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047A -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047A
KR20200138047A KR1020200063767A KR20200063767A KR20200138047A KR 20200138047 A KR20200138047 A KR 20200138047A KR 1020200063767 A KR1020200063767 A KR 1020200063767A KR 20200063767 A KR20200063767 A KR 20200063767A KR 20200138047 A KR20200138047 A KR 20200138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us
bus duct
heterogeneou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영
이민우
송욱재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부스바 간의 접속이 가능한 부스덕트 접속장치로서 전력 설비의 호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Busduct Connecting Device And Busduct Power System}
본 발명은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이종 부스바 간의 접속이 가능한 부스덕트 접속장치로서 전력 설비의 호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는 전력 배선 방식으로 전선케이블을 이용한 배선 방식을 널리 채용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바를 사용하는 부스덕트에 의한 배선이 확산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 통전이 가능하다. 원래, 대형 건물이나 대규모 공장 등의 내부 배선에는 전력 케이블에 의한 배선보다 부스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이 공간 활용 또는 설치 용이성 등이 더 우수하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을 대체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은 대용량 전류전송, 효율적인 공간 활용, 시공 편리성, 전력 품질 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제품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고객과 시장의 다양성 요구로 경량화, 컴팩트 제품으로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경량화, 컴팩트 등의 목적으로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를 적층한 샌드위치 타입의 부스덕트가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는 설치되는 공간의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일정 길이 간격으로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통해 접속되며, 부스덕트의 단부에는 부스바가 노출된 상태로 부스덕트 접속장치에 삽입되어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은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장치에 한 쌍의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장치와 부스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공간)의 양측에 통전플레이트가 구비되고, 각각의 접속공간의 양측으로 2개의 부스덕트의 부스바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구조가 채용된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 접속장치는 각각의 접속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접속을 위하여 삽입되는 부스바의 양면과 접촉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이 완료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을 위한 부스덕트(100a, 100b)는 단위 길이별로 제작되고,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를 매개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스덕트(100a, 100b)는 양 단부에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와 접속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부스덕트(100a, 100b)는 크게 복수 개의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적층된 부스바(20)를 수용하는 외함(30), 상기 외함(3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단에 상기 부스바(20)가 이격된 상태로 도체(21)가 노출되어 형성되는 수형 접속부(40) 및, 상기 외함(30)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수형 접속부(40)의 외측에 상기 도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덧판부재(51)를 포함하는 덧판부(50), 상기 외함(30)의 단부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덧판부재(51)의 장착면을 제공하는 몰드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덕트(100a, 100b)를 구성하는 부스바(20)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23)가 없는 도체(21)가 노출되는 수형 접속부(40)를 구성한다.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부스덕트(100a, 100b)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S, T의 3개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 S, T, N으로 이루어져 4개가 구비되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를 통해 접속되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는 각각 N개의 부스바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양 부스덕트(100a, 100b)의 N개의 부스바를 각각 상별로 절연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개의 접속공간을 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로 한 쌍의 부스덕트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부스덕트 접속장치에 접속되는 부스덕트가 동종 및 동일 규격의 부스덕트일 것이 요구된다.
