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386A -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2386A KR20100022386A KR1020080081036A KR20080081036A KR20100022386A KR 20100022386 A KR20100022386 A KR 20100022386A KR 1020080081036 A KR1020080081036 A KR 1020080081036A KR 20080081036 A KR20080081036 A KR 20080081036A KR 20100022386 A KR20100022386 A KR 201000223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main body
- frame
- house
- roof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층 건물에 상층 건물을 결합시켜 2층 이상의 다층으로 조립되며 필요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조립주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며 하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1본체와, 제 1본체의 상부와 끼움결합되어 조립되며 상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2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층건물인 제 2본체의 단면적이 하층건물인 제 1본체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본체가 제 1본체의 바깥측으로 포개지도록 끼움결합되어 그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 2본체에도 크레인의 후크가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를 설치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주택, 조립주택, 다층, 이층, 조립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층 건물에 상층 건물을 결합시켜 2층 이상의 다층으로 조립되며 필요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조립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고정식 주택은 건물의 규모나 특성상 차량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반면에 이동식 주택은 일반주택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운반에 의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등의 장점으로 인해 여가용 주택 및 간이 주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식 주택은 크게 주택 본체와, 베이스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은 수개의 건축용 빔을 용접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서, 본체의 저부에 위치하여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본체의 형체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식 주택은 설치할 장소의 지반을 정지하여 평활화한 후 그 위에 미리 제작된 베이스프레임을 설치하고, 베이스 프레임 상에는 미리 제작된 주택 본체를 안착시킨 후 볼트 등에 의해 베이스프레임에 결합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완료된 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 주택은 운반시 높이나 폭의 제한 때문에 소형이나 단층으로밖에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식 주택은 벽체를 높이 제작할 수가 없어서 외관의 모양이나 내부 설계가 용이하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46775호에는 이동식 주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주택은 하부본체와 상부지붕이 별도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이동식 주택은 건물의 높이를 낮춰 운반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상기 이동식 주택은 지붕의 하단 네 곳에 사각으로 된 오목홈을 만들고, 하부본체의 상부 네 기둥에 사각뿔 모양을 형성하여, 오목홈에 사각뿔을 삽입하여 지붕과 하부본체를 결합하는 구조이다.
이는 현장에서 조립시공시 지붕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하부본체의 상부에 결합시키게 되는 데, 이때 크레인 작업시 지붕의 오목홈에 하부본체의 사각뿔을 정확히 맞춰서 결합시킨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따라서 숙련된 크레인 기사라도 오목홈에 맞추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조립이 간편해야 한다는 이동주택 고유의 장점이 퇴색된다.
또한, 하부벽체에는 크레인 작업시 크레인과 연결된 후크가 장착되는 원형 고리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부 지붕에는 이러한 고리가 없어 크레인 작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하부벽체에 설치된 원형고리는 사각뿔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어 지붕이 하부벽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건물 전체를 크레인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건물 전체를 조금이라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지붕과 하부벽체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지붕과 하부벽체를 각각 이동시켜야 하는 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하층 건물과 상층건물을 별도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이동하여 조립하되 하층 건물과 상층건물의 조립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2층 이상의 다층 조립주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층 건물의 이동시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 샤클이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를 프레임에 결합시킴으로써 운반이 용이한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은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며 하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1본체와; 상기 제 1본체의 상부와 끼움결합되어 조립되며 상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2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본체는 상기 제 1본체와 결합되는 하부가 상기 제 1본체의 상부 단면적보다 더 확장된 단면적을 가져 상기 제 1본체의 제 1벽체 바깥측으로 포개지는 제 2벽체와, 상기 제 2벽체의 하단로부터 일정 거리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2벽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벽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 2벽체의 상부에 설치된 지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은 상기 제 2본체의 주거공간이 외부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 도록 상기 제 2벽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처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본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용접결합되어 상기 제 2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운반용 고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간주와,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골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2벽체 및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본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제 1벽체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고무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에 의하면 상층건물인 제 2본체의 단면적이 하층건물인 제 1본체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본체가 제 1본체의 바깥측으로 포개지도록 끼움결합되어 그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본체 뿐만 아니라 제 2본체에도 크레인의 후크가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를 설치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본체의 지지프레임의 하면과 제 1벽체의 상단 사이에 방진고무패드를 설치하여 조립시에 제 2본체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높여 주고, 조립 후에도 제 2본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제 1본체의 주거공간으로 전달되 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양호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 1본체의 상부에 제 2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제 2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의 일실시 예는 1층과 2층으로 이루어진 2층 조립주택으로서, 1층과 2층 건물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현장으로 운반된 후 조립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주택은 크게 베이스프레임(10)과, 1층을 이루는 제 1본체(20)와, 제 1본체(20)의 상부에 조립되어 2층을 이르는 제 2본체(50)로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일반 고정식 주택의 기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수개의 건축용 빔(11)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제 1본체(20)의 저부에 위치하여 제 1본체(20)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 1본체(20)의 형체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 1본체(1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은 현장에 설치시 지면을 정지하여 평활작업이 된 상태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철재 다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 1본 체(20)의 하방으로 통기를 가능하게 하고 제 1본체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우천시 누수를 방지한다.
