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727A -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 Google Patents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727A
KR20100021727A KR1020080080303A KR20080080303A KR20100021727A KR 20100021727 A KR20100021727 A KR 20100021727A KR 1020080080303 A KR1020080080303 A KR 1020080080303A KR 20080080303 A KR20080080303 A KR 20080080303A KR 20100021727 A KR20100021727 A KR 2010002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aper
shaft
paper tape
fix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495B1 (ko
Inventor
김강훈
Original Assignee
쌍영방적 주식회사
김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영방적 주식회사, 김강훈 filed Critical 쌍영방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4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2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multipl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6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formed to maintain a plurality of filaments in spaced relation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원지테이프 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하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서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되고,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보빈이 고정되는 보빈고정축과; 상기 보빈고정축을 회전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를 권취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층을 형성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사절없이 원활하게 권취할 수 있고, 작업자가 간편하게 원지테이프의 사절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80303
하우징, 보빈고정축, 구동부재, 좌우이동부재

Description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WINDER FOR PAPER TAPE}
본 발명은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하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서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되고,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보빈이 고정되는 보빈고정축과; 상기 보빈고정축을 회전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를 권취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층을 형성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의류소재는 화학섬유의 발달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생활수준의 향상과 문명의 발달로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의복 착용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에 따른 천연섬유의 기능성 강화와 개발에 주력하였다.
한편, 닥펄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한지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천연소재로써, 황토수준의 원적외선 방출, 항균 및 소취성능, 통기성, 흡한속건성, 경량성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어 아토피방지를 위한 벽지 등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용도로써는 화선지, 포장지, 공예품 등에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용도창출이 요구되어 왔다.
종래의 한지를 이용한 섬유의 적용은 패션공예가들에 의해 전통기법으로 제조된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원단 자체를 재단하여 사용하거나 수작업에 의해 한지를 잘라서 꼬임을 부여한 실을 만들어 제품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한지 등의 원지를 'ㄹ'자 형상으로 가위 또는 칼 등을 이용하여 잘라 원지 테이프를 제조하였고, 이와 같이 제조된 원지 테이프를 손이나 물레를 이용하여 꼬임을 부여하여 지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염색성 및 세탁성의 문제와 생산량의 한계의 문제에 봉착하였으며, 최근에는 기계 롤 한지를 가늘게 커팅하여 기계적 꼬임을 부여한 원사제조가 연구 중이나 인위적인 커팅으로 한지폭이 불균일하고 자동화 대량생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지사 제조방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작업인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고, 나아가 강도와 신도가 부족하고 굵고 꼬임이 불균일하여 한정된 용도에 사용되었으며, 편직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들어 한지 등의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할 수 있는 원지슬리터장치가 등록특허 제10-612760호 및 등록특허 제10-763405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으며,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는 원지테이프 권취장치가 등록특허 제10-0733411호 및 일본 특개2003-221149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히 등록특허 제10-0733411호 및 일본 특개2003-221149로 제안된 원지테이프 권치장치 모두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장력차이에 의해 사절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함은 물론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보빈이 설치된 하우징이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빈에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과정 및 사절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사절없이 원활하게 권취할 수 있고, 작업자가 간편하게 원지테이프의 사절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하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서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되고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보빈이 고정되는 보빈고정축과; 상기 보빈고정축을 회전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를 권취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층을 형성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보빈고정축 중 각 행의 첫번째 보빈고정축의 일측에 형성되고, 복수의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보빈고정축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통과한 원지테이프를 하측에 위치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상기 보빈으로 안내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방향전환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된 원지테이프를 상기 보빈에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빈고정축은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직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또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재가 장착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고정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 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된 보빈고정축의 보빈에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권취되기 때문에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사절없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하우징이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 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전편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된 보빈고정축의 보빈에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과정 및 사절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원지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통과한 원지테이프를 하측에 위치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상기 보빈으로 안내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방향전환롤러에 의해 방향 전환된 원지테이프를 상기 보빈에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빈고정축의 보빈에 원지테이프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이동부재가 고정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보빈고정축의 보빈에 권취되는 원지테이프가 균일한 두께로 권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좌우이동부재가 상기 고정판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 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30), 보빈고정축(50), 구동부재 및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30)은 원지 슬리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에는 등간격으로 상기 보빈고정축(50)이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내부에는 상기 보빈고정축(50)을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보빈고정축(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상기 좌우이동부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10)는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하는 장치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30)이 종래의 원지 테이프 와인딩장치와 달리 상기 원지 슬리터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지테이프의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권취되는 과정 및 사절여부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2는 보빈고정축(50)에서 보빈(510)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보빈고정축(50)에 보빈(510)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빈고정축(50)은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세로 배열) 및 복수 행(가로 배열)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보빈(510)이 고정된다.