즉, 전술한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와 폭 등의 규격이 동일한 경우에만 각각의 부스덕트의 부스바가 각각의 접속공간에서 접속된 상태로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볼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이종의 부스바 간을 접속할 경우, 예를 들면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스덕트 접속장치로 접속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양 부스덕트 중 어느 하나의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두께가 얇은 부스덕트의 부스바는 부스덕트 접속장치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 및 고정되지 못하고, 부스바의 폭 등이 상이한 경우, 어느 하나의 부스덕트는 부스덕트 접속장치 내로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접속 대상 부스덕트들의 규격 또는 종류가 상이한 경우, 결국 부스덕트를 각각 단부를 절단하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속 환경에 따라 개별적으로 접속부를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접속 방법이 어렵고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그러나, 대형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스덕트의 종류는 영역별로 달라질 수 있고, 전력 시스템의 유지 보수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종 부스바 간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설비의 호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스바가 구비된 제1 부스덕트가 제1 방향에서 접속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절연플레이트, 상기 복수 개의 접속공간 내에서 상기 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 복수 개의 부스바가 구비된 제2 부스덕트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속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절연플레이트, 상기 복수 개의 접속공간 내에서 상기 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복수 개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각각의 접속공간 내의 각각의 통전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연결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는 이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는 제1 접속부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접속부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도체의 연결부는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도체의 제1 삽입부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상응하고, 상기 연결도체의 제2 삽입부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제1 삽입부, 상기 제2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도체의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와 상기 연결도체의 제1 삽입부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와 상기 연결도체의 제2 삽입부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의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도체의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는 평행하며 상기 연결부와의 경계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가 경사지게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도체의 연결부 경사각은 외측에 배치된 연결도체의 경사각이 내측에 배치된 연결도체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재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접속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2 접속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두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주름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 및 상기 커버 연결부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 내측에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최외부 절연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접속되는 부스덕트와 연결도체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통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제2 접속부에 복수 개의 부스덕트가 나란히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개수에 따라 접속되는 부스덕트와 연결도체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통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도체와 접속부의 접속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도체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홀 또는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제1 접속부로 제1 방향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스덕트; 및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제2 접속부로 제2 방향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스덕트;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에 의하면,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두께 또는 부스바의 폭 등이 상이한 이종 부스바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설비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에 의하면,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두께 또는 부스바의 폭 등이 상이한 이종 부스바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부스덕트를 절단 및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장 부스덕트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크게 저감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에 의하면, 부스덕트 운용시 필요한 유지 또는 보수 과정에서도 이종 부스바의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에 한 쌍의 부스덕트가 접속된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와 부스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와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연결도체를 확인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평면도와 통전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장치에 한 쌍의 부스덕트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장치와 부스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가 접속된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와 부스덕트(100a, 100b)가 분리된 상태의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부스덕트(100a, 100b)의 부스바(20)들은 서로 접촉한 상태, 즉 샌드위치 방식의 부스덕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동일한 용량의 전력 공급을 위한 부스덕트(100a, 100b)가 컴팩트하게 구성되면 원자재의 비용 등에 의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컴팩트화가 부스덕트(100a, 100b)의 경쟁력의 기준이 되고 있다.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부스덕트(100a, 100b)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S, T, N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 S, T으로 이루어져 3개가 구비되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스바(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의 도체(21)가 구리인 경우에는 도전율 99%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고,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도전율 61%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체(21) 표면은 각각 에폭시 코팅 등의 절연체(23)에 의해 피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20)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절연체(23)를 피복하여 절연하고, 상기 외함(30)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수용하여 보호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를 통해 접속되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는 각각 4개의 부스바(2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양 부스덕트(100a, 100b)의 4개의 부스바(20)를 각각 상별로 절연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접속공간(S1, S2, S3, S4, 도 5 참조)을 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들이 적층되는 방향은 도 1에서 상하 