제 1본체(2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조립된다. 이 경우 제 1본체(20)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제 1본체(2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안착된다. 다만 필요할 경우 베이스프레임(10)에 제 1본체(20)를 안착시킨 후 볼트 등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과 제 1본체(2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제1본체(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철재의 프레임으로 뼈대를 이루고, 바닥과 제 1벽체(21)는 목재로 마감한다. 제 1본체(20)의 내부에는 제 1벽체(21)로 둘러싸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주거공간(31)이 마련된다. 제 1벽체(21)는 주거공간의 사방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 1본체(21)의 내부에는 주거공간을 다수로 구획하는 격벽(35)이 형성되어 주거에 필요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본체(20)의 내부에는 제 2본체(50)와 연결되는 사다리(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벽체(21)에는 출입문(41)과 창문(43)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본체(20)에는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크레인의 후크가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가 설치된다. 운반용 고리는 제 1본체(20)를 구성하는 프레임(미도시)과 용접결합되어 제 1벽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제 1본체(20)를 조립하거나 제 2본체(50)까지 조립된 2층 주택을 전체적으로 이동시 이용될 수 있다.
제 2본체(50)는 제 1본체(20)의 상부에 조립되어 2층 주거공간을 형성한다. 제 2본체(20)는 뼈대를 이루는 철재의 프레임부(60)와, 제 2벽체(51)와, 지붕(55) 및 바닥(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60)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61)과, 지지 프레임(61)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61)을 상호 연결시키는 간주(63)와, 지지프레임(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골격을 유지하며 제 2벽체(51) 및 지붕(55)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65)으로 구비된다. 또한, 수직프레임(65)의 상부에서 수직프레임(65)의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6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60)는 상기 각각의 단위 프레임들이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부(60)의 외측으로 제 2벽체(51)가 형성되며, 프레임부(6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붕(55) 및 바닥이 각각 마련됨으로써 제 2본체(50)의 내부에 주거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벽체(51) 및 지붕(55), 바닥은 목재로 마감된다. 제 2벽체(51) 및 지붕(55)에는 창문들(71)(73)이 설치될 수 있다.
제 2벽체(50)는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제 1본체(20)의 상부에 조립된다. 이 경우 운반시 제 2본체(50)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데,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크레인의 후크가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69)가 설치된다. 운반용 고리(69)는 프레임부(60)의 지지프레임(61)에 용접결합되어 제 2벽체(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레인 작업시 제 2벽 체(51)를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어 조립작업 및 이동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인 제 1본체(20)와 제 2본체(5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 1본체(20)와 제 2본체(50)는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끼움 결합구조는 제 1본체(20)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 2본체(50)의 하부가 제 1본체(20)의 상부 단면적보다 더 확장된 단면적을 가짐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2본체(50)의 구조를 살펴보면, 지지프레임(61)은 제 2벽체(5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2벽체(51)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 2벽체(51)의 하단은 지지프레임(61)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국 지지프레임(61)은 제 2벽체(51)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턱을 형성하여 제 1벽체(21)가 제 2벽체(51)의 내측으로 끼움결합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본체(51)를 제 1본체(21)에 조립시 제 1본체(21)의 상방에 위치한 제 2본체(51)를 점진적으로 하강시켜 제 2벽체(51)의 하부가 제 1벽체(21)의 바깥측으로 포개지도록 올려놓는다. 이때 지지프레임(61)의 하부가 제 1본체(21)의 상단에 걸려 안착됨으로써 제 2본체(50)가 제 1본체(20)에 조립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 2본체(50)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제 2본체(50)는 제 1본체(20)의 상부에 견고하게 안착된다. 다만 필요할 경우 제 1본체(20)에 제 2본체(50)를 안착시킨 후 볼트 등에 의해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본체(20)와 제 2본체(50)의 결합시 지지프레임(61)의 하면과 상제 1벽체(21)의 상단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고무패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진고무패드는 일정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패드 형상을 가진다. 방진고무패드는 조립시에 제 2본체(50)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높여준다. 또한 평상시 2층 주거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1층 주거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 2벽체(51) 중 좌우 양측면의 벽체만이 제 1벽체의 바깥측으로 포개지는 모습이 나타나 있으나, 이외에도 제 2벽체(51)의 전후좌우 사방의 벽체 모두가 제 1벽체(21)의 바깥측으로 포개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2본체(50)의 지붕(55)의 전후측은 제 2본체(50)의 주거공간이 외부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벽체 중 전후면 벽체보다 바깥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지붕이 형성되어 처마부(55a)를 구성한다. 이러한 처마부(55a)에 의해 제 1본체의 출입문(41) 앞으로 빗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41) 앞에 테라스를 조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 1본체의 상부에 제 2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제 2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프레임 20: 제 1본체
