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319A -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319A
KR20100026319A KR1020080085284A KR20080085284A KR20100026319A KR 20100026319 A KR20100026319 A KR 20100026319A KR 1020080085284 A KR1020080085284 A KR 1020080085284A KR 20080085284 A KR20080085284 A KR 20080085284A KR 20100026319 A KR20100026319 A KR 2010002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yarn
guide
need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430B1 (ko
Inventor
이창재
김태기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4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운동화 끈 등으로 이용되는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블라셀 경편기, 튜브사

Description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tube-yarn using double raschel warp knitting}
본 발명은 튜브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운동화 끈 등으로 이용되는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브사는 운동화 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특수한 원사이다.
종래의 튜브사는 원통형태의 환편기에서 제조되었는데, 상기 원통형태의 환편기로는 그 구조상 한 가닥의 튜브사만을 제조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다수 대의 원통형태의 환편기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상기 튜브사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원통형태의 환편기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쿠션(cushion)성이 있는 튜브사를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튜브사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튜브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함으로써 쿠션성이 있는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함에 있어 공급되는 원사의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른 색상을 갖는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가이드침, 제2가이드침, 제3가이드침, 제4가이드침, 제5가이드침 및 제6가이드침으로 이루어진 가이드침 그룹이 복수 개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침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니들 및 제2니들로 이루어진 니들 그룹이 배열된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편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과 서로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제1니들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니팅(knitting)하여 경사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가이드침들 및 제2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형성된 경사들 중 일정 개수를 감싸기(underlapping)를 하되, 상기 제1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와 상기 제2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감싸기를 하여 결속사들을 형성하여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과 서로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제2니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니팅(knitting)하여 경사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6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중 일정 개수를 감싸기(underlapping)하여 결속사를 형성하여 상기 튜브사의 제2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4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은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들 또는 결속사들을 서로 결속시켜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을 연결시키는 쿠션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제2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쿠션사를 형성하는 공정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중 감싸기가 되는 일정 개수는 5가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중 감싸기가 되는 일정 개수는 5가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더블라셀 경편기는 상기 제3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의 개수에서 튜브사의 경사의 가닥수를 나눈 값의 개수 만큼의 튜브사를 제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 및 제5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은 다른 색상의 원사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은 여러 가닥의 튜브사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은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함으로써 쿠션성이 있는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은 다양한 색상의 원사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색상을 갖는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른 색상을 갖는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더블라셀 경편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더블라셀 경편기(100)는 크게 가이드침 그룹(110) 및 니들 그룹(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침 그룹(110)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6개의 가이드침, 즉 제1가이드침(111), 제2가이드침(112), 제3가이드침(113), 제4가이드침(114), 제5가이드침(115) 및 제6가이드침(116)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침 그룹(110)은 복 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니들 그룹(120)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침 그 룹(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 즉, 제1니들(121) 및 제2니들(122)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니들 그룹(120)은 상기 가이드침 그룹(110) 하나당 하나의 니들 그룹(120)이 대응되도록 복 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침 그룹(110)들을 설명의 편의상, 첫 번째 가이드침 그룹을 제1가이드침 그룹(110-1)으로 정의하고, 두 번째 가이드침 그룹을 제2가이드침 그룹(110-2)으로 정의하여 n번째 가이드침 그룹을 제n가이드침 그룹(110-n)으로 정의하고, 상기 니들 그룹(120)들 역시, 상기 가이드침 그룹(110)들과 마찬가지로 첫 번째 니들 그룹(120)을 제1니들 그룹(120-1)으로 정의하고, 두 번째 니들 그룹(120)을 제2니들 그룹(120-2)으로 정의하여 n번째 니들 그룹을 제n니들 그룹(120-n)으로 정의한다.
상기 더블라셀 경편기(100)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상기 가이드침 그룹들 및 상기 가이드침 그룹들 각각에 구비된 가이드침들에 원사가 어떻게 공급되는지를 설명한다.
