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365A - UPnP를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UPnP를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365A
KR20100021365A KR1020090072364A KR20090072364A KR20100021365A KR 20100021365 A KR20100021365 A KR 20100021365A KR 1020090072364 A KR1020090072364 A KR 1020090072364A KR 20090072364 A KR20090072364 A KR 20090072364A KR 20100021365 A KR20100021365 A KR 2010002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segment
played
content
contro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826B1 (ko
Inventor
정동신
이주열
한세희
맹제영
패이패이 팽
러셀 버코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9806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14060B1/en
Priority to JP2011522912A priority patent/JP5538389B2/ja
Priority to US12/541,524 priority patent/US10211997B2/en
Priority to CN201510051338.4A priority patent/CN104539638B/zh
Priority to PCT/KR2009/004555 priority patent/WO2010019013A2/en
Priority to CN200980139810.2A priority patent/CN102177702B/zh
Publication of KR2010002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65A/ko
Priority to JP2013253205A priority patent/JP589816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장면(Scene)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가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와 미디어 렌더러(Media Renderer)를 발견하는 과정과, 제어 포인트가 미디어 서버로부터 재생할 장면(Scene)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장면을 수신하는 과정과, 제어 포인트가 수신한 장면을 확인한 후 장면을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로부터 재생을 위한 프로토콜과 재생 가능한 파일 포맷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제어 포인트에서 수신한 프로토콜과 파일 포맷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할 장면을 선택하는 과정과, 제어포인트가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렌더러와 인스탄스 아이디(Instance ID)를 상호 교환하는 과정과, 제어 포인트가 재생할 장면을 재구성하는 과정과, 미디어 렌더러에서 재구성된 장면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장면 재생, 홈네트워크

Description

UPnP를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LAYBACKING SCEN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본 발명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UPnP를 이용하여 AV(Audio/Video) 컨텐츠를 재생시 임의의 장면(Scene) 또는 장면 그룹(Scene Group)을 렌더링 장치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기반의 사설 망(private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개인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와 지능형 제품, 무선 장치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미들웨어(middleware)라 불리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 환경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미들웨어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연결하여 기기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control device),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HWW(Home Wide Web) 등이 현재까지 제안되 어 있다.
현재 운영 체제에 PnP(Plug and Play) 기능이 추가된 이후로 PC 주변 장치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이 훨씬 쉬워졌지만, UPnP는 이러한 편리한 기능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전체 네트워크로까지 확장시켜 여러 가전 제품, 네트워크 프린터, 인터넷 게이트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킹 특히, 홈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UPnP 네트워크는 IP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기기인 피제어 장치(controlled device; CD) 및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CP)로 구성된다. 또한, UPnP 네트워크는 TCP/IP, HTTP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들과 XM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과 같은 기술을 포함하는 UPnP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와 피제어 장치 간에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통신을 한다.
제1 단계는 주소 부여(addressing) 단계로, 제어 포인트와 피제어 장치는 각각 IP 주소를 가지게 된다. 피제어 장치는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면 자신의 IP 주소를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받아 오거나 네트워 크에 DHCP 서버가 없는 경우 자동 IP 기능을 이용하여 IP 주소를 가지게 된다.
제2 단계는 발견(discovery) 단계로서,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를 찾거나 피제어 장치가 자신의 위치를 광고하게 된다. 발견 단계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만일, 피제어 장치가 네트워크에 추가되었을 경우 피제어 장치는 SSDP의 출현(alive)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아이피(IP) 멀티캐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며, 제어 포인트는 출현 메시지를 받아서 피제어 장치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새로 참여하게 되는 경우 제어 포인트는 SSDP의 M-검색(M-search, multicast-search)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멀티캐스트하며 M-검색 메시지를 확인한 피제어 장치들은 모두 자신의 정보를 담은 M-검색 응답(M-search response) 메시지를 제어 포인트에 보내게 된다.
제3 단계는 디스크립션(description) 단계로서,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의 디스크립션 내용을 확인한다. 제어 포인트는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고 원하는 경우 피제어 장치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피제어 장치에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피제어 장치는 자신의 정보를 XML 문서로 보낸다.
제4 단계는 제어(control) 단계로서,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여 피제어 장치를 동작시킨다. 제어 포인트가 임의의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피제어 장치와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바탕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이용하여 피제어 장치에 보낸다. SOAP는 원격지 함수 호출을 목적으로 HTTP 상에서 XML을 기반으로 작성된 프로토콜이다.
제5 단계는 이벤팅(eventing) 단계로서,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의 이벤 트 변화를 수신한다. 피제어 장치의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기 원하는 경우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로 해당 이벤트에 대한 가입 요청을 보낸다. 가입이 성공하면 피제어 장치는 GENA(General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를 사용하여 제어 포인트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6 단계는 표시(presentation) 단계로서, 제어 포인트는 피제어 장치의 HTML을 활용하여 장치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장치 발견(discovery) 및 액션(action) 수행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단계에서 발견 단계를 수행하여 제어 포인트(101)는 피제어 장치(102)를 찾거나, 피제어 장치(102)가 자신의 위치를 광고한다. 다음 12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1)는 피제어 장치(102)에게 액션 요청(action request)을 보낸다. 다음 130단계에서 피제어 장치(102)는 수신한 액션 요청에 대응되는 액션을 수행하고, 140단계에서 액션 수행 결과(result)를 제어 포인트(101)로 응답한다. 구체적으로, 피제어 장치(102)는 요청된 액션을 수행하고, 해당 액션의 정상 처리 결과 또는 에러 메시지를 제어 포인트(101)로 전송한다.
