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275B1 -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 Google Patents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275B1
KR100845275B1 KR1020070035206A KR20070035206A KR100845275B1 KR 100845275 B1 KR100845275 B1 KR 100845275B1 KR 1020070035206 A KR1020070035206 A KR 1020070035206A KR 20070035206 A KR20070035206 A KR 20070035206A KR 100845275 B1 KR100845275 B1 KR 10084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molten resin
die
plate di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덕
Original Assignee
송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덕 filed Critical 송순덕
Priority to KR102007003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7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0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plasticising zone, e.g. by heating cylinders
    • B29C48/83Heating or cooling the cylinders
    • B29C48/832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는, 클램프 연결대와, 인테이크 다이와, 미들 플레이트 다이와, 코어 플레이트 다이와,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는, 본체와 코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부재는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성형되도록 다수개의 코어와, 상기 코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살이 형성되도록 캐버티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는 소정의 냉각유체가 외부에서 유입/배출되도록 냉각유체 인렛부와 냉각유체 아웃렛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와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를 관통하여 냉각유체가 흐르도록 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로 유입된 냉각유체가 상기 코어 내부와 상기 관통공을 반복 유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각각의 코어에는 냉각유체 통로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압출금형, 압출성형패널, 냉각유체

Description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STRUCTURE OF AN EXTRUDING DIE FOR AN EXTRUDING FORMING PANEL}
도 1은 일반적인 압출성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에서 패널 성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D'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3a의 클램프 연결대의 상세도.
도 5a는 도 3a의 인테이크 다이의 상세도.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
도 5c는 도 5b의 평면도.
도 6a는 도 3a의 미들 플레이트 다이의 상세도.
도 6b는 도 6a의 측면도.
도 7a는 도 3a의 코어 플레이트 다이의 상세도.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
도 7c는 도 7b의 정면도.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의 사시도.
도 9는 도 3a의 제1프론트 플레이트 다이의 상세도.
도 10은 도 3a의 제2프론트 플레이트 다이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클램프 연결대
21. 용융수지 유입구
30. 인테이크 다이
31,32. 제1용융수지통로
33. 용융수지 토출구
40. 미들 플레이트 다이
41. 원추형 결합돌기
42. 제2용융수지통로
50. 코어 플레이트 다이
51. 본체
52. 코어부재
52a. 코어
52b. 캐버티
53a. 냉각유체 인렛부
53b. 냉각유체 아웃렛부
본 발명은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성형패널의 성형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선된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토록 하는 압출성형은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파이프, 필름, 전선관, 전선피복, 건축판재, 시트 등 여러 가지 봉재(俸材), 판재(板材), 형재(形材)의 동일단면을 가진 성형품으로 연속 성형토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압출성형 과정을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압출기(1)의 호퍼(2)를 통하여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S) 등 열가소성 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펠릿(pellet) 형태의 재료가 투입되면, 압출기(1) 내의 가열실린더 내에서 히터에 의해 히팅되어 겔(gel) 상태로 용해됨과 동시에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면서, 그 전단의 압출금형(3)으로 압출된다.
압출된 재료는 사이징(sizing)(4)을 통과하면서 정확한 칫수와 설정된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되며, 이어서 냉각수조(5)를 통과하는 동안 수냉 또는 공냉의 냉각과정을 거쳐 고화됨으로써 성형품을 얻는다.
또한 상기의 공정으로 성형품이 성형되면, 나란히 설치된 전사기(6,7)를 통과시켜 표면에 원목 또는 특정무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늬지를 전사시키거나 또는 조각기(8)를 거치는 동안 표면이 특정형태로 성형되고, 마지막으로 인출기(9)에 의해 절단기(10)를 통과하는 동안 설정되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압출성형패널은 주로 PE 패널로, 건축자재, 가구자재, 액자틀 등 여러 가지 제품으로 성형하여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출성형 과정 중 상기 압출금형(3)에 대한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9055호(2005년09월27일)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다이스 즉, 압출금형의 패널 성형부는 가열판(226), 히터구동부(208), 공간부(210), 코어(212), 에어 주입구(214) 및 에어홀(216)을 포함한다.
또한 압출금형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용융물은 도 2의 A방향으로 패널 성형부에 유입되고, 용융물은 히터구동부(208)를 통해 가열되는 가열판(226)에 의해 계속적으로 용융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간부(21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210) 내부에는 일정한 형상의 복수개의 코어(212)가 제공되기 때문에 용융물이 공간부(210)를 통과하게 되면,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218), 내부의 코어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중공부(220), 상판(222) 및 하판(224)으로 이루어진 패널이 압출된다.
