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950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950A
KR20100026950A KR1020090011511A KR20090011511A KR20100026950A KR 20100026950 A KR20100026950 A KR 20100026950A KR 1020090011511 A KR1020090011511 A KR 1020090011511A KR 20090011511 A KR20090011511 A KR 20090011511A KR 20100026950 A KR20100026950 A KR 2010002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late
hole
secondary battery
le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949B1 (ko
Inventor
장영철
곽은옥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및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베어셀을 보호하는 보호회로모듈 및 캡플레이트와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캡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리드플레이트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돌출부와 홀은 보호회로모듈을 캡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차전지, 제 1 리드플레이트, 돌출부, 홀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베어셀 및 보호회로모듈로 구성되는 코어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팩 제조시,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은 리드플레이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베어셀과 리드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항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은 그 자체가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이 되어 생산속도를 떨어뜨릴 수 있고, 용접시 위치 설정의 오차 등으로 인해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어셀의 돌출부와 리드플레이트의 홀을 결합시켜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용접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및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베어셀을 보호하는 보호회로모듈 및 캡플레이트와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캡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리드플레이트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돌출부와 홀은 보호회로모듈을 캡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베어셀을 보호하는 보호 회로모듈 및 캡플레이트와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캡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캡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리드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의 상면과 마주하는 보호회로모듈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돌출부를 수용하는 홀을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보호회로모듈을 캡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돌출부와 홀은 보호회로모듈을 캡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베어셀의 돌출부와 리드플레이트의 홀을 결합시켜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기존 이차전지의 제조시 필요한 용접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100)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베어셀(100) 및 보호회로모듈(40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베어셀(100)은 캔(1000), 캔(10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2000), 캔(1000)의 상단개구부(1000a)를 덮는 캡조립체(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100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부가 개구된 상단개구부(1000a)를 포함할 수 있다. 캔(1000)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자체가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캔(1000)의 상단개구부(1000a)를 통해 후술하는 전극조립체(20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2000)는 제 1 전극판(2100), 제 2 전극판(2200), 세퍼레이터(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2000)는 제 1 전극판(2100)과 제 2 전극판(2200) 사이에 세퍼레이터(2300)가 위치하여,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2100)은 제 1 전극 집전체(미도시) 및 제 1 전극 활물질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는 제 1 전극판(2100)이 양극인 경우, 도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제 1 전극 집전체 상에 위치하고, 제 1 전극 활물질, 도전재료 및 바인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 활물질은 리튬코발트옥사이드(LiCoO2), 리튬망간옥사이드(LiMn2O4) 또는 리튬니켈옥사이드(LiNiO2) 등이 될 수 있다. 도전재료로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로는 PVDF, SBR 또는 PTFE 등을 휘발성 용매인 NMP나 유기용제 또는 물 등으로 용해,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는 양 측단에 제 1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전극 무지부에는 제 1 전극탭(2110)이 부착되어 캔(1000)의 상단개구부(1000a)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전극탭(2110)은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전극탭(2110)이 전극조립체(2000)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캔(1000) 이외의 부분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절연테이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판(2200)은 제 2 전극 집전체(미도시) 및 제 2 전극 활물질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는 제 2 전극판(2200)이 음극인 경우, 도전성이 우수한 구리(Cu)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활물질층은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 상에 위치하며, 제 2 전극 활물질, 도전재료 및 바인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 활물질은 탄소(C)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탄소(C) 계열 물질이 될 수 있다. 