이러한 UPnP 기본 제어 방법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을 바탕으로 UPnP 피제어 장치는 제어 포인트에게 다양한 서비스(기능)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PnP 기본 제어 방법을 바탕으로 UPnP 제어 포인트는 UPnP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여 UPnP 피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A/V 컨텐츠를 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UPnP 피제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UPnP 피제어 장치가 게이트웨이인 경우 UPnP 제어 포인트는 UPnP 게이트웨이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여 홈 내 디바이스에 할당될 IP 주소 대역과 서브넷,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상기 UPnP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을 받아 제어 액션 요청 동작을 수행하거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거나, 피제어 장치로부터의 이벤트 알림을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 때, 상기 UPnP 제어 포인트가 제공하는 입력 방법은 UPnP 제어 포인트 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주변 장치의 종류, 하드웨어적 특성, 성능에 의해 제한된다.
도 2는 일반적인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V 컨텐츠를 재생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UPnP를 이용한 AV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AV 컨텐츠를 저장한 미디어 서버(Media server)(220)와, AV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렌더러(Media renderer)(230)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미디어 서버 및 미디어 렌더러를 제어하는 AV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210)를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220)는 각종 이미지(image),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컨텐츠 파일을 저장한다. 미디어 서버는 HDD(Hard Disk Driver),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DVD/CD와 같은 저장 수단을 보유한 퍼스널컴퓨터,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MP3P(MP3 Player), DSC(Digital Still Camer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20)는 제어 포인트(21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재생을 위해 저장된 컨텐츠를 미디어 렌더러(230)로 전달한다.
상기 미디어 렌더러(230)는 사용자가 AV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장치이다. 미디어 렌더러는 휴대 단말, DTV(Digital TV), HiFi Audio,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 부 및/또는 스피커를 장착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V 제어 포인트(2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미디어 서버(220), 미디어 렌더러(230)에게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다양한 UPnP 액션을 호출한다. 제어 포인트(210)는 리모콘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220) 또는 미디어 렌더러(23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UPnP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UPnP 제어 포인트(302)와 미디어 서버(301), 미디어 렌더러(303)를 사용하여 AV 컨텐츠를 감상하는 동작의 단계를 도시한다. 먼저 31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302)는 미디어 서버(301)에 존재하는 AV 컨텐츠(contents)의 목록을 파악하기 위해 Browse/Search() 액션을 호출하여 미디어 서버(301)에 존재하는 AV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목록을 가져온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다음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특정 미디어 렌더러(303)에서 재생할 것을 명령하면 미디어 렌더러(303)에 GetProtocolInfo()를 호출하여 미디어 렌더러(303)의 재생 가능 프로토콜과 포맷의 리스트를 수신한다.
다음 320단계에서 재생할 컨텐츠의 프로토콜/포맷과 미디어 렌더러(303)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포맷 리스트 간에 일치하는 프로토콜/포맷이 있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는 프로토콜/포맷이 존재하는 경우(즉, 미디어 렌더러(303)에서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경우)에는, 330단계에서 미디어 서버(301)의 PrepareForConnection()을 호출한 후 해당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AVTransportID를 미디어 서버(301)로부터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미디어 렌더러(303)의 PrepareForConnection()을 호출하여 AVT 인스턴스 아이디(instance ID)와 RCS 인스턴스 아이디를 얻는다. 상기 RSC 인스턴스 아이디는 재생 장치의 볼륨, 색상, 밝기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 340단계에서는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미디어 서버(301) 또는 미디어 렌더러(303)의 SetAVTransportURI()를 호출한다. 이 때 재생할 컨텐츠의 Resource URI를 아규먼트로 전달한다.
다음 350단계에서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면 SetAVTransportURI()를 호출했던 미디어 서버(301) 또는 미디어 렌더러(303)의 Play() 액션을 호출한다. 미디어 렌더러(303)의 Play() 액션을 호출한 경우, 미디어 렌더러(303)는 미디어 서버(301)에 SetAVTransportURI()를 통해 전달된 URI에 해당하는 파일을 미디어 렌더러(303)로 보낼 것을 요청한다. 미디어 서버(301)의 Play() 액션을 호출한 경우, 미디어 서버(301)는 SetAVTransportURI()를 통해 설정된 URI에 해당하는 파일을 미디어 렌더러(303)로 전송한다. 이 때 실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HTTP, RTP, IEEE1394가 사용된다.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과정에서 Seek(), Stop(), Pause()등의 재생(Playback) 제어를 위한 다양한 액션들이 호출될 수 있다. 또한 재생 장치의 볼륨(SetVolume()), 색상, 밝기 등을 제어하기 위해 미디어 렌더러의 RSC 관련 다양한 액션들이 호출될 수 있다.
