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501A - 다중 공압출 금형 - Google Patents

다중 공압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501A
KR20100023501A KR1020080082307A KR20080082307A KR20100023501A KR 20100023501 A KR20100023501 A KR 20100023501A KR 1020080082307 A KR1020080082307 A KR 1020080082307A KR 20080082307 A KR20080082307 A KR 20080082307A KR 20100023501 A KR20100023501 A KR 2010002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old
auxiliary
passag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913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08008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9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공압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후면 중앙에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주원료투입구에 연결되는 주원료통로와, 상면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보조원료투입구에 연결되는 보조원료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원료투입금형; 상기 원료투입금형의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통로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후면금형부재와 중간금형부재에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통로의 말단이 각각 연결되어 배면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가 전면금형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중간금형; 상기 중간금형의 원료분배통로를 통해 이동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결합되어 하나의 성형제품으로 압출하기 위한 제품형성통로가 다수개의 금형부재에 형성되는 압출성형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색상이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합성수지 원료를 균일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원료, 보조원료, 주원료투입구, 보조원료투입구, 금형

Description

다중 공압출 금형{multi-layer co-extrusion mold}
본 발명은 건축 내외장재인 문틀, 창호, 바닥재, 몰딩류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중 공압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색상이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합성수지 원료를 균일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중 공압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공압출 금형은 그 외관이 원형(circular) 또는 평면형(flat)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형의 다중 공압출 금형(50)은,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금형(10)과, 주압출기로 공급되는 주원료를 통과시켜서 제품(41)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출성형금형(20) 및 상기 압출 제품(41)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를 투입하여 통과하는 제품(41)의 표면에 피복(42)을 입혀서 피복성형제품(40)의 형상대로 압출하기 위한 보조금형(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성형금형(20)의 전면 금형부재(20b)와 보조금형(30)은 압출 작업시에 제품의 형상 또는 작업종류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제품의 치수, 형상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이러한 다중 공압출 금형(50)은, 주압출기에서 복수 개로 형성된 원료투입금형(10)의 주원료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주원료가 주원료통로(12)로 이동되어 제품의 형성이 점차적으로 완성되어 압출되는 압출성형금형(20)의 후면금형부재(20a)의 주원료통로(12)를 이동되고, 상기 후면금형부재(20a)로 이동한 주원료는 전면금형부재(20b)로 이동하면서 제품형성통로(13)를 통해 제품(41)의 형상대로 압출되기 시작하며, 상기 압출되는 제품(41)은 보조금형(30)의 피복제품통로(33)로 압출됨과 동시에 보조압출기에서 보조금형(30)의 보조원료투입구(31)를 통해 두 가지 색상이나 원목과 같은 질감의 무늬를 입히기 위하여 투입된 보조원료가 좁은 보조원료통로(32)로 이동하여 압출되는 제품(41)의 표면에 0.1 ~ 0.5mm 정도의 피복을 입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원료투입구(11)로 투입되어 주압출기로부터 다중 공압출 금형(50)의 보조금형(30)으로 압출되는 주원료의 주원료통로(12)에서부터 피복제품통로(33)까지의 압출 압력과 보조압출기로부터 다중 공압출 금형(50)의 보조금형(30)으로 압출되는 보조원료의 보조원료통로(32)에서의 압출 압력이 최종 압출 단계인 보조금형(30)에서 서로 상호작용하게 되므로, 주원료가 이동되는 피복제품통로(33)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32)에서의 압력분포에 따라 제품에서 나타나는 상기 주원료 및 보조원료의 색상 및 소재의 배합 비율이 균일하지 못함으로 해서 최종적으로 압출 성형되어 나오는 피복성형제품(40)에서 주원료 및 보조원료의 두께가 불균일함에 따른 이색현상과, 이로 인한 내충격 강도의 저하 및 치수 불균일 등에 의해 성형불량률이 높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보조압출기에서 보조금형(30)으로 투입되는 값비싼 보조원료의 소요가 많게 되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주원료 및 보조원료의 압출 압력이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원료의 이동통로를 독립되게 형성하여 색상이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재료를 균일하게 압출시켜 제품의 성형불량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 내외장재인 문틀, 창호, 바닥재, 몰딩류 등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들에 있어 주원료와 보조원료의 다양한 선택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부위별로 원재료와 재생원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원가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공압출 