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066A - 부스덕트 접속키트 - Google Patents

부스덕트 접속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066A
KR20190049066A KR1020170144507A KR20170144507A KR20190049066A KR 20190049066 A KR20190049066 A KR 20190049066A KR 1020170144507 A KR1020170144507 A KR 1020170144507A KR 20170144507 A KR20170144507 A KR 20170144507A KR 20190049066 A KR20190049066 A KR 2019004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bus
plate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467B1 (ko
Inventor
박재우
이민우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통전플레이트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비용과 무게를 최소화하고, 부스덕트의 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스덕트 접속키트{BUSDUCT CONNECTION KIT}
본 발명은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통전플레이트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비용과 무게를 최소화하고, 부스덕트의 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는 전력 배선 방식으로 전선케이블을 이용한 배선 방식을 널리 채용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바를 사용하는 부스덕트에 의한 배선이 확산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이 가능하다. 원래, 대형 건물이나 대규모 공장 등의 내부 배선에는 전력 케이블에 의한 배선보다 부스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이 공간 활용 또는 설치 용이성 등이 더 우수하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을 대체하는 부스닥트 시스템은 대용량 전류전송, 효율적인 공간 활용, 시공 편리성, 전력 품질 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제품간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고객과 시장의 다양성 요구로 경량화, 컴팩트 제품으로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경량화, 컴팩트 등의 목적으로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를 적층한 샌드위치 타입의 부스덕트가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는 설치되는 공간의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일정 길이 간격으로 접속키트를 통해 접속되며, 부스덕트의 단부에는 부스바가 노출된 상태로 접속키트에 삽입되어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키트는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상별 부스바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공간)의 양측에 통전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각각의 접속공간의 양측으로 2개의 부스덕트의 부스바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구조가 채용된다.
이와 같은 접속키트는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의 양 내측면에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접속을 위하여 삽입되는 부스바의 양면과 접촉된 상태로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다.
그러나 접속공간의 내측 양면에 각각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경우, 접속키트의 무게와 비용이 증가되고, 접속키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스바를 동시에 삽입하여 접속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이 틀어지거나 통전플레이트가 오조립된 경우, 통전플레이트와 부스바의 간섭에 의하여 부스바의 삽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부스덕트 접속키트의 경우 부스덕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통전플레이트(210) 상에 구비하고, 부스바가 접속공간(S1, S2 및 S3) 내에 삽입되는 경우 부스바의 단부가 통전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림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통전플레이트(210)에 스토퍼를 형성하는 방법은 통전 플레이트를 타공하고 타공부위를 절곡시켜 돌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타공 면적만큼 통전면적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통전플레이트 및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비용과 무게를 최소화하고, 부스덕트의 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개의 상별 부스바가 구비된 부스덕트를 접속하는 접속키트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를 상간 절연하고 상기 부스바의 접속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평행하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N+1개의 절연플레이트; 상기 N개의 상별 부스바와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공간에 각각 구비되는 N개의 통전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 중 최외층 절연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 및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전플레이트는 상기 절연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플레이트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은 또는 주석으로 도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내면에 접속되는 부스덕트에 구비된 덧판부재의 덧판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단차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외면에 방열을 위한 요철 형태의 방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방열부 하부에 재료 저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1개의 절연플레이트 중 인접한 절연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볼트로 관통되는 영역이 상호 형합되어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면과 타면 중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 둘레에 링형상의 돌출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돌출리브 중 어느 하나의 내측폭과 형상이 나머지 하나의 외측폭과 형상이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돌출리브에 의한 적층 조립부위를 둘러싸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공간의 높이보다 큰 두께의 스페이서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볼트는 파단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너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가 파단되어 접속키트가 조립이 완료되기 전의 각각의 접속공간의 높이는 조립이 완료된 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의하면,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금속 재질의 통전플레이트 및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접속키트의 무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의하면,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의 