또한 패널 성형부에서 패널이 압출되는 동안 중공부(220)의 함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코어(212)에 에어홀(216)을 제공한다. 즉, 상기 중공부(220)에 에어홀(216)을 통해 연속적으로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중공부(220)를 냉각하여 그 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압출금형에는 중공부(220)의 함몰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주입구(214)와 연통되게 코어(212)의 중공부(220) 에어홀(216)을 가공한 것에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특징인 에어(air)를 통한 공냉 방식으로는 냉각효과가 미미하여 고온의 용융수지를 냉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즉, 압출성형패널이 성형될 때 패널 내부의 고온의 열에 의해 패널의 성형성을 떨어뜨리게 되고, 패널의 표면이 거칠게 성형되는 성형성 불량을 발생하게 되고, 강도가 떨어지는 등 제품 불량을 다량 발생시키게 되며, 고속생산이 어려워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온의 용융수지가 강제로 물과 같은 액상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켜 압출성형패널의 성형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는, 압출기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로부터 고온의 수지 용융물을 공급받기 위한 용융수지 유입구가 중앙에 형성된 클램프 연결대와; 상기 클램프 연결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용융수지 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융수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용융수지가 압출금형에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1용융수지통로가 형성된 인테이크 다이와; 상기 인테이크 다이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용융수지통로와 연통되게 상기 인테이크 다이의 출구에 형성된 용융수지 토출구로부터 유입된 용융수지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2용융수지통로가 형성되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인테이크 다이와 결합되면서 용융수지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테이크 다이 쪽으로 돌출된 원추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미들 플레이트 다이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 다이에 연결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중앙에 돌출되며 형성된 코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부재는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성형되도록 다수개의 코어와, 상기 코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살이 형성되도록 캐버티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는 소정의 냉각유체가 외부에서 유입되도록 냉각유체 인렛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에서 유입된 냉각유체가 배출되도록 냉각유체 아웃렛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와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를 관통하여 냉각유체가 흐르도록 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로 유입된 냉각유체가 상기 코어 내부와 상기 관통공을 반복 유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각각의 코어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와 연통되게 냉각유체 통로가 형성된 코어 플레이트 다이와;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의 상기 코어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설치되고, 상기 캐버티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유동되어 상기 압출성형패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패널성형부가 형성된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D'에서 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는, 클램프(clamp) 연결대(20), 인테이크 다이(intake die)(30), 미들 플레이트 다이(middle plate die)(40), 코어 플레이트 다이(core plate die)(50), 및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front plate di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클램프 연결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도 1의 1 참조)와 연결 설치되어,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과 압출기(1)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출기(1)로부터 고온의 수지 용융물을 공급받기 위한 용융수지 유입구(21)가 중앙에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프 연결대(20)의 가장자리에는 예컨대,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이크 다이(30)와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다이(3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연결대(2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 연결대(20)의 용융수지 유입구(21)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용융수지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용융수지가 압출금형에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1용융수지통로(31,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테이크 다이(30)의 출구에는 제1용융수지통로(31,32)와 연통된 용융수지 토출구(33)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상기 제1용융수지통로(31,32)나 용융수지 토출구(33)가 인테이크 다이(30) 내부에 형성 가능하도록 중앙 부분을 두 개의 분리하여 상형다이(30a)와 하형다이(30b)로 분리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 다이(4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다이(3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인테이크 다이(30)의 용융수지 토출구(33)로부터 유입된 용융수지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2용융수지통로(42)가 형성되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인테이크 다이(30)와 결합되면서 