먼저, 이후 설명될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가 몇 가닥인 튜브사를 제조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더블라셀 경편기(100)를 이용하여 튜브사를 제조할 때,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를 다양한 가닥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가닥 내지 8가닥 중 어느 하나의 가닥수의 경사를 가진 튜브사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는 동일한 가닥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형상이 서로 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형상을 다르게 하기 위해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의 가닥수를 다르게 하여 상기 튜브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후 설명에서는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를 다양한 가닥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5가닥씩인 튜브사를 제조하는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가 각각 5가닥씩인 튜브사를 제조한다고 하면, 상기 제1가이드침 그룹(110-1) 내지 제5가이드침 그룹(110-5)과 상기 제1니들 그룹(120-1) 내지 제5니들 그룹(120-5)이 한 가닥의 튜브사를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그 다음 제6가이드침 그룹 내지 제10가이드침 그룹과 제6니들 그룹 내지 제10니들 그룹이 한 가닥의 튜브사를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즉,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의 가닥 수에 따라 상기 더블라셀 경편기(100)의 가이드침 그룹들 및 니들 그룹들은 상기 경사의 가닥 수에 맞추어 각각 제조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제조 그룹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더블라셀 경편기(100)의 가이드침 그룹이 1000개이고, 형성하고자 하는 튜브사의 제1표면의 경사의 가닥 수가 5개라고 한다면, 상기 더블라셀 경편기(100)로부터 동시에 형성되는 튜브사는 200 가닥이 된다.
이후 설명은 하나의 제조 그룹만을 설명하나 다른 제조 그룹들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튜브사를 제조함을 밝혀 둔다.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가 각각 5가닥씩인 튜브사를 제조하기로 한다면, 5개의 제1가이드침(111) 중 제조 그룹의 첫번째에 위치한 가이드침, 즉, 상기 제1가이드침 그룹(110-1)의 제1가이드침(111)에는 원사를 공급하나, 나머지 가이드침, 즉, 제2가이드침 그룹(110-2) 내지 제5가이드침 그룹(110-5)의 제1가이드침(111)에는 원사가 공급되지 않으며, 5개의 제2가이드침(112) 중 제조 그룹의 마지막 번째에 위치한 가이드침, 즉, 상기 제5가이드침 그룹(110-5)의 제2가이드침(112)에는 원사를 공급하나 나머지 제2가이드침들에게는 원사를 공급하지 않으며, 5개의 제6가이드침(116) 중 제조 그룹의 첫번째 또는 마지막 번째 제5가이드침(116)에는 원사를 공급하나 나머지 4개의 제6가이드침(116)에는 원사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제1가이드침(111), 제2가이드침(112) 및 제6가이드침(116)으로 공급되는 원사는 이후 설명될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들을 결속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 가닥의 튜브사에는 각각 한 가닥씩의 원사만을 공급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한편, 튜브사의 경사 또는 쿠션사로 이용되는 원사를 공급하는 제3,4,5가이드침에는 모두 원사가 공급된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5가닥의 경사를 가진 튜브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후 설명될 튜브사는 5가닥의 경사를 가진 튜브사를 형성하는 방법만을 설명하였으나 필요하다면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1가닥 이상의 경사, 바람직하게는 1가닥 내지 8가닥 중 어느 하나의 가닥수를 가진 경사를 가진 튜브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튜브사의 제1표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튜브사의 제1표면은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를 구비하고 있고, 2 가닥의 결속사(221,2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는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가이드침 그룹(110-1) 내지 제5가이드침 그룹(110-5)의 제3가이드침들(113)로부터 공급된 원사들이 상기 제1니들(121)에 의해 니팅(knitting)된 것이다.