방향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방향 모두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바(20)들을 샌드위치 타입으로 배치하는 대신 상간 절연을 위해 상기 복수의 부스바(20)의 도체(21) 외측면을 둘러싸는 절연체(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23)는 예를 들어 에폭시 코팅(epoxy coating)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절연 성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 130℃정도의 내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23)로는 에폭시 외에도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Mica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덕트(100a, 100b)는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부스바(20)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23)가 없는 도체(21)가 노출 및 전개되는 수형 접속부(4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형 접속부(40)는 4개의 부스바(20)의 도체(21)가 노출된 상태로 이격되어 구성되어, 각각의 도체(21)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접속공간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스바(20)의 도체(21)를 상호 절연시킨 상태로 상별 부스바(20)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를 통해 접속되는 부스덕트는 동일 규격 또는 동종 크기인 동종 부스덕트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이종 부스바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의하여 접속되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는 각각 구비된 부스바(20)의 두께, 폭 또는 재료가 다른 부스덕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의하면, 서로 다른 이종 부스바를 절단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개별 접합부를 구성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서로 다른 종류 또는 규격의 제1 부스덕트(100a)와 제2 부스덕트(100b)가 다른 방향에서 접속되는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는 부스덕트 접속장치(200) 내에서 연결도체(300)(300, 도 3 이하 참조)로 접속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와 부스덕트(100a, 100b)가 접속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연결도체(300)를 확인하기 위한 확대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평면도와 통전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복수 개의 부스바(20)가 구비된 제1 부스덕트(100a)가 제1 방향에서 접속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20)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절연플레이트(220a), 상기 복수 개의 접속공간 내에서 상기 부스바(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통전플레이트(210a);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200a); 복수 개의 부스바(20)가 구비된 제2 부스덕트(100b)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속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20)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절연플레이트(220b), 상기 복수 개의 접속공간 내에서 상기 부스바(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통전플레이트(210b);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200b); 및,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상기 제2 접속부(200b)의 복수 개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각각의 접속공간 내의 각각의 통전플레이트(210a, 21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도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스덕트(100a)의 부스바와 상기 제2 부스덕트(100b)의 부스바는 이종인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100a)와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100b)는 각각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100a)와 제2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100b)를 구성하는 부스바(20)들은 각각의 접속부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각각의 접속부의 접속공간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구조를 검토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각각 제1 부스덕트(100a)가 접속되는 제1 접속부(200a)와 제2 부스덕트(100b)가 접속되는 제2 접속부(200b)에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에 각각 구비된 4개의 부스바(20)를 상호 절연 및 전기적 접속하기 위한 각각 4개의 접속공간(S1(S1'), S2(S2'), S3(S3'), S4(S4'), 도 5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 규격의 부스덕트를 접속하므로, 부스바(20)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각각의 접속공간의 폭 또는 높이는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한 쌍의 서로 다른 규격의 부스덕트가 접속되므로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에 구비된 4개의 접속공간(S1(S1'), S2(S2'), S3(S3'), S4(S4'))의 높이 등의 규격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20)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경우,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에 구비된 4개의 접속공간(S1(S1'), S2(S2'), S3(S3'), S4(S4'))의 높이 또는 폭이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
각각의 접속공간(S1(S1'), S2(S2'), S3(S3'), S4(S4'))은 각각 5개의 절연플레이트(220a, 220b)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절연플레이트(220a, 220b) 사이에 구비되는 4개의 접속공간(S1(S1'), S2(S2'), S3(S3'), S4(S4'))에서 복수의 절연플레이트(220a, 220b)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통전플레이트(210a, 210b)가 구비되어 부스바(20)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플레이트(220a, 220b)는 이격되어 적층되는 방법으로 접속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통전플레이트를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절연플레이트(220a, 220b)에는 각각의 통전플레이트(210a, 210b)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22a, 222b)이 형성되어 통전플레이트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200a)의 각각의 접속공간(S1, S2, S3, S4)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210a)는 제1 통전플레이트(211a)와 제2 통전플레이트(213a)로 이분할되고, 상기 접속공간(S1, S2, S3, S4)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100a)의 4개의 부스바(20)의 도체는 각각 제1 통전플레이트(211a)와 제2 통전플레이트(213a) 사이에 삽입되어 부스바(20)의 양면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통전플레이트(211a)와 제2 통전플레이트(213a)에는 각각 부스바 또는 연결도체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돌기부 등이 형성되어 부스바 또는 연결도체와 체결볼트 등의 접촉을 방지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반면, 제2 접속부(200b)의 각각의 접속공간(S1', S2', S3', S4')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210b)는 단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공간(S1', S2', S3', S4')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100b)의 4개의 부스바(20)의 도체는 각각 접속공간(S1', S2', S3', S4')에 삽입되어 각각의 통전플레이트(210b)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부(200a, 200b)의 구조는 각각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구조 또는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절연플레이트(220a, 220b) 사이의 접속공간(S1, S2, S3 및 S4)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는 통전플레이트(210a, 210b)가 한쌍의 부스덕트(100a, 100b)의 부스바(20)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절연플레이트(220a, 220b)가 각각의 쌍을 이루는 통전플레이트(210a, 210b)들 사이에서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상별 부스바(20)를 통전시키기 위한 통전플레이트(211a, 213a)가 2개씩 구비되고 하나의 부스바(2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의 통전플레이트(211a, 213a)에 접속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한 쌍의 통전플레이트(211a, 213a)와 부스바(20)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고 