금형은, 평면형으로 되어 원료투입금형과, 중간금형 및 압출성형금형이 조합되게 이루어져 주압출기와 연결되어 주원료를 압출하도록 된 주원료통로와, 보조압출기와 연결되어 보조원료를 압출하도록 된 보조원료통로가 각각 형성된 것에 있어서, 후면 중앙에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주원료투입구에 연결되는 주원료통로와, 상면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보조원료투입구에 연결되는 보조원료 통로가 각각 형성되는 원료투입금형; 상기 원료투입금형의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통로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후면금형부재와 중간금형부재에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통로의 말단이 각각 연결되어 배면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가 전면금형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중간금형; 상기 중간금형의 원료분배통로를 통해 이동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결합되어 하나의 성형제품으로 압출하기 위한 제품형성통로가 다수개의 금형부재에 형성되는 압출성형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투입금형에는 2개 이상의 보조원료투입구가 상면과 좌, 우측면 중에 하나씩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금형의 후면금형부재에서부터 중간금형의 전면금형부재 배면까지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가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원료투입구의 개수에 따라 원료투입금형에서부터 중간금형의 전면금형부재 배면까지 보조원료통로가 주원료통로와는 별개로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금형의 전면금형부재에 형성되는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가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공압출 금형에 의하면, 주원료가 투입되는 주원료투입구와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와는 별도로 보조원료투입구가 주원료투입구와 동일 선상의 원료투입금형에 위치하고 있고,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가 주원료통로와는 독립되게 소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원료의 압출 압력과 보조원료의 압출 압력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주원료와 보조원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원료투입금형에 1 ~ 3개의 보조연료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원료투입구에 따라 보조원료통로의 형성이 가능함으로 해서, 색상이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재료를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불량 감소에 따른 품질을 향상시키고, 성형제품의 불량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성형제품의 부위별로 적절하게 원재료와 재생원료를 사용하여 압출성형이 가능하므로 사용용도에 따라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압출 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측종단면도이며, 도 9a는 도 5의 압출성형금형을 탈거한 상태에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통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5의 압출성형금형을 탈거한 상태에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통로를 예시한 배면도이며, 도 10은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통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배면도이며,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공압출 금형을 이용한 압출성형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다중 공압출 금형(500)은 일반적인 압출기의 금형과 마찬가지로 평면형으로 되어 색상이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합성수지 원료를 균일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금형(100)과,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이동되어 독립적으로 제품의 각 부위별로 원료가 분배되는 원료분배통로(350,360)가 형성되는 중간금형(300)과, 상기 원료투입금형(100)과 중간금형(3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구(210,220), 볼트(230,240), 실링구(250)가 내설되는 클램프(200) 및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결합되어 하나의 성형제품으로 압출하기 위한 제품형성통로(450)가 형성되는 압출성형금형(400)이 조합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서로 밀착되게 다수개의 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원료투입금형(100)에는 후면 중앙에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를 투입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주원료투입구(110)와 주원료통로(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를 투입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원료투입구(150)와 보조원료통로(160)가 상기 주원료투입구(110)와 주원료통로(12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원료투입구(150)는 원료투입금형(100)에 1 ~ 3개까지 상면과 좌, 우측면 중에 하나씩 각각 구비가 가능하며, 보조원료투입구에 따라 주원료통로와는 별개로 보조원료통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 형성되며, 주원료와 보조원료의 흐르는 양에 따라 주원료통로와 보조원료통로의 크기가 결정되고, 주원료통로 및 보조원료통로의 형상은 압출 제품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료투입금형(100)의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는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상기 원료투입금형(100)과 중간금형(300)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구(210,220), 볼트(230,240), 실링구(250)가 내설되어 있는 클램프(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10,220)는 일단이 