이때, 상기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들은 상기 제1가이드침 그룹(110-1) 내지 제5가이드침 그룹(110-5)의 제3가이드침들(113)로부터 공급된 원사들이 서로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제1니들(121)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니팅된 것으로 상기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들 자체는 서로 결속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들이 상기 제1니들(121)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니팅될 때, 상기 제1가이드침(111)에서 공급되며, 상기 5가닥 의 경사(211,212,213,214,215)들을 결속시키는 제1결속사(221)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우에서 좌, 좌에서 우 및 우에서 좌 순으로 반복적으로 감싸기(underlapping)하고, 상기 제2가이드침(112)에서 공급되며, 상기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들을 결속시키는 제2결속사(222)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좌에서 우, 우에서 좌 및 좌에서 우 순으로 반복적으로 감싸기(underlapping)한다. 즉, 상기 제1결속사(221) 및 제2결속사(2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니팅되는 상기 5가닥의 경사(211,212,213,214,215)들 결속하여 튜브사의 제1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튜브사의 제2표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튜브사의 제1표면과 동시에 제조되는 튜브사의 제2표면은 상기 제1표면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나 결속사가 한 가닥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침 그룹(110-1) 내지 제5가이드침 그룹(110-5)의 제5가이드침들(115)로부터 공급된 원사들을 상기 제2니들(122)들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니팅하여 5가닥의 경사(216,217,218,219,220)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2표면의 5가닥의 경사(216,217,218,219,220)들이 니팅될 때, 상기 제6가이드침(116)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는 상기 제1결속사(221) 또는 제2결속사(222)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5가닥의 경사(216,217,218,219,220)들을 결속하는 제3결속사(223)가 되고, 상기 제3결속사(223)가 상기 5가닥의 경 사(216,217,218,219,220)들을 결속하여 튜브사의 제2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튜브사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4가이드침(114)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은 상기 제1표면의 경사들(211,212,213,214,215) 및 제2표면의 경사들(216,217,218,219,210) 또는 상기 제1표면의 제1결속사(211)과 제2결속사(212) 및 상기 제2표면의 제3결속사(213)을 서로 결속시켜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을 연결시키는 쿠션사(미도시)를 형성하여 튜브사를 형성한다.
상기 튜브사(미도시)를 형성하는 방법을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더블라셀 경편기의 주요 부분에 대입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가이드침(111), 제2가이드침(112), 제3가이드침(113) 및 제1니들(121)이 작동하여 제1표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침(111) 및 제2가이드침(112)이 상기 제1니들(121)의 후크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는 언더래핑 조직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3가이드침(113)이 상기 제1가이드침(111) 및 제2가이드침(112)의 언더래핑조직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니들(121)과 작동을 하여 상기 제1표면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을 연결시켜 주고, 쿠션(cushion)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제4가이드침(114)이 상기 제1가이드침(111), 제2가이드침(112) 및 제3가이드침(113)과 함께 상기 제1니들(121)의 후크에 원사를 걸어서 니팅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침들은 전후 동작을 하면서 약간의 원형운동에 가까운 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침들에서 공급되는 원사들이 상기 제1니들(121)의 머리부분인 후크에 원사를 걸면, 상기 제1니들(121)이 상하 운동으로 원사를 니팅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제1표면을 제조하는 동작을 완료한 후 또는 이와 동시에 상기 제5가이드침(115)은 상기 제1가이드침(111) 및 제2가이드침(112)과 마찬가지로 언더래핑 조직을 형성하고, 상기 제6가이드침(116)은 언더래핑조직을 고정시키는 역할하는 원사를 공급하여 상기 제2니들(122)의 후크에 원사가 걸리게 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상기에서 상술한 제4가이드침(114)에서 공급된 원사가 상기 제1표면에 걸린 상태 그대로 제2표면으로 와서 함께 엮이어 지면서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튜브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의 색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가진 튜브사를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튜브사는 더블라셀 경편기로 형성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가닥이 제조될 수 있는데, 각각 튜브사에 공급되는 원사들을 각각 다른 색상의 원사들로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가진 튜브사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더블라셀 경편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튜브사의 제1표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튜브사의 제2표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더블라셀 경편기 110 : 가이드침 그룹
120 : 니들 그룹

Claims (6)

  1. 제1가이드침, 제2가이드침, 제3가이드침, 제4가이드침, 제5가이드침 및 제6가이드침으로 이루어진 가이드침 그룹이 복수 개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침 그룹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니들 및 제2니들로 이루어진 니들 그룹이 배열된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편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과 서로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제1니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니팅(knitting)하여 경사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가이드침들 및 제2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3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형성된 경사들 중 일정 개수를 감싸기(underlapping)를 하되, 상기 제1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와 상기 제2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감싸기를 하여 결속사들을 형성하여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과 서로 결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제2니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니팅(knitting)하여 경사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6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각각은 상기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중 일정 개수를 감싸기(underlapping)하여 결속사를 형성하여 상기 튜브사의 제2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4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은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의 경사들 또는 결속사들을 서로 결속시켜 상기 제1표면 및 제2표면을 연결시키는 쿠션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사의 제1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제2표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쿠션사를 형성하는 공정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들 및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중 감싸기가 되는 일정 개수는 1가닥 내지 8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들 및 제5가이드침들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 중 감싸기가 되는 일정 개수는 5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라셀 경편기는 상기 제3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의 개수에서 튜브사의 경사의 가닥수를 나눈 값의 개수 만큼의 튜브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사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침 및 제5가이드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들은 다른 색상의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사 제조 방법.
