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403A -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403A
KR20100022403A KR1020080081065A KR20080081065A KR20100022403A KR 20100022403 A KR20100022403 A KR 20100022403A KR 1020080081065 A KR1020080081065 A KR 1020080081065A KR 20080081065 A KR20080081065 A KR 20080081065A KR 20100022403 A KR20100022403 A KR 2010002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e
area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841B1 (ko
Inventor
윤정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841B1/ko
Priority to US12/536,673 priority patent/US8310582B2/en
Publication of KR2010002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미지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위하여,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한 영역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이미지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종인 디지털 촬영장치는 나아가 촬영모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한 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가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효과적으로 비교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이미지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한 영역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지점이 드래그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파일들이 아닌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 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파일들이 아닌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 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사용자의 터치이며, 상기 일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일 지점에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들이 있을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이미지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동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파일로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디지털 촬영장치가 아닌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이미지 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 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2a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제1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제1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의 제1영역(81)에, 제2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의 제2영역(82)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a에서는 디스플레이부(80)의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의 크기가 동일하여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의 크기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80)에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저장매체(70)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한 영역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시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할 시,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특정 이미지를 더욱 상세하게 관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적어도 한 개의 이미지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정 이미지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시 유사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해당 이미지들의 크기를 가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 이미지들을 효과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으로 분할한 후에도, 다시 터치지점을 만든 후 이를 드레그함으로써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8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80)에서의 터치 지점이 드래그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80)의 영역들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디스플레이부(80)의 우하단에서 중하단으로 드레그할 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2분할하는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에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디스플레이부(80)의 우하단에서 중하단까지 드레그하는 것이 아니라 중하단에 이르기 전까지만 드레그하는 경우에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이한 크기로 2분할하는, 구체적으로는 터치지점이 최종적으로 드레그된 곳을 중 심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2분할하는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에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터치지점이 좌우로 드레그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을 좌우로 분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다른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지점을 상하로 드레그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80)를 상하로 분할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터치치점이 우하단에서 우중단까지 드레그될 경우, 디스플레이부(80)의 상하에 있어서 중앙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으로 2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터치지점을 좌우로 드레그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영역(81)과 제2영역(82)으로 분할하여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이 상태에서 다시 터치지점을 상하로 드레그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으로 분할하여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a에서는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편의상 그와 같이 도시한 것일 뿐이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으로 분할하는 과정에서 터치지점의 드레그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 중 적어도 한 개의 영역의 크기를 가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으로 분할한 후라도,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이 상호 인접한 위치(디스플레이 영역을 상하로 분할하는 가상의 선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선이 교차하는 부분, 도 4a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80)의 중앙)를 터치하고 그 터치지점을 드레그함으로써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 중 적어도 한 개의 영역의 크기를 가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또 다른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영역들(81, 82, 83, 84) 중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파일들이 아닌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4a에서는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에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있을 시, 제2영역(82)에 디스플레이된 제2이미지를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5이미지로 교체하 여 디스플레이한다.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이미지들, 예컨대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이미지들을 전환할 시, 디스플레이부에 제5이미지 내지 제8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들 중 어느 세 개의 이미지들과 제5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기에, 사용자가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들 중 어느 세 개의 이미지들과 제5이미지를 직접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들 중 어느 세 개의 이미지들과 제5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제2영역(82)에 디스플레이된 제2이미지가 제5이미지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전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영역(82)에 제5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2영역(82)에 제6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다른 영역에 제6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미지가 전환되는 영역의 선택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상하좌우와 같은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이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복수개의 영역들 중 어느 영역이 현재 선택된 것인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터치를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신호로 간주할 수도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제1영역(81) 내지 제4영역(84)에 제1이미지 내지 제4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영역(82)을 터치할 시, 제2영역(82)에 디스플레이된 제2이미지를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5이미지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영역들(81, 82, 83, 84) 중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8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다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제4영역(84)을 터치할 시,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81, 82, 83, 84)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84)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한 영역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전제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이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로서,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81, 82, 83, 84)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하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파일들이 아닌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영역(82)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이미지들 비교시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8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질 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사용자의 터치이며, 상기 일 영역은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제2영역(82)을 터치할 시, 제2영역(82)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 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로서,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81, 82, 83, 84)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하되, 디스플레이부(80)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80)의 영역들(81, 82, 83, 84)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제4영역(84)이 선택될 경우, 제4영역(84)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제4영역(84)이 선택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한 제4영역(84)의 터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다른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또 다른 조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9)

  1.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한 영역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 지점이 드래그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파일들이 아닌 상기 저장매체에 저 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6.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 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일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이미지파일들이 아닌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는 사용자의 터치이며, 상기 일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8.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 저장매체;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을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일 지점에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들이 있을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들 중 터치 지점이 속하는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20080081065A 2008-08-19 2008-08-1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436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065A KR101436841B1 (ko) 2008-08-19 2008-08-1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US12/536,673 US8310582B2 (en) 2008-08-19 2009-08-06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065A KR101436841B1 (ko) 2008-08-19 2008-08-1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403A true KR20100022403A (ko) 2010-03-02
KR101436841B1 KR101436841B1 (ko) 2014-09-03