원료투입금형(100)과 중간금형(300)의 후면금형부재(300a)에 각각 삽입되어, 다수개의 볼트(230,240)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10,220) 사이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구((210,22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구(250)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210,220)와 실링구(250)에는 원료투입금형(100)과 중간금형(300)을 연결하기 위한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200)는 상,하로 절반씩 형성되어 일측 중앙에 서로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경첩(260)이 연결설치되어 있고, 타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상,하 손잡이부(270)와 상기 상,하 손잡이부(270)를 고정 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280)가 구비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200)는 손잡이부(27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280)를 풀고 열어서 탈거시키면 상기 원료투입금형(100)과 중간금형(300)이 분리가 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다중 공압출 금형에서 상호 연결된 금형의 착탈을 용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중간금형(300)은 다수개의 금형부재(300a,300b,300c)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160)가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의 말단이 각각 연결되어 배면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350,3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성형금형(400)은 다수개의 금형부재(400a,400b,400c,400d)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a)에 형성되어 있는 원료분배통로(350,360)를 통해 이동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결합되어 하나의 압출성형제품으로 압출하기 위한 제품형성통로(4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금형(300)을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금형부재(300a,300b,300c)와, 상기 압출성형금형(400)을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금형부재(400a,400b,400c,400d)의 개수는 성형제품의 크기와 형상 및 원료의 흐름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공압출 금형(500)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투입구(110)를 통해 주원료를 투입시켜 압출작업을 실시하면, 주원료는 원료투입금형(100)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형상의 주원료통로(120)를 통해 연결구(210,220)와 중간금형(300)의 주원료통로(120)를 거쳐 중간금형(200)의 전면금형부재(300c)의 원료분배통로(350)와 압출성형금형(400)의 제품형성통로(450)를 통해 압출이 되고, 이와 동시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투입구(150)를 통해 보조원료를 투입시켜 압출작업을 실시하면, 보조원료는 원료투입금형(100)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형상의 보조원료통로(160)를 통해 연결구(210,220)와 중간금형(300)의 보조원료통로(160) 및 중간금형(200)의 전면금형부재(300c)의 원료분배통로(360)를 거쳐 압출성형금형(400)의 제품형성통로(450)를 통해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결합이 되어 하나의 압출성형제품으로 압출된다. 이때, 주압출기에서 주원료가 압출되는 주원료통로(120)는 그대로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거의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보조압출기에서 보조원료가 압출되는 보조원료통로(160)는 원료투입금형(100)의 상단면으로부터 수직과 경사를 이룬 다음 원료투입금형(100)의 전단면에서부터 중간금형(300)의 전단면까지 상기 주원료통로(120)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주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주원료의 압출 압력과 보조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보조원료의 압출 압력이 상호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가 형성된 중간금형(300)의 후면금형부재(300a)와 중간금형부재(300b) 및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350,360)가 형성된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의해 원하는 주원료 및 보조원료를 제품의 원하는 부위에 접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주원료와 보조원료의 유량과 압출 압력을 제품의 규격에 맞도록 조절이 되도록 상기 주원료통로(12)와 보조원료통로(160) 및 원료분배통로(350,360)는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금형(300)의 원료분배통로(350,360)를 통해 이동되는 제품 형상의 주원료와 보조원료는 압출성형금형(400)의 제품형성통로(450)를 통해 결합이 되어 하나의 압출성형제품으로 압출된다. 이때, 압출성형금형(400)의 다수개 금형부재(400a,400b,400c,400d)에 의해 제품 형상의 주원료와 보조원료의 유량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더욱 양호하게 결합이 되도록 하면서 압출성형제품의 압출을 균일하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압출기와 보조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원료투입금형(100), 연결구(210,220), 중간금형(300), 압출성형금형(400)을 나누어 거치면서 일정한 압출 압력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되고, 상기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 및 원료분배통로(350,360)가 하나의 압출성형제품으로 압출되기 전까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이동할 때 압출 압력이 상호작용하지 않아 원료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주원료와 보조원료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배출될 때까지 일정한 양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압출성형제품이 균일하게 압출된다.
