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645A -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645A
KR20100034645A KR1020080093883A KR20080093883A KR20100034645A KR 20100034645 A KR20100034645 A KR 20100034645A KR 1020080093883 A KR1020080093883 A KR 1020080093883A KR 20080093883 A KR20080093883 A KR 20080093883A KR 20100034645 A KR20100034645 A KR 2010003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foul
detection signal
receiving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361B1 (ko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닌
Priority to KR102008009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3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8Targets having hit-indicating means actuated or moved mechanically when the target has been hit, e.g. discs or flags
    • F41J5/20Targets having hit-indicating means actuated or moved mechanically when the target has been hit, e.g. discs or flags indicating which part of the target has been hit, i.e. th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04Targets therefor
    • A63F9/0208Targets therefor the projectile being connectable to the target, e.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hooks
    • A63F2009/0221Targets therefor the projectile being connectable to the target, e.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hooks with penetrating spikes, e.g. as in d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51Indicators of values, e.g. score counters
    • A63F2011/0058Indicators of values, e.g. score counter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을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는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밟거나 넘어섰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와 미리 정해진 거리 사이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통하여 감지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파울 감지부,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다트 히트 감지부, 상기 파울 감지 신호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트 게임, 오키, 부정 투척, 규칙 위반, 감지

Description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ROWING VIOLRATION IN DART GAME}
본 발명은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트 게임의 투척 제한 거리를 위반하여 다트를 던지는 부정 투척 행위를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트 게임은 숫자가 적힌 원심의 과녁을 향해 화살촉 모양의 기구를 던져 점수를 내는 게임으로서, 화살촉 모양의 다트와 다트가 꽂히는 다트 보드만 있으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장소 및 계절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게임이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경기 방식 및 채점 방식이 개발되어 보다 다양하게 다트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전자 다트 게임 장치를 통하여 누구든지 간편하게 다트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다트 보드는 부채꼴 모양으로 20등분 되어 있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세그먼트마다 1~20점으로 점수 값이 정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다트 게임에서는 301점, 501점, 1001점 등으로 기본 점수를 정해놓고 다트 화살촉을 던져서 얻은 점수를 기본 점수에서 빼나가는 방식으로 점수 계산을 하여 먼저 점수를 0 점을 만드는 자가 승리하게 된다.
이러한 다트 게임은 다트보드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다트를 던져야 하며, 종래에는 다트를 던질 수 없는 제한 거리를 표시하기 위하여 선을 긋거나, 오키(oche)를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다트 게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다트 게임 장치에는 다트 보드(10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트 보드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파울 라인(2000)이 존재하였다. 상기 파울 라인(2000)은 제한 거리 상에 선을 그려서 형성하거나 또는 오키(oche)를 설치하여 형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다트 게임자는 파울 라인(2000)을 넘지 않고 다트를 던져야 하였다.
만약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2000)을 밟고 던지거나 파울 라인(2000)을 넘어서서 다트를 던질 경우에는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행위에 해당하게 된다. 하지만, 다트 게임 중에 상기와 같은 부정 투척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다트 게임자가 선을 넘었는지 여부를 상대방이 항상 주시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파울 라인을 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알기 힘들 경우에는 판정 시비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다트를 부정 투척한 경우에는 부정 투척한 다트의 점수를 0으로 스코어링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전자 다트 게임의 경우, 부정 투척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가 없어서 부정 투척한 다트에 대하여 정상 투척한 다트와 마찬가지로 스코어링하여 점수 값을 잘못 산출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행위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정 투척된 다트의 점수 값을 부정 투척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스코어링할 수 있는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밟거나 넘어섰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와 미리 정해진 거리 사이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통하여 감지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파울 감지부,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다트 히트 감지부, 상기 파울 감지 신호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밟거나 넘어섰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와 미리 정해진 거리 사이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통하여 감지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울 감지 신호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행위를 자동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정하는데 과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되며, 나아가, 다트 게임의 판정 시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부정 투척된 다트의 점수 값을 부정 투척 여부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스코어링하기 때문에,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여 정확하게 다트 게임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파울이란 다트 게임자의 파울 라인을 밟거나 파울 라인을 넘어서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는 파울 감지부(100), 다트 히트 감지부(200), 제어부(300), 경보부(400), 점수 산출부(500) 및 디스플레이부(600)를 포함한다.