Family

ID=4169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065A KR101436841B1 (ko) 2008-08-19 2008-08-1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10582B2 (ko)
KR (1) KR101436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2381B2 (ja) * 2010-03-15 2014-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端末装置、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表示方法および画像変更方法
US8587616B2 (en) * 2010-12-17 2013-11-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virtual display
JP5447619B2 (ja) * 2011-11-08 2014-03-19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2014017579A (ja) * 2012-07-06 2014-01-30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3019564B (zh) * 2012-12-14 2016-04-0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操作方法
KR102072582B1 (ko) * 2012-12-31 2020-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6027910B (zh) * 2013-01-22 2019-08-16 华为终端有限公司 预览画面呈现方法、装置及终端
JP2014165609A (ja) * 2013-02-22 2014-09-08 Olympus Imaging Corp 撮影機器
KR102048041B1 (ko) * 2013-04-18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5142181A (ja) * 2014-01-27 201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
GB2531758A (en) * 2014-10-29 2016-05-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ture mode following capture of the content
CN105446745A (zh) * 2015-12-15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显示区域内功能键的自定义方法及系统
CN111880647B (zh) * 2020-06-19 202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三维界面的控制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423A (en) * 1878-12-03 Improvement in fences
US236823A (en) * 1881-01-18 Shoe-nail
US3390723A (en) * 1965-06-16 1968-07-02 Halliburton Co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a plugging or diverting agent
US3960736A (en) * 1974-06-03 1976-06-01 The Dow Chemical Company Self-breaking viscous aqueous solutions and the use thereof in fracturing subterranean formations
US4716964A (en) * 1981-08-10 1988-01-05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Use of degradable ball sealers to seal casing perforations in well treatment fluid diversion
US6674472B1 (en) * 1997-12-24 2004-01-06 Ricoh Company, Ltd. Digital camera and method which displays a page number of a displayed page
US6291404B2 (en) * 1998-12-28 2001-09-18 Venture Innovations, Inc. Viscosified aqueous chitosan-containing well drilling and servicing fluids
EP1128656A3 (en) * 2000-02-21 2002-01-09 Fujitsu Limited Image photographing system having data management function, data manage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3977684B2 (ja) * 2002-05-21 2007-09-19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CN1249984C (zh) * 2002-09-20 2006-04-05 佳能株式会社 图像摄取装置
CA2502228C (en) * 2002-10-28 2011-04-19 Schlumberger Canada Limited Self-destructing filter cake
JP4150616B2 (ja) * 2003-03-11 2008-09-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該画像表示装置を備えたカメラ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並びに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262048B2 (ja) * 2003-10-28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US20050190280A1 (en) 2004-02-27 2005-09-01 Haas William R.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gital camera scrolling slideshow
JP2005275034A (ja) * 2004-03-25 2005-10-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7714926B2 (en) * 2004-05-13 2010-05-11 Sony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a co-existent shooting and reproduction mode
JP2006135782A (ja) * 2004-11-08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058025B1 (ko) * 2004-11-18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6166146A (ja) * 2004-12-08 2006-06-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選択画面出力装置及び画像選択画面出力プログラム
CN1881457A (zh) * 2005-06-14 2006-12-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致动器控制方法和使用该方法的盘装置
JP5042850B2 (ja) * 2005-12-01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068119B2 (ja) * 2006-07-25 2008-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106856B2 (en) *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JP2008131377A (ja) * 2006-11-21 2008-06-05 Ricoh Co Ltd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KR100835956B1 (ko) * 2006-12-04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9131078B2 (en) * 2007-07-27 2015-09-08 Lagavulin Limited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portable, image-processing transmitter
JP5147424B2 (ja) * 2008-01-23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E102008054113A1 (de) * 2008-10-31 2010-05-06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Anpassung des Hintergrundbildes auf einem Bildschirm
JP4752900B2 (ja) * 2008-11-19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537040B2 (ja) * 2009-01-2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5282627B2 (ja) * 2009-03-30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57564B1 (ko) * 2009-05-15 2018-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567785B1 (ko) * 2009-05-28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줌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436975B2 (ja) * 2009-08-21 2014-03-0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の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9383916B2 (en) * 2009-09-30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image presentation
JP4942832B2 (ja) * 2010-03-31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10725B1 (ko) * 2010-06-16 2012-02-27 엠텍비젼 주식회사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한 후보 이미지 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 장치와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0582B2 (en) 2012-11-13
KR101436841B1 (ko) 2014-09-03
US20100045822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2403A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CN110069189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非瞬时性计算机可读介质
KR101452038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CN110471596B (zh) 一种分屏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347232B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JP6103807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329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that displays list of images onto display unit,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CN104111793A (zh) 利用图像覆盖来减小显示滞后的系统、方法和装置
JP2012123564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151681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表示適応方法及びその装置、端末、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2718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03956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o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images arranged in a matrix pattern on screen
US9432583B2 (en) Method of providing an adjusted digital image representation of a view, and an apparatus
JP2013200660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60111A (ja) 表示装置
JP200530166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766996A (zh) 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1770603B2 (en) Image display method having visual effect of increasing size of target image,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221710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654634B2 (ja) 壁紙画像の設置方法とデジタルメディアコントローラ
JP5418973B2 (ja) 数値データ入力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618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2817555A (zh) 音量控制方法及音量控制装置
JP2012090785A (ja) 電子内視鏡装置
US20090201259A1 (en) Cursor creation for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