다음 360단계에서는 컨텐츠 재생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반복 재생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 반복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340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 재생을 반복할 수 있으며, 재생이 종료되면 37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포인트(302)는 미디어 서버(301)와 미디어 렌더러(303)에 재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TransferComplete()를 호출한다. 미디어 서버(301)와 미디어 렌더러(303)는 TransferComplete() 액션이 호출되면 해당 연결에 할당되었던 자원을 해제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UPnP를 이용하여 특정 AV 컨텐츠를 재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여러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만을 선택하여 재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UPnP를 이용하여 AV 컨텐츠를 재생 시,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의 AV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Scene)만을 선택하여 장면을 구성하며, 구성된 장면 즉 장면 그룹(Scene Group)을 미디어 렌더러(Media renderer)를 통해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UPnP를 이용한 장면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한 장면(Scene)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가 AV(Audio/Video) 컨텐츠를 저장한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로부터 재생할 장면(Scene)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상기 재생할 장면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포인트가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Medea Renderer)로부터 재생 가능한 프로토콜 및 파일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데 사용할 켄텐츠 리소소, 프로토콜, 파일 포맷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수신한 장면들 중에서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렌더러에서 상기 구성된 장면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하여 장면(Scene)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UPnP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V(Audio/Video) 컨텐츠를 저장한미디어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미디어 렌더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송수신부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면들을 바탕으로 장면 선택 및 장면 재구성을 통해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장면 구성부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재생할 장면(Scene)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상기 장면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수신한 장면을 확인한 후 상기 장면을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로부터 재생 가능 프로토콜 및 파일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장면 구성부를 통해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렌더러가 상기 장면 구성부에서 구성된 장면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UPn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에서 AV 컨텐츠의 재생 시,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면을 재구성 할 수 있으며, 또한, 재구성 된 장면, 즉 장면 그룹을 미디어 서버나 미디어 렌더러를 통해 연속적으로 재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UPnP 환경에서 임의의 컨텐츠에 포함된 장면 또는 기 생성 되어 있는 장면 그룹을 제어 포인트로 가져오고, 가져온 소정의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을 임의의 시점에 재구성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컨텐츠처럼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서버에서 세그먼트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세그먼트 객체도 자신의 리소스를 가질 수 있도록 리소스 URI를 생성하여 할당함으로 서, 세그먼트를 재생할 때도 기본 객체를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AV(Audio/Video) 컨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403)와 컨텐츠의 임의의 장면들을 조합하여 장면을 재구성하는 제어 포인트(402)와, 상기 재구성된 장면 그룹을 재생하기 위한 미디어 렌더러(403) 간의 신호 처리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1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402)는 UPnP 디스커버리(discovery) 동작을 수행하여 미디어 서버(401)와 미디어 렌더러(403)를 발견한다.
다음 420단계에서 Browse() 혹은 Search() 액션을 통해 원하는 장면을 미디 어 서버(401)로부터 가져온다. 이때, Browse()나 Search()의 결과로 소정의 장면(scene)이나 장면 그룹(scene group)을 가져올 수 있다. 장면 혹은 장면 그룹은 미디어 서버(401)의 CDS(Content Directory Service)에 소정의 아이템(Item) 또는 컨테이너(container) 형태로 미리 정의 될 수 있으며, DIDL(Digital Item Declaration Language)-Lite 등과 같은 UPnP AV에서 사용하는 XML을 기반으로 컨텐츠(Contents)의 정보를 전달 하는 디스크립션(Description)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면 또는 장면 그룹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간의 순차 관계(objectLink) 또는 연결 관계(objectList)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오브젝트 간의 순차 관계(objectlink)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오브젝트 간의 순차 관계(objectLink)는 오브젝트의 메타데이터 정보에 오브젝트와 연결되어 있는 다음 차례의 오브젝트 ID 또는 이전 오브젝트의 ID, 순차 리스트의 맨 처음 오브젝트의 ID를 기술함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맨 처음 오브젝트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오브젝트까지의 일련의 연결 리스트는 그룹 ID로 구분할 수 있다. 특정 오브젝트는 복수 개의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오브젝트는 복수 항목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아이템1(510)과 아이템3(520)과 아이템4(530)는 그룹 ID 'Blue'를 갖는 그룹으로 순차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아이템2(540)와 아이템3(520)과 아이템5(550)는 그룹 ID 'Salmon'을 갖는 그룹으로 순차 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아이템3(520) 은 두 개의 그룹에 동시에 포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objectList)의 연결 분기(branch)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의 목차 연결 리스트(Index)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는 특정 오브젝트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 연결 리스트의 ID를 기술함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를 활용한 예로써, 연결 분기(branch)와 목차 연결 리스트(Index)를 들 수 있다. 연결 분기는 상기 오브젝트 간의 순차 관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다가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를 재생할 시점에서 다른 오브젝트로 이동하여 재생하기 위한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오브젝트 간 연결 관계 정보는 순차 관계 정보 외에 다른 그룹 ID를 갖는 연결 리스트 상의 오브젝트나 같은 연결 리스트 상의 다른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이템1(610)과 아이템3(620)과 아이템5(630)는 그룹 ID 'Blue'를 갖는 그룹으로 순차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아이템2(640)와 아이템4(650)와 아이템6(660)은 그룹 ID 'Salmon'을 갖는 그룹으로 순차 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아이템4(650)는 다른 순차 관계 그룹의 아이템3(620)과의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목차 연결 리스트는 많은 오브젝트로 구성된 순차 연결 리스트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로의 빠른 접근을 위해 특정 오브젝트를 포함한 별도의 순차 연결 리스트 를 구성한 것이다.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데 있어 목차 연결 리스트 상의 오브젝트가 지정하는 실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일부 화면을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여러 아이템들이 하나의 그룹(70)을 이루고 있으며, 그 그룹중에서 아이템1(710)과 아이템2(740)와 아이템3(770)은 그룹 ID 'Green'을 갖는 그룹으로 별도의 순차 관계를 이루고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42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402)는 Browse()/Search()에 대한 결과로 장면이나 장면 그룹을 수신한다. 다음 제어 포인트(402)는 GetProtocolinfo() 액션을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403)로부터 재생을 위해 지원하는 프로토콜과 재생 가능한 파일 포맷(File Format) 정보를 가져온다.