상기 보빈(510)은 예를 들어,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에 삽입된 상기 보빈(510)이 보다 간편하 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 외주연에는 수나사부(501)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51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구(511)의 내주연에는 상기 수나사부(50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501)가 상기 보빈(51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구(511)의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513)와 나사결합될 시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은 상기 보빈(510)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일단에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30)를 나사결합시켜 상기 보빈(510) 방향으로 밀착시킬 경우 상기 보빈고정축(50)에 보빈(51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빈고정축(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지테이프가 권취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보빈고정축(50)을 회전시켜 상기 보빈고정축(50)에 고정된 보빈(510)에 원지테이프를 권취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내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보빈고정축(50)을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보빈고정축(50)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50)에 고정된 상기 보빈(510)에 원지테이프층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내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보빈고정축을 회전시키는 과정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 가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열 및 행의 수만큼 분류된 후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별도의 가이드축(도 1의 310)의 하부 외주연을 각각 경유하여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의 총개수가 100개이고,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에 상기 보빈고정축(50)이 20열 5행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경우 작업자에 의해 복수의 원지테이프는 개당 20개씩 5묶음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개당 20개씩 5묶음으로 분류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는 별도의 상기 가이드축(310)의 하부 외주연을 각각 경유하여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권취되는 것이다.
도 4는 복수의 원지테이프(101)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가이드바(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가이드바(100)가 복수의 원지테이프(101)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개당 20개씩 5묶음으로 분류된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별도의 상기 가이드축(310)의 하부 외주연을 각각 경유하여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하나씩 보다 용이하게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편(110)이 형성되어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가이드바(100)와; 상기 보빈고정축(50)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100)를 통과한 원지테이프(101)를 하측에 위치한 상기 보빈고정축(50)에 고정된 상기 보빈(510)으로 안내하는 방향전환롤러(130)와; 상기 방향전환롤러(130)에 의해 방향전환된 원지테이프(101)를 상기 보빈(510)에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5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100)는 상기 보빈고정축(50) 중 각 행의 첫번째 보빈고정축(55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150)는 상기 방향전환롤러(130)에 일측이 축고정되는 탄성력을 지닌 호형상의 가이드판(151) 일면에 축결합되는 제 1가이드롤러(153)와; 상기 제 1가이드롤러(153)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호형상의 상기 가이드판(151) 일면에 축결합되는 제 2가이드롤러(157);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롤러(130)는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 수록 그 길이가 줄어든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1묶음, 즉 20개의 원지테이프(101)는 작업자에 의해 별도의 상기 가이드축(310) 중 어느 하나 다시 말해서, 제 1, 2, 3, 4, 5가이 드축(311, 313, 315, 317, 319) 중 제 1가이드축(311)의 하부 외주연을 경유한 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00)의 가이드편(110)을 통과하여 방사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도 6은 복수의 원지테이프(101) 중 제 1원지테이프(103)가 각 행의 첫번째 보빈고정축(551)의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각 행의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100)의 가이드편(110)을 통과하여 방사상으로 펼쳐진 20개의 원지테이프(101) 중 제 1원지테이프(103)는 작업자에 의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롤러(130)의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제 1환형홈(131), 상기 제 1가이드롤러(153)의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제 2환형홈(155)을 각각 경유하여 각 행의 첫번째 상기 보빈고정축(551)의 보빈(510a)으로 안내된다.
각 행의 첫번째 상기 보빈고정축(551)의 보빈(510a)으로 안내된 제 1원지테이프(103)의 단부는 최초 작업자에 의해 각 행의 첫번째 상기 보빈고정축(551)의 보빈(510a)외주연에 풀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개의 원지테이프(101) 중 나머지 원지테이프 즉, 제 2원지테이프(105), 제 3원지테이프(107), 제 4원지테 이프(109),...제 20원지테이프의 단부 또한 작업자에 의해 각 행의 두번째 상기 보빈고정축(553)의 보빈(510b)외주연, 각 행의 세번째 상기 보빈고정축(555)의 보빈(510c)외주연, 각 행의 네번째 상기 보빈고정축(557)의 보빈(510d)외주연,....각 행의 스무번째 상기 보빈고정축의 보빈외주연에 접착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부재(70)에 의해 회전하게 될 경우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는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70)에 의해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이 회전하게 될 시 복수의 원지테이프(101)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150) 중 제 1가이드롤러(153)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가이드롤러(153)가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호형상의 상기 가이드판(151)의 타측 또한 상기 제 1가이드롤러(153)를 따라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151)의 타측이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시 상기 제 2가이드롤러(157)는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 외주연에 밀착된다.
