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213Y1 -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 Google Patents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213Y1
KR200360213Y1 KR20-2004-0011576U KR20040011576U KR200360213Y1 KR 200360213 Y1 KR200360213 Y1 KR 200360213Y1 KR 20040011576 U KR20040011576 U KR 20040011576U KR 200360213 Y1 KR200360213 Y1 KR 200360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teel wire
fixed shaft
supply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김대성 filed Critical 스틸화이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1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선장치에서 신선된 강선이 권회된 보빈장치의 원활한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보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의 회전시 발생되는 충격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직경으로 신선된 강선을 강섬유 제조용 성형롤러에 공급하는 보빈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빈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빈이 단락되게 회전됨에 따른 강선의 파단되는 현상과 보빈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의 좌/우측으로 교번되게 권회된 강선이 지그 재그형태로 인출되어 강섬유 제조용 성형롤러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보빈의 유동을 탄련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에 고정축이 구비된 지지체와, 상기 고정축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근접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빈과, 상기 고정축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되어 강선을 성형롤러로 공급하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고정축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접촉시 연동 회전되는 회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Bobbin apparatus for suppling wire}
본 고안은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선장치에서 신선된 강선이 권회된 보빈장치의 원활한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보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의 회전시 발생되는 충격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내화물 등의 구조물을 성형할 때는 이들 구조물의 기계, 물리적인 성질을 향상시켜 주기위하여 그 재료인 콘크리트 및 내화물 복합체에 혼합되고, 강섬유가 혼합되어 성형이 완료된 구조물은 강섬유로 인해 인장력과 압축력, 전단력, 충격력, 인성 등의 기계적인 성질 및 물리적인 성질이 향상된다.
상기 강섬유는 소재인 강선에 대하여 표면 스케일 제거 및 열처리 등의 전처리 과정을 실시한 후, 강선을 습식 신선기를 통하여 소정의 직경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인 신선을 행하여 두께가 엷은 강선을 얻은 다음, 강선정렬수단인 트레비스를 통해 강선을 보빈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되게 권회시킴으로써 강섬유의 소재로 사용되는 강선을 제조한다.
그리고, 강선이 신선되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2002-0015542호(출원일:2002.03.22)의 "콘크리트 보강용 강연성선재 제조장치"와 같이, 강선이 권회된 보빈을 보빈장치에 결합한 후, 강섬유 제조장치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보빈장치로부터 강선이 이동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강섬유로 제조되는 것이다.(여기서, 강연선선재와 강섬유는 동일물이므로 "강섬유"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강섬유 제조장치에 신선된 강선을 공급시키는 종래의 보빈장치는 도 5와 같이, 상부에 고정축(111)이 구비된 지지체(112)와, 상기 고정축(111)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113)에 근접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빈(115)과, 상기 고정축(11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11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114)로 구성된다.
강섬유 제조장치가 구동되면 상기 보빈(115)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되게 권회된 강선이 이동되면서 일정 형상을 갖는 강섬유로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보빈(115)의 양측에는 단순히 와셔(140)를 매개로 상기 단턱(113)과 상기 고정구(114)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보빈(115)은 강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풀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축(111)에서 횡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면, 보빈(115)의 양측이 상기 단턱(113)과 상기 고정구(114)에 충돌되면서 회전이 단락되어 강선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빈(115)이 상기 단턱(113)과 상기 고정구(114)에 충돌되면서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충격이 클 경우에는 상기 보빈(115)이 회전되지 못하여 강선이 손상되거나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상기 보빈(115)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여 강선이 이동되지 못할 경우에는, 강섬유 제조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정지한 상태에서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보수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강섬유의 생산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었으며, 작업자가 상기 보빈(115)이 회전되는 상태를 수시로 점검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직경으로 신선된 강선을 강섬유 제조용 성형롤러에 공급하는 보빈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빈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빈이 단락되게 회전됨에 따른 강선의 파단되는 현상과 보빈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의 좌/우측으로 교번되게 권회된 강선이 지그 재그형태로 인출되어 강섬유 제조용 성형롤러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보빈의 유동을 탄련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보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에 고정축이 구비된 지지체와, 상기 고정축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근접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빈과, 상기 고정축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되어 강선을 성형롤러로 공급하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고정축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접촉시 연동 회전되는 회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보빈장치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강섬유 제조장치 2 : 강선 배열수단
3 : 접착제공급수단 4 : 온풍공급수단
5 : 냉풍공급수단 6 : 가이드롤러
7 : 성형롤러 10 : 보빈장치
11 : 고정축 12 : 지지체
13 : 단턱 15 : 보빈(bobbin)
16 : 축공 20 : 고정볼트
21 : 회전관 30 : 탄성부재
40 : 와셔 B : 베어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10)는 상부에 고정축(11)이 구비된 지지체(12)와, 상기 고정축(11)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13)에 근접하도록 베어링(B)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빈(bobbin,15)과, 상기 고정축(1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15)이 상기 고정축(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15)에 권회된 강선(T)은 도 1과 같이, 가이드롤러(6) 및 성형롤러(7)에 의해 상기 보빈(15)으로부터 이동되며, 상기 강선(T)은 보빈장치(10)로부터 강선 배열수단(2), 접착제공급수단(3), 온풍공급수단(4), 냉풍공급수단(5), 상기 가이드롤러(6) 및 상기 성형롤러(7)로 이루어진 강섬유 제조장치(1)를 경유하며 일정 형상의 강섬유로 성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빈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고정축(11)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고정볼트(20)와, 상기 고정볼트(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15)의 접촉시 연동 회전되는 중공형의 회전관(21)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15)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축(11)에 