용융수지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테이크 다이(30) 쪽으로 돌출된 원추형 결합돌기(4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용융수지통로(42)로 유입된 용융수지는 후술하는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제3용융수지통로(59)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50)는, 미들 플레이트 다이(40)에 연결 설치된 본체(51)와, 이 본체(51) 중앙에 돌출되며 형성된 코어부재(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코어부재(52)는,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성형되도록 다수개의 코어(core)(52a)와, 이 코어(52a)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살이 형성되도록 캐버티(cavity)(52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51)의 일측부에는 소정의 냉각유체(cooling liquid) 예컨대, 물(water)이 외부에서 유입되도록 냉각유체 인렛부(inlet part)(53a)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51)의 타측에는 냉각유체 인렛부(53a)에서 유입된 냉각유체가 배출되도록 냉각유체 아웃렛부(outlet part)(5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51)에는 냉각유체 인렛부(53a)와 냉각유체 아웃렛부(53b)를 관통하여 냉각유체가 흐르도록 한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53a)로 유입된 냉각유체가 코어(52a) 내부와 상기 관통공(54)을 반복 유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53b)로 배출되도록 각각의 코어(52a)에는 냉각유체 인렛부(53a), 관통공(54) 및 냉각유체 아웃렛부(53b)와 연통되게 냉각유체 통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코어(52a)에 형성된 냉각유체 통로는, 냉각유체 인렛부(53a)에서 유입된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냉각유체 유입통로(55a)와, 이 냉각유체 유입통로(55a)를 통과한 후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53b)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냉각유체 배출통로(55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냉각유체 유입통로(55a) 및 냉각유체 배출통로(55b)는, 본체(51)의 후방 또는 상기 코어(52a)의 전방에서 냉각유체 유입통로(55a) 및 냉각유체 배출통로(55b)용 관통 홀을 형성하여 상기 냉각유체 유입통로(55a) 및 냉각유체 배출통로(55b)의 양단을 소정의 차단부재(57,58)로써 차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체 유입통로(55a) 및 냉각유체 배출통로(55b)용 관통 홀을 2개를 나란하게 형성한 후, 상기 코어(52b)의 전면에서는 냉 각유체 유입통로(55a) 및 냉각유체 배출통로(55b)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통공(56)이 형성되도록 홈(56a)을 형성하여 연통공(56)의 후방에 차단부재(57)를 상기 홈(56a)에 설치하고, 상기 본체(51)의 후면에서는 상기 관통 홀에 관통공(54)에 냉각유체의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단부재(58)를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와 같은 냉각유체 유입통로(55a)와 냉각유체 배출통로(55b)를 냉각유체가 유동되면서 코어(52b)를 냉각하게 되고, 특히 냉각유체가 코어 플레이트 다이(50) 전반에 걸쳐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57,58)는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4)은 본체(5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며 형성된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53a) 및 냉각유체 아웃렛부(53b)는 외부의 냉각유체 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된 연결탭(connection tap)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코어부재(52)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설치되고, 상기 코어부재(52)의 캐버티(52b)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유동되어 압출성형패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패널성형부(도 3b의 C부)가 형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와 연결 설치되고,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용융수지의 유동 정도가 변경되며 이루어지도록, 즉 용융수지 배출 압력이 증가되면서 용융수지가 배출되도록 용융수지 배출통로(61)가 작아지며 형성된 제1프론트 플레이트 다이(60)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1프론트 플레이트 다이(60)와 연결되어 최종의 압출성형패널이 성형되도록 이루어진, 즉 압출성형패널의 외곽 형상 치수대로 최종 성형공(71)이 형성된 제2프론트 플레이트 다이(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3b의 도면부호 'C'는 압출성형패널의 최종 제품의 형상이 되는 패널성형부이며, 이러한 제품 형상은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코어(52a)와 캐버티(52b)의 형상을 변경하면 다양한 형상의 압출형상패널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기재된 도면부호 90은 히터(heater)로 압출금형 내를 유동하는 용융수지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압출금형에서 압출된 압출성형패널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이징(sizing)(80)을 통과하면서 정확한 칫수와 설정된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되게 된다.
상기 사이징(80)에서 도면부호 81은 진공홀로 그 내부를 진공을 유지하여 사이징 및 냉각기(도 1의 5)를 통과하는 동안 압출성형패널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예컨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82는 냉각홀로 그 내부를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유체(cooling fluid) 예컨대, 에어(air)가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는, 우 선, 압출성형패널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인테이크 다이(30)에서부터 마지막의 제2프론트 플레이트 다이(70)까지 용융수지가 유동되는 통로를 각각 적절하게 형성하였다.
즉, 상기 인테이크 다이(30)의 보다 넓게 형성된 제1용융수지통로(31,32)에서 용융수지가 주입되어 직사각형의 용융수지 토출구(33)를 통하여 인테이크 다이(30)를 빠져 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인테이크 다이(30)의 용융수지 토출구(33)에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구비된 미들 플레이트 다이(40)의 원추형 결합돌기(41)가 결합된다.