도전재료로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로는 PVDF, SBR 또는 PTFE 등을 휘발성 용매인 NMP나 유기용제 또는 물 등으로 용해,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제 2 전극판(2200)의 경우 제 2 전극 활물질 자체의 도전성이 높아 도전재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는 양 측단에 제 2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전극 무지부에는 제 2 전극탭(2210)이 부착되어 캔(1000)의 상단개구부(1000a)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전극탭(2210)은 구리(Cu) 또는 니켈(Ni)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극탭(2210)이 전극조립체(2000)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전극단자(3100) 이외의 부분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절연테이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 전극판(2100)이 양극, 제 2 전극판(2200)이 음극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1 전극판(2100)이 음극, 제 2 전극판(2200)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집전체 및 활물질층을 이루는 재료들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형 이차전지(10)에 있어서 단자 기능을 수행하는 캔(1000)은 양극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판(2100)이 양극이라면 젤리롤 전극조립체(2000)의 최외각 전극판은 양극인 제 1 전극판(2100)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판(2100)이 음극이라면 젤리롤 전극조립체(2000)의 최외각 전극판은 양극인 제 2 전극판(2200)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전극판(2100)이 양극, 제 2 전극판(2200)이 음극일 때의 실시예를 가정하여 설명을 전개해 나가기로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230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의 복합필름을 사용한 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퍼레이터(2300)는 전극조립체(2000)에서 제 1 전극판(2100)과 제 2 전극판(2200)과의 전자전도를 차단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2300)는 제 1 전극판(2100)과 제 2 전극판(2200)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 외에 외부쇼트 등으로 인한 이차전지(10)의 온도 상승시 셧다운(Shut-down) 등을 통해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2000)에서는 충전시 리튬 이온이 제 1 전극판(2100)으로부터 제 2 전극판(2200)으로 이동하여 도프(intercalation)될 수 있다. 방전시에는 리튬 이온이 제 2 전극판(2200)으로부터 제 1 전극판(2100)으로 탈도프(deintercalation)되며 외부 전자기기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캡조립체(3000)는 전극단자(3100), 가스켓(3200), 캡플레이트(3300), 절연플레이트(3400) 및 터미털플레이트(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조립체(3000)는 절연케이스(3600)와 함께 캔(1000)의 상단개구부(1000a)에서 전극조립체(2000)와 결합되어 캔(1000)을 밀봉할 수 있다. 캡플레이트(3300)의 양 측부에는 제 1 돌출부(3310) 및 제 2 돌출부(3315)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10)와 제 2 돌출부(3315)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330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단자통공을 중심으로 전해액 주입구와 대응하는 캡플레이트(3330)의 일면에는 안전벤트(safty bent,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전해액 주입구는 전해액을 캔(100)에 넣은 후 볼 등의 덮개(미도시)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0330)는 캔(1000)의 상단개구부(1000a)와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3100)는 가스켓(3200), 캡플레이트(3300), 절연플레이트(3400) 및 터미널플레이트(3500)의 단자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전극조립체(2000)의 제 1 전극탭(2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극탭(2210)은 제 2 전극탭(2210)과 대응하는 캡플레이트(3300)의 어느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단자(3100)는 음극단자일 수 있다.
상기 가스켓(3200)은 전극단자(3100)가 캡플레이트(3300)의 단자통공에 삽입될 때는 전극단자(3100)와 캡플레이트(3300)의 절연을 위하여 전극단자(3100)와 단자통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3400)는 캡플레이트(33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가스켓(3200)을 만드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3500)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34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니켈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플레이트(3400) 및 터미널 플레이트(3500)에도 캡플레이트(3300)의 단자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단자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보호회로모듈(4000)은 기판(4100), 보호회로부(미도시), 충방전단자(4200), PTC 소자(4400),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및 제 3 리드플레이트(4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4000)은 기판(4100) 상에 도전성 금속패턴(미도시) 및 검사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4000)은 상기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여 과충전 및 과전류로부터 베어셀을 보호하고 과방전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및 제 3 리드플레이트(4500)는 일반적으로 보호회로모듈(40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보호회로모듈(4000)에 포함되는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에서 제 1 리드플레이트 내지 제 3 리드플레이트(4310, 4315, 1500)는 보호회로모듈(4000)과 별개의 구성요소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판(4100)은 도전성 금속패턴(미도시)이 실장되어, 복수의 얇은 기판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기판(4100)은 에폭시 또는 베이클라이트 계열의 물질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패턴은 보호회로부, 충방전단자(4200), 검사단자,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및 제 3 리드플레이트(4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미도시)는 보호회로를 포함한 수동, 능동 소자들이 도전성 금속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회로는 전지의 충방전 상태 및 전지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의 정보를 점검하여 전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단자(4200)는 보호회로부 및 도전성 금속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기기와의 전기적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검사단자(미도시)는 보호회로부 및 도전성 금속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보호회로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할 수 있는 전기적인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4400)는 기판(4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제 3 리드플레이트(4500)를 통해 베어셀(100)의 전극단자(3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PTC 소자(4400)는 이차전지(10)의 온도가 어느 특정 임계치를 넘으면 전기저항이 무한대에 이르는 소자이다. 