부스바와 통전플레이트의 체결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고, 제2 접속부(200b)와 같은 구조는 부스바(20)와 통전플레이트를 1 : 1로 접속되도록 하여 무게와 비용을 최소화하고 부스바(2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통전플레이트가 접속공간의 일측에만 구비되므로 부스바(20)의 삽입 저항을 낮춰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를 구성하는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는 부스바(20)와 통전플레이트(210a, 201b)가 양면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단면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접촉 방식과 단면 접촉 방식 모두가 적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통전플레이트(210a, 210b)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전플레이트(210a, 210b)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은 또는 주석으로 도금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상기 제2 접속부(200b)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커버플레이트(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하나의 접속장치에 2개의 접속부가 구비되지만, 최외부에는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80) 내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최외부 절연플레이트(220a, 220b, 220a’, 220b’)가 각각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플레이트(280)는 상기 제1 접속부(200a)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280a), 상기 제2 접속부(200b)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280b) 및 상기 제1 커버부(280a)와 상기 제2 커버부(280b)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28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커버 연결부(280c)는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의 두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주름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280a), 상기 제2 커버부(280b) 및 상기 커버 연결부(280c)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커버부(280a), 상기 제2 커버부(280b) 및 상기 커버 연결부(280c)는 일체로 구성되지만, 커버 연결부(280c)를 주름구조로 구성하여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부(280a), 상기 제2 커버부(280b)에는 체결볼트 관통을 위한 2개의 관통공(282a, 282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상기 제2 접속부(200b)는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280), 절연플레이트(220a, 220b) 및 통전플레이트(210a, 210b) 중앙에는 각각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체결볼트(240a, 240b)가 삽입되어 커버플레이트(280), 절연플레이트(220a, 220b) 및 통전플레이트(210a, 210b)를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볼트(240a, 240b)는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된 후 반대편에 체결너트(270a, 270b)가 결합되어 조여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280), 절연플레이트(220a, 220b) 및 통전플레이트(210a, 210b)를 내측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접속공간(S1, S2, S3 및 S4)에 삽입된 부스바(20) 또한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통전플레이트(210a, 210b)와 양면 또는 일면으로 밀착된 상태가 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상기 체결볼트(240a, 240b)가 삽입되는 부분과 타측의 체결너트(270a, 270b)가 조여지는 부분에는 판스프링(250a, 250b)이 구비되어 체결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로 파단 볼트 형태로 구성되는 체결볼트(240a, 240b)가 삽입되는 부분에 파단 인덱스(255a, 255b)가 구비되어 체결볼트(240a, 240b)의 충분한 체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240a, 240b)가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볼트(240a, 240b)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연부시(도면부호 미도시)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절연플레이트(220a, 220b)는 상기 체결볼트(240a, 240b)로 관통되는 영역이 상호 형합되어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면과 하면의 관통공 둘레에 링형태의 돌출리브(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절연플레이트(220a, 220b)의 돌출리브에 의한 적층 조립부위를 둘러싸는 탄성 재질의 스페이서링(226a, 226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링(226a, 226b)은 관통공들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40a, 240b)를 추가적으로 절연하고, 상기 체결너트(270a, 270b)의 완전한 체결 전에 상기 접속공간(S1, S2, S3 및 S4)의 공간을 이격시켜 부스바(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각각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를 구비하고, 각각의 접속부의 구조는 종래 동종 부스덕트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또는 접속키트)의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접속부의 접속공간은 연결도체(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속공간은 각각 부스바(2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2개 또는 1개의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통전플레이트들은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는 각각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부스바(20)들과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의 각각의 접속공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도체(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도체(300)는 상기 제1 접속부(200a)와 상기 제2 접속부(200b)의 내측 접속공간(S1(S1'), S2(S2'), S3(S3'), S4(S4'))는 삽입되어 제1 접속부(200a)와 제2 접속부(200b)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연결도체(300)는 제1 접속부(200a)의 접속공간(S1, S2, S3, S4)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 삽입부(310), 상기 제2 접속부(200b)의 접속공간(S1', S2', S3', S4')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2 삽입부(350) 및 상기 제1 삽입부(310)와 상기 제2 삽입부(35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310), 상기 제2 삽입부(350) 및 상기 연결부(33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제2 삽입부(350)는 평행하며 상기 연결부(330)와의 경계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가 경사지게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제2 삽입부(35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1 삽입부(310)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상응하고,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2 삽입부(350)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상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삽입부(310)와 제2 삽입부(350)는 각각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부스바(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규격(두께와 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스덕트(100a)의 부스바(20)의 두께와 폭이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1 삽입부(310)의 두께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부스덕트(100b)의 부스바(20)의 두께 폭이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2 삽입부(350)의 두께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도체(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와 상기 제2 삽입부(350)의 두께가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부스덕트(100a)의 부스바의 두께와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1 삽입부(310)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부스덕트(100b)의 부스바의 두께와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2 삽입부(350)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로 여기서 이종 부스바의 경우 각각의 부스바(20)의 두께가 다른 경우(t1>t2) 이외에 두께는 동일하더라도 각각의 부스바(20)의 폭이 다를 수도 있거나 재질이 다를 수도 있다.
