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669B1 - 원지 슬리터장치 - Google Patents

원지 슬리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669B1
KR100979669B1 KR1020080071719A KR20080071719A KR100979669B1 KR 100979669 B1 KR100979669 B1 KR 100979669B1 KR 1020080071719 A KR1020080071719 A KR 1020080071719A KR 20080071719 A KR20080071719 A KR 20080071719A KR 100979669 B1 KR100979669 B1 KR 10097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cutting
support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717A (ko
Inventor
김강훈
Original Assignee
쌍영방적 주식회사
김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영방적 주식회사, 김강훈 filed Critical 쌍영방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6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4Paper-break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 B26D1/2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6Indicating or regulating the thickness of the layer; Signal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 등의 원지를 사절없이 일정하게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얻을 수 있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팅부의 날이 마모되더라도 연마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지관의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커팅부로 공급되는 원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절없이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얻을 수 있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지, 한지, 슬리터, 지사

Description

원지 슬리터장치{SLITTER FOR PAPER}
본 발명은 한지 등의 원지를 사절없이 일정하게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얻을 수 있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지가 권취된 지관이 고정되어 원지를 언와인딩하는 언와인딩부와,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언와인딩부에 의해 언와인딩된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환형홈이 형성된 홈롤러와, 상기 프레임상에 축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대와, 양단부가 상기 고정대의 단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홈롤러의 환형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날이 형성된 커팅롤러와, 상기 지지축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슬리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의류소재는 화학섬유의 발달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생활수준의 향상과 문명의 발달로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의복 착용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에 따른 천연섬유의 기능성 강화와 개발에 주력하였다.
한편 닥펄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한지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천연소재로서 황토수준의 원적외선 방출, 항균 및 소취성능, 통기성, 흡한속건성, 경량성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어 아토피방지를 위한 벽지 등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용도로서는 화선지, 포장지, 공예품 등에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용도창출이 요구되어 왔다.
종래의 한지를 이용한 섬유의 적용은 패션공예가들에 의해 전통기법으로 제조된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원단 자체를 재단하여 사용하거나 수작업에 의해 한지를 잘라서 꼬임을 부여한 실을 만들어 제품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한지 등의 원지를 'ㄹ'자 형상으로 가위 또는 칼 등을 이용하여 잘라 원지 테이프를 제조하였고, 이와 같이 제조된 원지 테이프를 손이나 물레를 이용하여 꼬임을 부여하여 지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염색성 및 세탁성의 문제와 생산량의 한계의 문제에 봉착하였으며, 최근에는 기계 롤 한지를 가늘게 커팅하여 기계적 꼬임을 부여한 원사제조가 연구 중이나 인위적인 커팅으로 한지폭이 불균일하고 자동화 대량생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지사 제조방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작업인력을 필 요로 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지사는 강도와 신도가 부족하고 굵고 꼬임이 불균일하여 한정된 용도에 사용되었으며, 편직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 들어 한지 등의 원지를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원지테이프로 절단할 수 있는 원지 슬리터장치가 등록특허 제10-612760호 및 등록특허 제10-763405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612760호 및 등록특허 제10-763405호 등으로 제안된 원지 슬리터장치의 경우 커팅부의 커팅롤러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없어 커팅롤러의 날이 마모된 경우 새로 날을 구입하여 교체사용해야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등록특허 제10-763405호의 경우 언와인딩부와 이송롤러부사이에 위치한 커터부에 의해 원지를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하여 사절없이 균일하게 절단하기 위해 별도로 공급롤러부가 구비되었으나 와인딩부와 별도로 공급롤러부가 구비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고 새로 지관을 교체할 경우 원지를 상기 공급롤러부로 투입해야 하는 등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612760호의 경우 커팅부로 공급되는 원지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원지를 통과시키는 한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 중 어느 한 롤러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로 구성된 장력제어부가 구성되었으나, 와인딩부와 별도로 장력제어부가 구비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고 새로 지관을 교체할 경우 원지를 상기 한상의 롤러로 통과시켜야 하는 등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팅부의 날이 마모되더라도 연마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지관의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커팅부로 공급되는 원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절없이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얻을 수 있는 원지 슬리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지가 권취된 지관이 고정되어 원지를 언와인딩하는 언와인딩부와,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언와인딩부에 의해 언와인딩된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환형홈이 형성된 홈롤러와, 상기 프레임상에 축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대와, 양단부가 상기 고정대의 단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홈롤러의 환형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날이 형성된 커팅롤러와, 상기 지지축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슬리터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언와인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지가 권취된 지관이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지관으로부터 풀리는 원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된 지관에 권취된 원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센서와, 상기 두께측정센서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고정축의 부하를 조절하는 고정축 부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두께측정센서는 초음파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부는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상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지 슬리터장치는 커팅부로 공급되는 원지의 장력을 종래와 달리 지관이 고정되는 고정축의 부하를 조절하는 고정축 부하부재에 조절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원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관의 교체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의 커팅롤러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날이 마모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새로 날을 구입하지 않고 마모된 날을 연마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지 슬리터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지(P) 슬리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지(P) 슬리터장치는 크게 프레임(10), 언와인딩부(30), 이송롤러부(50) 및 커팅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측부에는 상기 언와인딩부(30)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양측판(110a,110b)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110a,110b)에는 상기 이송롤러부(50) 및 상기 커팅부(70)가 장착된다.