따라서, 이차전지(10)의 온도가 특정 임계치를 넘게되면, 이차전지(10)의 충방전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는 각각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보호회로모듈(4000)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는 모두 양 극 리드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가 모두 양극 리드플레이트인 경우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는 각각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중 어느 하나만 양극 리드플레이트이고, 다른 하나는 더미 리드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중 어느 하나가 더미 리드플레이트인 경우, 더미 리드플레이트는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모두 양극 리드플레이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중 어느 하나만 양극 리드플레이트인 경우도,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 중 어느 하나에 도전성 접착제를 바르는 것을 제외하고 구성의 차이가 없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는 각각 제 1 플레이트(4311, 4316), 제 2 플레이트(4313, 4318) 및 제 3 플레이트(4312, 4317)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는 각각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레이트(4311, 4316),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13, 4318) 및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이트(4312, 4317)를 포함할 수 있다. 보 다 바람직하게, 제 1 플레이트(4311, 4316)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4313, 4318)는 상호 평행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4312, 4317)에서 상호 마주하는 두 측부는 각각 상기 제 1 플레이트(4311, 4316)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4313, 4318)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4313, 4318)에는 캡플레이트(3300)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홀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4310)에 형성된 홀을 제 1 홀(4310a)이라고 정의하고, 제 2 리드플레이트(4315)에 위치하는 홀을 제 2 홀(4315a)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 1 홀(4310a)은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10)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홀(4315a)은 제 2 돌출부(3315)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리드플레이트(4500)는 베어셀(100)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단자(3100)와 보호회로모듈(4000)의 하부에 위치하는 PTC 소자(4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3 리드플레이트(4500)는 음극 리드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4315)와 캡플레이트(330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21에서, 제 1 리드플레이트, 제 1 홀, 제 1 돌출부는 각각 제 2 리드플레이트, 제 2 홀, 제 2 돌출부와 상호 대응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리드플레이트, 제 1 홀 및 제 1 돌출부와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사시도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 제 1 돌출부(33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0)는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서 캡플레이트(33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1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310)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등의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돌출부(3310)가 제 1 리드플레이트(4310)의 홀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 1 돌출부(3310)는 제 1 돌출부(3310)가 형성된 위치에서 캡플레이트(3300)의 하부를 제 1 돌출부(3310)의 형상에 해당하는 구조물로 프레싱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플레이트(3300) 제작시 제 1 돌출부(3310)에 해당하는 성형 몰드를 제작하여, 한 번의 주조 공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331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4310)는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레이트(4311),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13) 및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이트(4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4310)의 제 2 플레이트(4313)에는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10)를 수용하여 제 1 돌출부(3310)와 결합되는 제 1 홀(4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홀(4310a)도 개구된 부분이 제 1 돌출부(3310)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홀(4310a)의 개구된 부분은 제 2 플 레이트(4313)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10)와 제 1 홀(4310a)은 상호 결합되어 보호회로모듈(4000)을 캡플레이트(3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0)와 제 1 홀(4310a)은 상하 끼우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돌출부(3310)의 상면의 X축 변의 길이(3310a) 및 Y축 변의 길이(3310b)는 각각 제 1 홀(4310a)의 X축 변의 길이(4313a) 및 Y축 변의 길이(4313b)와 동일하므로, 제 1 돌출부(3310)와 제 1 홀(4310a)은 상호 결합된 후 마찰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0)의 두께(T2)는 제 2 플레이트(4313)의 두께(T1)보다 클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3310)의 두께는 제 1 홀(4310a)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3310)와 제 1 홀(4310a)이 결합된 후 제 1 돌출부(3310)의 상면은 제 2 플레이트(4313)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게 될 수 있다. 이는 제 1 홀(4310a)이 제 1 돌출부(3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리드플레이트(4310)와 베어셀(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0)와 제 1 홀(4310a)은 제 1 돌출부(3310)와 제 2 플레이트(4313)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베어셀(100)과 제 1 리드플레이트(4310)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여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고 제 1 돌출부(3310)와 제 1 홀(4310a)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베어셀(100)의 돌출부(3310, 3315)와 리드플레이트(4310, 4315)의 홀(4310a, 4315a)이 물리적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리 드플레이트와 베어셀의 캡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고, 용접공정 생략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사시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도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 제 1 돌출부(33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2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320)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등의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돌출부(3320)가 제 1 리드플레이트의 홀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는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레이트,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23) 및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이트(4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의 