그리고 용융수지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 다이(40)의 제2용융수지통로(42)를 지나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제3용융수지통로(59)로 유입된다. 상기 제3용융수지통로(59)로 유입된 용융수지는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캐버티(52b)를 지나면서 제품인 압출성형패널의 리브(rib)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50)를 지난 용융수지는 제1프론트 플레이트 다이(60)의 용융수지 배출통로(61)를 지나게 되는데, 이 용융수지 배출통로(61)는 크기가 점점 줄어들어 용융수지가 받는 압력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융수지 배출통로(61)를 지난 용융수지는 압출성형패널의 외벽을 형성하는 두께로 줄어들며 일정한 압력을 받도록 형성된 제2프론트 플레이트 다이(70)의 최종 성형공(71)을 빠져 나오면서 압출성형패널이 성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출금형을 여러 개의 다이로 각각 분리하여, 각 다이의 위치에 맞게 용융수지 통로의 크기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용융수지가 적절한 압력이 증가되면서 성형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높은 강도 및 균일한 조직으로 성형된 압출성형패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압출성형패널의 형상이 만들어지는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에 물과 같은 냉각유체를 연속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압출성형패널이 균일한 강도와 조직을 갖고 성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본체(51) 일측면에서 가로질러 타측면까지 관통공(54)을 형성하고, 코어부재(52)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코어(52a)에 냉각유체 유입통로(55a)와 냉각유체 배출통로(55b)를 관통공(54)과 교차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54)의 양단부 중 일 측면에는 냉각유체가 공급되도록 냉각유체 인렛부(53a)를 형성하고, 타 측면에는 냉각유체가 배출되도록 냉각유체 아웃렛부(53b)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53a)에는 냉각유체가 관통공(54)으로 공급되도록 냉각유체 공급호스(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53b)에는 냉각유체 배출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1)의 관통공(54)에 연통되도록 코어(52a)에 냉각유체 유입통로(55a)와 냉각유체 배출통로(55b)를 형성시킨다. 이를 냉각유체 유입통로(55a)와 냉각유체 배출통로(55b)는 각각 상기 본체(51)에서 코어부재(52)까지 관통되게 관통 홀을 형성시키고, 이 관통 홀의 양단을 차단부재(57,58)로 막음으로써 냉각유체 인렛부(53a)로 유입된 냉각유체가 코어부재(52) 전부에 걸쳐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가 지나는 통로를 간단하게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에 구비하여,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의 전부를 적절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 이 코어 플레이트 다이(50)에서 적절한 강도와 조직을 갖는 압출성형패널이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래에는 에어에 의해 압출금형의 코어를 냉각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압출성형패널의 성형 불량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에어와는 비교가 되지 않은 냉각효과를 가진 물과 같은 냉각유체를 코어를 포함한 코어 플레이트 다이 내부를 순환시켜 확실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어 플레이트 다이를 구성함으로써 코어 플레이트 다이를 종래에 비해 월등하게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다. 즉, 압출성형패널 내부에 남아 있는 내열을 강제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성능의 향상으로 패널의 성형성이 향상되어 압출성형패널의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불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운 패널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고강도를 지닌 압출성형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속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코어 플레이트 다이 등을 제조할 수 있어 압출금형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압출기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로부터 고온의 수지 용융물을 공급받기 위한 용융수지 유입구가 중앙에 형성된 클램프 연결대와,
    상기 클램프 연결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용융수지 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융수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용융수지가 압출금형에 유입되어 유동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1용융수지통로가 형성된 인테이크 다이와;
    상기 인테이크 다이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용융수지통로와 연통되게 상기 인테이크 다이의 출구에 형성된 용융수지 토출구로부터 유입된 용융수지가 유동되도록 구비된 제2용융수지통로가 형성되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인테이크 다이와 결합되면서 용융수지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테이크 다이 쪽으로 돌출된 원추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미들 플레이트 다이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 다이에 연결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중앙에 돌출되며 형성된 코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부재는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성형되도록 다수개의 코어와, 상기 코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압출성형패널의 중공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살이 형성되도록 캐버티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는 소정의 냉각유체가 외부에서 