다음 430단계에서 미디어 렌더러(403)의 지원 가능 프로토콜과 포맷을 확인한 후, 장면 컨텐츠와 미디어 렌더러(403)의 프로토콜 및 포맷 정보를 매칭하여 재생하는데 사용할 컨텐츠 바이너리(리소스), 프로토콜, 포맷을 결정한다.
다음 44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는(402) PrepareForConnection() 액션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401)와 미디어 렌더러(403) 사이의 AVT(AV Transport), RCS(Rendering Control Service) 서비스 사용을 위해 인스턴스 아이디(Instance ID)를 상호 교환한다. 상기 인스턴스 아이디 상호 교환은 컨텐츠 재생에 사용할 세션을 생성하고 해당 세션을 관리하기 위해 세션을 지칭할 수 있는 ID를 획득하는 과정이다. 상기 RCS 인스턴스 아이디는 미디어 렌더러의 RCS(Rendering Control Service)를 특정 제어 포인트에 의해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유 아이디이며, 종래 UPnP AV 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AVT는 실제로 미디어를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 서버(401)에서 미디어 렌더러(403)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UPnP AV 표준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실제 미디어의 URI 및 인스턴스 아이디를 획득한다.
다음, 45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402)는 재생할 장면을 구성한다. 제어 포인트(402)는 상기 420단계를 통해 수신한 순차 관계/연결 관계를 통해 표현된 장면이나 장면 그룹 오브젝트를 표시부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하거나 편집할 장면이나 장면 그룹,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SetScenes() 액션을 사용하여 장면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SetScenes()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11, 1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포인트(402)는 선택적으로 장면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2가지의 구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는 Browse()/Search() 단계에서 가져온 개별적인 장면들의 순서를 정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수신한 장면 그룹의 순서를 수정하여 배치를 바꾸거나 개별 장면을 추가/삭제하여 장면 그룹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구성된 장면은 제어 포인트(402)에서 UpdateObject() 액션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401)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미도시).
만약, 이미 장면 구성이 완료된 리스트를 재생하거나, 장면 구성이 불필요하거나, 단일 장면 만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450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 포인트(402)는 또한 재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포인트(402)는 오브젝트가 제공하는 순차 연결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연결 리스트 상의 오브젝트를 처음부터 차례대로 재생할 수도 있으며(Playback mode), 오브젝트 재생 후 정지한 다음 사용자의 계속 재생 명령을 기다릴 수도 있으며(Step mode), 제어 포인트(402)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려하여 필요한 만큼 리스트 상의 오브젝트 정보를 한번에 추출하여 제어 포인트(402)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다(Index mode). 상기 재생 타입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의 연결 관계 정보의 일부로 오브젝트 메타데이터 정보에 포함 될 수 있으며 제어 포인트(402)는 해당 재생 타입 정보를 바탕으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장면 재생 시에는 46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402)가 SetAVTransportURI()액션을 이용하여 재생할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URI를 설정한다. 다음 Play() 액션을 이용하여 제어 포인트(402)에 의해 구성된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을 Push 또는 Pull 방식으로 미디어 렌더러(403)에서 재생 한다.
상기 Play() 액션은 종래 UPnP AV에서 사용하는 AVT 서비스의 Play()가 재사용 될 수 있으며, Play() 되는 대상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XML 형태의 오브젝트로 표현된 미디어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다만 미디어 컨텐츠는 추가적으로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제어 포인트(402)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순차 재생, 스텝 재생, 인덱스 표현 등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을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미리 장면 그룹을 구성하여 구성된 장면 그룹을 미디어 서버(401)의 CDS에서 관리하며, 미디어 렌더러(403)에서 상기 구성된 장면 그룹을 재생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서버에서 컨텐츠의 세그먼트(Segment)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종래의 UPnP AV 메타데이타(Metadata) 아키텍쳐(Architecture)에서는 세그먼트 정보가 CDS(Content Directory Service)의 컨텐츠 기본(base) 객체(object)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의 세그먼트 CDS 객체로 존재한다. 별도의 세그먼트 CDS 객체는 CDS 기본 객체를 참조(Reference)하는 형태로 존재한다. 즉, 실제 리소스를 갖지 않고 기본 객체 리소스의 오프셋(Offset)에 대한 메타데이타 정보만을 가진 형태가 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는 세그먼트를 재생(Play)하기 위해 제어 포인트가 개입하여 Seek(), Play(), Stop() 액션을 반복하거나, SetAVTransportURI()에 포함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타 정보를 분석하여 Out-of-band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세그먼트를 재생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세그먼트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세그먼트 객체도 자신의 리소스를 가질 수 있도록 미디어 서버가 리소스 URI를 생성하여 할당한다. 즉 미디어 서버에서 A/V 컨텐츠의 세그먼트 객체들은 리소스 URI를 할당받는다. 이에 따라 세그먼트를 재생할 때도 기본 객체를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420단계에서 세그먼트 객체에 대한 Browse()/Search()의 결과값이 다음 세 가지가 될 수 있다. 먼저 기본 객체와 오프셋(세그먼트 정보)을 가진 경우와, 기본 객체에 대한 리퍼런스(Reference)만을 가지고 있는 세그먼트 객체인 경우와,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재생 가능한(Playable) 리소스 URI를 갖는 세그먼트 객체인 경우이다.
이전의 메타데이터 아키텍쳐(metadata architecture)는 세그먼트 정보(시작점과 종료점 등)가 기본 컨텐츠 객체(base content object)에 포함되거나(옵션 1), 세그먼트 정보가 분리된 CDS 객체(separate CDS object)에 포함되며 객체는 재생불가능한 경우(옵션 2)가 존재했다.