도 10은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형성된 상부 원료분배통로(360)로 이동되는 보조원료는 제품의 상부에 원재료를 사용하고, 하부 원료분배통로(350)로 이동되는 주원료는 제품의 하부에 재생원료를 사용한 예이고,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형성된 상부 원료분배통로(360)로 이동되는 보조원료는 제품의 외부를 피복하도록 원재료를 사용하고, 하부 원료분배통로(350)로 이동되는 주원료는 제품의 내부에 재생원료를 사용한 예로서, 원재료는 제품의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고, 재생원료는 제품의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압출성형제품의 미감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주원료와 보조원료를 원재료만을 사용할 수 있고, 투입되는 원재료에 목분을 함유하여 원목과 같은 질감의 무늬를 자연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2a 내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주원료가 주원료통로(120a)를 통해 이동되는 원료분배통로(350a)를 1개 형성하고, 보조원료가 보조원료통로(120b,160a,160b)를 통해 이동되는 원료분배통로(360a,360b,360c)를 3개 형성한 예로서, 상기 주원료통로(120a)와 보조원료통로(120b,160a,160b)는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원료투입금형(100)의 원료투입구로부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 배면까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의 작용효과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a는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형성된 상부 원료분배통로(360a,360b)로 이동되는 보조원료와 하부 원료분배통로(350a,350c)로 이동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로 4가지 색상의 원료를 사용한 예이고, 도 13b는 도 13a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형성된 상부 원료분배통 로(360a,360b)로 이동되는 보조원료는 제품의 상부에 원재료를 사용하고, 하부 원료분배통로(350a,350c)로 이동되는 주원료는 제품의 하부에 재생원료를 사용한 예로서, 다양한 색상으로 각각 이동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구분되게 제품이 압출되고, 원재료는 제품의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고, 재생원료는 제품의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압출성형제품의 미감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주원료와 보조원료를 원재료만을 사용할 수 있고, 투입되는 원재료에 목분을 함유하여 원목과 같은 질감의 무늬를 자연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 다중 공압출 금형(500)로부터 배출된 압출성형제품은 싸이싱에 의해 제품이 균일하게 정형화되고, 냉각박스에 의해 압출성형제품이 냉각되며, 길이가 긴 압출성형제품은 절단기에 의해 소정길이로 절단된 다음 적재다이로 적재되어 출하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중 공압출 금형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보조금형을 탈거한 상태에서 압출성형금형인 전면금형부재의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보조금형에서 피복성형제품의 압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압출 금형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도 5의 측종단면도,
도 9a는 도 5의 압출성형금형을 탈거한 상태에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통로를 예시한 정면도,
도 9b는 도 5의 압출성형금형을 탈거한 상태에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통로를 예시한 배면도,
도 10은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통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배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중간금형인 전면금형부재에 원료분배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공압출 금형을 이용한 압출성형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료투입금형 110 : 주원료투입구
120 : 주원료통로 150 : 보조원료투입구
160 : 보조원료통로 200 : 클램프
210, 220 : 연결구 230, 240, 280 : 볼트
250 : 실링구 260 : 경첩
270 : 손잡이부 300 : 중간금형
400 : 압출성형금형 500 : 다중 공압출 금형

Claims (5)

  1. 평면형으로 되어 원료투입금형과, 중간금형 및 압출성형금형이 조합되게 이루어져 주압출기와 연결되어 주원료를 압출하도록 된 주원료통로와, 보조압출기와 연결되어 보조원료를 압출하도록 된 보조원료통로가 각각 형성된 것에 있어서,
    후면 중앙에 주압출기로부터 주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주원료투입구(110)에 연결되는 주원료통로(120)와, 상면에 보조압출기로부터 보조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보조원료투입구(150)에 연결되는 보조원료통로(160)가 각각 형성되는 원료투입금형(100);
    상기 원료투입금형(100)의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후면금형부재(300a)와 중간금형부재(300b)에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160)가 형성되고, 상기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통로(160)의 말단이 각각 연결되어 배면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350,360)가 전면금형부재(300c)에 각각 형성되는 중간금형(300);
    상기 중간금형(300)의 원료분배통로(350,360)를 통해 이동되는 주원료와 보조원료가 결합되어 하나의 성형제품으로 압출하기 위한 제품형성통로(450)가 다수개의 금형부재(400a,400b,400c,400d)에 형성되는 압출성형금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금형(100)에는 2개 이상의 보조원료투입구(150)가 상면과 좌, 우측면 중에 하나씩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금형(300)의 후면금형부재(300a)에서부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 배면까지 주원료가 이동되는 주원료통로(120)와 보조원료가 이동되는 보조원료통로(160)가 전방으로 갈수록 원료의 이동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원료투입구(150)의 개수에 따라 원료투입금형(100)에서부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 배면까지 보조원료통로가 주원료통로와는 별개로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금형(300)의 전면금형부재(300c)에 형성되는 제품 형상의 원료분배통로가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압출 금형.