일측면만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타측면은 수지 재질의 절연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부스바의 삽입 작업이 용이해져 부스덕트의 접속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의하면, 부스덕트의 접속 작업시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통전플레이트 상의 스토퍼를 생략하여 통전플레이트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접속키트의 무게와 비용을 추가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한 쌍의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와 부스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덕트 접속키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한 쌍의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와 부스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을 위한 부스덕트(100)는 단위 길이별로 제작되고, 접속키트(200)를 매개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스덕트(100)는 양 단부에 접속키트(200)와 접속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스덕트(100)는 크게 복수 개의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적층된 부스바(20)를 수용하는 외함(30), 상기 외함(3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단에 상기 부스바(20)가 이격된 상태로 도체(21)가 노출되어 형성되는 수형 접속부(40) 및, 상기 외함(30)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수형 접속부(40)의 외측에 상기 도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덧판부재(50), 상기 외함(30)의 단부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덧판부재(50)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몰드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의 도체(21)가 구리인 경우에는 도전율 99%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고,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도전율 61%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도체(21) 표면은 각각 에폭시 코팅 등의 절연재(23)에 의해 피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20)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절연재(21)를 피복하여 절연하고, 상기 외함(30)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수용하여 보호된다.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부스덕트(100)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S, T의 3개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 S, T, N으로 이루어져 4개가 구비되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100)의 부스바(20)들은 서로 접촉한 상태, 즉 샌드위치 방식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부스바(20)들은 복수 개가 인접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외함(3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들이 적층되는 방향은 도 1에서 상하 방향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방향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바(20)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샌드위치 타입(sandwich type)으로 배열되며, 그에 따라 전체 부스덕트(10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동일한 용량의 전력 공급을 위한 부스덕트(100)가 컴팩트하게 구성되면 원자재의 비용 등에 의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컴팩트화가 부스덕트(100)의 경쟁력의 기준이 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바(20)들을 샌드위치 타입으로 배치하는 대신에 상간 절연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부스바(20) 각각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절연재(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재(23)는 예를 들어 에폭시 코팅(epoxy coating)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절연 성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 130℃ 정도의 내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절연재(23)로는 에폭시 외에도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Mica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덕트(100)는 상기 접속키트(200)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부스바(20)의 단부는 상기 절연재(23)가 없는 도체(21)가 노출되는 수형 접속부(40)를 구성한다.
상기 수형 접속부(40)는 복수 개의 부스바(20)의 도체(21)가 노출된 상태로 이격되어 구성되어, 각각의 도체(21)가 본 발명에 따른 접속키트(200)의 접속공간(S1, S2 및 S3)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스바(20)의 도체(21)를 상호 절연시킨 상태로 상별 부스바(20)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종래의 부스덕트 접속키트와 달리 무게와 비용을 줄이고 조립성이 향상된 특징을 가지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덕트 접속키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N개의 상별 부스바(20)가 구비된 부스덕트를 접속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20)를 상간 절연하고 상기 부스바(20)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을 형성하기 위하여 평행하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N+1개의 절연플레이트(220); 상기 N개의 상별 부스바(20)와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에 각각 구비되는 N개의 통전플레이트(210); 상기 절연플레이트(220) 중 최외층 절연플레이트(22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220), 통전플레이트(210)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 및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N상 교류 전력 공급을 위한 N개의 부스바(20)를 구비한 부스덕트를 접속할 수 있으며,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N개의 부스바(20)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N개의 부스바(20)를 구비한 부스덕트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키트로 N개의 통전플레이트(210)와 N+1개의 절연플레이트(2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N개의 부스바(20)를 구비한 한 쌍의 부스덕트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키트는 2N 개의 통전플레이트(210)와 N+1 개의 절연플레이트(220)를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통전플레이트(210)의 개수를 부스바(20)의 개수와 일치시켜 무게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부스덕트(20)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R, S, T, N의 4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플레이트(220)와 통전플레이트(210) 또한 상기 