제 2 플레이트(4323)에는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20)와 결합되는 제 1 홀(4320a)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4320a)도 개구된 부분이 제 1 돌출부(3320)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20)와 제 1 홀(4320a)은 상호 끼우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돌출부(3320)의 상면의 X축 길이(3320a) 및 Y축 길이(3320b)는 각각 제 1 홀(4320a)의 X축 길이(4323a) 및 Y축 길이(4323b)와 동일하므로, 제 1 돌출부(3320)와 제 1 홀(4320a)은 상호 결합된 후 마찰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부(3320)의 두께(T3)는 제 2 플레이트(4323)의 두께(T1)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3320)는 제 1 홀(4320a)의 깊이와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이는 제 1 돌출부(3320)와 제 1 홀(4320a)을 끼워 결합할 때, 마찰력을 줄여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20)와 제 1 홀(4320a)은 제 1 돌출부(3320)와 제 2 플레이트(4323)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베어셀(100)과 제 1 리드플레이트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여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고 제 1 돌출부(3320)와 제 1 홀(4320a)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베어셀(100)의 돌출부(3320)와 리드플레이트의 홀(4320a)이 물리적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의 캡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고, 용접공정 생략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사시도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돌출부를 각각 Y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 지(10)는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 제 1 돌출부(33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3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330)는 제 1 돌기(3331) 및 제 1 돌기(3331)의 하부에 위치하며,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된 제 2 돌기(3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30)는 X축 방향으로 제 1 돌출부(3330)를 잘랐을 때, 단면이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돌기(3331)와 제 2 돌기(3332)는 모두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 돌기(3332)는 제 1 돌기(333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돌기(3332)의 Y축 방향 길이(3332b)는 제 1 돌기(3331)의 Y축 방향의 길이(3331b)와 동일할 수 있으나, 더 길거나 더 짧을 수도 있다. 또한, 제 2 돌기(3332)의 X축 길이(3332a)는 제 1 돌기(3331)의 X축 길이(3331a)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돌기(3331)의 일면은 제 1 돌기(3331)의 일면과 대응하는 제 2 돌기(3332)의 일면을 덮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는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레이트,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33) 및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이트(4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의 제 2 플레이트(4333)에는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30)와 결합되는 제 1 홀(4330a)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4330a)도 개구된 부분이 제 1 돌출부(3330)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홀(4330a)의 개구된 부분 중 일측은 제 2 플레이트(4333)의 일측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30)의 제 2 돌기(3332)와 제 1 홀(4330a)은 상기 제 1 홀(4330a)의 일측이 상기 제 2 돌기(3332)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4333)에서 제 1 홀(4330a)과 인접한 일부는 제 1 돌기(3331)와 캡플레이트(3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돌기(3332)의 X축 길이(3332a), Y축 길이(3332b)는 제 1 홀(4330a)의 X축 길이(4333a) 및 Y축 길이(4333b)와 동일하고, 제 2 돌기(3332)의 두께(T4)와 제 2 플레이트(4333)의 두께(T1)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돌기(3332)와 제 1 홀(4330a)은 오차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돌기(3332)와 제 1 홀(4330a)이 결합되면, 제 1 돌기(3331)는 제 2 플레이트(4333)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 1 돌기(3331)의 X축 길이(3331a)는 제 1 홀(4330a)의 X축 길이(4333a)보다 길다. 따라서, 제 1 돌기(3331)와 제 2 돌기(3332) 및 제 2 플레이트(4333)은 상호간에 맞물리는 락킹(locking) 구조가 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30)와 제 1 홀(4330a)은 제 1 돌출부(3330)와 제 2 플레이트(4333)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베어셀(100)과 제 1 리드플레이트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여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고 제 1 돌출부(3330)와 제 1 홀(4330a)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베어셀(100)의 돌출부(3330)와 리드플레이트의 홀(4330a)이 물리적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의 캡플 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고, 용접공정 생략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사시도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돌출부를 각각 Y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 제 1 돌출부(334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4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340)는 제 1 돌기(3341) 및 제 1 돌기(3341)의 하부에 위치하며,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된 제 2 돌기(3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40)는 X축 방향으로 제 1 돌출부(3340)를 잘랐을 때, 단면이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기(334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 돌기(3342)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돌기(3342)는 제 1 돌기(334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기(3341)의 Y축 방향 길이(3341b)는 제 2 돌기(3342)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으나, 더 길거나 더 짧을 수도 있다. 