상기 옵션 1의 첫 번째 재생(playback) 아키텍쳐는 제어 포인트가 컨텐츠 재생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Seek()은 시작점에 위치하기 위해 사용되고 Stop()는 재생이 종료점에 도달한 경우 사용된다. 이 경우 제어 포인트는 전체 재생 동작 동안 네트워크에 존재해야한다. 또한 제어 포인트는 제어 포인트의 로컬 클럭의 정확성의 한계 또는 바이트 기반 오프셋(byte based offsets)을 사용하는 장치로 인해 시작점과 종료점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할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AVT(AVTransport Service)를 통한 컨텐츠를 재생(playback)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동작에서 컨텐츠 재생을 위한 이전의 단계들은 생략되었으며, AVT는 미디어 렌더러(403)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옵션 2의 재생 아키텍쳐는 96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402)가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 SetAVTransportURI()를 미디어 렌더러(403)로 전달하는 경우, 시작과 종료의 오프셋 정보를 미디어 렌더러(403)의 AVT에 전달하기 위해 CurrentURIMetaData 아규먼트를 사용한다. 다음 965단계에서 Play()가 호출되면 970단계에서 미디어 렌더러(403)의 AVT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세그먼트를 도출(retrieving)하기 위해 세 번째 아규먼트인 CurrentURIMetaData를 해석하여 세그먼트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파악한다.
이 경우 종래의 AVT는 CurrentURIMetaData에 오프셋 정보를 인식할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를 재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AVT는 미디어 렌더러가 기본 컨텐츠의 세그먼트를 도출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out-of-band" 프로토콜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새로운 메타데이타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타데이타 아키텍쳐는 각 세그먼트 디스크립터(descriptor)가 싱글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 아이템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세그먼트 디스크립터의 <res> 엘리먼트는 상기 세그먼트를 위한 "실행가능한(playable)" 컨텐츠다.
새로운 세그먼트 객체(new segment object)가 생성될때, CDS는 이 새로운 객체가 세그먼트 디스크립터이고, 시작과 종료 오프셋 메타데이터(start and end offsets metadata)에 따른 <res> 엘리먼트에 대응되게 생성되는 것을 파악한다. 상기 오프셋 메타데이터는 시간, 바이트, 프레임의 시작/종료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세그먼트 객체의 <res> 엘리먼트는 해당 엘리먼트의 세부 정보를 기술하는 확장 엘리먼트 <resExt>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 엘리먼트 <resExt>는 오프셋 메타데이터 외에 세그먼트 객체가 참조하는 기반 컨텐츠(base content)와 기반 컨텐츠의 리소스(base resourec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동작에서 컨텐츠 재생을 위한 이전의 단계들은 생략되었으며, AVT는 미디어 렌더러(403)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재생 아키텍쳐는 1005단계에서 미디어 서버(401)가 세그먼트 객체를 생성할 때 오프셋 메타 데이터가 이미 반영된 리소스 URI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1005단계에서 생성된 세그먼트 객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을 위한 각 단계들을 수행 후에(미도시), 1060단계에서 제어 포인트(402)가 SetAVTransportURI()를 미디어 렌더러에 전송하고, 1065단계에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제어 포인트(402)가 Play()를 미디어 렌더러에 전송하면 1070단계에서 미디어 렌더러는 SetAVTransportURI()의 CurrentURIMetaData 아규먼트를 해석하여 세그먼트의 URI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를 이용하여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재생 아키텍쳐는 세그먼트의 재생이 다른 CDS 아이템과 같다. 세그먼트 디스크립터의 res 엘리먼트는 기본 아이템의 세그먼트를 표현하기 위해 CDS에 의해 생성되며, 그 포맷은 DMS(Digital Media Server) 실행에 종속적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 4의 450단계의 장면 구성 시 상기 설명한 방법 이외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방법에서 세그먼트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디어 서버(401)의 CDS에 세그먼트 정보가 존재해야 한다. 이 경우 기본 객체에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세그먼트 객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CDS에 세그먼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의 세그먼트 일지라도 CDS에 세그먼트 정보를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DS에는 저장되지 않지만 세그먼트를 재생할 수 있는 리소스 URI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공된 리소스 URI는 기존 CDS 객체 재생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도 4의 450단계의 장면 구성 단계에서 세그먼트의 객체 아이디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장면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뿐 아니라, 현재 CDS에 저장되어 있지는 않지만(즉, ObjectID가 없지만), 재생하고 싶은 세그먼트 리소스 URI를 미디어 서버(401)로부터 임시로 생성하여 재생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추가하도록 변경한다. 이 경우 450단계의 장면 구성 시 사용되는 SetScene() 액션은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기존 UPnP AV에서 정의된 SetAVTransportURI() 와 SetNextAVTransportURI()를 이용하여 재생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기존의 UPnP AV에서 사용자가 기본 컨텐츠의 특정 부분을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 세가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이 특정 부분을 위한 세그먼트 객체가 CDS안에 존재하는 경우와, 특정 부분을 위한 세그먼트 객체가 CDS안에 존재하지 않으나 사용자가 이후에 이 세그먼트 definition 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생성을 원하는 경우와, 특정 부분을 위한 세그먼트 객체가 CDS안에 존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이 세그먼트 definition 을 재사용하지 않아 생성을 원하지 않는 경우이다.