파울 감지부(100)는 다트 게임자의 파울 여부를 감지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울이란,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밟거나 파울 라인을 넘어서는 행위를 의미한다. 파울 감지부(100)는 다트 보드로부터 제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넘어 섰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소자는 압력을 감지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압전 센서 등을 포함하며, 파울 감지부(100)는 상기 센서를 통하여 생성한 파울 감지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파울 감지부(100)가 다트 게임자의 파울을 감지하는 방식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트 히트 감지부(200)는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트 히트 감지부(200)는, 예를 들어,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 후면에 설치된 멤브레인판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다트 히트 감지부(200)는, 예를 들어,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다트 보드의 외부에 설치된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다트 히트 감지부(200)는 다트가 다트 보드에 꽂힐 경우에 생성된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다트 게임 장치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며, 파울 감지부(100) 및 다트 히트 감지부(200)로부터 파울 감지 신호 및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며, 부정 투척 여부를 후술할 경보부(400) 및 점수 산출부(500)로 제공한다.
제어부(300)는 파울 감지 신호 및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수신 시작 시간 및 수신 종료 시각) 및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을 비교하여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예를 들어,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다트 게임자가 다트를 던진 이후에 파울 라인을 넘어서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에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넘어서서 다트를 던지고 다트를 던진 직후 파울 라인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에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경보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 부정 투척 여부를 수신하고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사실을 다트 게임자 및 관중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경보부(400)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인 방법을 통하여 다트 게임자 및 관중들에게 경보 사실을 알릴 수 있다.
한편, 경보부(400)는 제어부(300)가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제어부(300)로부터 파울 여부를 수신하여 다트 게임자에게 파울 여부를 알려줄 수도 있다. 이 경우, 다트 게임자는 다트를 던지기 전에 파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트의 부정 투척을 사전에 방지할 수가 있다.
점수 산출부(500)는 다트 게임의 점수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점수 산출부(500)는 제어부(300)로부터 부정 투척 정보를 수신하며, 부정 투척된 다트에 대하여는 점수 값을 0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점수 산출부(500)는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고려하여 다트 게임의 점수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600)는 다트 게임의 점수 및 게임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부(100)가 파울을 감지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부(100)가 파울을 감지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울 감지부(100)는 압전 센서(32)를 이용하여 파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압전 센서(32)는, 예를 들어, 다트 게임 장치와 연결되어 바닥에 펼쳐진 매트(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센서(32)는 파울 라인(34)에 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34)을 밟거나 넘어서는 경우에 압전 센서(32)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파울 감지부(100)는 다트 게임자의 파울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구를 한 경우의 파울 감지 신호 및 다트 히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가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구를 한 경우의 파울 감지 신호 및 다트 히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의 일례이다.
경우 1은 다트 게임자가 파울 상태에서 다트를 던지는 경우이다. 경우 1에서 제어부(300)는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 1에서는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 시작 시각(61)과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 종료 시각(62) 사이에 다트 히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63)이 존재하며, 제어부(300)는 상기 시각들(61, 62, 63)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경우 2는 다트 게임자가 다트를 던지고 나서 파울 라인을 넘어서는 경우이다. 경우 2에서 제어부(300)는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 2에서는 다트 히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73)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71)이 존재하며, 제어부(300)는 상기 시각들(71,73)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을 확인할 수 있다.
경우 3은 다트 게임자가 파울 상태에서 다트를 던지고, 다트가 다트 보드에 꽂히기 전에 파울 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이다. 경우 3에서 제어부(300)는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이 종료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경우 3에서는 파울 감지 신호의 종료 시각(82)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다트 히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83)이 존재하며, 제어부(300)는 상기 시각들(82,83)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방법을 도시한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500은 센서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이다. 다트 게임이 시작되거나 다트 게임자가 변경될 경우에 센서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단계 S502는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제어부(300)는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이후 소정 기간 내에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이후 소정 기간 내에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502),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한 경우 부정 투척된 다트에 대응하는 점수값을 0점으로 처리하고 다트가 부정 투척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시킨다(S504). 이후, 0점 처리된 다트의 점수 값에 기초하여 다트 게임의 점수를 산출한다(S506).
상기 판단 결과(S502), 부정 투척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트에 정상적인 점수 값 부여하여 다트 게임의 점수를 산출한다(S506).
단계 S508은, 다트 게임에 사용되는 다트를 모두 던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다트를 모두 던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02를 반복하여 수행하며, 다트를 모두 던진 경우에는 센서 전원을 오프(OFF)시킨다(S5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다트 게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부가 파울을 감지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구를 한 경우의 파울 감지 신호 및 다트 히트 감지 신호의 수신 시각의 일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방법을 도시한 세부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파울 감지부 200: 다트 히트 감지부
300: 제어부 400: 경보부
500: 점수 산출부 60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밟거나 넘어섰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와 미리 정해진 거리 사이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통하여 감지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파울 감지부,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다트 히트 감지부 및
    상기 파울 감지 신호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부정 투척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부정 투척 여부를 수신하여 부정 투척 사실을 알리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부정 투척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부정 투척된 다트에 대한 점수 값을 0으로 처리하여 다트 게임의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부정 투척 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다트를 부정 투척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인 부정 투척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다트를 부정 투척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인 부정 투척 감지 장치.