결합되도록 축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1)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볼트(20)가 결합되도록 볼트공(14)이 형성되어 상기 보빈(15)을 상기 고정축(11)에 결합한 후, 상기 고정볼트(20)를 중공형의 상기 회전관(21)을 관통하며 상기 볼트공(14)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보빈(15)이 상기 고정축(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빈(15)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즉, 상기 강선(T)은 상기 보빈(15)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되게 권회된 상태이므로, 상기 보빈(15)은 상기 강선(T)이 풀려지면서 상기 고정축(11)에서 횡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는데, 이때 상기 보빈(15)이 상기 회전관(21)에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관(21)이 상기 고정축(11)을 중심으로 연동 회전되면서 상기 보빈(15)과의 마찰력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보빈(15)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빈(15)의 일측이 상기 단턱(13)에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보빈(15)이 충격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거나 상기 강선(T)이 파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빈(15)의 회전시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유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11)에 탄성부재(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보빈(15)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와셔(40)를 상기 고정축(11)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조립 및 작동과정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지지체(12) 상부의 고정축(11)에 탄성부재(30)와 와셔(40)를 끼운 후, 강선(T)이 권회된 다수개의 보빈(15)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15)이 상기 고정축(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관(21)에 고정볼트(2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축(11)에 형성된 볼트공(14)에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지지체(12)에 다수개의 보빈(15)을 설치한 후, 강섬유 제조장치를 가동시키게 되면, 강선(T)이 상기 보빈(15)으로부터 풀려지면서 성형롤러(7)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선(T)은 상기 보빈(15)에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게 권회된 상태이므로 상기 보빈(15)은 횡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탄성부재(20)에 의해 상기 보빈(15)의 일측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보빈(15)의 타측은 상기 회전관(21)에 접촉되어 상기 보빈(15)은 회전이 단락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된다.
즉, 상기 보빈(15)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유동을 상기 탄성부재(20)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빈(15)의 타측이 회전관(21)에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관(21)이 상기 고정볼트(20)를 중심으로 연동 회전되면서 상기 보빈(15)과의 마찰을 줄여주게됨으로써 상기 보빈(15)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고안의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는 상기 보빈(15)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여 강선(T)이 이동되지 않거나 파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강섬유를 성형하는 일련의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구동되어 강섬유를 대량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섬유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강섬유를 제조장치의 성형롤러에 공급하는 보빈이 보빈이탈방지수단에 의하여 원활하게 회전됨과 동시에 보빈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선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양호한 강섬유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빈에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게 권회된 강선이 이동될 경우에 발생되는 보빈의 유동과, 이로 인하여 보빈에 발생되는 충격을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할 수 있어 보빈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에 고정축이 구비된 지지체와, 상기 고정축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근접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빈과, 상기 고정축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되어 강선을 성형롤러로 공급하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고정축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빈의 접촉시 연동 회전되는 회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회전시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유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보빈과 단턱간의 고정축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KR20-2004-0011576U 2004-04-26 2004-04-26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KR200360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76U KR200360213Y1 (ko) 2004-04-26 2004-04-26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76U KR200360213Y1 (ko) 2004-04-26 2004-04-26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213Y1 true KR200360213Y1 (ko) 2004-08-27

Family

ID=4934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76U KR200360213Y1 (ko) 2004-04-26 2004-04-26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2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69A (ko) * 2005-04-07 2006-10-12 공영주 권취기
KR100998495B1 (ko) 2008-08-18 2010-12-06 김강훈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69A (ko) * 2005-04-07 2006-10-12 공영주 권취기
KR100998495B1 (ko) 2008-08-18 2010-12-06 김강훈 원지테이프 와인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2661C (zh) 通过循环气流生产纱线的纺纱装置
DE102016109216A1 (de) Rotorspinnmaschine und Verfahren zur Erneuerung des Spinnvorgangs auf der Arbeitsstelle einer Rotorspinnmaschine
CA27767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moving items into a processing machine
KR101137309B1 (ko)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비틀림 강섬유 제조장치
KR200360213Y1 (ko) 강선 공급용 보빈장치
CA26930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vision of cut rovings and machine for the reinforcement of a semi-finished textile product
CN101233062A (zh) 用于制造交叉卷绕筒管的纺织机的络纱站
CN1865553A (zh) 纱圈纺纱或加捻装置
JP2018080436A (ja) 繊維機械の作業台、繊維機械の作業台の空気圧式糸貯蔵要素および繊維機械
CN1912206A (zh) 牵伸装置上的下皮圈的导向机构
CN106048827A (zh) 一种均匀的纺织用纱线上蜡机构
KR101416983B1 (ko) 무대 커튼 승,하강용 와이어 안내장치
EP0980920A1 (en) Device for sensing snapped thread of a divided thread warper having a yarn tension controller and a divided thread guider
EP2252423B1 (en) Machine for multiple wire cutting of stone materials
KR200377118Y1 (ko) 강섬유 제조기의 와이어 보빈의 재치장치
CN108360246A (zh) 一种化纤布热切边设备
JP5243081B2 (ja) 紡績機
KR20180000208U (ko) 분사 정경시스템용 장력조절장치
KR100386067B1 (ko) 케이블의 정렬 권취 장치
KR100888062B1 (ko) 진동 안내장치가 설치된 가연분사기
CN101092774A (zh) 用于一配属于纺纱机的通风器的固定装置
KR200394571Y1 (ko) 강선의 이동 안내장치
CN105177787A (zh) 芯纱供给单元及纺纱机
TWI736165B (zh) 生產紗的環錠式精紡系統及用於停止長絲被供應至環錠式精紡系統的牽伸階段的方法
KR200355148Y1 (ko) 신선기의 다이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