상기 제 2가이드롤러(157)가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 외주연에 밀착될 시 상기 제 2가이드롤러(157)의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제 3환형 홈(도 6의 159)에는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권취되고 있는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게재되는데, 이로 인해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보다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00), 방향전환롤러(130) 및 가이드롤러(150)가 구비됨으로써,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원지테이프(101)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별도의 상기 가이드축(31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 일측에는 작업자에 의해 분류된 원지테이프(101)를 별도의 상기 가이드축(310)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30)가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330)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에 의해 분류된 원지테이프(101)의 상부면이 각각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부재(3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작업자에 의해 분류된 원지테이프(101)에 정전기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재(330)가 공지된 정전기 방지판 또는 정전기 방지봉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9는 보빈고정축(50)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재(70)가 상기 보빈고정축(50)을 회전시키는 과정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90)가 상기 보빈고정축(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고정축(50)은 상기 구동부재(70)의 축에 직결되고,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재(70)가 장착되는 고정판(701)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90)는 상기 고정판(701)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내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판(701)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재(7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시 상기 구동부재(70)의 축에 직결된 상기 보빈고정축(50)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권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각 행의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사절없이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70)가 미세하게 회전하여 복수의 원지테이프(101)에 발생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공지된 토크모터(Torque mot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701)의 일측에는 나사공(703)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90)는 상기 고정판(701)의 나사공(703)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910)과; 상기 스크류축(910)을 좌우로 회전시키 는 구동모터(9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 외주연에는 제 1회전기어(931)가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701)의 타측에 형성된 축(705)의 외주연에는 제 2회전기어(933)와 제 3회전기어(935)가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판(701)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703)에 나사결합된 상기 스크류축(910)의 외주연에는 제 4회전기어(937)가 축결합되고,
상기 제 1회전기어(931)와 제 2회전기어(933) 그리고, 상기 제 3회전기어(935)와 제 4회전기어(937)의 외주연에는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축(910)으로 전달하는 제 1회전벨트(951) 및 제 2회전벨트(953)가 감겨진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이 좌우로 회전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 회전력은 상기 제 1회전벨트(951) 및 제 2회전벨트(953)를 통해 상기 스크류축(91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 1, 2회전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스크류축(910)은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따라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701)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703)에 나사결합된 상기 스크류축(910)이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따라 좌우로 회전할 시 상기 고정판(701)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90)가 상기 고정판(701)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 기 보빈고정축(50)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권취되는 원지테이프(101)가 균일한 두께로 권취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좌우이동부재(90)가 상기 고정판(701)의 나사공(703)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스크류축(910)과; 상기 스크류축(91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3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701)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좌우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판(701)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재(90)의 구동모터(9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더욱 좋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70)는 예를 들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701)의 상부에 구비되는 자석(171)과; 상기 자석(17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30)의 배면 또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부재(177)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석(171)의 자력을 감지하는 제 1, 2홀센서(173, 1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90)의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이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스크류축(910)은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701)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판(701)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고정판(701)의 상부에 구 비된 상기 자석(171)은 상기 제 1홀센서(173)와 근접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 1홀센서(173)는 근접한 상기 자석(171)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1홀센서(17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재(90)의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스크류축(910)은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701)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701)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고정판(701)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자석(171)은 상기 제 2홀센서(175)와 근접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 2홀센서(175)는 근접한 상기 자석(171)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2홀센서(17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재(90)의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다시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스크류축(910)은 상기 구동모터(930)의 구동축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701)이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감지센서(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부재(90)의 구동모터(930)의 구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축(910)에서 상기 고정판(701)이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30)의 전면 프레임에 등간 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된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권취되기 때문에 복수의 원지테이프(101)를 사절없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101)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30)의 전면프레임(301)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된 상기 보빈고정축(50)의 보빈(510)에 복수의 원지테이프(101)가 권취되는 과정 및 사절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보빈고정축에서 보빈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보빈고정축에 보빈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가이드바가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복수의 원지테이프 중 제 1원지테이프가 각 행의 첫번째 보빈고정축의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복수의 원지테이프가 각 행의 보빈고정축의 보빈에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보빈고정축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원지 슬리터장치, 101; 원지테이프,
103; 제 1원지테이프, 105; 제 2원지테이프,
107; 제 3원지테이프, 109; 제 4원지테이프,
30; 하우징, 301; 전면프레임,
310; 가이드축, 311; 제 1가이드축,
313; 제 2가이드축, 315; 제 3가이드축,
317; 제 4가이드축, 319; 제 5가이드축,
330; 안내부재, 50; 보빈고정축,
501; 수나사부, 510; 보빈,
511; 관통구, 513; 암나사부,
530; 결합부재, 70; 구동부재,
701; 고정판, 703; 나사공,
705; 축, 90; 좌우이동부재,
910; 스크류축, 930; 구동모터,
931; 제 1회전기어, 933; 제 2회전기어,
935; 제 3회전기어, 937; 제 4회전기어,
951; 제 1회전벨트, 953; 제 2회전벨트,
100; 가이드바, 110; 가이드편,
130; 방향전환롤러, 131; 제 1환형홈,
150; 가이드롤러, 151; 가이드판,
153; 제 1가이드롤러, 155; 제 2환형홈,
157; 제 2가이드롤러, 159; 제 3환형홈,
170; 감지센서, 171; 자석,
173; 제 1홀센서, 175; 제 2홀센서,
177; 고정부재.