부스바(20)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접속키트(200)를 구성하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접속대상 부스덕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R, S, T의 3개의 상의 부스바(2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대상 부스덕트의 부스바(20)는 3상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접속키트 역시 그에 따라 3상 이상의 부스바(20)를 구비하는 부스덕트의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2개의 3상 부스덕트의 부스바(20)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3개의 통전플레이트(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키트(200)의 구조를 검토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스덕트에 각각 구비된 3개의 부스바(20)를 상호 절연 및 전기적 접속하기 위한 3개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은 각각 4개의 절연플레이트(22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220)의 일측면에 통전플레이트(210)가 구비되어 부스바(20)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플레이트(220)는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통전플레이트(210)는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의 동일한 방향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의 내부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부착되어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에 삽입되는 부스바(20)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부스바(20)는 R, S, T의 3개 상으로 이루어져 3개가 구비되고, 접속공간(S1, S2 및 S3)이 3개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절연플레이트(220)는 4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3개의 부스바(20)가 삽입될 수 있는 접속공간(S1, S2 및 S3)을 형성하며, 서로 이웃하는 절연플레이트(220)의 일측면에는 3개의 통전플레이트(210)가 하나씩 구비되어 3개의 부스바(20) 각각의 일측면에서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절연플레이트(220) 사이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통전플레이트(210)가 한쌍의 부스덕트의 부스바(20)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절연플레이트(220)가 각각의 쌍을 이루는 통전플레이트(210)들 사이에서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에 구비되는 상기 통전플레이트(210)는 상기 절연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안착홈(223)에 안착되어 흔들림 없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통전플레이트(210)는 구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전플레이트(210)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은 또는 주석으로 도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플레이트(220) 중 최외층 절연플레이트(22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플레이트(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플레이트(280)는 접속키트를 보호하며, 방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플레이트(280)의 내면에는 접속되는 부스덕트에 구비된 덧판부재의 덧판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단차 형태의 스토퍼(2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87)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또한, 상기 외부플레이트(280)의 표면에는 방열을 위한 요철 형태의 방열부(2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플레이트(280)의 방열부(281) 하부에 재료 저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플레이트(280), 절연플레이트(220) 및 통전플레이트(210) 중앙에는 각각 관통공(212, 222, 28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2, 222, 282)을 통해 체결볼트(240)가 삽입되어 외부플레이트(280), 절연플레이트(220) 및 통전플레이트(210)를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볼트(240)는 상기 관통공(212, 222, 282)으로 삽입된 후 반대편에 너트(270)가 결합되어 조여지며 상기 외부플레이트(280), 절연플레이트(220) 및 통전플레이트(210)를 내측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절연플레이트(220) 사이사이에 삽입된 부스바(20) 또한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통전플레이트(210)와 밀착된 상태가 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상기 체결볼트(240)가 삽입되는 측과 타측의 너트(270)가 조여지는 부분에는 판스프링(250)이 구비되어 체결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로 상기 너트(270) 외주측으로 풀림방지구(미도시)가 구비되어 너트(270)가 체결볼트(24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240)가 상기 관통공(212, 222, 282)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볼트(2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연부시(미도시)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절연플레이트(220)는 상기 체결볼트(240)로 관통되는 영역이 상호 형합되어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볼트(240)로 관통되는 영역이 상호 형합이 가능하도록 상면과 하면의 관통공 둘레에 링형태의 돌출리브(224, 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절연플레이트(220)의 돌출리브(224, 223 : 도 6 참조)에 의한 적층 조립부위를 둘러싸는 탄성 재질의 스페이서링(2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링(226)은 관통홀(212, 222, 282)들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40)를 추가적으로 절연하고, 상기 너트(270)의 완전한 체결 전에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의 공간을 이격시켜 부스바(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에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일측으로 부스덕트가 접속할 때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덧판부재(50)의 덧판부(51)의 단부가 상기 외부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287)에 걸려 더이상 부스바(20)가 접속공간(S1, S2 및 S3)으로 진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종래에는 부스바(20)의 단부가 통전플레이트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하여 걸려 진입이 제한되는 방식을 취하였으므로, 통전플레이트의 일부 면적을 타공하는 방식이라 통전플레이트의 면적 손실이 불가피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통전플레이트(210)의 전체 면적을 통전 경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통전 용량이 필요하다면 오히려 통전플레이트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통전플레이트(210)의 면적을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에 통전플레이트(210)를 하나씩만 구비하는 경우에 무게와 비용의 절감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의 