KR1020080082307A 2008-08-22 2008-08-22 다중 공압출 금형 KR100979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07A KR100979913B1 (ko) 2008-08-22 2008-08-22 다중 공압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07A KR100979913B1 (ko) 2008-08-22 2008-08-22 다중 공압출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501A true KR20100023501A (ko) 2010-03-04
KR100979913B1 KR100979913B1 (ko) 2010-09-03

Family

ID=4217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307A KR100979913B1 (ko) 2008-08-22 2008-08-22 다중 공압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9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28A1 (en) * 2011-06-17 2012-12-20 Lg Hausys, Ltd. Auxiliary co-extruding apparatus for window profile and profil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2173329A1 (en) * 2011-06-17 2012-12-20 Lg Hausys, Lt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ndow profile using co-extrusion
WO2012173327A1 (en) * 2011-06-17 2012-12-20 Lg Hausys, Ltd. Window profile provided with skin layer having wood fiber
WO2020043824A1 (de) * 2018-08-29 2020-03-05 Greiner Extrusion Group Gmbh Extrusionsvorrichtung und extrusionsverfahren
KR102628003B1 (ko) * 2023-09-06 2024-01-19 김기영 선틀 제작용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73B1 (ko) 2014-04-24 2014-07-02 김기영 이형재질용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작방법
KR101938725B1 (ko) 2017-03-23 2019-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난연성 플라스틱 패널의 압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플라스틱 패널의 제조방법
KR101767526B1 (ko) 2017-06-05 2017-08-11 김기영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579A (ja) 1999-06-02 2000-12-12 Ykk Corp 樹脂積層材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した樹脂製積層成形品
JP3589606B2 (ja) 1999-12-28 2004-11-17 新日軽株式会社 表皮木目模様の形成方法及びそのダイス構造
JP4388686B2 (ja) 2000-11-14 2009-1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木目調模様を有する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8772B1 (ko) * 2003-01-09 2005-12-23 민웅기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28A1 (en) * 2011-06-17 2012-12-20 Lg Hausys, Ltd. Auxiliary co-extruding apparatus for window profile and profil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2173329A1 (en) * 2011-06-17 2012-12-20 Lg Hausys, Lt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ndow profile using co-extrusion
WO2012173327A1 (en) * 2011-06-17 2012-12-20 Lg Hausys, Ltd. Window profile provided with skin layer having wood fiber
CN103619561A (zh) * 2011-06-17 2014-03-05 乐金华奥斯株式会社 设有含木材纤维的表皮层的窗框型材
KR101379544B1 (ko) * 2011-06-17 2014-03-28 (주)엘지하우시스 목분을 함유한 스킨층을 갖는 창호용 프로파일
KR101379622B1 (ko) * 2011-06-17 2014-03-28 (주)엘지하우시스 공압출을 이용한 창호 프로파일 제조설비
KR101461266B1 (ko) * 2011-06-17 2014-11-12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프로파일의 공압출용 보조압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제조장치
WO2020043824A1 (de) * 2018-08-29 2020-03-05 Greiner Extrusion Group Gmbh Extrusionsvorrichtung und extrusionsverfahren
CN112672870A (zh) * 2018-08-29 2021-04-16 格瑞纳挤出集团股份有限公司 挤出设备和挤出方法
KR102628003B1 (ko) * 2023-09-06 2024-01-19 김기영 선틀 제작용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선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913B1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913B1 (ko) 다중 공압출 금형
US9694529B2 (en) Extrusion die for synthetic wo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and synthetic wood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767526B1 (ko) 이중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제조방법
CN205767377U (zh) Pe木塑共挤流纹模具
CN103269844B (zh) 用来挤出的装置
CN102259415A (zh) 一种仿木纹板材的挤出方法
KR102281678B1 (ko) 삼중 압출금형
KR101415395B1 (ko) 발포 성형물 제조용 다중 압출 금형의 다이스
KR101199741B1 (ko) 발포 성형물 제조용 압출 금형
KR200406449Y1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CN104070659A (zh) 多层塑料建筑模板用挤出模头
CN102476441A (zh) 一种汽车车窗密封条的挤出模具
KR100538773B1 (ko) 평판재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US10981350B1 (en) Wood-grained polymer substrate
JPH07195480A (ja) 表面に鮮明な模様を有する表面加飾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およびその成形品
KR100845275B1 (ko)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KR101413573B1 (ko) 이형재질용 압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작방법
CN110667071A (zh) 一种用于生产彩条型产品的挤出平模头
KR101562941B1 (ko) 이색 압출성형품의 불량품을 재활용한 삼색압출성형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색압출성형품
KR200279256Y1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안료 투입구조
KR20160092753A (ko) 이색 압출성형품의 불량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삼색압출성형장치의 공급유로구조
KR20030073923A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공급유로구조
KR200279255Y1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공급유로구조
CN106003654A (zh) Pe木塑共挤流纹模具
KR100538772B1 (ko)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