또한, 제 1 돌기(3341)의 직경은 제 2 돌기(3342)의 X축 길이(3342a)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돌기(3341)의 일면은 제 1 돌기(3341)의 일면과 대응하는 제 2 돌기(3342)의 일면을 덮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는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 레이트,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43) 및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의 제 2 플레이트(4343)에는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40)와 결합되는 제 1 홀(4340a)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4340a)도 개구된 부분이 제 1 돌출부(3340)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홀(4340a)의 개구된 부분은 제 1 돌기(3341)와 같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홀(4340a)의 개구된 부분 중 일측은 제 2 플레이트(4343)의 일측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40)의 제 2 돌기(3342)와 제 1 홀(4340a)은 상기 제 1 홀(4340a)의 일측이 상기 제 2 돌기(3342)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4343)에서 제 1 홀(4340a)과 인접한 일부는 제 1 돌기(3341)와 캡플레이트(3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돌기(3342)의 X축 길이(3342a), Y축 길이(3342b)는 제 1 홀(4340a)의 X축 길이(4343a) 및 Y축 길이(4343b)와 동일하고, 제 2 돌기(3341)의 두께(T5)와 제 1 홀(4340a)의 두께(T1)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돌기(3342)와 제 1 홀(4340a)은 오차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돌기(3342)와 제 1 홀(4340a)이 결합되면, 제 1 돌기(3341)는 제 2 플레이트(4343)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 1 돌기(3341)의 직경은 제 1 홀(4340a)의 X축 길이(4343a)보다 길다. 따라서, 제 1 돌기(3341)와 제 2 돌기(3342) 및 제 2 플레이트(4343)은 상호간에 맞물리는 락킹(locking) 구조가 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40)와 제 1 홀(4340a)은 제 1 돌출부(3340)와 제 2 플레이트(4343)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베어셀(100)과 제 1 리드플레이트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여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고 제 1 돌출부(3340)와 제 1 홀(4340a)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베어셀(100)의 돌출부(3340)와 리드플레이트의 홀(4340a)이 물리적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의 캡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고, 용접공정 생략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10)는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 제 1 돌출부(33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5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350)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등의 육면체 혹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4350)는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레이트(4351),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53) 및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 이트(4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4350)의 제 2 플레이트(4353)에는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50)와 결합되는 제 1 홀(4350a)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4350a)도 개구된 부분이 제 1 돌출부(3350)와 같은 육면체 혹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50)의 두께는 제 2 플레이트(4353)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3350)와 제 1 홀(4350a)이 결합된 후 제 1 돌출부(3350)의 상면은 제 2 플레이트(4353)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게 될 수 있다.
이후, 제 1 돌출부(3350)의 상부는 프레스에 의해 베어셀의 하부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50)는 니켈로 이루어져 연성 및 전성이 좋아 프레싱에 의해, 제 1 홀(4350a)의 주위로 압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4350a)로부터 돌출된 제 1 돌출부(3350)의 일부는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4350)에서 제 1 홀(4350a)과 인접한 일부에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3350)는 프레싱에 의해 상부가 납작하게 압축되면서 제 2 플레이트(4353)의 상부에도 제 1 돌출부(3350)의 일정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50)는 프레싱에 의해 압착된 후, 제 2 플레이트(4353) 상에 위치하는 제 1 돌기(3351), 제 1 홀(4350a)에 위치하는 제 2 돌기(3351)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 하에서, 제 1 돌기(3351), 제 2 돌기(3352) 및 제 2 플레이트(4353)는 상호간에 맞물리는 락킹 구조가 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드플레이트(4350)와 베어셀(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50)와 제 1 홀(4350a)은 제 1 돌출부(3350)와 제 2 플레이트(4353)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베어셀(100)과 제 1 리드플레이트(4350)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여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고 제 1 돌출부(3350)와 제 1 홀(4350a)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베어셀(100)의 돌출부(3350)와 리드플레이트의 홀(4350a)이 물리적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의 캡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고, 용접공정 생략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캡플레이트(3300)의 일측에 제 1 돌출부(336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60)는 캡플레이트(330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360)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등의 육면체 혹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4360)는 보호회로모듈(4000)의 일측에 솔더링되는 제 1 플레이트(4361),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3300)와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363) 및 보호회로모듈(4000)과 베어셀(10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 3 플레이트(4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4360)의 제 2 플레이트(4363)에 는 캡플레이트(3300)의 제 1 돌출부(3360)와 결합되는 제 1 홀(4360a) 및 제 1 홀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서브홀(436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리드플레이트의 제 2 플레이트 상에도 캡플레이트의 제 2 돌출부와 결합되는 제 2 홀 및 제 2 서브홀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홀(4360a) 의 폭은 제 1 돌출부(3360)의 폭과 같고, 제 1 서브홀(4360b)의 폭은 제 1 홀(4360a)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제 1 홀(4360a)도 개구된 부분이 제 1 돌출부(3360)와 같은 육면체 혹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60)의 두께는 제 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3360)와 제 1 홀(4360a)이 결합된 후 제 1 돌출부(3360)의 상면은 제 2 플레이트(4363)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게 될 수 있다.