일측면에만 통전플레이트(210)를 구비하여 접속키트(200)의 무게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부스덕트의 접속을 위한 접속키트(200)의 재료비 측면에서 통전플레이트(210)의 개수를 종래의 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가격 경쟁력에서 큰 우위를 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적으로 접속키트의 접속공간(S1, S2 및 S3) 양측에 통전플레이트(210)를 구비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와 같이 일면만 통전플레이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부스바(20)와 통전플레이트(210)가 밀착된다면 통전에 전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래에는 접속공간(S1, S2 및 S3)의 내측 양면에 각각 통전플레이트(210)를 구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이 틀어지거나 통전플레이트(210)가 오조립된 경우, 통전플레이트(210)와 부스바(20)의 간섭에 의하여 부스바(20)의 삽입이 곤란한 경우가 많았고, 부스바(20)를 억지로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에 삽입한 경우에도 부스바(20)와 통전플레이트(210)가 밀착되지 않는 경우, 통전플레이트(210)가 부스바(20)와 양면으로 접촉되어도 통전능력은 오히려 떨어져 접속키트의 발열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는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에서 부스바(20)의 일면만 통전플레이트(210)와 접촉되도록 하고 타면은 수지 재질의 절연플레이트(220)와 접하도록 하여, 삽입과정에서 접속공간(S1, S2 및 S3)의 오차를 어느 정도 절연플레이트(220)가 흡수가 가능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상기 절연플레이트(220)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돌출리브 중 어느 하나의 돌출리브(224) 내측폭과 형상이 나머지 하나의 돌출리브(223)의 외측폭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하여 인접한 절연플레이트(2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된 돌출리브가 상호 형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연플레이트(220)의 상면에 형성된 사각 링형태의 돌출리브(224)의 내측폭과 형상은 하면에 형성된 사각 링형태의 돌출리브(223)의 외측폭과 형상에 일치되도록 하여 절연플레이트(220)가 순차적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속공간(S1, S2 및 S3)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연플레이트(220)의 돌출리브에 의한 적층 조립부위를 둘러싸는 탄성 재질의 스페이서링(226)은 파단볼트 형태의 체결볼트(240)와 체결너트에 의한 접속키트의 조립이 완료되기 전에 각각의 돌출리브가 형합되어 적층된 조립부위를 일부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부스바(20)를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으로 삽입할 때 부스바(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플레이트(220)의 돌출리브에 의한 적층 조립부위를 둘러싸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공간(S1, S2 및 S3)의 높이보다 큰 두께의 스페이서링(226)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240)는 파단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240)가 체결너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240)의 헤드부가 파단되어 접속키트가 조립이 완료되기 전의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의 높이는 조립된 후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240)는 2개의 헤드부(241, 243)가 구비된 파단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헤드(241)가 파단되면 조립이 완료되기 전에는 각각의 돌출리브가 상호 형합 또는 삽입되어 조립상태에 있어도 상기 스페이서링(226)에 의하여 미세하지만 들떠있는 상태가 되고 그 들뜬 상태에서 부스바(20)를 삽입하여 자리를 잡은 후 최종적으로 체결볼트(240)의 상부헤드(241)를 파단시켜 조립을 완료하면 통전플레이트(210)와 부스바(20)는 완전히 밀착되고 스페이서링(226)에 의한 들뜬 상태가 제거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링(226)은 조립과정에서 각각의 접속공간(S1, S2 및 S3)을 벌려 부스바(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체결볼트(240)를 추가적으로 절연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키트(200)를 구성하면, 통전플레이트(210) 및 부품을 줄이고, 덧판부재의 덧판부의 단부가 외부플레이트의 내면에 구비된 스토퍼에 걸리도록 하여 통전플레이트(210)의 스토퍼도 제거하여 전체 면적을 효율적으로 통전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접속키트의 무게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접속공간(S1, S2 및 S3)의 일면은 수지 재질의 절연플레이트(220)로 구성함과 동시에 스페이서링(226)의 두께를 접속공간(S1, S2 및 S3)의 높이보다 크게 하여 부스덕트(100)와 접속키트(200)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부스덕트
200 : 접속키트
210 : 통전플레이트
220 : 절연플레이트

Claims (10)

  1. N개의 상별 부스바가 구비된 부스덕트를 접속하는 접속키트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를 상간 절연하고 상기 부스바의 접속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평행하고 이격되게 구비되는 N+1개의 절연플레이트;
    상기 N개의 상별 부스바와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공간에 각각 구비되는 N개의 통전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 중 최외층 절연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플레이트; 및,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 및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플레이트는 상기 절연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플레이트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은 또는 주석으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내면에 접속되는 부스덕트에 구비된 덧판부재의 덧판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단차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외면에 방열을 위한 요철 형태의 방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방열부 하부에 재료 저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1개의 절연플레이트 중 인접한 절연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볼트로 관통되는 영역이 상호 형합되어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면과 타면 중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 둘레에 링형상의 돌출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돌출리브 중 어느 하나의 내측폭과 형상이 나머지 하나의 외측폭과 형상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돌출리브에 의한 적층 조립부위를 둘러싸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공간의 높이보다 큰 두께의 스페이서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파단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너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가 파단되어 접속키트가 조립이 완료되기 전의 각각의 접속공간의 높이는 조립이 완료된 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키트.