Claims (4)

  1.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하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서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권취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 공급방향과 일직선상 또는 평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프레임에 등간격으로 복수 열 및 복수 행으로 설치되고, 원지테이프가 권취되는 보빈이 고정되는 보빈고정축과;
    상기 보빈고정축을 회전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를 권취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보빈에 원지테이프층을 형성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고정축 중 각 행의 첫번째 보빈고정축의 일측에 형성되고, 복수의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원지 슬리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방사상으로 펼쳐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보빈고정축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통과한 원지테이프를 하측에 위치한 상기 보빈고정축에 고정된 상기 보빈으로 안내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방향전환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된 원지테이프를 상기 보빈에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고정축은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직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또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재가 장착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고정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고정축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KR1020080080303A 2008-08-18 2008-08-18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KR10099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03A KR100998495B1 (ko) 2008-08-18 2008-08-18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03A KR100998495B1 (ko) 2008-08-18 2008-08-18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27A true KR20100021727A (ko) 2010-02-26
KR100998495B1 KR100998495B1 (ko) 2010-12-06

Family

ID=4209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303A KR100998495B1 (ko) 2008-08-18 2008-08-18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50B1 (ko) * 2016-06-29 2017-02-23 이제영 정수 필터 멤브레인 축봉의 양단부 작업지 고정장치
CN109592487A (zh) * 2018-12-19 2019-04-09 陕西康特科尼新材料科技有限公司 分层式金刚石电镀线收排线机构
KR102347171B1 (ko) * 2021-08-26 2022-01-04 (주)진흥 자동차 안전벨트 제조용 권취 원사 적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706B1 (ko) 2011-10-06 2012-01-05 주식회사 남전산업 원사 권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13Y1 (ko) 2004-04-26 2004-08-27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KR100733411B1 (ko) * 2006-07-13 2007-06-29 지리산한지(유) 원지테이프 권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50B1 (ko) * 2016-06-29 2017-02-23 이제영 정수 필터 멤브레인 축봉의 양단부 작업지 고정장치
CN109592487A (zh) * 2018-12-19 2019-04-09 陕西康特科尼新材料科技有限公司 分层式金刚石电镀线收排线机构
CN109592487B (zh) * 2018-12-19 2019-12-20 陕西康特科尼新材料科技有限公司 分层式金刚石电镀线收排线机构
KR102347171B1 (ko) * 2021-08-26 2022-01-04 (주)진흥 자동차 안전벨트 제조용 권취 원사 적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495B1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xial feed of ribbon material
KR100998495B1 (ko)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US20200277713A1 (en) Wire stra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anded wire
CN106435906B (zh) 经编分条拷贝整经机
JP6535541B2 (ja) 線材撚り装置及び撚り線の製造方法
US20030122009A1 (en) Method for axial feeding of ribbon material and a stock of ribbon material coils for axial feeding
JPH049222B2 (ko)
US3427912A (en) Process for preparation for splitting fiber and its apparatus for the same
CN114348786B (zh) 一种展纤收卷设备
KR880000586B1 (ko) 탄성 커버링(covering)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977211B1 (ko) 복합 연사장치
KR100979669B1 (ko) 원지 슬리터장치
KR100922623B1 (ko) 세폭직물의 양면 전사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폭직물
JP2013158691A (ja) 中空糸膜編地ロール製造方法、中空糸膜編地ロール製造装置および中空糸膜編地ロール梱包方法
CN209396636U (zh) 无纺布复合生产设备
CN111270504A (zh) 一种高效率验布机
CN216376969U (zh) 一种纺织机械用纺织线导向机构
ES2209818T3 (es) Metodo y equipo para parear o intercalar dos o mas hilos al ser introducidos en maquinas textiles utilizadas para articulos de punto, tejidos de punto y similares.
US6726142B2 (en) Twist controlling device, rotatable nip and axial feed system
ITMI20072158A1 (it) Macchina per lo srotolamento e l'allineamento di nastri di tessuti, materiali sintetici e simili, particolarmente per unita' di taglio a nastro trasportatore e simili.
JP2021024744A5 (ko)
JP3585051B2 (ja) シート巻出装置
CN219972702U (zh) 一种浆纱机纱卷架
JP6215648B2 (ja) ベルト成形機及びベルト成形方法
CN220095620U (zh) 扣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