이후, 제 1 돌출부(3360)의 상부는 프레스에 의해 베어셀의 하부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60)는 니켈로 이루어져 연성 및 전성이 좋아 프레싱에 의해, 제 1 홀(4360a)의 주위로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출부(3360)는 프레싱에 의해 상부가 납작하게 압축되면서, 제 1 서브홀(4360b)에서 제 1 돌출부(3360)에 의해 결합되지 않았던 부분에도 제 1 돌출부(3360)의 일정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3360)는 프레싱에 의해 압착된 후, 제 1 서브홀(4360b)에 위치하는 제 1 돌기(3361), 제 1 홀(4360a)에 위치하는 제 2 돌기(3362)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 하에서, 제 1 돌기(3361), 제 2 돌기(3362) 및 제 2 플레이트(4363)는 상호간에 맞물리는 락킹 구조가 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 서 제 1 리드플레이트(4360)와 베어셀(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60)와 제 1 홀(4360a)은 제 1 돌출부(3360)와 제 2 플레이트(4363)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베어셀(100)과 제 1 리드플레이트(4360)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여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0) 사이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고 제 1 돌출부(3360)와 제 1 홀(4360a)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베어셀(100)의 돌출부(3360)와 리드플레이트의 홀(4360a)이 물리적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리드플레이트와 베어셀의 캡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고, 용접공정 생략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베어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차전지
100 : 베어셀
3300 : 캡플레이트
3310 : 돌출부

Claims (2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및
    상기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셀을 보호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캡플레이트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홀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캡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홀 사이에는 도전성 접착제가 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2 홀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리드플레이트 및 제 2 리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캡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리드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캡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홀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의 깊이와 같거나 상기 홀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홀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 1 돌기; 및
    상기 제 1 돌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캡플레이트와 결합된 제 2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의 일면은 상기 제 1 돌기의 일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돌기의 일면을 덮도록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홀은 상기 제 2 돌기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T"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드플레이트에서 상기 홀과 인접한 일부는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2 돌기는 육면체 또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에서 상기 홀과 인접한 일부에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플레이트에서 상기 홀 상에는 서브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홀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서브홀에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플레이트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및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상기 캡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셀을 보호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캡플레이트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플레이트;
    을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홀을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3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홀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캡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홀 사이에는 도전성 접착제가 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홀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의 깊이와 같거나 상기 홀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홀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 1 돌기; 및
    상기 제 1 돌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캡플레이트와 결합된 제 2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의 일면은 상기 제 1 돌기의 일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 2 돌기의 일면을 덮도록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홀은 상기 제 2 돌기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이 "T"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드플레이트에서 상기 홀과 인접한 일부는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2 돌기는 육면체 또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에서 상기 홀과 인접한 일부에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제 1 서브홀 및 제 2 서브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서브홀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제 2 서브홀에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플레이트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호 평행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플레이트는 상호 마주하는 두 개의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두 개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90011511A 2008-08-29 2009-02-12 이차전지 KR101093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15908P 2008-08-29 2008-08-29
US61/093,159 2008-08-29
US12/342,041 2008-12-22
US12/342,041 US20100055560A1 (en) 2008-08-29 2008-12-22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50A true KR20100026950A (ko) 2010-03-10
KR101093949B1 KR101093949B1 (ko) 2011-12-13

Family

ID=4112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11A KR101093949B1 (ko) 2008-08-29 2009-02-12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55560A1 (ko)
EP (1) EP2159864B1 (ko)
JP (1) JP5133307B2 (ko)
KR (1) KR101093949B1 (ko)
CN (1) CN1016620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823A (ko) * 2016-04-26 2017-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00B1 (ko) * 2009-05-15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66001B1 (ko) * 2009-09-01 2011-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802253B2 (en) * 2010-04-16 2014-08-12 Lg Chem, Ltd. Weld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battery module
KR101127613B1 (ko) * 2010-05-13 2012-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99217B1 (ko) * 2010-11-11 2012-11-0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9685681B2 (en) 2010-11-16 2017-06-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968893B2 (en) 2011-03-11 2015-03-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DE102011110875A1 (de) * 2011-08-17 2012-10-18 Li-Tec Batter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eine elektrochemische Zelle und eine Energiespeichervorrichtung mit wenigstens zwei elektochemischen Zellen
JP5651629B2 (ja) * 2012-03-22 2015-01-14 株式会社東芝 電池
US20140205864A1 (en) * 2013-01-22 2014-07-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JP6135246B2 (ja) 2013-03-29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20140131222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US10109834B2 (en) 2016-09-23 2018-10-23 Apple Inc. Modified U-tab for accommodating indeterminate battery tab locations
KR102088976B1 (ko) * 2017-09-25 2020-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속 슬롯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4212B1 (fr) * 1993-12-17 1996-02-02 Accumulateurs Fixes Plaque d'électrode à support de type mousse métallique pour générateur électrochimique et procédé pour fabriquer une telle plaque d'électrode.