각각의 부스바의 폭이 다를 경우에는, 상기 연결도체(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와 상기 제2 삽입부(350)의 폭도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연결도체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와 제2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를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연결도체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두께 또는 폭도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도체(300)의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제2 삽입부(350)는 평행하되,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제2 삽입부(350)는 연결부(330와의 경계영역에서 각각의 접속공간의 간격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330)가 경사면(330s)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삽입부(310) 및 상기 제2 삽입부(35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의 경사각(θ, 절곡각도)는 모든 연결도체에서 동일하지 않고,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각(θ)이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중심부 접속공간을 기준으로 연결하면 외측 접속공간으로 갈수록 접속공간의 위치 편차 또는 두께 차가 누적되어 연결도체의 경사각(θ)가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사각은 삽입부와 접속부의 경계 영역을 절곡하는 방법 외에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밴딩하는 방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도체(300)의 연결부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층으로는 상기 연결도체(300)의 연결부에 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형성하거나 에폭시 수지 등의 절연재료를 코팅하여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삽입부의 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삽입부(310, 350)의 폭은 삽입부의 구조 등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300)와 접속부의 접속상태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상기 연결도체(300)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홀 또는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도체(300)를 구성하는 삽입부(310, 350)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350)에 하나의 고정홀(350h)이 형성되고, 해당 삽입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210b, 도 4 참조)에 고정돌기(211bp, 도 4 참조)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상기 연결도체(300)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통전플레이트에 고정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속부(200a)의 각각의 접속공간에는 통전플레이트가 2개씩 구비되고 상기 제2 접속부(200b)의 각각의 접속공간에는 통전플레이트가 1개씩 구비된다. 제2 접속부(200b)의 삽입공간에 각각 1개의 통전플레이트가 구비되므로 부스덕트의 부스바(20) 등의 삽입저항이 낮지만 부스바(20)의 고정력이 작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도체(300)의 제2 삽입부(350)와 제2 접속부(200b)의 통전플레이트 전체에 각각 고정홀과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연결도체(300)의 제2 삽입부(350)와 제2 접속부(200b)의 통전플레이트에만 고정홀과 고정돌기가 구비되거나, 연결도체(300)의 제1 삽입부(310)와 제1 접속부(200a)의 통전플레이트에도 고정홀과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홀은 고정홈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상태에서 연결도체와 통전플레이트의 분리를 방지하는 구조라면 고정수단으로 홀과 돌기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상기 연결도체(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삽입부(310, 350)의 두께는 다르되 폭이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와 달리 동일하게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연결도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접속키트 형태의 접속부를 구성하는 통전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7(c)는 상기 통전플레이트의 단면도(도 7(b)의 A-A'선 기준)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도체(300)와 접속부의 접속상태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수단으로 상기 연결도체(300)에 2개의 고정홀(350h)이 구비되고,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를 구성하며 체결볼트 관통홀(210h)가 형성된 통전플레이트(210)에 2개의 고정돌기(210p)가 구비되어 연결도체와 접속부의 체결상태에서 연결도체의 회전 또는 틀어짐을 예방하여 위치결정 기능과 체결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홀과 고정돌기의 위치는 연결도체와 통전플레이트에서 서로 바뀌거나 각각 하나의 고정홀과 고정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고정홀은 고정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정리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도체(300)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210)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홀 또는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부스덕트 접속 상태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도체(300) 사이의 연결부(330)는 각각의 접속부의 절연플레이트(220a, 220b, 도 4 참조)에 커버되지 않는 노출 구간이 있으므로 인접한 연결도체 사이의 절연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도체(300)의 연결부(330)는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커버플레이트 내에 배치되는 구성이지만, 각각의 접속부로 삽입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측면 방향으로는 나도체 상태로 노출되므로, 안전사고 등을 위하여 상기 연결도체(300)의 연결부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각각의 삽입부(310, 350)의 일부, 구체적으로 삽입부와 연결부의 경계영역까지 절연체, 예를 들면 절연 테이프(330t)를 감아서 나도체 상태의 노출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테이프(330t)의 예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테이프, Mica 테이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절연 테이프가 아닌 에폭시 코팅 등의 방법으로 절연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통상적으로 부스덕트 접속장치(200)(또는 접속키트)는 통상적으로 서로 반대방향에서 접속되는 한 쌍의 부스덕트를 접속한다.