KR1020080085284A 2008-08-29 2008-08-29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KR101028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84A KR101028430B1 (ko) 2008-08-29 2008-08-29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84A KR101028430B1 (ko) 2008-08-29 2008-08-29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19A true KR20100026319A (ko) 2010-03-10
KR101028430B1 KR101028430B1 (ko) 2011-04-14

Family

ID=4217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84A KR101028430B1 (ko) 2008-08-29 2008-08-29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305B1 (ko) * 2016-09-29 2017-12-01 박지원 비닐하우스 보호용 보호망 제직장치 및 그 제직장치에 의해 제직된 비닐하우스 보호용 보호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373B1 (ko) * 1984-03-24 1985-09-24 김석율 제화 용끈의 편직방법
ITCO20030019A1 (it) * 2003-11-25 2004-02-24 Franco Sciacca Metodo e attrezzatura per variare la densita' di maglia nella produzione di tessuti e articoli tubolari ottenuti con telai raschel e prodotti risultanti.
ES2371248T3 (es) * 2004-10-18 2011-12-28 Nippon Mayer Lt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tela de tres dimensiones tricotada de urdimbre con secciones transversales vari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430B1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75427B (zh) 生产编织制品的方法
EP2543758B1 (en) Warp knitting fabrics having ground structure expressing various design patterns
JP2017150094A (ja) 多色柄経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H05247806A (ja) 経編地と該経編地を編成するための経編機及び経編方法
CN102534980A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TW201002889A (en) Spacer fabric and also method and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987108B1 (ko) 가로방향 요철이 형성된 더블 라셀 편물의 제조방법 및 그 더블 라셀 편물
KR101028430B1 (ko)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한 튜브사 제조 방법
WO2001029300A9 (en) Wholly elastic knitted fabric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JP4235187B2 (ja) 経編地の編成方法と、その経編地
NO337250B1 (no)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raknefrie tøymaterialer
CN101029427A (zh) 生产带花纹的针织物的方法
EP3272921B1 (en) Method of knitting warp knitted fabric
CN10253497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CN1488013A (zh) 在圆筒针织物上编织绞花花样的方法
KR101032444B1 (ko) 중간사의 표면노출이 없는 더블 라셀 메쉬의 제조방법 및 그 더블 라셀 메쉬
CN102899793B (zh) 用于制造带有装饰线迹的针织物的方法和所制得的针织物
KR101850097B1 (ko) 돌출 입체형 패턴 형성용 환편 장치 및 방법
KR101625341B1 (ko) 공기층을 구비한 환편직물제조용 환편기
KR101455976B1 (ko) 파일직물의 편직방법
KR20110002649A (ko) 파일을 갖는 파일원단의 제조방법과 파일원단
KR100281229B1 (ko) 경편기, 문양이 놓여지는 경편물의 제조 방법 및 문양이 놓여진경편물
JP3125652U (ja) ポリオレフィン系線条体を使用した手芸材料糸
JP7036787B2 (ja) Rsj経編み機に基づくフリーカット経編み生地の製造方法
JP6978800B1 (ja) 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