상기 세가지 경우에서 첫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세그먼트 메타데이타를 얻기 위해 Browse()/Search()를 사용하고, 세그먼트를 재생 할 수 있으며, 두번째 경우에는 CreateObject()를 이용하여 세크먼트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두가지 경우에는 기존의 방식으로 수행이 가능하지만, 세번째 경우에는 사용자는 세그먼트 객체 생성이 필요할 것이고 재생 이후에 그것이 삭제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새로운 액션인 CreateDynamicSegment()를 정의한다. CreateDynamicSegment()는 CDS가 객체를 즉시 생성하지 않아 CreateObject()와 차이가 있으나, 오직 가상(virtual)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되돌린다.
CreateDynamicSeqment()를 위한 아규먼트는 하기 표 1과 같다.
Argument Direction Related State Variable
Elements IN A_ARG_TYPE_Result
Result OUT A_ARG_TYPE_Result
상기 아규먼트 요소는 세그먼트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메타데이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그것이 세그먼트 객체라는것을 지시하기 위한 class property(the upnp)와, 기본 컨텐츠의 object ID와, 그 기본 컨텐츠 내의 세그먼트의 시작점(start point)과 종료점(end point), DIDL-Lite 스키마(schema)에 의한 다른 properties(@id property는 ""로 설정, @parentID property는 "" 또는 "0"으로 설정)들이 될 수 있다.
CDS는 가상으로 생성된 세그먼트 객체를 위해 출력 아규먼트에 메타데이타를 구성해야 한다. CDS는 가상 세그먼트를 위해 <res>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CreateDynamicSegment()를 이용한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1: 제어 포인트는 CDS에서 CreateDynamicSegment() 액션을 호출하고, 세그먼트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메타데이타를 입력 아규먼트로 제공한다.
단계2: CreateDynamicSegment()의 출력 아규먼트에서, CDS는 가상의 세그먼트 객체를 리턴한다.
단계3: 제어 포인트는 가상 세그먼트 객체의 메타데이타를 얻고 AVT 서비스에서 가상 세그먼트 객체 메타데이타를 이용하여 SetAVTransportURI() 액션을 호출한다.
단계4: 제어 포인트는 다음 Play(), Pause() 그리고 세그먼트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AVT 액션을 할 수 있다.
한편 CreateDynamicSegment()의 가능한 확장으로 유사한 방식을 이용하여 다이나믹 세그먼트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포인트(402)는 다중 "가상" 세그먼트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메타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tScene()' 액션의 입력 파라미터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스턴스 아이디(InstanceID)는 AVT 서비스로부터 제공 받은 가상의 인스턴스 아이디를 말한다. 이 값을 통해 제어 포인트는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렌더러 사이에 재생되는 임의의 장면 또는 장면 그룹에 대한 재생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ScenesToBePlayed 는 재생할 장면들의 정보를 나타내고, ScenesToBeSkipped 는 재생 시 건너뛸 부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ScenesToBePlayed와 ScenesToBePlayed는 CSV(Comma Separated Value) 형태 혹은 소정의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 및 미디어 렌더러는 이를 인식하여 재생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tScene()' 액션의 입력 파라미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VT 인스턴스 아이디와 장면 그룹에 재생할 장면들의 조합 즉, 장면 그룹 자체 정보를 제공하여, 제어 포인트에 의해 재생 전에 만들어진 장면 그룹이 이후 재생 될 수 있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면 그룹은 CSV(Comma Separated Value) 형태 혹은 소정의 XML을 기반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 및 미디어 렌더러가 이를 인식하고 재생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도 11과 도 12에서 제안하는 액션 및 파라미터의 차이점은, 도 11의 경우 제어 포인트가 가져온 모든 장면들을 ScenesToBePlayed와 ScenesToBeSkipped에 명시 하는 방법이고, 도 12의 경우 제어 포인트의 특정 UI 어플리케이션, 즉 임의의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을 편집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두 가지 방법 모두 임의의 장면들을 끊김 없이 재생 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 가능한 실시예로 적용 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의 개수 및 내용에 다소 차이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임의의 장면들을 조합하여 UPnP를 기반으로 재생 하도록 하고자 하는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구성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면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미디어 서버(401)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컨텐츠에서 추출한 장면을 s1, s2, …, sN 으로 나누어 명시할 경우, 하나의 컨텐츠 A는 N개의 장면(1310) 또는 N개의 세그먼트(1320)로 나뉘어 저장 될 수 있다. 또한, 장면 그룹도 하나의 CDS 객체 형태로 미디어 서버에서 관리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을 CDS로부터 Browse/Search() 등의 UPnP 액션을 통해 가져온 후, 제어 포인트(402)에게 응답으로써 제공 될 수 있다. 이후, 제어 포인트(402)는 전달 받은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장면 구성 어플리케이션(Scene Authoring Application)(1330)을 통해 조합 하거나 수정 할 수 있는데, s1부터 sN까지의 장면 리스트 중, 장면 구성 어플리케이션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장면들을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 된 장면들은 소정의 방법으로 그룹화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401) 혹은 미디어 렌더러(403)가 재생 시점에 이해 할 수 있는 소정의 XML 스킴(Schme)을 정의하고, 장면그룹 태그(Tag) 내에 재생하고자 하는 모든 장면들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표현하거나(1340), CSV(Comma Separated Value)를 기반으로 표현할 수 있다(135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를 이용하여 AV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제어 포인트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402)는 네트워크 송수신부(1410)와 제어부(1420)와 표시부(1430)와 장면 구성부(1440)와 입력부(145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송수신부(1410)는 UPnP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 포인트(402)는 네트워크 송수신부(1410)을 통해 미디어 서버(401)또는 미디어 렌더러(403)와 컨텐츠 데이터 및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표시부(1430)는 재생할 컨텐츠를 선택 시 사용자에게 미디어 서버(401)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나 컨텐츠의 장면, 장면 그룹등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며, 장면 구성 시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장면, 장면 그룹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1450)는 상기 컨텐츠 선택 시나 장면 구성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저장부(1460)는 제어 포인트(40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부(1460)는 미디어 서버(401)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한다.
