 (ko)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US10931088B2 (en) Stacked bus assembly with stepped profile
US5035636A (en) Disc stack connector
KR101011678B1 (ko) 전기 접속장치
KR101610811B1 (ko) 상전환용 부스덕트
KR20190049066A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US10700503B2 (en) Electrical bus bar assemblies, bus bar support assemblies, bus bar brace apparatus, yoke brace apparatus, and methods
KR101972738B1 (ko) 애자 어셈블리
WO2022093154A1 (en) Block additional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lines
JP4521851B2 (ja) バスダクトのフィードインシステム及びそのフィードイン部
JPH07336848A (ja) バスダクト接続部構造
JP2023061333A (ja) バスダクトの導体構造
KR20090081774A (ko) 부스 덕트장치용 트위스트 피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