KR1020170144507A 2017-11-01 2017-11-01 부스덕트 접속키트 KR10246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507A KR102464467B1 (ko) 2017-11-01 2017-11-01 부스덕트 접속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507A KR102464467B1 (ko) 2017-11-01 2017-11-01 부스덕트 접속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66A true KR20190049066A (ko) 2019-05-09
KR102464467B1 KR102464467B1 (ko) 2022-11-04

Family

ID=6654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507A KR102464467B1 (ko) 2017-11-01 2017-11-01 부스덕트 접속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296B1 (ko) * 2020-03-02 2020-09-23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003A (en) * 1978-02-15 1980-07-15 Carlson Elmer T Bus conduit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200411090Y1 (ko) * 2006-01-02 2006-03-15 반석엔지니어링(주) 전기 배선용 버스덕트
KR100912577B1 (ko) * 2007-11-29 2009-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0958487B1 (ko) * 2007-11-29 2010-05-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컴팩트화가 가능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20100104034A (ko) * 2009-03-16 2010-09-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오작업 방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 체결 부재
US20110132635A1 (en) * 2009-12-03 2011-06-09 Square D Company Nesting dielectric insulato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003A (en) * 1978-02-15 1980-07-15 Carlson Elmer T Bus conduit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200411090Y1 (ko) * 2006-01-02 2006-03-15 반석엔지니어링(주) 전기 배선용 버스덕트
KR100912577B1 (ko) * 2007-11-29 2009-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0958487B1 (ko) * 2007-11-29 2010-05-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컴팩트화가 가능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20100104034A (ko) * 2009-03-16 2010-09-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오작업 방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 체결 부재
US20110132635A1 (en) * 2009-12-03 2011-06-09 Square D Company Nesting dielectric insula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296B1 (ko) * 2020-03-02 2020-09-23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467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US20200194977A1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8163998B2 (en)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WO2005107031A1 (en) Busbar connector
KR20190049066A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KR102631390B1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KR101236917B1 (ko) 조립식 컴팩트형 표준 분전반
JP7042466B2 (ja) バスダクト幹線における一部構造、他のバスダクト構造、バスダクトシステム及びバスダクトシステムの接続方法。
EP1424755A1 (en)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US20210126408A1 (en)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2463628B1 (ko) 부스덕트
JP2019176569A (ja) バスダクトのフィードイン接続構造
KR20180111522A (ko) 부스덕트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JP2017059300A (ja) 端子台装置
JP2004119187A (ja) バッテリ構成方法
KR20170037360A (ko) 부스덕트 접속부 및 그 접속방법
KR20200138047A (ko)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JP6452402B2 (ja) 蓄電装置
KR102100057B1 (ko) 착탈형 컨택터
US11950390B2 (en)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20230116342A (ko) 부스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KR20240139577A (ko) 전력 공급용 부스웨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웨이 시스템
JP4521851B2 (ja) バスダクトのフィードインシステム及びそのフィードイン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