장면 구성부(1440)는 입력부(145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미디어 서버(401)로부터 수신한 장면 들을 바탕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장면을 선택 및 재구성한다.
제어부(1420)는 상기 제어 포인트(402)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420)는 상기 미디어 서버(401)로부터 재생할 장면(Scene)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상기 장면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1460)에 저장하며, 상기 수신한 장면을 확인한 후 상기 장면을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403)로부터 재생 가능 프로토콜 및 파일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장면 구성부(1440)를 통해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렌더러(403)가 상기 장면 구성부(1440)에서 구성된 장면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설명에서 제어 포인트(402)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 제어 포인트(402)는 미디어 서버(401) 혹은 미디어 렌더러(403)에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포인트(402)가 미디어 서버(401)와 함께 구현될 경우에는 저장부(1460)가 기본 A/V 컨텐츠를 저장하며, 제어 포인트(402)가 미디어 렌더러(403)와 함께 구현될 경우에는 컨텐츠 재생 시 상기 표시부(1430)에서 컨텐츠 재생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를 이용한 장면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의 동작 및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장치 발견(discovery) 및 액션(action) 수행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UPnP를 이용하여 AV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UPnP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오브젝트 간의 순차 관계(objectlink)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objectList)의 연결 분기(branch)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또는 장면 그룹의 오브젝트 간의 연결 관계의 목차 연결 리스트(Index)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AVT(Audio Video Transport)를 통한 컨텐츠를 재생(playback)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 흐름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tScene()' 액션의 입력 파라미터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tScene()' 액션의 입력 파라미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면 구성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를 이용하여 AV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제어 포인트의 블록 구성도

Claims (18)

  1.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한 장면(Scene)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가 AV(Audio/Video) 컨텐츠를 저장한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로부터 재생할 장면(Scene)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상기 재생할 장면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포인트가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Medea Renderer)로부터 재생 가능한 프로토콜 및 파일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데 사용할 켄텐츠 리소소, 프로토콜, 파일 포맷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수신한 장면들 중에서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렌더러에서 상기 구성된 장면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은 단일 장면이나, 장면 그룹(Scene Grou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은 순차 관계(objectLink) 또는 연결 관계(objectList)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장면을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장면을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포인트가 'Browse()' 또는 'Search()' 액션을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CDS(Content Directory Service)에서 재생할 장면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저장된 A/V 컨텐츠는
    복수의 세그먼트 객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세그먼트 객체는 리소스 URI를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장면은,
    기본 객체(base object)와 오프셋(Offset) 값을 가지거나, 기본 객체에 대한 참조(Reference) 값만을 가진 세그먼트 객체(Segment Object)이거나, 재생 가능한 리소스 URI를 갖는 세그먼트 객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수신한 장면들 중에서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장면들의 재생 순서를 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수신한 장면들 중에서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장면 그룹의 장면 순서를 변경하거나 상기 장면 그룹에 특정 장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가 상기 수신한 장면들 중에서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미디어 서버의 CDS(Content Directory Service)에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재생하고자 하는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세그먼트의 리소스 URI를 포함하는 가상 세그먼트 생성을 요청하며, 상기 생성한 가상 세그먼트의 객체를 수신하여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10.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이용하여 장면(Scene)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UPnP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V(Audio/Video) 컨텐츠를 저장한미디어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미디어 렌더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송수신부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면들을 바탕으로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장면 구성부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재생할 장면(Scene)을 요청하고 그 응답으로 상기 장면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수신한 장면을 확인한 후 상기 장면을 재생할 미디어 렌더러로부터 재생 가능 프로토콜 및 파일 포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장면 구성부를 통해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렌더러가 상기 장면 구성부에서 구성된 장면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은 단일 장면이나, 장면 그룹(Scene Grou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은 순차 관계(objectLink) 또는 연결관계(objectList)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장면을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상기 장면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어 포인트가 'Browse()' 또는 'Search()' 액션을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CDS(Content Directory Service)에서 재생할 장면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저장된 A/V 컨텐츠는
    복수의 세그먼트 객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세그먼트 객체는 리소스 URI를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장면은,
    기본 객체(base object)와 오프셋(Offset) 값을 가지거나, 기본 객체에 대한 참조(Reference) 값만을 가진 세그먼트 객체(Segment Object)이거나, 재생 가능한 리소스 URI를 갖는 세그먼트 객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구성부는,
    상기 수신한 장면들의 재생 순서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구성부는,
    상기 수신한 장면 그룹의 장면 순서를 변경하거나 상기 장면 그룹에 특정 장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8. 제 10에 있어서, 상기 장면 구성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의 CDS(Content Directory Service)에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재생하고자 하는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세그먼트의 리소스 URI를 포함하는 가상 세그먼트의 생성을 요청하며, 상기 생성한 가상 세그먼트의 객체를 수신하여 재생할 장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KR1020090072364A 2008-08-14 2009-08-06 UPnP를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806875.2A EP2314060B1 (en) 2008-08-14 2009-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scen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JP2011522912A JP5538389B2 (ja) 2008-08-14 2009-08-14 UPnPを用いてシーン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US12/541,524 US10211997B2 (en) 2008-08-14 2009-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scene using UPnP