JPH08329924A (ja) * 1995-06-01 1996-12-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蓄電池
JPH1064492A (ja) * 1996-08-20 1998-03-06 Nec Corp 携帯用バッテリー
US5853915A (en) * 1997-08-19 1998-12-29 Mattel, Inc. Foldable multi-configuration battery pack
FI20011257A0 (fi) * 2001-06-13 2001-06-13 Nokia Corp Menetelmä väylän mukauttamiseksi ja väylä
JP4629952B2 (ja) * 2002-02-13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4319144A (ja) * 2003-04-14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WO2005074055A1 (en) * 2004-01-28 2005-08-11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of assemble-type structure
JP2005285680A (ja) * 2004-03-30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組立方法
US7507124B2 (en) * 2004-05-04 2009-03-2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542677B1 (ko) * 2004-06-25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404818B2 (ja) * 2004-07-30 2010-01-27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837296B2 (ja) * 2004-10-27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8663834B2 (en) * 2005-09-20 2014-03-04 Metabowerke Gmbh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electrical hand tool device
KR100879894B1 (ko) * 2005-10-21 2009-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접 방식의 전지팩
WO2007073066A1 (en) * 2005-12-22 2007-06-28 Lg Chem, Ltd. No-welding type battery pack using forced-inserting type rivet
JP2007200630A (ja) * 2006-01-25 2007-08-09 Nec Access Technica Ltd 電池パック及びその組立て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KR101264462B1 (ko) * 2006-08-17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 플레이트와 베어셀을 리벳팅 결합하는 이차 전지
KR100876247B1 (ko) * 2006-10-19 2008-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391B1 (ko) * 2006-10-27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865392B1 (ko) * 2006-11-20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140711A (ja) * 2006-12-04 2008-06-1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KR100922474B1 (ko) * 2007-01-18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54589B1 (ko) * 2007-02-07 2010-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JP2008192552A (ja) * 2007-02-07 2008-08-21 Toyota Motor Corp 電極
KR100959870B1 (ko) * 2007-12-13 201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0947973B1 (ko) * 2008-01-14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083211B2 (ja) * 2011-12-28 2017-02-22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823A (ko) * 2016-04-26 2017-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7188582A3 (ko) * 2016-04-26 2018-08-02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2038B (zh) 2013-01-30
JP2010056090A (ja) 2010-03-11
EP2159864A1 (en) 2010-03-03
CN101662038A (zh) 2010-03-03
US20100055560A1 (en) 2010-03-04
KR101093949B1 (ko) 2011-12-13
JP5133307B2 (ja) 2013-01-30
EP2159864B1 (en)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949B1 (ko) 이차전지
KR101183008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8349488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rotective circuit board made of metal
JP5645243B2 (ja) 二次電池
KR101030915B1 (ko) 배터리팩
US20120148884A1 (en) Secondary battery
KR101002446B1 (ko)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8465870B2 (en)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capacity and installation convenience
KR20130084086A (ko) 이차 전지
US9017850B2 (en) Secondary battery
KR20070101568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601555B1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5139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686840B1 (ko)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112821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060019768A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KR20060112738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