21: 제 1벽체 45: 사다리
50: 제2본체 51: 제 2벽체
55: 지붕 60: 프레임부
61: 지지프레임 69: 운반용 고리
Claims (5)
-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며 하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1본체와;상기 제 1본체의 상부와 끼움결합되어 조립되며 상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2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본체는 상기 제 1본체와 결합되는 하부가 상기 제 1본체의 상부 단면적보다 더 확장된 단면적을 가져 상기 제 1본체의 제 1벽체 바깥측으로 포개지는 제 2벽체와, 상기 제 2벽체의 하단로부터 일정 거리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2벽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벽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 2벽체의 상부에 설치된 지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상기 제 2본체의 주거공간이 외부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 2벽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처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본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용접결합되어 상기 제 2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운반용 고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간주와,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골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2벽체 및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을 더 구비하며,상기 제 2본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제 1벽체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고무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1036A KR101043059B1 (ko) | 2008-08-19 | 2008-08-19 |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1036A KR101043059B1 (ko) | 2008-08-19 | 2008-08-19 |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2386A true KR20100022386A (ko) | 2010-03-02 |
KR101043059B1 KR101043059B1 (ko) | 2011-06-21 |
Family
ID=4217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1036A KR101043059B1 (ko) | 2008-08-19 | 2008-08-19 |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305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445Y1 (ko) * | 2011-03-16 | 2011-07-04 | 정시혁 | 이동식건물 |
KR101240376B1 (ko) * | 2011-07-04 | 2013-03-11 | 이종익 | 스틸하우스의 프레임어셈블리 |
KR101645914B1 (ko) | 2016-01-12 | 2016-08-04 | 이기상 |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구조 |
WO2017010808A3 (ko) * | 2015-07-13 | 2017-03-16 | 박준신 | 조립식 주택 |
KR20180002771U (ko) * | 2017-03-17 | 2018-10-01 | 박준신 |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
CN113187089A (zh) * | 2021-04-27 | 2021-07-30 | 湖北别一阁钢结构科技开发有限公司 | 屋顶结构、屋顶和墙立柱连接结构、房屋骨架及房屋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527B1 (ko) | 2018-08-14 | 2021-04-05 | 김호연 | 이동식 주택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34003Y2 (ko) | 1973-06-28 | 1978-08-22 | ||
JPH0932115A (ja) * | 1995-07-21 | 1997-02-04 | Riyokuchi:Kk | 組み立て家屋構造 |
JP4092247B2 (ja) | 2002-05-08 | 2008-05-28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構造体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
KR20030076946A (ko) * | 2003-08-22 | 2003-09-29 | 전명근 | 이동식 주택 |
-
2008
- 2008-08-19 KR KR1020080081036A patent/KR1010430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445Y1 (ko) * | 2011-03-16 | 2011-07-04 | 정시혁 | 이동식건물 |
KR101240376B1 (ko) * | 2011-07-04 | 2013-03-11 | 이종익 | 스틸하우스의 프레임어셈블리 |
WO2017010808A3 (ko) * | 2015-07-13 | 2017-03-16 | 박준신 | 조립식 주택 |
KR101645914B1 (ko) | 2016-01-12 | 2016-08-04 | 이기상 |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구조 |
KR20180002771U (ko) * | 2017-03-17 | 2018-10-01 | 박준신 |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
CN113187089A (zh) * | 2021-04-27 | 2021-07-30 | 湖北别一阁钢结构科技开发有限公司 | 屋顶结构、屋顶和墙立柱连接结构、房屋骨架及房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3059B1 (ko) | 2011-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3059B1 (ko) |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 |
CN105971122A (zh) | 可叠加的折叠式箱式板房 | |
JP2008196144A (ja) | 住宅 | |
JP2013515178A (ja) | プレハブコンテナハウス | |
JP2023027296A (ja) | 連結方法 | |
JP2012021309A (ja) | バルコニーの防水構造 | |
JP4302540B2 (ja) | ユニット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 |
JP4768585B2 (ja) | 建物及びその建築方法 | |
JP6399440B2 (ja) |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 |
JP5356304B2 (ja) | 建物 | |
JPH11324124A (ja) | バルコニ | |
JP5308168B2 (ja) | ユニット式建物 | |
JP5563351B2 (ja) | 建物ユニット | |
JP3952397B2 (ja) | 住宅の耐震補強増築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増築された建築物 | |
JP3958976B2 (ja) | 延長庇を有する家屋 | |
JP2012246728A (ja) | 上階張出し構造及び木造建物 | |
KR20050049015A (ko) | 조립식 건축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7369165B2 (ja) | 居住用ユニット | |
KR20190054358A (ko) | 소형 간이 주택 | |
JPH08218485A (ja) | アルミニウム製ベランダフェンス | |
JP7244593B2 (ja) | 居住用ユニット | |
KR102403824B1 (ko) | 조립식 모듈형 이동식 건축물 | |
JP7244592B2 (ja) | 居住用ユニット | |
JP4898346B2 (ja) | ユニット式建物 | |
JP2007092415A (ja) | 建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