상기 언와인딩부(30)는 원지(P)가 권취된 지관(B)을 고정한 상태에서 원지(P)를 일정한 장력으로 상기 이송롤러부(50) 및 상기 커팅부(7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언와인딩부(30)는 도 1과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부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좌우이동판(310)과, 상기 좌우이동판(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지(P)가 권취된 지관(B)을 고정하는 고정축(320)과, 상기 지관(B)으로부터 풀 리는 원지(P)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33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3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판(3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이동판(310)의 구조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 1과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봉(130)에 구름운동하는 슬라이딩 베어링(312)이 타측면에 형성된 이동판부(310a)와, 상기 이동판부(310a)의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320)이 형성되는 고정판부(310b)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축(320)은 상기 좌우이동판(310)의 고정판부(310b)에 축고정되고, 상기 고정축(320)에는 상기 고정축(320)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축 부하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320)에 고정되는 지관(B)에 권취된 원지(P)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센서(3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두께측정센서(350)에 의해 상기 원지(P)의 두께를 측정한 후 원지(P)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고정축 부하부재(미도시)의 부하를 상대적으로 적게하고, 상기 원지(P)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축 부하부재(미도시)의 부하를 상대적으로 크게 조절한다. 이는 상기 고정축(320)과 상기 이송롤러부(50) 사이의 원지(P)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커팅부(70)에 의해 상기 원지(P)가 불량없이 원활히 커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축 부하부재(미도시)로서는 파우더 브레이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두께측정센서(350)로서는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초음파 센서에 의해 지관(B)에 권취된 원지(P)의 두께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두께측정센서(350)인 초음파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관(B)에 권취된 원지(P)의 표면과의 거리를 LM, 상기 고정축(320)의 외경을 DA라 하면 지관(B)에 권취된 원지(P)의 두께 TP는 다음과 같다.
TP = LM - DA
도 3은 고정축(320)에 고정된 원지(P)가 하부롤러(364) 및 상부롤러(362)를 거쳐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언와인딩부(30)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이동판부(310a)의 상측에 하부롤러(362) 및 상부롤러(364)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고정축(320)으로부터 풀린 원지(P)는 상기 하부롤러(362)와 상기 상부롤러(36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커팅부(70) 및 상기 이송롤러부(50)로 공급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330)는 상기 프레임(10)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관(B)으로부터 풀려 상기 커팅부(70) 및 상기 이송롤러부(50)로 공급되는 원지(P)의 일단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위치감지센서(33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고정되고, 상기 언와인딩부(30)의 상부롤러(364) 상에 위치하는 원지(P)의 일단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롤러(364) 상에 위치하는 원지(P)의 일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3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340)가 상기 원지(P)가 권취된 지관(B)이 고정되는 상기 좌우이동판(310)을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B)으로부터 풀리는 원지(P)를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커팅부(70) 및 상기 이송롤러부(50)로 공급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330)는 상기 원지(P)의 일단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족하나 수광부가 2개인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부롤러(364) 상의 원지(P)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330)가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위치감지센서(330)로서 수광부가 2개인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원지(P)를 올바르게 공급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340)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330)의 제1수광부(332)가 상기 상부롤러(364)를 제2수광부(334)가 상기 원지(P)를 감지할 경우 상기 원지(P)가 올바르게 공급되는 것이고, 제1수광부(332) 및 제2수광부(334)가 모두 원지(P)를 감지할 경우 원지(P)가 일측으로 치우쳐 공급되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이동부재(340)를 제어하여 상기 좌우이동판(310)을 제1수광부(332)가 상기 상부롤러(364)를 감지 할 때까지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수광부(332) 및 제2수광부(334)가 모두 상기 상부롤러(364)를 감지할 경우 원지(P)가 타측으로 치우쳐 공급되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이동부재(340)를 제어하여 상기 좌우이동판(310)을 제2수광부(334)가 원지(P)를 감지할 때까지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5는 이송롤러부(50)에 의해 고정축(320)에 고정된 원지(P)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이송롤러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부(50)는 상기 언와인딩부(30)에 고정된 지관(B)으로부터 풀리는 원지(P)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부재(510)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판(110a,110b)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51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530)와, 상기 구동롤러(530)의 상측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표면이 적어도 고무 등으로 형성된 상부롤러(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원지(P)를 슬립없이 이송하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550)를 압축하는 압축부재(5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부재(570)로서는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커팅롤러를 홈롤러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70)는 상기 이송롤러부(50)에 의해 상기 언와인딩부(30)로부터 풀리는 원지(P)를 일정한 폭의 테이프상으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언와인딩부(30)와 상기 이송롤러부(5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커팅부(70)는 도 7과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양측판(110a,110b)에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환형홈(732)이 