  5.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트 게임자가 파울 라인을 밟거나 넘어섰는지 여부를 다트 보드와 미리 정해진 거리 사이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통하여 감지하고 파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다트 보드에 다트가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울 감지 신호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 및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다트 게임자의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정 투척 감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다트 게임자가 부정 투척을 한 경우에 상기 부정 투척 사실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부정 투척된 다트에 대한 점수 값을 0으로 처리하여 다트 게임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부정 투척 감지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파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다트를 부정 투척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인 부정 투척 감지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투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파울 감지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다트 히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다트 게임자가 다트를 부정 투척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인 부정 투척 감지 방법.
KR1020080093883A 2008-09-24 2008-09-24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03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83A KR101032361B1 (ko) 2008-09-24 2008-09-24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83A KR101032361B1 (ko) 2008-09-24 2008-09-24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45A true KR20100034645A (ko) 2010-04-01
KR101032361B1 KR101032361B1 (ko) 2011-05-03

Family

ID=4221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83A KR101032361B1 (ko) 2008-09-24 2008-09-24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3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27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원격 멀티 모드 시 스로우 라인을 이용한 인증이 가능한 다트 게임 장치
JP2015530911A (ja) * 2012-08-27 2015-10-29 ホ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外部デバイスと連動するダーツゲーム装置
JP2015530912A (ja) * 2012-08-27 2015-10-29 ホ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ダーツゲームシステム
KR20160084713A (ko)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거리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다트 시스템,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47327A (ko) * 2016-10-31 2018-05-10 정도훈 다트 게임 대회 시스템
US10507392B2 (en) 2015-03-10 2019-12-17 Phoenixdart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cheating in dart game, device and ser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542B1 (ko) * 2010-05-13 2013-02-21 주식회사 지닌 다트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27264B1 (ko) * 2015-08-10 2016-06-03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22488B1 (ko) * 2016-05-16 2017-04-03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344B2 (en) 2003-01-16 2007-08-21 Dmi Sports, Inc. Electronically-scored game providing audible feedback and method of use
CA2417222C (en) 2003-01-24 2010-07-06 Optima Global Corporation Electronic scoring dart board
US7361083B2 (en) 2003-07-01 2008-04-22 Gaelco, S.A.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r refereeing in dart machines
KR20050017344A (ko) * 2003-08-13 2005-02-22 이용구 전자 다트 보오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0911A (ja) * 2012-08-27 2015-10-29 ホ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外部デバイスと連動するダーツゲーム装置
JP2015530912A (ja) * 2012-08-27 2015-10-29 ホ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ダーツゲームシステム
WO2014073827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원격 멀티 모드 시 스로우 라인을 이용한 인증이 가능한 다트 게임 장치
US10066908B2 (en) 2012-11-09 2018-09-04 Hong International Corp. Dart game device allowing authentication using throw line in remote multi-mode
KR20160084713A (ko)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거리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다트 시스템,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507392B2 (en) 2015-03-10 2019-12-17 Phoenixdart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cheating in dart game, device and server
KR20180047327A (ko) * 2016-10-31 2018-05-10 정도훈 다트 게임 대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361B1 (ko)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361B1 (ko) 다트 게임의 부정 투척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319159B1 (ko) 다트 게임 장치 및 다트 게임 장치의 게임 데이터 인증 방법
KR101032368B1 (ko) 촬영 장치를 이용한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장치 및 방법
WO2014073827A1 (ko) 원격 멀티 모드 시 스로우 라인을 이용한 인증이 가능한 다트 게임 장치
KR101475120B1 (ko) 빔프로젝트를 구비한 다트 게임 장치
JP2007159896A (ja) 遊技機
JP2018501840A (ja) レーザー照明効果を提供するダーツゲームシステム
JP2005137625A (ja) 遊技機
US20040140620A1 (en) Electronically-scored game providing audible feedback and method of use
JP2018531678A (ja) ダーツゲームにおいて、仮想プレーヤー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20137787A5 (ko)
WO2015133228A1 (ja) ダーツ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15637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striking force and reaction time of martial artists
JP4601642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2008154603A (ja) パチンコ遊技機、主基板および主基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101690008B1 (ko) 거리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다트 시스템,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565807B (zh) 飞镖游戏装置、飞镖作弊判断方法及程序
KR20100034599A (ko) 다트 게임 장치 및 다트 게임의 점수 산출 방법
JP4342291B2 (ja) 競技用の動作判定システムおよびフライング判定方法
KR20100012982A (ko) 중앙 제어 방식의 다트 게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14505B1 (ko) 홀인원의 입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홀인원 입증방법
JP2011067526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006317030A (ja) 射撃訓練装置
TWI774809B (zh) 擲鏢遊戲裝置、擲鏢速度顯示方法及記錄媒體
JP2006095043A (ja) 遊技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