CN201510051338.4A CN104539638B (zh) 2008-08-14 2009-08-14 通过使用通用即插即用播放场景的方法和装置
PCT/KR2009/004555 WO2010019013A2 (en) 2008-08-14 2009-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scen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CN200980139810.2A CN102177702B (zh) 2008-08-14 2009-08-14 通过使用通用即插即用播放场景的方法和装置
JP2013253205A JP5898166B2 (ja) 2008-08-14 2013-12-06 UPnPを用いてシーン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91 2008-08-14
KR20080080191 2008-08-14
KR20080099755 2008-10-10
KR1020080099755 2008-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65A true KR20100021365A (ko) 2010-02-24
KR101597826B1 KR101597826B1 (ko) 2016-02-26

Family

ID=4209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364A KR101597826B1 (ko) 2008-08-14 2009-08-06 UPnP를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11997B2 (ko)
EP (1) EP2314060B1 (ko)
JP (2) JP5538389B2 (ko)
KR (1) KR101597826B1 (ko)
CN (2) CN104539638B (ko)
WO (1) WO201001901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895A (ko) * 2010-10-18 201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피엔피 기반 차량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KR20140053882A (ko) * 2011-08-26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 협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3932A1 (en) * 2008-03-14 2009-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d user notification in a upnp network
US20110289414A1 (en) * 2010-05-18 2011-11-24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Guided navigation
CN103078848B (zh) * 2012-12-27 2015-09-23 合一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多屏融合协作的系统及方法
CN103945088B (zh) * 2013-01-21 2017-06-27 华为终端有限公司 场景识别方法及装置
CN104301803B (zh) * 2014-10-24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UPnP的多媒体播放控制方法及系统
CN104539606B (zh) * 2014-12-24 2018-09-18 歌尔股份有限公司 基于Upnp的音频文件管理方法、装置和系统
FR3038479B1 (fr) * 2015-07-03 2017-07-14 Somfy Sas Procede de decouverte de la configuration d’une installation domotique
CN106453255B (zh) * 2016-09-09 2022-03-08 北京邦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服务续播的方法、UPnP设备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8137A1 (en) * 2003-12-19 2005-06-2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arameterized URLs for retrieving resource content i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0626A2 (en) * 1994-06-30 1996-01-03 AT&T Corp. System for storage and playback of segmented video data
JP2001028722A (ja) * 1999-07-13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管理装置及び動画像管理システム
US8572646B2 (en) * 2000-04-07 2013-10-29 Visible Worl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broadcast for personalized messages
JP2004362099A (ja) 2003-06-03 2004-12-24 Sony Corp サーバ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05235B2 (en) * 2003-11-14 2012-06-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a tuner device in a media server content directory service
KR100582549B1 (ko) * 2004-12-21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기반 콘텐츠 관리 기능을 가지는 미디어 서버 및객체 기반 콘텐츠 관리 방법
KR100645171B1 (ko) * 2005-05-16 2006-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계층적 UPn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미디어 서비스시스템과 방법
KR100690125B1 (ko) * 2005-08-29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컨텐츠 자동 재생 설정 방법
KR100694157B1 (ko) * 2005-11-02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28025B1 (ko) 2006-01-02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에서 외부의 유료 컨텐트를 획득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CN100581239C (zh) * 2006-01-11 2010-01-13 索尼株式会社 内容传输系统、装置及方法
JP2007235584A (ja) 2006-03-01 2007-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ゲートウェイ装置
WO2007099939A1 (ja) 2006-03-01 2007-09-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8041120A (ja) * 2006-08-01 2008-02-2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080018778A (ko) 2006-08-25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컨텐츠를 세그먼트 단위로 실행하는 방법, 제어포인트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4771424B2 (ja) * 2006-12-08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8137A1 (en) * 2003-12-19 2005-06-2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arameterized URLs for retrieving resource content i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895A (ko) * 2010-10-18 201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피엔피 기반 차량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KR20140053882A (ko) * 2011-08-26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 협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8166B2 (ja) 2016-04-06
EP2314060B1 (en) 2020-11-25
CN104539638A (zh) 2015-04-22
JP2014075832A (ja) 2014-04-24
EP2314060A2 (en) 2011-04-27
CN102177702A (zh) 2011-09-07
WO2010019013A3 (en) 2010-06-24
EP2314060A4 (en) 2013-01-02
WO2010019013A2 (en) 2010-02-18
KR101597826B1 (ko) 2016-02-26
JP5538389B2 (ja) 2014-07-02
US10211997B2 (en) 2019-02-19
CN102177702B (zh) 2015-03-04
JP2011530945A (ja) 2011-12-22
CN104539638B (zh) 2018-04-24
US20100067872A1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26B1 (ko) UPnP를 이용하여 장면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506813B (zh) 以段为单位执行av内容的方法、av cp装置和家庭网络系统
US99920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bookmark with other users in a home network
JP518719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560278B2 (en) Embedding a UPnP AV MediaServer object ID in a URI
US9883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nother device connected by network
EP1665632B1 (en) Upnp-based media contents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10162017A1 (en) Audiovisual multi-room support
KR100678954B1 (ko) UPnP 환경하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중지된 시점에 대한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121703A (ko) UPnP AV 네트워크에서 “유니버셜 팔로우-미”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5547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another device which are connected through network
KR20070083749A (ko) 유피엔피 네트워크에서의 통합 기기의 기기정보 지원 방법및 장치
KR20160098131A (ko) UPnP를 이용하여 문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