형성된 홈롤러(730)와, 상기 홈롤러(730)의 환형홈(732)에 삽입되는 복수의 날(752)이 형성된 커팅롤러(7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팅롤러(750)는 상기 이송롤러부(50) 및 상기 홈롤러(730)와 접촉되어 이송되는 상기 원지(P)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원지(P)를 절단과 동시에 피동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커팅롤러(750)는 상기 커팅롤러(750)의 복수의 날(752)이 상기 홈롤러(730)의 환형홈(732)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 커팅롤러(75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커팅롤러(750)의 날이 마모된 경우 날을 새로 구입하여 교체해야함에 따라 교체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도 8과 같이 상기 커팅롤러(7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커팅롤러(750)의 날이 마모되더라도 연마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관리·유지비가 적게 소모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롤러(750)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판(110a,110b)에 축고정되는 지지축(77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대(774)에 축고정되고, 상기 지지축(772)은 고정부재(776)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상기 지지축(772)을 상기 홈롤러(730)의 환형홈(732)에 상기 날(752)이 적정하게 삽입되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776)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축(772)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상기 커팅롤러(750)의 날(752)이 상기 홈롤러(730)의 환형홈(73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축(772)의 일측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판(110a,110b) 중 어느 한 측벽(110a)에 일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판(110a,110b) 중 다른 측벽(110b)에 베어링에 의해 축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772)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축(772)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778)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레버(778)에 의해 상기 지지축(772)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772)을 상기 프레임(10)의 양측판(110a,110b) 중 다른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776)가 상기 지지축(772)의 일측부에 나사결합형성된 상태로 구비된다.
도 9는 고정부재(776)를 이용하여 지지축을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회전레버(778)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도 9의 a)에서 상기 고정부재(776)를 상기 양측판(110a,110b) 중 다른 측벽(110a)으로 외력을 가하여 나사결합(도 9의 b)시키면 상기 지지축(772)의 숫나사선과 상기 양측판(110a,110b) 중 다른 측벽(110a)에 형성된 암나사부의 암나사선(111)이 밀착되어 상기 지지축(772)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70)의 커팅롤러(750)를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커팅롤러(750)를 냉각시키고 원지(P)의 절단시 발생되는 섬유소 및 분진 등을 상기 커팅롤러(750)의 날(752)로부터 분리시키는 블로워부(80)와, 상기 블로워 부(80)에 상기 날(752)로부터 분리된 섬유소 및 분진 등을 흡입하는 석션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팅부(70)에 의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복수의 원지(P)테이프가 상기 이송롤러부(50)를 통하여 와인딩부(미도시)로 공급될 때 정전기에 의해 인접한 원지(P)테이프가 부착되어 사절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롤러부(50)의 타측에 정전기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 원지(P)가 복수의 원지 테이프(PT) 상태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지(P) 슬리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초음파 센서에 의해 지관(B)에 권취된 원지(P)의 두께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고정축(320)에 고정된 원지(P)가 하부롤러(364) 및 상부롤러(362)를 거쳐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부롤러(364) 상의 원지(P)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330)가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송롤러부(50)에 의해 고정축(320)에 고정된 원지(P)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이송롤러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커팅롤러를 홈롤러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고정부재(776)를 이용하여 지지축을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지 슬리터장치에 의해 원지(P)가 복수의 원지 테이프(PT) 상태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지가 권취된 지관이 고정되어 원지를 언와인딩하는 언와인딩부와,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언와인딩부에 의해 언와인딩된 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원지테이프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환형홈이 형성된 홈롤러와, 상기 프레임상에 축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대와, 양단부가 상기 고정대의 단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홈롤러의 환형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날이 형성된 커팅롤러와, 상기 지지축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언와인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에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지가 권취된 지관이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지관으로부터 풀리는 원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된 지관에 권취된 원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센서와, 상기 두께측정센서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고정축의 부하를 조절하는 고정축 부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슬리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일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일측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나사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타측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커팅롤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일측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슬리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측정센서는 초음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슬리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는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상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지 슬리터장치.