그러나, 전력 전송 요구량이 더 큰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접속부에 복수 개의 부스덕트(100a와 100c, 100b와 100d)가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접속부(200a) 및 제2 접속부(200b)에 나란히 2개의 부스덕트(100a와 100c, 100b와 100d)가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그에 따라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은 2배의 전력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의 하나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개수는 더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접속부에서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와 부스덕트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는 각각의 접속부를 통해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부스덕트의 안정적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속부에 2개의 부스덕트가 접속되고 각각의 부스덕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결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각각의 접속부의 접속공간을 통전시키기 위한 연결도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연결도체(300)는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개수에 대응하여 분할 구성할 수도 있으나, 조립성 또는 도체 면적 확보 등의 목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스덕트 접속장치(200)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간의 개수만큼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연결도체(300)는 제1 접속부(200a)의 2개의 접속공간 및 제2 접속부(200b)의 2개의 접속공간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부스덕트를 구성하는 부스바의 두께 또는 부스바의 폭 등이 상이한 이종 부스바 간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설비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종 부스바를 절단 및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장 부스덕트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부스덕트 운용시 필요한 유지 또는 보수 과정에서도 이종 부스바의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의 유지 보수의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100 : 부스덕트
200 : 부스덕트 접속장치
300 : 연결도체

Claims (23)

  1. 복수 개의 부스바가 구비된 제1 부스덕트가 제1 방향에서 접속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절연플레이트, 상기 복수 개의 접속공간 내에서 상기 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
    복수 개의 부스바가 구비된 제2 부스덕트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서 접속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상호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절연플레이트, 상기 복수 개의 접속공간 내에서 상기 부스바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통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복수 개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각각의 접속공간 내의 각각의 통전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연결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는 이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는 제1 접속부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접속부의 접속공간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의 연결부는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의 제1 삽입부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상응하고, 상기 연결도체의 제2 삽입부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제1 삽입부, 상기 제2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의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와 상기 연결도체의 제1 삽입부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와 상기 연결도체의 제2 삽입부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의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의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는 평행하며 상기 연결부와의 경계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가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도체의 연결부 경사각은 외측에 배치된 연결도체의 경사각이 내측에 배치된 연결도체의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1 부스덕트의 부스바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는 제2 부스덕트의 부스바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접속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2 접속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두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주름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 및 상기 커버 연결부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 내측에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최외부 절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접속되는 부스덕트와 연결도체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통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제2 접속부에 복수 개의 부스덕트가 나란히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접속되는 부스덕트의 개수에 따라 접속되는 부스덕트와 연결도체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 및 상기 통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와 접속부의 접속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도체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공간에 구비된 통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홀 또는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이종 부스바 접속용 부스덕트 접속장치.;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제1 접속부로 제1 방향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스덕트; 및
    상기 부스덕트 접속장치의 제2 접속부로 제2 방향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스덕트;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KR1020200063767A 2019-05-31 2020-05-27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KR20200138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872 2019-05-31
KR20190064872 2019-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47A true KR20200138047A (ko) 2020-12-09

Family

ID=7378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67A KR20200138047A (ko) 2019-05-31 2020-05-27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80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5188A (en) Bus system
US5854445A (en) Thermally efficient power busway system with integral clamping mechanism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US5011421A (en) Plane change connector assembly
WO2005107031A1 (en) Busbar connector
US20200194977A1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20100031077A (ko)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US3551585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KR102463629B1 (ko)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CN1135670C (zh) 室外防水输配电母线接头
US3882265A (en) Electrical busway with improved joint construction
KR20200138047A (ko)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US3732523A (en) Bus duct system including improved plug-in power take-off means
KR102464467B1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KR102631390B1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KR101707215B1 (ko) 에폭시 분체 절연 부스덕트
KR20110061724A (ko) 통전율 증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재
KR102463628B1 (ko) 부스덕트
KR102521917B1 (ko) 부스덕트
JP2019176569A (ja) バスダクトのフィードイン接続構造
KR20230116342A (ko) 부스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전력 시스템
KR20200053418A (ko) 연결유닛, 부스덕트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JP7042466B2 (ja) バスダクト幹線における一部構造、他のバスダクト構造、バスダクトシステム及びバスダクトシステムの接続方法。
EP1342397B1 (en) Circuit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ethod of forming circuit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