유입되도록 냉각유체 인렛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에서 유입된 냉각유체가 배출되도록 냉각유체 아웃렛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와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를 관통하여 냉각유체가 흐르도록 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로 유입된 냉각유체가 상기 코어 내부와 상기 관통공을 반복 유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각각의 코어에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와 연통되게 냉각유체 통로가 형성된 코어 플레이트 다이와;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의 상기 코어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설치되고, 상기 캐버티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유동되어 상기 압출성형패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패널성형부가 형성된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며 형성된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 및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는 외부의 냉각유체 저장부와 연결된 연결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상기 냉각유체 통로는, 상기 냉각유체 인렛부에서 유입된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냉각유체 유입통로와, 상기 냉각유체 유입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냉각유체 아웃렛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냉각유체 배출통로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냉각유체 유입통로 및 상기 냉각유체 배출통로는, 상기 본체의 후방 또는 상기 코어의 전방에서 관통 홀을 형성한 후, 상기 냉각유체 유입통로, 상기 냉각유체 배출통로 및 상기 관통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 홀의 양단을 소정의 차단부재로써 차단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는,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코어 플레이트 다이의 용융수지의 유동 정도가 변경되도록 이루어진 용융수지 배출통로가 형성된 제1프론트 플레이트 다이와;
    상기 제1프론트 플레이트 다이와 연결되어 최종 압출성형패널이 성형되도록 이루어진 최종 성형공이 형성된 제2프론트 플레이트 다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KR1020070035206A 2007-04-10 2007-04-10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KR10084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206A KR100845275B1 (ko) 2007-04-10 2007-04-10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206A KR100845275B1 (ko) 2007-04-10 2007-04-10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275B1 true KR100845275B1 (ko) 2008-07-09

Family

ID=3982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206A KR100845275B1 (ko) 2007-04-10 2007-04-10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69B1 (ko) * 2013-10-23 2014-04-15 이보영 에너지차단과 완충기능을 가진 패널 제작용 압출다이스
KR20200095938A (ko) * 2019-02-01 2020-08-11 박성민 합성수지패널의 홀 형성 가이드봉 냉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31Y1 (ko) 2001-02-13 2001-07-03 유명상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
KR20050054434A (ko) * 2003-12-04 2005-06-10 (주)베네테크 합성수지제 패널, 및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31Y1 (ko) 2001-02-13 2001-07-03 유명상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압출기 노즐장치
KR20050054434A (ko) * 2003-12-04 2005-06-10 (주)베네테크 합성수지제 패널, 및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69B1 (ko) * 2013-10-23 2014-04-15 이보영 에너지차단과 완충기능을 가진 패널 제작용 압출다이스
WO2015060700A1 (ko) * 2013-10-23 2015-04-30 이보영 에너지차단과 완충기능을 가진 패널 제작용 압출다이스
KR20200095938A (ko) * 2019-02-01 2020-08-11 박성민 합성수지패널의 홀 형성 가이드봉 냉각장치
KR102338336B1 (ko) * 2019-02-01 2021-12-13 박성민 합성수지패널의 홀 형성 가이드봉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275B1 (ko) 압출성형패널용 압출금형 구조
KR100918797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CN201371530Y (zh) 塑料制品生产设备
CN210011279U (zh) 一种应用于塑料叶轮模具的随形水路冷却系统
KR100812523B1 (ko) 복합형 합성수지 패널과 그 제조장치
CN210880797U (zh) 生产二氧化碳发泡挤塑板用模具
KR101199741B1 (ko) 발포 성형물 제조용 압출 금형
KR100538773B1 (ko) 평판재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CN210792017U (zh) 一种复合双层管挤出机模芯
KR100538772B1 (ko) 평판재 압출성형의 코팅장치
CN108638480B (zh) 木塑地板挤塑成型用的冷却装置
EP0452814B1 (en) Method of forming a plastic plate
KR200314785Y1 (ko) 발포성형품의 성형장치
CN216152859U (zh) 一种新型结构流延模头
KR200314784Y1 (ko) 평판재 압출성형용 금형구조
CN215151595U (zh) 一种木塑收边板共挤成型模具
CN213797951U (zh) 一种塑料板的挤出模具
TWI813459B (zh) 用於射出成型的子母模具
CN115990979B (zh) 一种等行程双层流道分流板及其制作方法
CN217777734U (zh) 一种冰箱密封条挤出模具
CN219727141U (zh) 一种新型pvc专用淋膜模头
JP7349061B2 (ja) 成形方法
CN113771275A (zh) 一种新型结构流延模头
JP2776452B2 (ja) ブロー成形用ダイス
KR101293871B1 (ko) 창호프레임 제조용 침수형 캘리브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프레임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