KR1020080071719A 2008-07-23 2008-07-23 원지 슬리터장치 KR10097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19A KR100979669B1 (ko) 2008-07-23 2008-07-23 원지 슬리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19A KR100979669B1 (ko) 2008-07-23 2008-07-23 원지 슬리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17A KR20100010717A (ko) 2010-02-02
KR100979669B1 true KR100979669B1 (ko) 2010-09-02

Family

ID=4208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719A KR100979669B1 (ko) 2008-07-23 2008-07-23 원지 슬리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281B1 (ko) * 2012-02-10 2013-10-17 이동혁 지관 성형기의 지관 절단장치
KR102181023B1 (ko) * 2018-10-26 2020-11-19 김희중 지제(紙材)빨대, 이 지제 빨대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31242B1 (ko) * 2019-03-26 2019-10-11 김정우 제단장치
KR102054114B1 (ko) * 2019-07-23 2019-12-09 주식회사 그린맥스 종이빨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빨대
NL2027754B1 (en) 2021-03-15 2022-09-27 Cologic B V Cutting device configured to cut a pliable object
KR102467778B1 (ko) * 2022-04-11 2022-11-16 주식회사 한그루 원단롤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슬리터 리와인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76Y1 (ko) 1999-12-08 2000-05-15 여현모 슬리터의 테이프를 절개하는 링나이프절개수단과면도날절개수단의 호환가능한 구조
KR100612760B1 (ko) * 2004-11-02 2006-08-21 한국니트산업연구원 원지절단용 슬리터
KR100763405B1 (ko) 2006-07-10 2007-10-04 지리산한지(유) 원지 슬리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76Y1 (ko) 1999-12-08 2000-05-15 여현모 슬리터의 테이프를 절개하는 링나이프절개수단과면도날절개수단의 호환가능한 구조
KR100612760B1 (ko) * 2004-11-02 2006-08-21 한국니트산업연구원 원지절단용 슬리터
KR100763405B1 (ko) 2006-07-10 2007-10-04 지리산한지(유) 원지 슬리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17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69B1 (ko) 원지 슬리터장치
ES2271638T3 (es) Control y ajuste del enrollado de un producto para el consumidor.
KR100864306B1 (ko) 전선 내도용 테이프 재권취기
EP3867711B1 (en) Winding machine with an evaluation system of the web material being processed and method
CN112872825A (zh) 辊压分切一体机
CN212831939U (zh) 新型砂布砂纸纵向分切机
KR100998495B1 (ko)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CN108463327A (zh) 用于轮胎的增强帘布层的压延设备
CN212639425U (zh) 砂布砂纸纵向分切机
US4223850A (en) Surface wind batcher and method of collecting material in roll form
CN211811809U (zh) 复合机双向张紧调节位
CN204296187U (zh) 一种宽幅高速木纹纸印刷机
KR101619039B1 (ko) 위치보정유닛을 구비한 풀인 윈치 시스템
EP0251099B1 (en) Spreading conveyer, particularly for machines, for measuring irregular sheetlike materials, such as animal hides, whereby hide stretching before, during and after mensuration is provided
JP2004314548A (ja) タイヤ用ゴムのトッピング装置
RU190471U1 (ru) Продольно-резательная машина
CN101855154A (zh) 用于对带子进行退绕和侧向对准的机器
ITMI981515A1 (it) Sistema di introduzione anime nella culla di avvolgimento di una ribobinatrice di materiale in foglio
CN220098030U (zh) 一种光学膜生产用纠偏定位装置
CN214732999U (zh) 一种化纤布料裁剪装置
CN220906623U (zh) 一种橡胶输送带用收卷装置
ITRM950828A1 (it) Apparecchio per il taglio delle fibre
CN218909216U (zh) 一种pe缠绕膜控制放卷装置
CN109051921A (zh) 一种小卷包装纸裁纸装置
CN116404100B (zh) 一种干法电极成型覆合一体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